맨위로가기

2MAS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MASS는 전천 적외선 측광 관측 프로그램으로, 프레드 로렌스 위플 천문대와 셀로 롤로 천문대의 1.3m 망원경을 사용하여 J, H, K 영역의 파장에서 관측을 수행했다. 2MASS는 갈색 왜성을 탐지하고, 우리 은하의 회피대에서 은하를 발견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3억 개 이상의 점광원을 분류했다. 2003년에는 큰개자리 왜소 은하를 발견했고, 관측 데이터와 이미지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IPAC, NASA, NSF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 측량 - IRAS
    IRAS는 1983년에 발사되어 적외선 파장으로 하늘의 96%를 매핑하고 약 35만 개의 천체를 발견한 최초의 적외선 전천 탐사 관측소로, 헬륨 고갈로 10개월 만에 임무가 종료되었지만 소행성 3200 파에톤과 6개의 혜성을 발견하는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했으며 이후 WISE, NEOWISE 등의 후속 임무로 이어졌다.
  • 천문 측량 - 소천성표
    소천성표는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항성 목록으로, 《본소천성표》를 시작으로 다양한 성표들이 제작되어 19세기 천문학 및 측지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항성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 천체 목록 - 플램스티드 명명법
    플램스티드 명명법은 별자리의 라틴어 소유격과 별자리 내 적경 순서에 따른 숫자를 결합하여 항성을 명명하는 방식으로, 존 플램스티드의 『영국 천체 목록』에서 유래되었으며, 바이어 명명법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 천체 목록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은 요한 바이어가 제시한 항성 명명법으로, 별자리 내 별의 밝기에 따라 그리스/라틴 문자를 부여하고 별자리 소유격 명칭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밝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으며, 현대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2MASS
기본 정보
이름2MASS (Two Micron All-Sky Survey)
다른 이름Two Micron All Sky Survey
유형천체 목록
대상은하, 갈색왜성
조직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적외선 처리 및 분석 센터, 미국 항공 우주국
관측 시설프레드 로렌스 위플 천문대, 셀로 톨로로 인터-아메리칸 천문대
출판 연도2003년
홈페이지2MASS 홈페이지
관측
관측 시작알 수 없음
관측 종료알 수 없음
출판알 수 없음
관측 대상알 수 없음
특징
파장알 수 없음
주파수알 수 없음
밴드알 수 없음
제품알 수 없음

2. 관측

2MASS의 관측은 주로 프레드 로렌스 위플 천문대와 셀로 롤로 천문대의 1.3m 구경 망원경으로 이루어졌다. 각 망원경에는 256x256 크기의 텔루트화수은 카드뮴(HgCdTe) 탐지기가 설치되어 J 영역(1.25μm), H 영역(1.65μm), K 영역(2.17μm)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었다. 북반구 관측은 1997년 6월에, 남반구 관측은 1998년 5월에 시작되었다.

2MASS의 최종 데이터는 2003년에 공개되었으며,[1] 적외선 과학 보관소에서 제공된다. 이 조사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우리 은하인 은하수에 의해 가시광선이 가려지는 "회피대"에서 은하를 탐지한다.
  • 갈색 왜성을 탐지한다. 2MASS는 2MASS 0939-2448, 2MASS 0415-0935, 2M1207, 2MASS J04414489+2301513 등 총 173개의 갈색 왜성을 발견했다.[8]
  • 우리 은하와 다른 은하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별인 낮은 질량의 별을 광범위하게 조사한다.
  • 탐지된 모든 별과 은하를 목록화한다.
  • 2MASS의 적외선 관측은 이전에 발견되지 않은 성단을 밝히는 데 특히 효과적이었다.[2][3]


자동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점광원(별, 행성, 소행성)과 산광원(은하, 성운)에 대한 수치적 설명을 평균 제한 겉보기 등급 약 14등급까지 목록화했다. 3억 개 이상의 점광원과 100만 개의 산광원이 목록에 포함되었다. 2003년 11월, 과학자 팀은 2MASS 별 데이터를 분석하여 당시 은하수에 가장 가까운 위성 은하로 알려진 큰개자리 왜소 은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조사 결과 데이터와 이미지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되어 누구나 온라인에서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4] 2MASS 과학 출판물 목록과 논문 사전 출판본 링크도 제공된다.[5]

2MASS는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적외선 처리 및 분석 센터(IPAC, 제트 추진 연구소(JPL) 및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운영), NASA, 국립 과학 재단(NSF)의 후원을 받았다.

3. 성과


  • 회피대에 있는 은하 탐지
  • 갈색왜성 탐지. 2MASS는 2MASS 0939-2448, 2MASS 0415-0935, 2M1207, 2MASS J04414489+2301513을 포함하여 총 173개의 갈색왜성을 발견했다.[14][8]
  • 우리 은하와 다른 은하 모두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별인 적은 질량의 항성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 탐지된 모든 항성과 은하들의 목록화
  • 이전에 발견되지 않은 성단을 밝히는 데 효과적[2][3]

4. 관측 데이터 공개

2MASS의 관측 데이터와 이미지는 현재 모두 공개되어 누구나 온라인으로 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15] 2MASS의 최종 데이터 공개는 2003년에 이루어졌으며, 적외선 과학 보관소에서 제공된다.[1]

공개된 관측 데이터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공개 시기관측 영역설명
1998년 12월북반구 밤하늘(63 평방도)2MASS Sampler
1999년 5월북반구 밤하늘(2483 평방도)First Incremental Release
2000년 5월북반구와 남반구 밤하늘(19,600 평방도)Second Incremental Release, 전체 천구 면적의 47%
2003년 3월천구 전체 면적의 99.998%All-Sky Data Release



조사 결과 데이터와 이미지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으며, 누구나 온라인에서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4] 2MASS 과학 출판물 목록과 논문의 사전 출판본 링크도 제공된다.[5]

참조

[1] 웹사이트 2MASS All-Sky Data Release FAQ Page https://old.ipac.cal[...] Caltech 2018-12-14
[2] 논문 A systematic survey for infrared star clusters with |b| <20° using 2MASS' http://adsabs.harvar[...] 2007
[3] 논문 Discovering protostars and their host clusters via WISE' http://adsabs.harvar[...] 2013
[4] 웹사이트 2MASS Data Access http://www.ipac.calt[...] The Two Micron All Sky Survey at IPAC 2006-12-20
[5] 웹사이트 2MASS Science Publications http://www.ipac.calt[...] The Two Micron All Sky Survey at IPAC 2006-02-01
[6] 웹사이트 About 2MASS (A Brief Explanation of 2MASS) http://www.ipac.cal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JPL/ Caltech), NASA, NSF 2006-02-01
[7] 웹사이트 Two Micron All Sky Survey (2MASS) http://irsa.ipac.cal[...] NASA/IPAC Infrared Science Archive 2011-10-22
[8] 서적 IAU Symposium Vol. 211 ("Brown Dwarfs") http://spider.ipac.c[...] 2003
[9] 웹사이트 About 2MASS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Infrared Processing and Analysis Center (JPL/ Caltech), NASA, NSF https://www.ipac.cal[...]
[10] 웹사이트 - カリフォルニア工科大学 赤外線画像処理・分析センター (Caltec IPAC) 2MASS 概要 https://www.ipac.cal[...]
[11] 웹사이트 - カリフォルニア工科大学 赤外線画像処理・分析センター (Caltec IPAC) 2MASS 出版物 https://www.ipac.cal[...]
[12] 웹인용 About Two Micron All Sky Survey at IPAC https://old.ipac.cal[...] 2020-12-15
[13] 웹인용 Two Micron All Sky Survey (2MASS) https://irsa.ipac.ca[...] 2020-12-15
[14] 저널 2MASS Data Mining and the M, L, and T Dwarf Archives http://spider.ipac.c[...] 2020-12-15
[15] 웹인용 2MASS Data Access https://old.ipac.cal[...] 2020-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