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미터 장애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000미터 장애물 경주는 육상 트랙 경기 종목 중 하나로, 선수들이 트랙을 돌면서 장애물을 넘고 물웅덩이를 건너는 경주이다. 이 종목은 하계 올림픽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정식 종목이며, 남자는 91.4cm, 여자는 76.2cm 높이의 장애물을 넘어야 한다. 3000미터 장애물 경주는 1920년 올림픽부터 남자 종목이,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부터 여자 종목이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이 종목의 세계 기록은 남자 7분 52초 11(라메차 기르마, 2023년), 여자 8분 44초 32(베아트리스 쳅코에치, 2018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거리달리기 - 장애물 경주 (육상)
장애물 경주는 육상 트랙 경기에서 코스 위에 설치된 허들과 물웅덩이를 뛰어넘는 경기로, 스테이플체이스라고도 불리며 올림픽을 비롯한 주요 국제 대회에서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시행된다. - 중거리달리기 - 중거리 달리기
중거리 달리기는 육상에서 단거리와 장거리의 중간 거리를 달리는 경주로, 800m, 1500m, 1마일, 3000m 등 다양한 종목이 있으며, 특히 1500m 달리기는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어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3000미터 장애물 | |
---|---|
일반 정보 | |
![]() | |
종목 | 3000m 장애물 |
남자 기록 | |
올림픽 기록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케냐) 8:03.28 (2016) |
선수권 대회 기록 | 에제키엘 켐보이 (케냐) 8:00.43 (2009) |
여자 기록 | |
세계 기록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케냐) 8:44.32 (2018) |
올림픽 기록 | 윈프레드 야비 (바레인) 8:52.76 (2024) |
선수권 대회 기록 | 노라 제루토 (카자흐스탄) 8:53.02 (2022) |
2. 규칙
3000미터 장애물 경주는 하계 올림픽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육상 트랙 경기 종목 중 하나이며, 세계 육상 연맹에서 인정한다.[1] 남자의 장애물 높이는 91.4 cm이고, 여자는 76.2 cm이다.
물 웅덩이는 장벽과 착지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66 m 정사각형이다. 규칙서에는 "물 구덩이는 장애물을 포함하여 길이가 3.66 m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구덩이에는 위쪽 경사가 있으며, 물은 장벽 근처에서 깊이가 70 cm이고 출발 끝 부분에서 지면 수준에서 2 cm 이내이다. 경사는 장벽에서 약 30 cm 앞으로 시작된다.
경주 거리는 보통 3000 m이며, 주니어 및 일부 마스터스 육상 경기는 2000 m이다. 과거에는 여자 경기도 2000 m로 진행되었다. 트랙에는 4개의 일반 장애물과 1개의 물 구덩이가 있으며, 각 주자는 총 28개의 일반 장애물과 7개의 물 구덩이를 넘어야 한다. 물 구덩이는 백 턴에 위치하며, 안쪽 레인 또는 바깥쪽 레인 바깥쪽에 위치한다.
허들에서 사용되는 장애물과 달리, 장애물 경주의 장애물은 넘어지지 않으며, 선수는 어떤 방식으로든 장애물을 넘을 수 있다. 트랙 주변에는 평평한 지면에 4개의 장애물이 있고, 다섯 번째 장애물이 물 구덩이다. 물 구덩이의 경사는 더 긴 점프가 물 속에서 더 얕은 착지를 가져오기 때문에 더 많은 점프 능력을 가진 주자에게 유리하다.
=== 남자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경주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49초 6 | Sándor Rozsnyói | 1954. 08. 28 | European Championships | 베른 | |||||
2 | 8분 47초 8 | 펜티 카르보넨 | 1955. 07. 01 | International | 헬싱키 | |||||
3 | 8분 45초 4 | 펜티 카르보넨 | 1955. 7. 15 | Bislett Games | 오슬로 | |||||
4 | 8분 45초 4 | 바실리 블라셴코 | 1955. 8. 18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5 | 8분 41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8. 31 | TCH v. POL | ? Brno | |||||
6 | 8분 40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09. 11 | 헝가리-폴란드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 | ||||
7 | 8분 39초 8 | Semyon Rzhishchin | 1956. 8. 14 | National Championships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8 | 8분 35초 6 | Sándor Rozsnyói | 1956. 09. 16 |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44] | ||||
9 | 8분 35초 5 / 6? | Semyon Rzhishchin | 1958. 07. 21 | National Championships | Tallin | |||||
10 | 8분 32초 0 | Jerzy Chromik | 1958. 08. 02 | POL v. USA / 10th Anniversary Stadium | 바르샤바 | |||||
11 | 8분 31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1960. 6. 26 | RSFSR v. POL | 툴라 | |||||
12 | 8분 31초 2 | Grigoriy Taran | 1961. 5. 28 | UKR SSR v. RSFSR v. Moskva v. Leningrad / 4 Sided Match / Moskva v. Leningrad v. RSFSR v. UKR | 키예프 | |||||
13 | 8분 30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Wałcz | 1961-06-26 | National | |||||
14 | 8분 29초 6 | Gaston Roelants | 1963. 9. 7 | International | Leuven | |||||
15 | 8분 26초 4 | Gaston Roelants | 1965. 8. 7 | National Championships | 루뱅 /브뤼셀? | |||||
16 | 8분 24초 2 | Jouko Kuha | 1968. 07. 17 | 제2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
17 | 8분 22초 2 | Vladimir Dudin | 1969. 08. 19 | National Championships | 키예프 | |||||
18 | 8분 22초 0 | - 0.2초 | Kerry OBrien | 1970. 07. 04 | ISTAF 육상 대회 | 베를린 | ||||
19 | 8분 20초 8 | Anders Gärderud | 1972. 09. 14 | International | 헬싱키 | |||||
20 | 8분 20초 8 | Ben Jipcho | 1973. 1. 15 | FIN v. KEN v. ITA | ? Lagos | |||||
21 | 8분 19초 1 | Ben Jipcho | 1973. 06. 19 | World Games | 헬싱키 | |||||
22 | 8분 10초 4 | - 8.7초 | Anders Gärderud | 1975. 06. 25 | 제9회 비슬레트 게임스 | 오슬로 | ||||
23 | 8분 09초 8 | Anders Gärderud | 1975. 07. 01 | 제9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전자 계시 기록 (8분 09초 70) | ||||
24 | 8분 08초 2 | - 0.6초 | Anders Gärderud | 1976. 07. 28 | 제21회 하계 올림픽 | 몬트리올 | ||||
25 | 8분 05초 4 | Henry Rono | 1978. 05. 13 | 노스트웨스트 릴레이스 육상 대회 | 시애틀 | [45] |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05초 35 | 피터 코에치 | 1989. 07. 03 | 제23회 DN 갈란 육상 대회 (IAAF 그랑프리) | 스톡홀름 | ||||
8분 02초 0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2. 08. 19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1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5. 08. 16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08 | - 0.10초 | 윌슨 보이트 킵키터 | 1997. 08. 13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5초 72 | 버나드 발마사이 | 1997. 08. 24 | Internationaler Sparkassen-Cup des ASV Köln / GP I | 쾰른 | |||||
7분 55초 28 | - 0.44초 | 브라힘 불라미 | 2001. 08. 24 | 제25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
7분 53초 63 | - 1.65초 | 사이프 사에드 샤힌 | 2004. 09. 03 | 제28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2024년 7월 기준.
선수 순위 | 기록 순위 | 시간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
---|---|---|---|---|---|---|---|
1 | 1 | 7분 52.11초 | 라메차 기르마 | 2023년 6월 9일 | 파리 | [3] | |
2 | 2 | 7분 53.63초 | 사이프 사에드 샤힌 | 2004년 9월 3일 | 브뤼셀 | ||
3 | 3 | 7분 53.64초 | 브리민 키프루토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4] | |
4 | 4 | 7분 54.31초 | 폴 킵실레 코에치 | 2012년 5월 31일 | 로마 | ||
5 | 5 | 7분 55.28초 | 브라힘 불라미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6 | 7분 55.51초 | 샤힌 #2 | 2005년 8월 26일 | 브뤼셀 | |||
6 | 7 | 7분 55.72초 | 베르나르 바르마사이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7 | 8 | 7분 55.76초 | 에제키엘 켐보이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
8 | 9 | 7분 56.16초 | 모세스 킵타누이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rowspan="5" | | 10 | 7분 56.32초 | 샤힌 #3 | rowspan="5" | | 2006년 7월 3일 | 아테네 | |
11 | 7분 56.34초 | 샤힌 #4 | 2005년 7월 8일 | 로마 | |||
12 | 7분 56.37초 | 코에치 #2 | 2005년 7월 8일 | 로마 | |||
13 | 7분 56.54초 | 샤힌 #5 | 2006년 8월 18일 | 취리히 | |||
14 | 7분 56.58초 | 코에치 #3 | 2012년 5월 11일 | 도하 | |||
9 | 15 | 7분 56.68초 | 수피안 엘 바칼리 | 2023년 5월 28일 | 라바트 | [5] | |
10 | 16 | 7분 56.81초 | 리처드 마텔롱 | 2012년 5월 11일 | 도하 | ||
rowspan="2" | | 17 | 7분 56.94초 | 샤힌 #6 | rowspan="2" | | 2004년 9월 19일 | 모나코 | |
18 | 7분 57.28초 | 샤힌 #7 | 2005년 6월 14일 | 아테네 | |||
11 | 19 | 7분 57.29초 | 르우벤 코스게이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rowspan="6" | | 20 | 7분 57.32초 | 코에치 #4 | rowspan="6" |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
21 | 7분 57.38초 | 샤힌 #8 | 2003년 9월 14일 | 모나코 | |||
22 | 7분 57.42초 | 코에치 #5 | 2003년 9월 14일 | 모나코 | |||
23 | 7분 58.09초 | 불라미 #2 | 2002년 7월 19일 | 모나코 | |||
24 | 7분 58.10초 | 샤힌 #9 | 2002년 7월 19일 | 모나코 | |||
25 | 7분 58.15초 | 엘 바칼리 #2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6] | ||
12 | 7분 58.41초 | 자이루스 비레치 | 2014년 9월 5일 | 브뤼셀 | [7] | ||
13 | 7분 59.08초 | 윌슨 보이트 키프케터 | 1997년 8월 13일 | 취리히 | |||
14 | 8분 00.09초 |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13년 7월 6일 | 생드니 | [8] | ||
15 | 8분 00.12초 | 컨세슬루스 키프루토 | 2016년 6월 5일 | 버밍엄 | [9] | ||
16 | 8분 00.45초 | 에반 재거 | 2015년 7월 4일 | 생드니 | [10] | ||
17 | 8분 01.18초 | 부아브델라 타리 | 2009년 8월 18일 | 베를린 | [11] | ||
18 | 8분 01.67초 | 아벨 무타이 | 2012년 5월 31일 | 로마 | |||
19 | 8분 01.69초 | 킵키루이 미소이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20 | 8분 02.36초 | 아브람 시메 | 2024년 7월 7일 | 파리 | [12] | ||
아모스 세렘 | 2024년 7월 7일 | 파리 | [13] | ||||
22 | 8분 03.41초 | 패트릭 상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23 | 8분 03.57초 | 알리 에지네 | 2000년 6월 23일 | 생드니 | |||
힐러리 예고 | 2013년 5월 18일 | 상하이 | |||||
25 | 8분 03.74초 | 레이먼드 야토르 | 2000년 8월 18일 | 모나코 |
=== 여자 ===
여자 3000미터 장애물 경주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미국 | 1996. 4. 20 | 미국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미국 | 1996. 5. 17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미국 | 1996. 6. 23 | 미국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캐나다 | 1998. 4. 18 | 미국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루마니아 | 1998. 6. 21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러시아 | 1999. 7. 31 | 러시아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7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폴란드 | 2002. 06. 5 | 이탈리아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체코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7. 27 | 폴란드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러시아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4. 7. 4 | 그리스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러시아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 2024년 8월 30일 기준.
{| class="wikitable sortable"
|-
! 선수 랭킹 !! 기록 랭킹 !! 시간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bgcolor="#f6F5CE"
|align=center|1
|align=center|1
|8분 44.32초
|베아트리스 쳅코에치 || 케냐
|2018년 7월 20일
|모나코
|[15]
|- bgcolor="#f6F5CE"
|align=center|2
|align=center|2
|8분 44.39초
|윈프레드 야비
|바레인
|2024년 8월 30일
|로마
|[16]
|- bgcolor="#f6F5CE"
|align=center|3
|align=center|3
|8분 48.03초
|페루스 쳄루타이
|우간다
|2024년 8월 30일
|로마
|[16]
|-
| rowspan="3" align="center" |
| align="center" |4
|8분 50.66초
|''야비 #2''
| rowspan="3" |
|2023년 9월 16일
|유진
|[17]
|-
| align="center" |5
|8분 51.67초
|''B. 쳅코에치 #2''
|2023년 9월 16일
|유진
|[17]
|-
| align="center" |6
|8분 52.76초
|''야비 #3''
|2024년 8월 6일
|생드니
|[18]
|- bgcolor="#f6F5CE"
| align="center" |4
| align="center" |7
|8분 52.78초
|루스 제벳|| 바레인
|2016년 8월 27일
|생드니
|[19]
|- bgcolor="#f6F5CE"
| align="center" |5
| align="center" |8
|8분 53.02초
|노라 제루토|| 카자흐스탄
|2022년 7월 20일
3. 역대 기록
다음은 3000미터 장애물 역대 기록에 대한 위키텍스트 본문이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49초 6 | Sándor Rozsnyói | 1954. 08. 28 | European Championships | 베른 | |||||
2 | 8분 47초 8 | 펜티 카르보넨 | 1955. 07. 01 | International | 헬싱키 | |||||
3 | 8분 45초 4 | 펜티 카르보넨 | 1955. 7. 15 | Bislett Games | 오슬로 | |||||
4 | 8분 45초 4 | 바실리 블라셴코 | 1955. 8. 18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5 | 8분 41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8. 31 | TCH v. POL | ? Brno | |||||
6 | 8분 40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09. 11 | 헝가리-폴란드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 | ||||
7 | 8분 39초 8 | Semyon Rzhishchin | 1956. 8. 14 | National Championships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8 | 8분 35초 6 | Sándor Rozsnyói | 1956. 09. 16 |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44] | ||||
9 | 8분 35초 5 / 6? | Semyon Rzhishchin | 1958. 07. 21 | National Championships | Tallin | |||||
10 | 8분 32초 0 | Jerzy Chromik | 1958. 08. 02 | POL v. USA / 10th Anniversary Stadium | 바르샤바 | |||||
11 | 8분 31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1960. 6. 26 | RSFSR v. POL | 툴라 | |||||
12 | 8분 31초 2 | Grigoriy Taran | 1961. 5. 28 | UKR SSR v. RSFSR v. Moskva v. Leningrad / 4 Sided Match / Moskva v. Leningrad v. RSFSR v. UKR | 키예프 | |||||
13 | 8분 30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Wałcz | 1961-06-26 | National | |||||
14 | 8분 29초 6 | Gaston Roelants | 1963. 9. 7 | International | Leuven | |||||
15 | 8분 26초 4 | Gaston Roelants | 1965. 8. 7 | National Championships | 루뱅 /브뤼셀? | |||||
16 | 8분 24초 2 | Jouko Kuha | 1968. 07. 17 | 제2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
17 | 8분 22초 2 | Vladimir Dudin | 1969. 08. 19 | National Championships | 키예프 | |||||
18 | 8분 22초 0 | - 0.2초 | Kerry OBrien | 1970. 07. 04 | ISTAF 육상 대회 | 베를린 | ||||
19 | 8분 20초 8 | Anders Gärderud | 1972. 09. 14 | International | 헬싱키 | |||||
20 | 8분 20초 8 | Ben Jipcho | 1973. 1. 15 | FIN v. KEN v. ITA | ? Lagos | |||||
21 | 8분 19초 1 | Ben Jipcho | 1973. 06. 19 | World Games | 헬싱키 | |||||
22 | 8분 10초 4 | - 8.7초 | Anders Gärderud | 1975. 06. 25 | 제9회 비슬레트 게임스 | 오슬로 | ||||
23 | 8분 09초 8 | Anders Gärderud | 1975. 07. 01 | 제9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전자 계시 기록 (8분 09초 70) | ||||
24 | 8분 08초 2 | - 0.6초 | Anders Gärderud | 1976. 07. 28 | 제21회 하계 올림픽 | 몬트리올 | ||||
25 | 8분 05초 4 | Henry Rono | 1978. 05. 13 | 노스트웨스트 릴레이스 육상 대회 | 시애틀 | [45] |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05초 35 | 피터 코에치 | 1989. 07. 03 | 제23회 DN 갈란 육상 대회 (IAAF 그랑프리) | 스톡홀름 | ||||
8분 02초 0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2. 08. 19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1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5. 08. 16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08 | - 0.10초 | 윌슨 보이트 킵키터 | 1997. 08. 13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5초 72 | 버나드 발마사이 | 1997. 08. 24 | Internationaler Sparkassen-Cup des ASV Köln / GP I | 쾰른 | |||||
7분 55초 28 | - 0.44초 | 브라힘 불라미 | 2001. 08. 24 | 제25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
7분 53초 63 | - 1.65초 | 사이프 사에드 샤힌 | 2004. 09. 03 | 제28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남자 3000m 장애물 기록은 2023년 6월 9일 파리에서 에티오피아의 라메차 기르마가 7분 52초 11로 수립했다. 그 뒤를 이어 2004년 브뤼셀에서 카타르의 사이프 사이드 샤힌이 7분 53초 63, 2011년 몬테카를로에서 케냐의 브라이민 키프로프 키플루토가 7분 53초 64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폴 킵실레 코에치, 브라힘 부라미, 버나드 바르마사이, 에제키엘 켐보이, 모세스 킵타누이, 수피아네 엘 바칼리, 리처드 킵켄보이 메텔롱 등이 남자 3000m 장애물 상위 10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여자 3000m 장애물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미국 | 1996. 4. 20 | 미국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미국 | 1996. 5. 17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미국 | 1996. 6. 23 | 미국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캐나다 | 1998. 4. 18 | 미국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루마니아 | 1998. 6. 21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러시아 | 1999. 7. 31 | 러시아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7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폴란드 | 2002. 06. 5 | 이탈리아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체코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7. 27 | 폴란드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러시아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4. 7. 4 | 그리스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러시아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 2024년 8월 30일 기준.
선수 랭킹 | 기록 랭킹 | 시간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
---|---|---|---|---|---|---|---|
1 | 1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 | 케냐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15] |
2 | 2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바레인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3 | 3 | 8분 48.03초 | 페루스 쳄루타이 | 우간다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rowspan="3" align="center" | | 4 | 8분 50.66초 | 야비 #2 | rowspan="3" | | 2023년 9월 16일 | 유진 | [17] |
5 | 8분 51.67초 | B. 쳅코에치 #2 | 2023년 9월 16일 | 유진 | [17] | ||
6 | 8분 52.76초 | 야비 #3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4 | 7 | 8분 52.78초 | 루스 제벳 | 바레인 | 2016년 8월 27일 | 생드니 | [19] |
5 | 8 | 8분 53.02초 | 노라 제루토 | 카자흐스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0] |
rowspan="3" align="center" | | 9 | 8분 53.34초 | 쳄루타이 #2 | rowspan="3" |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10 | 8분 53.65초 | 제루토 #2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
11 | 8분 54.29초 | 야비 #4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21] | ||
6 | 12 | 8분 54.61초 | 베르쿠하 게타체우 | 에티오피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2] |
rowspan="2" align="center" | | 13 | 8분 55.09초 | 쳄루타이 #3 | rowspan="2" |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23] |
14 | 8분 55.10초 | B. 쳅코에치 #3 | 2018년 8월 31일 | 브뤼셀 | |||
7 | 15 | 8분 55.15초 | 페이스 체로티치 | 케냐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rowspan="3" | | 16 | 8분 55.29초 | 제벳 #2 | rowspan="3" | | 2017년 8월 24일 | 취리히 | |
17 | 8분 55.40초 | B. 쳅코에치 #4 | 2024년 4월 20일 | 샤먼 | [24] | ||
18 | 8분 55.58초 | B. 쳅코에치 #5 | 2019년 6월 30일 | 스탠퍼드 | |||
8 | 19 | 8분 56.08초 | 메키데스 아베베 | 에티오피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5] |
rowspan="2" | | 20 | 8분 56.51초 | B. 쳅코에치 #6 | rowspan="2" |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23] |
21 | 8분 56.55초 | 야비 #5 | 2022년 6월 18일 | 파리 | [26] | ||
9 | 22 | 8분 57.35초 | 재클린 쳅코에치 | 케냐 | 2023년 7월 23일 | 런던 | [27] |
23 | 8분 57.65초 | 체로티치 #2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
10 | 24 | 8분 57.77초 | 코트니 프레리치스 | 미국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28] |
25 | 8분 57.84초 | B. 쳅코에치 #7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1 | rowspan="15" align="center" | | 8분 58.67초 | 앨리스 피노 | 프랑스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12 | 8분 58.78초 | 셀리핀 쳅솔 | 케냐 | 2017년 5월 26일 | 유진 | [29] | |
13 | 8분 58.81초 | 굴나라 갈키나 | 러시아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30] | |
14 | 9분 00.01초 | 히빈 키엥 | 케냐 | 2016년 5월 28일 | 유진 | [31] | |
15 | 9분 00.71초 | 셈보 알마예우 | 에티오피아 | 2023년 6월 2일 | 피렌체 | [32] | |
16 | 9분 02.35초 | 엠마 코번 | 미국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7 | 9분 03.22초 | 발레리 콘스틴 | 미국 | 2024년 6월 27일 | 유진 | [34] | |
18 | 9분 03.30초 | 게사-펠리치타스 크라우제 | #REDIRECT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9 | 9분 04.35초 | 엘리자베스 버드 | 영국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20 | 9분 04.61초 | 제르페 윈데마게건 | 에티오피아 | 2023년 6월 2일 | 피렌체 | [32] | |
21 | 9분 04.93초 | 마르와 부자야니 | 튀니지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
22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튀니지 | 2015년 9월 11일 | 브뤼셀 | [35] | |
23 | 9분 06.07초 | 로미 물레타 | 에티오피아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24 | 9분 06.37초 | 마루사 미시마스-즈림섹 | #REDIRECT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36] | |
25 | 9분 06.50초 | 코트니 웨이먼트 | 미국 | 2024년 6월 27일 | 유진 | [34] |
케냐의 베아트리스 쳅코에치가 2018년 7월 20일 모나코에서 8분 44초 32로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15] 바레인의 윈프레드 야비가 2024년 8월 30일 로마에서 8분 44초 39로 2위를 기록했다.[16] 우간다의 페루스 쳄루타이가 같은 날 8분 48초 03으로 3위를 차지했다.[16]
이 외에도 루스 제벳, 노라 제루토, 베르쿠하 게타체우, 페이스 체로티치, 메키데스 아베베, 재클린 쳅코에치, 코트니 프레리치스 등이 여자 3000m 장애물 상위 10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8월 30일 기준이다.
3. 1. 남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49초 6 | Sándor Rozsnyói | 1954. 08. 28 | European Championships | 베른 | |||||
2 | 8분 47초 8 | 펜티 카르보넨 | 1955. 07. 01 | International | 헬싱키 | |||||
3 | 8분 45초 4 | 펜티 카르보넨 | 1955. 7. 15 | Bislett Games | 오슬로 | |||||
4 | 8분 45초 4 | 바실리 블라셴코 | 1955. 8. 18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5 | 8분 41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8. 31 | TCH v. POL | ? Brno | |||||
6 | 8분 40초 2 | 예르지 크로믹 | 1955. 09. 11 | 헝가리-폴란드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 | ||||
7 | 8분 39초 8 | Semyon Rzhishchin | 1956. 8. 14 | National Championships / Spartakiade | 모스크바 | |||||
8 | 8분 35초 6 | Sándor Rozsnyói | 1956. 09. 16 |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육상 대회 | 부다페스트 | 인민 경기장[44] | ||||
9 | 8분 35초 5 / 6? | Semyon Rzhishchin | 1958. 07. 21 | National Championships | Tallin | |||||
10 | 8분 32초 0 | Jerzy Chromik | 1958. 08. 02 | POL v. USA / 10th Anniversary Stadium | 바르샤바 | |||||
11 | 8분 31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1960. 6. 26 | RSFSR v. POL | 툴라 | |||||
12 | 8분 31초 2 | Grigoriy Taran | 1961. 5. 28 | UKR SSR v. RSFSR v. Moskva v. Leningrad / 4 Sided Match / Moskva v. Leningrad v. RSFSR v. UKR | 키예프 | |||||
13 | 8분 30초 4 | Zdzisław Krzyszkowiak | Wałcz | 1961-06-26 | National | |||||
14 | 8분 29초 6 | Gaston Roelants | 1963. 9. 7 | International | Leuven | |||||
15 | 8분 26초 4 | Gaston Roelants | 1965. 8. 7 | National Championships | 루뱅 /브뤼셀? | |||||
16 | 8분 24초 2 | Jouko Kuha | 1968. 07. 17 | 제2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
17 | 8분 22초 2 | Vladimir Dudin | 1969. 08. 19 | National Championships | 키예프 | |||||
18 | 8분 22초 0 | - 0.2초 | Kerry OBrien | 1970. 07. 04 | ISTAF 육상 대회 | 베를린 | ||||
19 | 8분 20초 8 | Anders Gärderud | 1972. 09. 14 | International | 헬싱키 | |||||
20 | 8분 20초 8 | Ben Jipcho | 1973. 1. 15 | FIN v. KEN v. ITA | ? Lagos | |||||
21 | 8분 19초 1 | Ben Jipcho | 1973. 06. 19 | World Games | 헬싱키 | |||||
22 | 8분 10초 4 | - 8.7초 | Anders Gärderud | 1975. 06. 25 | 제9회 비슬레트 게임스 | 오슬로 | ||||
23 | 8분 09초 8 | Anders Gärderud | 1975. 07. 01 | 제9회 DN 갈란 육상 대회 | 스톡홀름 | 전자 계시 기록 (8분 09초 70) | ||||
24 | 8분 08초 2 | - 0.6초 | Anders Gärderud | 1976. 07. 28 | 제21회 하계 올림픽 | 몬트리올 | ||||
25 | 8분 05초 4 | Henry Rono | 1978. 05. 13 | 노스트웨스트 릴레이스 육상 대회 | 시애틀 | [45] |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8분 05초 35 | 피터 코에치 | 1989. 07. 03 | 제23회 DN 갈란 육상 대회 (IAAF 그랑프리) | 스톡홀름 | ||||
8분 02초 0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2. 08. 19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18 | 모시스 킵타누이 | 1995. 08. 16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9초 08 | - 0.10초 | 윌슨 보이트 킵키터 | 1997. 08. 13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 ||||
7분 55초 72 | 버나드 발마사이 | 1997. 08. 24 | Internationaler Sparkassen-Cup des ASV Köln / GP I | 쾰른 | |||||
7분 55초 28 | - 0.44초 | 브라힘 불라미 | 2001. 08. 24 | 제25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
7분 53초 63 | - 1.65초 | 사이프 사에드 샤힌 | 2004. 09. 03 | 제28회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
2024년 7월 기준.
선수 순위 | 기록 순위 | 시간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
---|---|---|---|---|---|---|---|
1 | 1 | 7분 52.11초 | 라메차 기르마 | 2023년 6월 9일 | 파리 | [3] | |
2 | 2 | 7분 53.63초 | 사이프 사에드 샤힌 | 2004년 9월 3일 | 브뤼셀 | ||
3 | 3 | 7분 53.64초 | 브리민 키프루토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4] | |
4 | 4 | 7분 54.31초 | 폴 킵실레 코에치 | 2012년 5월 31일 | 로마 | ||
5 | 5 | 7분 55.28초 | 브라힘 불라미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6 | 7분 55.51초 | 샤힌 #2 | 2005년 8월 26일 | 브뤼셀 | |||
6 | 7 | 7분 55.72초 | 베르나르 바르마사이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7 | 8 | 7분 55.76초 | 에제키엘 켐보이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
8 | 9 | 7분 56.16초 | 모세스 킵타누이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rowspan="5" | | 10 | 7분 56.32초 | 샤힌 #3 | rowspan="5" | | 2006년 7월 3일 | 아테네 | |
11 | 7분 56.34초 | 샤힌 #4 | 2005년 7월 8일 | 로마 | |||
12 | 7분 56.37초 | 코에치 #2 | 2005년 7월 8일 | 로마 | |||
13 | 7분 56.54초 | 샤힌 #5 | 2006년 8월 18일 | 취리히 | |||
14 | 7분 56.58초 | 코에치 #3 | 2012년 5월 11일 | 도하 | |||
9 | 15 | 7분 56.68초 | 수피안 엘 바칼리 | 2023년 5월 28일 | 라바트 | [5] | |
10 | 16 | 7분 56.81초 | 리처드 마텔롱 | 2012년 5월 11일 | 도하 | ||
rowspan="2" | | 17 | 7분 56.94초 | 샤힌 #6 | rowspan="2" | | 2004년 9월 19일 | 모나코 | |
18 | 7분 57.28초 | 샤힌 #7 | 2005년 6월 14일 | 아테네 | |||
11 | 19 | 7분 57.29초 | 르우벤 코스게이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rowspan="6" | | 20 | 7분 57.32초 | 코에치 #4 | rowspan="6" |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
21 | 7분 57.38초 | 샤힌 #8 | 2003년 9월 14일 | 모나코 | |||
22 | 7분 57.42초 | 코에치 #5 | 2003년 9월 14일 | 모나코 | |||
23 | 7분 58.09초 | 불라미 #2 | 2002년 7월 19일 | 모나코 | |||
24 | 7분 58.10초 | 샤힌 #9 | 2002년 7월 19일 | 모나코 | |||
25 | 7분 58.15초 | 엘 바칼리 #2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6] | ||
12 | 7분 58.41초 | 자이루스 비레치 | 2014년 9월 5일 | 브뤼셀 | [7] | ||
13 | 7분 59.08초 | 윌슨 보이트 키프케터 | 1997년 8월 13일 | 취리히 | |||
14 | 8분 00.09초 |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13년 7월 6일 | 생드니 | [8] | ||
15 | 8분 00.12초 | 컨세슬루스 키프루토 | 2016년 6월 5일 | 버밍엄 | [9] | ||
16 | 8분 00.45초 | 에반 재거 | 2015년 7월 4일 | 생드니 | [10] | ||
17 | 8분 01.18초 | 부아브델라 타리 | 2009년 8월 18일 | 베를린 | [11] | ||
18 | 8분 01.67초 | 아벨 무타이 | 2012년 5월 31일 | 로마 | |||
19 | 8분 01.69초 | 킵키루이 미소이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20 | 8분 02.36초 | 아브람 시메 | 2024년 7월 7일 | 파리 | [12] | ||
아모스 세렘 | 2024년 7월 7일 | 파리 | [13] | ||||
22 | 8분 03.41초 | 패트릭 상 | 1997년 8월 24일 | 쾰른 | |||
23 | 8분 03.57초 | 알리 에지네 | 2000년 6월 23일 | 생드니 | |||
힐러리 예고 | 2013년 5월 18일 | 상하이 | |||||
25 | 8분 03.74초 | 레이먼드 야토르 | 2000년 8월 18일 | 모나코 |
3.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미국 | 1996. 4. 20 | 미국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미국 | 1996. 5. 17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미국 | 1996. 6. 23 | 미국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캐나다 | 1998. 4. 18 | 미국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루마니아 | 1998. 6. 21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러시아 | 1999. 7. 31 | 러시아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7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폴란드 | 2002. 06. 5 | 이탈리아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체코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7. 27 | 폴란드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러시아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4. 7. 4 | 그리스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러시아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 2024년 8월 30일 기준.
선수 랭킹 | 기록 랭킹 | 시간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
---|---|---|---|---|---|---|---|
1 | 1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 | 케냐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15] |
2 | 2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바레인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3 | 3 | 8분 48.03초 | 페루스 쳄루타이 | 우간다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rowspan="3" align="center" | | 4 | 8분 50.66초 | 야비 #2 | rowspan="3" | | 2023년 9월 16일 | 유진 | [17] |
5 | 8분 51.67초 | B. 쳅코에치 #2 | 2023년 9월 16일 | 유진 | [17] | ||
6 | 8분 52.76초 | 야비 #3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4 | 7 | 8분 52.78초 | 루스 제벳 | 바레인 | 2016년 8월 27일 | 생드니 | [19] |
5 | 8 | 8분 53.02초 | 노라 제루토 | 카자흐스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0] |
rowspan="3" align="center" | | 9 | 8분 53.34초 | 쳄루타이 #2 | rowspan="3" |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10 | 8분 53.65초 | 제루토 #2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
11 | 8분 54.29초 | 야비 #4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21] | ||
6 | 12 | 8분 54.61초 | 베르쿠하 게타체우 | 에티오피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2] |
rowspan="2" align="center" | | 13 | 8분 55.09초 | 쳄루타이 #3 | rowspan="2" |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23] |
14 | 8분 55.10초 | B. 쳅코에치 #3 | 2018년 8월 31일 | 브뤼셀 | |||
7 | 15 | 8분 55.15초 | 페이스 체로티치 | 케냐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rowspan="3" | | 16 | 8분 55.29초 | 제벳 #2 | rowspan="3" | | 2017년 8월 24일 | 취리히 | |
17 | 8분 55.40초 | B. 쳅코에치 #4 | 2024년 4월 20일 | 샤먼 | [24] | ||
18 | 8분 55.58초 | B. 쳅코에치 #5 | 2019년 6월 30일 | 스탠퍼드 | |||
8 | 19 | 8분 56.08초 | 메키데스 아베베 | 에티오피아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25] |
rowspan="2" | | 20 | 8분 56.51초 | B. 쳅코에치 #6 | rowspan="2" |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23] |
21 | 8분 56.55초 | 야비 #5 | 2022년 6월 18일 | 파리 | [26] | ||
9 | 22 | 8분 57.35초 | 재클린 쳅코에치 | 케냐 | 2023년 7월 23일 | 런던 | [27] |
23 | 8분 57.65초 | 체로티치 #2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
10 | 24 | 8분 57.77초 | 코트니 프레리치스 | 미국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28] |
25 | 8분 57.84초 | B. 쳅코에치 #7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1 | rowspan="15" align="center" | | 8분 58.67초 | 앨리스 피노 | 프랑스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12 | 8분 58.78초 | 셀리핀 쳅솔 | 케냐 | 2017년 5월 26일 | 유진 | [29] | |
13 | 8분 58.81초 | 굴나라 갈키나 | 러시아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30] | |
14 | 9분 00.01초 | 히빈 키엥 | 케냐 | 2016년 5월 28일 | 유진 | [31] | |
15 | 9분 00.71초 | 셈보 알마예우 | 에티오피아 | 2023년 6월 2일 | 피렌체 | [32] | |
16 | 9분 02.35초 | 엠마 코번 | 미국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7 | 9분 03.22초 | 발레리 콘스틴 | 미국 | 2024년 6월 27일 | 유진 | [34] | |
18 | 9분 03.30초 | 게사-펠리치타스 크라우제 | #REDIRECT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33] | |
19 | 9분 04.35초 | 엘리자베스 버드 | 영국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20 | 9분 04.61초 | 제르페 윈데마게건 | 에티오피아 | 2023년 6월 2일 | 피렌체 | [32] | |
21 | 9분 04.93초 | 마르와 부자야니 | 튀니지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16] | |
22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튀니지 | 2015년 9월 11일 | 브뤼셀 | [35] | |
23 | 9분 06.07초 | 로미 물레타 | 에티오피아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18] | |
24 | 9분 06.37초 | 마루사 미시마스-즈림섹 | #REDIRECT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36] | |
25 | 9분 06.50초 | 코트니 웨이먼트 | 미국 | 2024년 6월 27일 | 유진 | [34] |
4. 지역별 기록
3000미터 장애물 종목의 지역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지역 | 기록 | 선수 | 소속 | 장소 | 날짜 |
---|---|---|---|---|---|
아프리카 | 7분 52초 11 | 에티오피아 | 파리 | 2023년 6월 9일 | |
아시아 | 7분 53초 63 | 사이프 사이드 샤힌 | 카타르 | 브뤼셀 | 2004년 9월 3일 |
유럽 | 8분 00초 09 | 마이딘 메키시-베나바 | 프랑스 | 파리 | 2013년 7월 6일 |
북아메리카 | 8분 00초 45 | 에반 예거 | 미국 | 파리 | 2015년 7월 4일 |
남아메리카 | 8분 14초 41 | 원더 드 프라도 모우라 | 브라질 | 마르델플라타 | 1995년 3월 22일 |
오세아니아 | 8분 09초 64 | 조디 비미쉬 | 뉴질랜드 | 파리 | 2024년 7월 7일 |
지역 | 기록 | 선수 | 소속 | 장소 | 날짜 |
---|---|---|---|---|---|
아프리카 | 8분 44초 32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 모나코 | 2018년 7월 21일 | |
아시아 | 8분 44초 39 | 바레인 | 로마 | 2024년 8월 30일 | |
유럽 | 8분 58초 67 | 앨리스 피노 | 프랑스 | 파리 | 2024년 8월 6일 |
북아메리카 | 8분 57초 77 | 코트니 frequericks | 미국 | 유진 | 2021년 8월 21일 |
남아메리카 | 9분 24초 38 | 타치아네 라켈 다 시우바 | 브라질 | 잉글랜드 | 2022년 6월 11일 |
오세아니아 | 9분 14초 28 | 제네비브 라카즈 | 호주 | 파리 | 2016년 8월 27일 |
남자남자 3000미터 장애물 아시아 최고 기록은 사이프 사이드 샤힌이 2004년 브뤼셀에서 세운 7분 53초 63이다. 2위는 타레크 무바라크 살렘 타헤르가 2009년 아테네에서 기록한 8분 06초 13이며, 3위는 무사 아멜 오바이드가 2004년 아테네에서 세운 8분 07초 18이다. 이 외에 사드 샤다드 알 아스마리, 존 키베트 코에치, 미우라 류지, 아비나쉬 무쿤드 사브레, 쑨리펑, 자말 벨랄 살렘, 하미스 압둘라 사이페딘 등이 아시아 Top 10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미우라 류지는 2023년 파리에서, 아비나쉬 무쿤드 사브레는 2024년 파리에서 각각 8분 09초 91의 기록을 세웠다.
기록 | 이름 | 소속 | 장소 | 날짜 | |
---|---|---|---|---|---|
1 | 7분 53초 63 | 사이프 사이드 샤힌 | 카타르 | 브뤼셀 | 2004년9월 3일 |
2 | 8분 06초 13 | 타레크 무바라크 살렘 타헤르 | 바레인 | 아테네 | 2009년7월 13일 |
3 | 8분 07초 18 | 무사 아멜 오바이드 | 카타르 | 아테네 | 2004년8월 24일 |
4 | 8분 08초 14 | 사드 샤다드 알 아스마리 | #転送 | 스톡홀름 | 2002년7월 16일 |
5 | 8분 09초 62 | 존 키베트 코에치 | 카타르 | 도하 | 2016년5월 6일 |
6 | 8분 09초 91 | 미우라 류지 | 일본 | 파리 | 2023년6월 9일 |
아비나쉬 무쿤드 사브레 | 인도 | 파리 | 2024년7월 7일 | ||
8 | 8분 10초 46 | 쑨리펑 | 중국 | 상하이 | 1997년10월 19일 |
9 | 8분 11초 67 | 자말 벨랄 살렘 | 카타르 | 헹겔로 | 2005년5월 29일 |
10 | 8분 13초 45 | 하미스 압둘라 사이페딘 | 카타르 | 브뤼셀 | 2002년8월 30일 |
여자여자 3000미터 장애물 아시아 최고 기록은 윈프레드 야비가 2024년 로마에서 세운 8분 44초 39이다. 이 기록은 아프리카 기록과 거의 동일하며, 세계적으로도 매우 뛰어난 기록이다. 그 뒤를 이어 루스 제베트, 노라 제루토 타누이, 데이지 젭케메이, 라리타 시바지 바발, 장신옌, 티게스트 게텐트, 류니엔, 수다 싱, 파를 차우다리 등이 아시아 Top 10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파를 차우다리는 2024년 파리에서 9분 23초 39의 기록을 세웠다.
기록 | 이름 | 소속 | 장소 | 날짜 | |
---|---|---|---|---|---|
1 | 8분 44초 39 | 바레인 | 로마 | 2024년8월 30일 | |
2 | 8분 52초 78 | 루스 제베트 | 바레인 | 파리 | 2016년8월 27일 |
3 | 8분 53초 02 | 노라 제루토 타누이 | 카자흐스탄 | 유진 | 2022년7월 20일 |
4 | 9분 15초 77 | 데이지 젭케메이 | 카자흐스탄 | 스톡홀름 | 2022년6월 30일 |
5 | 9분 19초 76 | 라리타 시바지 바발 | 인도 | 리우데자네이루 | 2016년8월 13일 |
6 | 9분 20초 32 | 장신옌 | 중국 | 소흥 | 2021년4월 8일 |
7 | 9분 20초 65 | 티게스트 게텐트 | 바레인 | 모나코 | 2015년7월 17일 |
10 | 9분 23초 39 | 파를 차우다리 | 인도 | 파리 | 2024년8월 4일 |
8 | 9분 26초 25 | 류니엔 | 중국 | 무한 | 2007년11월 2일 |
9 | 9분 26초 55 | 수다 싱 | 인도 | 상하이 | 2016년5월 14일 |
초창기 여자 3000미터 장애물 기록은 1990년대에 주로 미국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루마니아, 러시아, 폴란드, 벨라루스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굴라나 갈키나가 8분 58초 81의 기록으로 우승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4. 1. 남자
남자 3000m 장애물 경주는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기록
- 세계 기록
- 7분 53초 63 – 사이페딘 카멜리 (2018년 7월 6일, 프랑스 파리)
- 올림픽 기록
- 8분 03초 28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2016년 8월 17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대한민국 기록
- 8분 49초 74 - 김준형 (2012년 7월 7일)
4.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5. 시즌 최고 기록
3000미터 장애물 종목에서 여자 선수들의 시즌 최고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랭스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이라클리오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연도 | 기록 | 선수 | 장소 |
---|---|---|---|
1996 | 10분 23.47초 | 코트니 멜드럼 | 애틀랜타 |
1997 | 10분 30.90초 | 멜리사 티먼트 | 인디애나폴리스 |
1998 | 9분 55.28초 | 다니엘라 페트레스쿠 | 부쿠레슈티 |
1999 | 9분 48.88초 | 옐레나 모탈로바 | 툴라 |
2000 | 9분 48.88초 | 크리스티나 카산드라 | 랭스 |
2001 | 9분 44.36초 | 유스티나 박 | 포즈난 |
2002 | 9분 16.51초 | 알레샤 투로바 | 그단스크 |
2003 | 9분 08.33초 | 굴나라 사미토바 | 툴라 |
2004 | 9분 01.59초 | 굴나라 사미토바 | 이라클리오 |
2005 | 9분 15.04초 | 도르커스 인지쿠루 | 아테네 |
2006 | 9분 17.15초 | 비올레타 야노프스카 | 아테네 |
2007 | 9분 06.57초 | 예카테리나 볼코바 | 오사카 |
2008 | 8분 58.81초 | 굴나라 사미토바-갈키나 | 베이징 |
2009 | 9분 12.50초 | 제니퍼 심슨 | 베를린 |
2010 | 9분 11.71초 | 밀카 체모스 | 로마 |
2011 | 9분 07.03초 | 율리야 자리포바 | 대구 |
2012 | 9분 05.02초 | 율리야 자리포바 | 스톡홀름 |
2013 | 9분 11.65초 | 밀카 체모스 체와 | 모스크바 |
2014 | 9분 10.64초 | 히워트 아얄레우 | 글래스고 |
2015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브뤼셀 |
2016 | 8분 52.78초 | 루스 제베트 | 생드니 |
2017 | 8분 55.29초 | 루스 제베트 | 취리히 |
2018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 모나코 |
2019 | 8분 55.58초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 팔로알토 |
2020 | 9분 06.14초 | 히빈 키예잉 | 베를린 |
2021 | 9분 00.67초 | 노라 제루토 | 도하 |
2022 | 8분 53.02초 | 노라 제루토 | 유진 |
2023 | 8분 50.66초 | 윈프레드 야비 | 유진 |
2024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로마 |
5. 1. 남자
연도 | 기록 | 선수 | 장소 |
---|---|---|---|
1968 | 8:24.2 | 요우코 쿠하(Joukko Kuha) | 스톡홀름 |
1969 | 8:22.2 | 블라디미라스 두디나스(Vladimir Dudin) | 키이우 |
1970 | 8:21.98 | 케리 오브라이언(Kerry O'Brien) | 베를린 |
1971 | 8:24.0 | 케리 오브라이언(Kerry O'Brien) | 애들레이드 |
1972 | 8:20.8 | 안데르스 예르데뤼드(Anders Gärderud) | 헬싱키 |
1973 | 8:13.91 | 벤 집초(Ben Jipcho) | 헬싱키 |
1974 | 8:14.2 | 안데르스 예르데뤼드(Anders Gärderud) | 헬싱키 |
1975 | 8:09.70 | 안데르스 예르데뤼드(Anders Gärderud) | 스톡홀름 |
1976 | 8:08.02 | 안데르스 예르데뤼드(Anders Gärderud) | 몬트리올 |
1977 | 8:14.05 | 미하엘 카르스트(Michael Karst) | 스톡홀름 |
1978 | 8:05.4 | 헨리 로노(Henry Rono) | 시애틀 |
1979 | 8:17.92 | 헨리 로노(Henry Rono) | 샴페인 (일리노이) |
1980 | 8:09.70 |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 | 모스크바 |
1981 | 8:12.32 | 마리아노 스카르테치니(Mariano Scartezzini) | 자그레브 |
1982 | 8:16.17 | 헨리 마시(Henry Marsh) | 코블렌츠 |
1983 | 8:12.37 | 헨리 마시(Henry Marsh) | 베를린 |
1984 | 8:07.62 | 조제프 마흐무드(Joseph Mahmoud) | 브뤼셀 |
1985 | 8:09.17 | 헨리 마시(Henry Marsh) | 코블렌츠 |
1986 | 8:10.01 | 윌리엄 반 다이크(William Van Dijck) | 브뤼셀 |
1987 | 8:08.57 | 프란체스코 파네타(Francesco Panetta) | 로마 |
1988 | 8:05.51 | 줄리어스 카리우키(Julius Kariuki) | 서울 |
1989 | 8:05.35 | 피터 코에치(Peter Koech) | 스톡홀름 |
1990 | 8:10.95 | 피터 코에치(Peter Koech) | 헹겔로 |
1991 | 8:06.46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브뤼셀 |
1992 | 8:02.08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취리히 |
1993 | 8:06.36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슈투트가르트 |
1994 | 8:08.80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취리히 |
1995 | 7:59.18 |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 | 취리히 |
1996 | 8:05.68 | 존 코스게이(John Kosgei) | 밀라노 |
1997 | 7:55.72 |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 | 쾰른 |
1998 | 8:00.67 |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 | 모나코 |
1999 | 7:58.98 |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 | 모나코 |
2000 | 8:02.76 |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 | 모나코 |
2001 | 7:55.28 | 브라힘 불라미(Brahim Boulami) | 브뤼셀 |
2002 | 7:58.09 | 브라힘 불라미(Brahim Boulami) | 모나코 |
2003 | 7:57.38 | 사이프 사이드 샤힌(Saif Saaeed Shaheen) | 모나코 |
2004 | 7:53.63 | 사이프 사이드 샤힌(Saif Saaeed Shaheen) | 브뤼셀 |
2005 | 7:55.51 | 사이프 사이드 샤힌(Saif Saaeed Shaheen) | 브뤼셀 |
2006 | 7:56.32 | 사이프 사이드 샤힌(Saif Saaeed Shaheen) | 아테네 |
2007 | 7:58.80 | 폴 킵실레 코에치(Paul Kipsiele Koech) | 브뤼셀 |
2008 | 8:00.57 | 폴 킵실레 코에치(Paul Kipsiele Koech) | 허스덴-졸더르 |
2009 | 7:58.85 |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 | 도하 |
2010 | 8:00.90 |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 | 브뤼셀 |
2011 | 7:53.64 |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 | 모나코 |
2012 | 7:54.31 | 폴 킵실레 코에치(Paul Kipsiele Koech) | 로마 |
2013 | 7:59.03 |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 | 생드니 |
2014 | 7:58.41 | 자이루스 비레흐(Jairus Birech) | 브뤼셀 |
2015 | 7:58.83 | 자이루스 비레흐(Jairus Birech) | 생드니 |
2016 | 8:00.12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 | 버밍엄 |
2017 | 8:01.29 | 에반 재거(Evan Jager) | 모나코 |
2018 | 7:58.15 |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 | 모나코 |
2019 | 8:01.35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 | 도하 |
2020 | 8:08.04 |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 | 모나코 |
2021 | 8:07.12 | 벤자민 키겐(Benjamin Kigen) | 파리 |
2022 | 7:58.28 |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 | 라바트 |
2023 | 7:52.11 |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 | 파리 |
2024 | 8:01.63 |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 | 스톡홀름 |
5.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랭스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이라클리오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연도 | 기록 | 선수 | 장소 |
---|---|---|---|
1996 | 10분 23.47초 | 코트니 멜드럼 | 애틀랜타 |
1997 | 10분 30.90초 | 멜리사 티먼트 | 인디애나폴리스 |
1998 | 9분 55.28초 | 다니엘라 페트레스쿠 | 부쿠레슈티 |
1999 | 9분 48.88초 | 옐레나 모탈로바 | 툴라 |
2000 | 9분 48.88초 | 크리스티나 카산드라 | 랭스 |
2001 | 9분 44.36초 | 유스티나 박 | 포즈난 |
2002 | 9분 16.51초 | 알레샤 투로바 | 그단스크 |
2003 | 9분 08.33초 | 굴나라 사미토바 | 툴라 |
2004 | 9분 01.59초 | 굴나라 사미토바 | 이라클리오 |
2005 | 9분 15.04초 | 도르커스 인지쿠루 | 아테네 |
2006 | 9분 17.15초 | 비올레타 야노프스카 | 아테네 |
2007 | 9분 06.57초 | 예카테리나 볼코바 | 오사카 |
2008 | 8분 58.81초 | 굴나라 사미토바-갈키나 | 베이징 |
2009 | 9분 12.50초 | 제니퍼 심슨 | 베를린 |
2010 | 9분 11.71초 | 밀카 체모스 | 로마 |
2011 | 9분 07.03초 | 율리야 자리포바 | 대구 |
2012 | 9분 05.02초 | 율리야 자리포바 | 스톡홀름 |
2013 | 9분 11.65초 | 밀카 체모스 체와 | 모스크바 |
2014 | 9분 10.64초 | 히워트 아얄레우 | 글래스고 |
2015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브뤼셀 |
2016 | 8분 52.78초 | 루스 제베트 | 생드니 |
2017 | 8분 55.29초 | 루스 제베트 | 취리히 |
2018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 모나코 |
2019 | 8분 55.58초 | 베아트리스 체프코에치 | 팔로알토 |
2020 | 9분 06.14초 | 히빈 키예잉 | 베를린 |
2021 | 9분 00.67초 | 노라 제루토 | 도하 |
2022 | 8분 53.02초 | 노라 제루토 | 유진 |
2023 | 8분 50.66초 | 윈프레드 야비 | 유진 |
2024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로마 |
6. 올림픽 메달리스트
다음은 3000미터 장애물 종목의 올림픽 메달리스트에 대한 정보이다.
여자 3000m 장애물 경주는 2000년대 초반부터 기록 경쟁이 본격화되었다. 1996년 4월, 사라 히브(미국)가 10분 34초 5의 기록을 세운 이후, Gracie Padilla(미국), Courtney Meldrum(미국), Karen Harvey(캐나다) 등이 기록을 경신했다. 1998년에는 Daniela Petrescu(루마니아)가 9분 55초 28을 기록하며 10분 벽을 깼고, 1999년에는 Yelena Motalova(러시아)가 9분 48초 88을 기록했다. 2000년대 들어 Cristina Casandra(루마니아)와 Justyna Bąk(폴란드)가 기록을 단축했으며, Alesya Turova(벨라루스)는 2002년에 9분 21초 72를 기록했다. 2003년에는 Gulnara Samitova-Galkina(러시아)가 9분 8초 33을 기록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8분 58초 81로 우승했다.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8 베이징 | 굴나라 사미토바-갈키나 | 유니스 젭코릴 | 타티야나 페트로바 |
2012 런던 | 하비바 그리비 | 소피아 아세파 | 밀카 체모스 체이와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루스 제베트 | 하빈 젭케모이 | 엠마 코번 |
2020 도쿄 | 페루스 체무타이 | 코트니 프레리치스 | 하빈 젭케모이 |
2024 파리 | 윈프레드 야비 | 페루스 체무타이 | 페이스 체로티치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굴나라 사미토바-갈키나(러시아)가 금메달, 유니스 젭코릴(케냐)이 은메달, 타티야나 페트로바(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38] 예카테리나 볼코바(러시아)는 원래 동메달리스트였으나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하비바 그리비(튀니지)가 금메달, 소피아 아세파(에티오피아)가 은메달, 밀카 체모스 체이와(케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39] 율리야 자리포바(러시아)는 원래 챔피언이었으나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루스 제베트(바레인)가 금메달, 하빈 젭케모이(케냐)가 은메달, 엠마 코번(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페루스 체무타이(우간다)가 금메달, 코트니 프레리치스(미국)가 은메달, 하빈 젭케모이(케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윈프레드 야비(바레인)가 금메달, 페루스 체무타이(우간다)가 은메달, 페이스 체로티치(케냐)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6. 1. 남자
올림픽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20 앤트워프 192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퍼시 호지 퍼시 호지/Percy Hodge영어 (영국) | 패트릭 플린 패트릭 플린/Patrick Flynn영어 (미국) | 에르네스토 암브로시니 에르네스토 암브로시니/Ernesto Ambrosiniit (이탈리아) |
1924 파리 192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빌레 리톨라 빌레 리톨라/Ville Ritolafi (핀란드) | 엘리아스 카츠 엘리아스 카츠/Elias Katzfi (핀란드) | 폴 봉텡 폴 봉텡/Paul Bontemps프랑스어 (프랑스) |
1928 암스테르담 1928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토이보 로울라 토이보 로울라/Toivo Loukolafi (핀란드) | 파보 누르미 파보 누르미/Paavo Nurmifi (핀란드) | 오베 안데르센 오베 안데르센/Ove Andersenfi (핀란드) |
1932 로스앤젤레스 1932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볼마리 이소-홀로 볼마리 이소-홀로/Volmari Iso-Hollofi (핀란드) | 토마스 에벤슨 토마스 에벤슨/Thomas Evenson영어 (영국) | 조 맥클러스키 조 맥클러스키/Joe McCluskey영어 (미국) |
1936 베를린 193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볼마리 이소-홀로 볼마리 이소-홀로/Volmari Iso-Hollofi (핀란드) | 칼레 투오미넨 칼레 투오미넨/Kaarlo Tuominenfi (핀란드) | 알프레트 돔페르트 알프레트 돔페르트/Alfred Dompertde (나치 독일) |
1948 런던 1948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토레 셰스트란드 토레 셰스트란드/Tore Sjöstrandsv (스웨덴) | 에릭 엘름사테르 에릭 엘름사테르/Erik Elmsätersv (스웨덴) | 예테 하그스트룀 예테 하그스트룀/Göte Hagströmsv (스웨덴) |
1952 헬싱키 1952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호레이스 아센펠터 호레이스 아센펠터/Horace Ashenfelter영어 (미국) | 블라디미르 카잔체프 블라디미르 카잔체프/Владимир Каза́нцевru (소련) | 존 디즐리 존 디즐리/John Disley영어 (영국) |
1956 멜버른 195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크리스 브래셔 크리스 브래셔/Chris Brasher영어 (영국) | 산도르 로조니 산도르 로조니/Sándor Rozsnyóihu (헝가리) | 에른스트 라르센 에른스트 라르센/Ernst Larsenno (노르웨이) |
1960 로마 196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즈지스와프 크시슈코비악 즈지스와프 크시슈코비악/Zdzisław Krzyszkowiakpl (폴란드) | 니콜라이 소콜로프 니콜라이 소콜로프/Николай Соколовru (소련) | 세묜 르지시친 세묜 르지시친/Семён Ржищинru (소련) |
1964 도쿄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가스통 로엘란츠 가스통 로엘란츠/Gaston Roelantsnl (벨기에) | 모리스 헤리엇 모리스 헤리엇/Maurice Herriott영어 (영국) | 이반 벨랴예프 이반 벨랴예프/Иван Беляевru (소련) |
1968 멕시코 시티 1968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아모스 비워트 아모스 비워트/Amos Biwott영어 (케냐) | 벤자민 코고 벤자민 코고/Benjamin Kogo영어 (케냐) | 조지 영 조지 영/George Young영어 (미국) |
1972 뮌헨 1972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킵초게 케이노 킵초게 케이노/Kipchoge Keino영어 (케냐) | 벤 지프초 벤 지프초/Ben Jipcho영어 (케냐) | 타피오 칸타넨 타피오 칸타넨/Tapio Kantanenfi (핀란드) |
1976 몬트리올 197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안데르스 예르데루드 안데르스 예르데루드/Anders Gärderudsv (스웨덴) |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pl (폴란드) | 프랑크 바움가르틀 프랑크 바움가르틀/Frank Baumgartlde (동독) |
1980 모스크바 198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Bronisław Malinowskipl (폴란드) | 필베르트 바이이 필베르트 바이이/Filbert Bayi영어 (탄자니아) | 에셰투 투라 에셰투 투라/Eshetu Turaam (에티오피아) |
1984 로스앤젤레스 198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줄리어스 코리르 줄리어스 코리르/Julius Korir영어 (케냐) | 조셉 마흐무드 조셉 마흐무드/Joseph Mahmoud프랑스어 (프랑스) | 브라이언 디머 브라이언 디머/Brian Diemer영어 (미국) |
1988 서울 1988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줄리어스 카리우키 줄리어스 카리우키/Julius Kariuki영어 (케냐) | 피터 코에치 피터 코에치/Peter Koech영어 (케냐) | 마크 롤랜드 마크 롤랜드/Mark Rowland영어 (영국) |
1992 바르셀로나 1992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매튜 비리르 매튜 비리르/Matthew Birir영어 (케냐) | 패트릭 상 패트릭 상/Patrick Sang영어 (케냐) | 윌리엄 무트월 윌리엄 무트월/William Mutwol영어 (케냐) |
1996 애틀랜타 19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조셉 케터 조셉 케터/Joseph Keter영어 (케냐) | 모세스 킵타누이 모세스 킵타누이/Moses Kiptanui영어 (케냐) | 알레산드로 람브루스키니 알레산드로 람브루스키니/Alessandro Lambruschiniit (이탈리아) |
2000 시드니 20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러우벤 코스게이 러우벤 코스게이/Reuben Kosgei영어 (케냐) | 윌슨 보이트 킵케터 윌슨 보이트 킵케터/Wilson Boit Kipketerda (케냐) | 알리 에제인 알리 에제인/علي الزينar (모로코) |
2004 아테네 200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케냐) | 폴 키프실레 코에치 폴 키프실레 코에치/Paul Kipsiele Koech영어 (케냐) |
2008 베이징 2008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케냐) | 마히딘 메키시-베나바 마히딘 메키시-베나바/Mahiedine Mekhissi-Benabbad프랑스어 (프랑스) | 리처드 마텔롱 리처드 마텔롱/Richard Mateelong영어 (케냐) |
2012 런던 2012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케냐) | 마히딘 메키시-베나바 마히딘 메키시-베나바/Mahiedine Mekhissi-Benabbad프랑스어 (프랑스) | 아벨 무타이 아벨 무타이/Abel Mutai영어 (케냐) |
2016 리우데자네이루 2016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케냐) | 에반 재거 에반 재거/Evan Jager영어 (미국) | 마히딘 메키시-베나바 마히딘 메키시-베나바/Mahiedine Mekhissi-Benabbad프랑스어 (프랑스) |
2020 도쿄 202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수피아네 엘 바칼리 수피아네 엘 바칼리/سفيان البقاليar (모로코) | 라메차 기르마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am (에티오피아) | 벤자민 키겐 벤자민 키겐/Benjamin Kigen영어 (케냐) |
2024 파리 2024년 하계 올림픽 육상 - 남자 3000미터 장애물 | 수피아네 엘 바칼리 수피아네 엘 바칼리/سفيان البقاليar (모로코) | 케네스 룩스 케네스 룩스/Kenneth Rooks영어 (미국) | 아브라함 키비워트 아브라함 키비워트/Abraham Kibiwot영어 (케냐) |
6.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7.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3000미터 장애물 종목의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
메달 집계다음은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3000미터 장애물 종목의 메달 집계표이다. 케냐가 금메달 13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7개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케냐 | 13 | 12 | 7 |
카타르 | 2 | 0 | 0 |
모로코 | 2 | 2 | 2 |
이탈리아 | 1 | 0 | 1 |
독일 | 1 | 0 | 0 |
에티오피아 | 0 | 3 | 0 |
폴란드 | 0 | 1 | 0 |
동독 | 0 | 1 | 0 |
프랑스 | 0 | 0 | 3 |
벨기에 | 0 | 0 | 1 |
영국 | 0 | 0 | 1 |
알제리 | 0 | 0 | 1 |
사우디 아라비아 | 0 | 0 | 1 |
스페인 | 0 | 0 | 1 |
미국 | 0 | 0 | 1 |
여자여자 3000미터 장애물 경기는 2005년 헬싱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다음은 각 대회별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2005 헬싱키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41] | 도르쿠스 인지쿠루(UGA) | 예카테리나 볼코바(RUS) | 제루토 킵툼(KEN) |
2007 오사카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42] | 예카테리나 볼코바(RUS) | 타티야나 페트로바(RUS) | 유니스 옙코리르(KEN) |
2009 베를린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43] | 공석 [40] | 율리야 자루드네바(RUS)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2011 대구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44] | 하비바 그리비(TUN)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머시 완지쿠(KEN) |
2013 모스크바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45]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리디아 쳅쿠루이(KEN) | 소피아 아세파(ETH) |
2015 베이징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하빈 옙케모이(KEN) | 하비바 그리비(TUN) | 게사 펠리시타스 크라우스(GER) |
2017 런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엠마 코번(USA) | 코트니 프레리치스(USA) | 하빈 옙케모이(KEN) |
2019 도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KEN) | 엠마 코번(USA) | 게사 펠리시타스 크라우스(GER) |
2022 유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노라 제루토(KAZ) | 베르쿠하 게타체우(ETH) | 메키데스 아베베(ETH) |
2023 부다페스트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윈프레드 야비(BHR)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KEN) | 페이스 체로티치(KEN) |
초창기 여자 3000미터 장애물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7. 1. 남자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3 헬싱키 | 파트리츠 일크 (파트리츠 일크/Patriz Ilgde) 22x20px 서독 | 보구스와프 마민스키 (보구스와프 마민스키/Bogusław Mamińskipl) 22x20px 폴란드 | 콜린 레이츠 (콜린 레이츠/Colin Reitz영어) 22x20px 영국 |
1987 로마 | 프란체스코 파네타 (프란체스코 파네타/Francesco Panettait) 22x20px 이탈리아 | 하겐 멜처 (하겐 멜처/Hagen Melzerde) 22x20px 동독 | 윌리엄 반 다이크 (윌리엄 반 다이크/William Van Dijcknl) 22x20px 벨기에 |
1991 도쿄 | 모세 키프타누이 (모세스 키프타누이/Moses Kiptanui영어) 22x20px 케냐 | 패트릭 상 (패트릭 상/Patrick Sang영어) 22x20px 케냐 | 아제딘 브라미 (아제딘 브라미/Azeddine Brahmiar) 22x20px 알제리 |
1993 슈투트가르트 | 모세 키프타누이 (모세스 키프타누이/Moses Kiptanui영어) 22x20px 케냐 | 패트릭 상 (패트릭 상/Patrick Sang영어) 22x20px 케냐 | 알레산드로 람브루스키니 (알레산드로 람브루스키니/Alessandro Lambruschiniit) 22x20px 이탈리아 |
1995 예테보리 | 모세 키프타누이 (모세스 키프타누이/Moses Kiptanui영어) 22x20px 케냐 | 크리스토퍼 코스게이 (크리스토퍼 코스게이/Christopher Koskei영어) 22x20px 케냐 | 사드 알 아스마리 (사드 알 아스마리/Saad Al-Asmariar) 22x20px 사우디 아라비아 |
1997 아테네 | 윌슨 보이 키프케터 (윌슨 보이 키프케터/Wilson Boit Kipketer영어) 22x20px 케냐 | 모세 키프타누이 (모세스 키프타누이/Moses Kiptanui영어) 22x20px 케냐 | 버나드 바르마사이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영어) 22x20px 케냐 |
1999 세비야 | 크리스토퍼 코스게이 (크리스토퍼 코스게이/Christopher Koskei영어) 22x20px 케냐 | 윌슨 보이 키프케터 (윌슨 보이 키프케터/Wilson Boit Kipketer영어) 22x20px 케냐 | 알리 에진 (알리 에진/Ali Ezzinear) 22x20px 모로코 |
2001 에드먼턴 | 루벤 코스게이 (루벤 코스게이/Reuben Kosgei영어) 22x20px 케냐 | 알리 에진 (알리 에진/Ali Ezzinear) 22x20px 모로코 | 버나드 바르마사이 (버나드 바르마사이/Bernard Barmasai영어) 22x20px 케냐 |
2003 생 드니 | 사에프 사에드 샤힌 (사에프 사에드 샤힌/Saif Saaeed Shaheen영어) 22x20px 카타르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엘리세오 마르틴 (엘리세오 마르틴/Eliseo Martínes) 22x20px 스페인 |
2005 헬싱키 | 사에프 사에드 샤힌 (사에프 사에드 샤힌/Saif Saaeed Shaheen영어) 22x20px 카타르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2007 오사카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리처드 마텔롱 (리처드 마텔롱/Richard Mateelong영어) 22x20px 케냐 |
2009 베를린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리처드 마텔롱 (리처드 마텔롱/Richard Mateelong영어) 22x20px 케냐 | 부압델라 타리 (부압델라 타리/Bouabdellah Tahri프랑스어) 22x20px 프랑스 |
2011 대구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Mahiedine Mekhissi-Benabbad프랑스어) 22x20px 프랑스 |
2013 모스크바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Mahiedine Mekhissi-Benabbad프랑스어) 22x20px 프랑스 |
2015 베이징 | 에제키엘 켐보이 (에제키엘 켐보이/Ezekiel Kemboi영어) 22x20px 케냐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브리민 키프루토 (브리민 키프루토/Brimin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2017 런던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수피안 엘 바칼리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ar) 22x20px 모로코 | 에반 제이거 (에반 제이거/Evan Jager영어) 22x20px 미국 |
2019 도하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라메차 기르마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am) 22x20px 에티오피아 | 수피안 엘 바칼리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ar) 22x20px 모로코 |
2022 유진 | 수피안 엘 바칼리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ar) 22x20px 모로코 | 라메차 기르마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am) 22x20px 에티오피아 |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콘세슬루스 키프루토/Conseslus Kipruto영어) 22x20px 케냐 |
2023 부다페스트 | 수피안 엘 바칼리 (수피안 엘 바칼리/Soufiane El Bakkaliar) 22x20px 모로코 | 라메차 기르마 (라메차 기르마/Lamecha Girmaam) 22x20px 에티오피아 | 아브라함 키비워트 (아브라함 키비워트/Abraham Kibiwott영어) 22x20px 케냐 |
7. 1. 1. 메달 집계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케냐 | 13 | 12 | 7 |
카타르 | 2 | 0 | 0 |
모로코 | 2 | 2 | 2 |
이탈리아 | 1 | 0 | 1 |
독일 | 1 | 0 | 0 |
에티오피아 | 0 | 3 | 0 |
폴란드 | 0 | 1 | 0 |
동독 | 0 | 1 | 0 |
프랑스 | 0 | 0 | 3 |
벨기에 | 0 | 0 | 1 |
영국 | 0 | 0 | 1 |
알제리 | 0 | 0 | 1 |
사우디 아라비아 | 0 | 0 | 1 |
스페인 | 0 | 0 | 1 |
미국 | 0 | 0 | 1 |
7.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2005 헬싱키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도르쿠스 인지쿠루(UGA) | 예카테리나 볼코바(RUS) | 제루토 킵툼(KEN) |
2007 오사카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예카테리나 볼코바(RUS) | 타티야나 페트로바(RUS) | 유니스 옙코리르(KEN) |
2009 베를린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공석 [40] | 율리야 자루드네바(RUS)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2011 대구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하비바 그리비(TUN)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머시 완지쿠(KEN) |
2013 모스크바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밀카 켐스 체이와(KEN) | 리디아 쳅쿠루이(KEN) | 소피아 아세파(ETH) |
2015 베이징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하빈 옙케모이(KEN) | 하비바 그리비(TUN) | 게사 펠리시타스 크라우스(GER) |
2017 런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엠마 코번(USA) | 코트니 프레리치스(USA) | 하빈 옙케모이(KEN) |
2019 도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KEN) | 엠마 코번(USA) | 게사 펠리시타스 크라우스(GER) |
2022 유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노라 제루토(KAZ) | 베르쿠하 게타체우(ETH) | 메키데스 아베베(ETH) |
2023 부다페스트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여자 3000m 장애물 | 윈프레드 야비(BHR)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KEN) | 페이스 체로티치(KEN) |
8. 국가별 기록
국가별 여자 3000m 장애물 기록은 다음과 같다.[2][14]
1996년 4월 20일, Sara Heeb (미국)이 10분 34.5초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고, 이후 Gracie Padilla (미국)가 1996년 5월 17일에 10분 30.2초로 기록을 갱신했다. Courtney Meldrum (미국)은 1996년 6월 23일에 10분 23.47초를 기록했다. Karen Harvey(캐나다)는 1998년 4월 18일에 10분 19.6초를 기록했다.
1998년 6월 21일, [Daniela Petrescu]](루마니아)가 9분 55.28초를 기록했고, 1999년 7월 31일에는 Yelena Motalova (러시아)가 9분 48.88초를 기록했다. Cristina Casandra(루마니아)는 2000년 8월 7일에 9분 43.64초, 2000년 8월 30일에 9분 40.20초를 기록했다. Justyna Bąk(폴란드)는 2002년 6월 5일에 9분 22.29초를 기록했다.
Alesya Turova(벨라루스)는 2002년 6월 12일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에서 9분 21.72초를 기록했으며, 2002년 7월 27일에는 9분 16.51초를 기록했다. Gulnara Samitova-Galkina (러시아)는 2003년 8월 10일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9분 08.33초, 2004년 7월 4일에 9분 01.59초를 기록했다.
굴나라 갈키나(러시아)는 29회 하계 올림픽에서 8분 58.81초를 기록했다.
9분 30초 이하의 기록을 보유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 | 기록 | 선수 | 날짜 | 장소 |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
8분 53.02초 | 노라 예루토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
8분 54.61초 | 베르크우하 게타체우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
8분 55.09초 | 페루스 체무타이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
8분 57.77초 | 코트니 프레리치스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
8분 58.67초 | 앨리스 피노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
8분 58.81초 | 굴나라 갈키나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
9분 03.30초 | 게사-펠리시타스 크라우스 | 2019년 9월 28일 | 도하 |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2015년 9월 11일 | 브뤼셀 | |
9분 06.37초 | 마루사 미스마스-즈림섹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
9분 07.87초 | 엘리자베스 버드 | 2022년 8월 10일 | 모나코 | |
9분 09.39초 | 마르타 도밍게스 | 2009년 7월 25일 | 바르셀로나 | |
9분 09.64초 | 루이자 게가 | 2023년 8월 31일 | 취리히 | |
9분 13.35초 | 카롤린 비에르켈리 그뢰브달 | 2017년 8월 26일 | 샌드네스 | |
9분 13.46초 | 안나 에밀리 묄러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
9분 13.53초 | 귈잔 밍르 | 2012년 6월 9일 | 소피아 | |
9분 14.09초 | 아샤 프라우트-리 | 2018년 8월 31일 | 브뤼셀 | |
9분 14.28초 | 제네비브 라카제 | 2016년 8월 27일 | 생드니 | |
9분 15.31초 | 파룰 차우드리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
9분 16.51초 | 알레샤 투로바 | 2002년 7월 27일 | 그단스크 | |
9분 16.51초 | 알리시아 코니에첵 | 2024년 8월 4일 | 생드니 | |
9분 16.85초 | 크리스티나 카산드라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
9분 18.54초 | 제시카 아우구스토 | 2010년 6월 9일 | 우엘바 | |
9분 20.28초 | 키아라 셰러 | 2022년 6월 18일 | 파리 | |
9분 20.32초 | 장신옌 | 2021년 4월 8일 | 사오싱 | |
9분 20.58초 | 실리 맥케이브 | 2024년 5월 17일 | 로스앤젤레스 | |
9분 20.64초 | 살리마 엘 왈리 알라미 | 2015년 7월 17일 | 모나코 | |
9분 22.77초 | 일로나 모넨 | 2024년 8월 4일 | 생드니 | |
9분 23.96초 | 샬롯 푸그버그 | 2014년 7월 12일 | 글래스고 | |
9분 24.38초 | 타티안 라켈 다 실바 | 2022년 6월 11일 | 왓퍼드 | |
9분 24.54초 | 나탈리야 스트렙코바 | 2022년 6월 30일 | 스톡홀름 | |
9분 25.90초 | 아미나 베티체 | 2017년 5월 17일 | 바쿠 | |
9분 25.99초 | 벨렌 카세타 | 2017년 8월 11일 | 런던 | |
9분 26.59초 | 지타 카체르 | 2019년 8월 31일 | 부다페스트 | |
9분 26.88초 | 그레타 카리나우스카이테 | 2023년 5월 27일 | 새크라멘토 | |
9분 27.21초 | 폴리나 옐리자로바 | 2012년 8월 4일 | 런던 | |
9분 27.38초 | 이렌 반 데르 레이켄 | 2021년 6월 3일 | 우엘바 | |
9분 27.48초 | 엘레나 로마뇰로 | 2008년 8월 15일 | 베이징 | |
9분 28.29초 | 로신 맥게티건 | 2007년 7월 28일 | 허스덴-졸더 | |
9분 28.47초 | 베르레 데자에게르 | 2007년 6월 2일 | 네어펠트 | |
9분 29.74초 | 아드바 코헨 | 2018년 8월 12일 | 베를린 |
8. 1. 남자
국가 | 기록 | 선수 | 날짜 | 장소 | ||
---|---|---|---|---|---|---|
7:52.11 | 라메차 기르마 | 2023년 6월 9일 | 파리 | |||
7:53.63 | 사에드 사에드 샤힌 | 2004년 9월 3일 | 브뤼셀 | |||
7:53.64 | 브리민 키프루토 | 2011년 7월 22일 | 모나코 | |||
7:55.28 | 브라힘 불라미 | 2001년 8월 24일 | 브뤼셀 | |||
8:00.09 |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13년 7월 6일 | 생 드니 | |||
8:00.45 | 에반 제이거 | 2015년 7월 4일 | 생 드니 | |||
8:03.81 | 벤자민 키플라가트 | 2010년 7월 8일 | 로잔 | |||
8:04.95 | 시몬 브루먼 | 2005년 8월 26일 | 브뤼셀 | |||
8:05.69 | 페르난도 카로 | 2019년 7월 12일 | 모나코 | |||
8:05.75 | 무스타파 모하메드 | 2007년 7월 28일 | 외스덴 | |||
8:06.13 | 타레크 무바라크 타헤르 | 2009년 7월 13일 | 아테네 | |||
8:07.96 | 마크 롤랜드 | 1988년 9월 30일 | 서울 | |||
8:08.14 | 사드 샤다드 알-아스마리 | 2002년 7월 16일 | 스톡홀름 | |||
8:08.57 | 프란체스코 파네타 | 1989년 9월 5일 | 로마 | |||
8:09.11 |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 1976년 7월 28일 | 몬트리올 | |||
8:09.41 | 모하메드 아민 지나위 | 2024년 7월 7일 | 파리 | |||
8:09.48 | 다미안 칼라비스 | 1999년 8월 11일 | 취리히 | |||
8:09.64 | 조디 비미시 | 2024년 7월 7일 | 파리 | |||
8:09.91 | 미우라 류지 | 2023년 6월 9일 | 파리 | |||
8:09.91 | 아비나시 세이블 | 2024년 7월 7일 | 파리 | |||
8:10.01 | 윌리엄 반 다이크 | 1986년 9월 15일 | 브뤼셀 | |||
8:10.23 | 라이드 베소 | 2000년 8월 18일 | 모나코 | |||
8:10.46 | 쑨 리펑 | 1997년 10월 19일 | 상하이 | |||
8:10.67 | 유카 케스키살로 | 2009년 8월 28일 | 취리히 | |||
8:10.83 | 귄터 바이들링거 | 1999년 8월 21일 | 세비야 | |||
8:11.22 | 예마네 하일레셀라시에 | 2017년 6월 8일 | 로마 | |||
8:11.50 | 루벤 라몰레피 | 2011년 8월 29일 | 대구 | |||
8:11.64 | 매튜 휴즈 | 2013년 8월 15일 | 모스크바 | |||
8:12.05 | 짐 스벤호이 | 1997년 8월 22일 | 브뤼셀 | |||
8:12.48 | 필베르트 바이이 | 1980년 7월 31일 | 모스크바 | |||
8:13.26 | 플로린 이오네스쿠 | 1999년 8월 21일 | 세비야 | |||
8:14.41 | 반데르 모라 | 1995년 3월 22일 | 마르델플라타 | |||
8:15.54 | 파벨 포타포비치 | 2003년 7월 4일 | 생 드니 | |||
8:16.22 | 숀 크레이튼 | 1993년 7월 2일 | 빌뇌브 다스크 | |||
8:16.96 | 보슈티안 부치 | 2003년 6월 12일 | 오스트라바 | |||
8:17.85 | 타르크 랑가트 아크다그 | 2012년 8월 3일 | 런던 | |||
8:17.97 | 가보르 마르코 | 1984년 7월 21일 | 포츠담 | |||
8:18.82 | 루벤 케린장 | 2024년 6월 28일 | 룩셈부르크 | |||
8:18.97 | 이온 루치아노브 | 2008년 8월 16일 | 베이징 | |||
8:19.82 | 마누엘 실바 | 2004년 7월 27일 | 스톡홀름 | |||
8:20.42 | 올레 헤셀베르그 | 2021년 6월 8일 | 투르쿠 | |||
8:20.87 | 호세 페냐 | 2013년 9월 1일 | 베를린 | |||
8:20.87 | 미트코 체노프 | 2014년 6월 12일 | 우엘바 | |||
8:21.55 | 살렘 모하메드 아티알라 | 2024년 6월 28일 | 룩셈부르크 | |||
8:21.75 | Попеляев,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 1984년 7월 19일 | 모스크바 | |||
8:21.76 | 나우엘 카라바냐 | 2023년 9월 10일 | 자그레브 | |||
1969년 8월 19일 | 키예프 | |||||
8:22.24 | 크리스티안 벨츠 | 2001년 6월 4일 | 헹겔로 | |||
8:22.79 | 호세인 케이니 | 2018년 8월 27일 | 자카르타 | |||
8:23.02 | 리카르도 베라 | 1992년 6월 28일 | 헹겔로 | |||
8:24.01 | 필리포스 필리푸 | 1983년 9월 15일 | 카사블랑카 | |||
8:24.09 | 브렌던 퀸 | 1985년 8월 30일 | 브뤼셀 | |||
8:24.13 | 아르티옴 코시노프 | 2012년 6월 11일 | 모스크바 | |||
8:24.14 | 이타이 마기디 | 2008년 7월 4일 | 롱비예 레 메츠 | |||
8:25.2 | 알렉산드르 보로베이 | 1980년 7월 6일 | 모스크바 | |||
8:25.49 | 고드프리 시아무시예 | 1995년 7월 16일 | 버밍엄 | |||
8:25.63 | 마르셀로 카스카벨로 | 1989년 6월 4일 | 베오그라드 | |||
8:25.66 | 카를로스 산 마르틴 | 2021년 6월 29일 | 카스테욘 | |||
8:25.69 | 살바도르 미란다 | 2000년 7월 8일 | 바라칼도 | |||
8:26.16 | 호세 산체스 | 2009년 6월 19일 | 아바나 | |||
8:27.51 | 아나톨리 디모프 | 1983년 6월 19일 | 모스크바 | |||
8:27.88 | 아르타셰스 미코얀 | 1976년 5월 29일 | 뮌헨 | |||
8:27.91 | 알렉산더 그로 | 2004년 7월 10일 | 바라칼도 | |||
8:28.0 | 세르게이 스크립카 | 1977년 6월 11일 | 모스크바 | |||
8:28.55 | 카우르 키비스틱 | 2019년 9월 3일 | 자그레브 | |||
8:28.67 | 마리오 바잔 | 2009년 8월 16일 | 베를린 | |||
2024년 6월 10일 | 로마 | |||||
8:22.17 | 모하메드 이스마일 이브라힘 | 2021년 6월 12일 | 니스 | |||
8:22.2 | {{llangde | 8:28.80 | 불레 막시모비치 | 1989년 9월 4일 | 부다페스트 | |
8:28.99 | 에밀리오 울로아 | 1984년 8월 8일 | 로스앤젤레스 |
8.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5초 | Sara Heeb | 1996년 4월 20일 | Walnut | ||||||
2 | 10분 30.2초 | Gracie Padilla | 1996년 5월 17일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47초 | Courtney Meldrum | 1996년 6월 23일 | 애틀랜타 | ||||||
4 | 10분 19.6초 | Karen Harvey | 1998년 4월 18일 | Walnut | ||||||
9분 55.28초 | [Daniela Petrescu]] | 1998년 6월 21일 | 부쿠레슈티 | |||||||
9분 48.88초 | Yelena Motalova | 1999년 7월 31일 | 툴라 | |||||||
9분 43.64초 | Cristina Casandra | 2000년 8월 7일 | 부쿠레슈티 | |||||||
9분 40.20초 | Cristina Casandra | 2000년 8월 30일 | Reims | |||||||
9분 22.29초 | Justyna Bąk | 2002년 6월 5일 | 밀라노 | |||||||
9분 21.72초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년 6월 12일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9분 16.51초 | Alesya Turova | 2002년 7월 27일 | 그단스크 | |||||||
9분 08.33초 | - 8.18초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년 8월 10일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9분 01.59초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년 7월 4일 | Iraklio | |||||||
8분 58.81초 | 굴라나 갈키나 | 2008년 8월 17일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9분 30초 이하:
국가 | 기록 | 선수 | 날짜 | 장소 |
---|---|---|---|---|
8분 44.32초 | 베아트리스 쳅코에치 | 2018년 7월 20일 | 모나코 | |
8분 44.39초 | 윈프레드 야비 | 2024년 8월 30일 | 로마 | |
8분 53.02초 | 노라 예루토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
8분 54.61초 | 베르크우하 게타체우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
8분 55.09초 | 페루스 체무타이 | 2024년 5월 25일 | 유진 | |
8분 57.77초 | 코트니 프레리치스 | 2021년 8월 21일 | 유진 | |
8분 58.67초 | 앨리스 피노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
8분 58.81초 | 굴나라 갈키나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
9분 03.30초 | 게사-펠리시타스 크라우스 | 2019년 9월 28일 | 도하 | |
9분 05.36초 | 하비바 그리비 | 2015년 9월 11일 | 브뤼셀 | |
9분 06.37초 | 마루사 미스마스-즈림섹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
9분 07.87초 | 엘리자베스 버드 | 2022년 8월 10일 | 모나코 | |
9분 09.39초 | 마르타 도밍게스 | 2009년 7월 25일 | 바르셀로나 | |
9분 09.64초 | 루이자 게가 | 2023년 8월 31일 | 취리히 | |
9분 13.35초 | 카롤린 비에르켈리 그뢰브달 | 2017년 8월 26일 | 샌드네스 | |
9분 13.46초 | 안나 에밀리 묄러 | 2019년 9월 30일 | 도하 | |
9분 13.53초 | 귈잔 밍르 | 2012년 6월 9일 | 소피아 | |
9분 14.09초 | 아샤 프라우트-리 | 2018년 8월 31일 | 브뤼셀 | |
9분 14.28초 | 제네비브 라카제 | 2016년 8월 27일 | 생드니 | |
9분 15.31초 | 파룰 차우드리 | 2023년 8월 27일 | 부다페스트 | |
9분 16.51초 | 알레샤 투로바 | 2002년 7월 27일 | 그단스크 | |
9분 16.51초 | 알리시아 코니에첵 | 2024년 8월 4일 | 생드니 | |
9분 16.85초 | 크리스티나 카산드라 | 2008년 8월 17일 | 베이징 | |
9분 18.54초 | 제시카 아우구스토 | 2010년 6월 9일 | 우엘바 | |
9분 20.28초 | 키아라 셰러 | 2022년 6월 18일 | 파리 | |
9분 20.32초 | 장신옌 | 2021년 4월 8일 | 사오싱 | |
9분 20.58초 | 실리 맥케이브 | 2024년 5월 17일 | 로스앤젤레스 | |
9분 20.64초 | 살리마 엘 왈리 알라미 | 2015년 7월 17일 | 모나코 | |
9분 22.77초 | 일로나 모넨 | 2024년 8월 4일 | 생드니 | |
9분 23.96초 | 샬롯 푸그버그 | 2014년 7월 12일 | 글래스고 | |
9분 24.38초 | 타티안 라켈 다 실바 | 2022년 6월 11일 | 왓퍼드 | |
9분 24.54초 | 나탈리야 스트렙코바 | 2022년 6월 30일 | 스톡홀름 | |
9분 25.90초 | 아미나 베티체 | 2017년 5월 17일 | 바쿠 | |
9분 25.99초 | 벨렌 카세타 | 2017년 8월 11일 | 런던 | |
9분 26.59초 | 지타 카체르 | 2019년 8월 31일 | 부다페스트 | |
9분 26.88초 | 그레타 카리나우스카이테 | 2023년 5월 27일 | 새크라멘토 | |
9분 27.21초 | 폴리나 옐리자로바 | 2012년 8월 4일 | 런던 | |
9분 27.38초 | 이렌 반 데르 레이켄 | 2021년 6월 3일 | 우엘바 | |
9분 27.48초 | 엘레나 로마뇰로 | 2008년 8월 15일 | 베이징 | |
9분 28.29초 | 로신 맥게티건 | 2007년 7월 28일 | 허스덴-졸더 | |
9분 28.47초 | 베르레 데자에게르 | 2007년 6월 2일 | 네어펠트 | |
9분 29.74초 | 아드바 코헨 | 2018년 8월 12일 | 베를린 |
9. 대한민국 기록
대한민국 3000m 장애물 경주 기록에 대한 정보는 남자 3000m 장애물경주 대한민국 기록 추이와 여자 3000m 장애물경주 대한민국 기록 추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3000m 장애물 달리기 기록을 살펴보면, 미우라 류지가 2023년 5월 27일 도쿄에서 8분 18초 93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와미즈 도모야스가 2004년 7월 30일 뉘른베르크에서 8분 19초 37로 2위, 신지 다케루가 2015년 5월 9일 가와사키시에서 8분 22초 22로 3위를 기록했다.
일본 학생들의 3000m 장애물 기록도 주목할 만하다. 남자부에서는 미우라 류지가 2023년 6월 9일 8분 09초 91로 1위, 시바타 다이치가 2024년 6월 28일 8분 24초 68로 2위를 차지했다. 여자부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2022년 6월 11일 9분 39초 86으로 1위, 타카미자와 안주가 2016년 6월 25일 9분 44초 22로 2위를 기록했다.
U20 (20세 미만) 일본 선수들의 기록에서는 남자부에서 미우라 류지가 2021년 7월 30일 8분 09초 92로 1위, 나가하라 소마가 2024년 8월 31일 8분 30초 37로 2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2019년 7월 17일 9분 49초 30으로 1위, 타카미자와 안주가 2015년 9월 13일 9분 53초 72로 2위를 기록했다.
U18 (18세 미만) 일본 최고 기록은 남자부에서 미우라 류지가 2019년 6월 27일 8분 39초 37, 여자부에서 시바타 유키가 2016년 5월 1일 10분 08초 92를 기록했다.
일본 고등학교 역대 기록에서는 남자부에서 나가하라 소마가 2023년 8월 6일 8분 32초 12로 1위, 사사키 테츠가 2024년 8월 1일 8분 37초 23으로 2위를 차지했다. 여자부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2018년 6월 23일 10분 07초 48로 1위, 시바타 유키가 2016년 5월 1일 10분 08초 92로 2위를 기록했다.
고등학교 학년별 기록에서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난다. 일본 국적이 없는 고등학생의 기록은 2002년부터 일본 고등학교 국내 국제 기록으로 간주된다. 남자 고등학교 역대 5걸에서는 다니엘 젱가가 1994년 6월 21일 8분 19초 21로 1위, 필레몬 키프라가트가 2017년 8월 2일 8분 21초 30으로 2위를 기록했다.
남자 3000m 장애물 경주는 올림픽에서 1920년부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3년부터 시행되었다.
여자 3000m 장애물 달리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사라 히브가 1996년 4월 20일 10분 34초 5를 기록했고, 이후 그레이시 파딜라, 코트니 멜드럼, Karen Harvey 등이 기록을 경신했다. 2008년에는 굴라나 갈키나가 29회 하계 올림픽에서 8분 58초 81을 기록했다.
10. 일본 기록
일본의 3000미터 장애물 기록은 다음과 같다.
남자 기록으로는 미우라 류지가 2023년 6월 9일 파리에서 8분 09초 91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이와미즈 요시타카가 2003년 8월 23일 파리에서 8분 18초 93, 신타쿠 마사야가 1980년 7월 8일 스톡홀름에서 8분 19초 52를 기록했다. 야마구치 코세이는 2021년 6월 26일 오사카에서 8분 19초 96, 아오키 료마는 2022년 6월 11일 오사카에서 8분 20초 09를 기록했다. 신가 유타로는 2024년 9월 29일 니가타에서 8분 20초 36, 코야마 류지는 1974년 6월 22일 스톡홀름에서 8분 21초 60을 기록했다. 사카구치 류헤이는 2021년 5월 9일 도쿄에서 8분 23초 93, 시바타 다이치는 2024년 6월 28일 니가타에서 8분 24초 68, 코하라 히비키는 2024년 6월 1일 머프리즈버러에서 8분 25초 07을 기록했다.
여자 기록으로는 하야카리 미키가 2008년 7월 20일 휴스덴-졸더르에서 9분 33초 93으로 1위를 차지했다. 야마나카 유노는 2022년 6월 11일 오사카에서 9분 38초 19, 니시데 유즈키는 2022년 6월 11일 오사카에서 9분 38초 95를 기록했다. 니시야마 미나미는 2022년 6월 11일 오사카에서 9분 39초 28, 요시무라 레미는 2022년 6월 11일 오사카에서 9분 39초 86을 기록했다. 타카미자와 안주는 2016년 6월 25일 나고야에서 9분 44초 22, 모리 치카코는 2016년 6월 25일 나고야에서 9분 45초 27을 기록했다. 사이토 미우는 2024년 12월 7일 오사카에서 9분 45초 62, 야부타 유이는 2021년 6월 26일 오사카에서 9분 46초 44, 이시자와 유카리는 2020년 12월 4일 오사카에서 9분 48초 76을 기록했다.
한편, 일본 학생 역대 Top 10 기록도 주목할 만하다. 남자부에서는 미우라 류지가 8분 09초 91로 1위, 시바타 다이치가 8분 24초 68로 2위를 차지했다. 여자부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9분 39초 86으로 1위, 타카미자와 안주가 9분 44초 22로 2위를 기록했다.
U20 일본 역대 Top 10 기록에서는 남자부에서 미우라 류지가 2021년 7월 30일에 8분 09초 92로 1위, 여자부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2019년 7월 17일에 9분 49초 30으로 1위를 차지했다. U18 일본 최고 기록은 미우라 류지가 2019년 6월 27일에 8분 39초 37로 남자부 1위, 시바타 유키가 2016년 5월 1일에 10분 08초 92로 여자부 1위를 기록했다.
고교 역대 Top 10 기록에서는 남자부에서 나가하라 소마가 8분 32초 12로 1위, 여자부에서 요시무라 레미가 10분 07초 48로 1위를 차지했다.
고교 학년별 역대 기록도 존재하며, 2002년부터 일본 국적이 없는 고등학생의 기록은 일본 고등학교 국내 국제 기록으로 간주된다. 남자 고등학교 역대 5걸에서는 다니엘 젱가가 8분 19초 21로 1위, 남자 고등학교 1학년 역대 5걸에서는 쓰지모토 사쿠토시가 9분 02초 82로 1위를 기록했다. 여자 고등학교 1학년 역대 5걸에서는 나가미네 노노카가 10분 56초 84로 1위, 남자 고등학교 2학년 역대 5걸에서는 미우라 류지가 8분 46초 56으로 1위를 차지했다. 여자 고등학교 2학년 역대 5걸에서는 니와 나나미가 10분 19초 73으로 1위, 남자 고등학교 3학년 역대 5걸에서는 나가하라 소마가 8분 32초 12로 1위, 여자 고등학교 3학년 역대 5걸에서는 요시무라 레미가 10분 07초 48로 1위를 기록했다.
10. 1. 일본 역대 Top 10
일본의 3000m 장애물 달리기 역대 Top 10 기록은 다음과 같다.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장소 | 비고 |
---|---|---|---|---|---|---|
1 | 8분18초93 | 미우라 류지(ja:三浦龍司) | 순천사 대학 | 2023년 5월 27일 | 도쿄 | |
2 | 8분19초37 | 이와미즈 도모야스(ja:岩水嘉孝) | 자위대 | 2004년 7월 30일 | 뉘른베르크 | |
3 | 8분22초22 | 신지 다케루(ja:潰滝大記) | 후지쯔 | 2015년 5월 9일 | 가와사키시 | |
4 | 8분23초85 | 야마다 다카토시(ja:山田敬蔵) | 가네보 | 1984년 8월 11일 | 로스앤젤레스 | 1984년 하계 올림픽 |
5 | 8분24초77 | 스즈키 겐유(ja:鈴木健吾) | 후지쯔 | 2018년 9월 21일 | 히로시마시 | |
6 | 8분25초8 | 오모리 나오유키(ja:大森直幸) | 주오 대학 | 1978년 5월 27일 | 로마 | |
7 | 8분26초21 | 마쓰우라 고세이(ja:松浦康世) | 야스카와 전기 | 1992년 10월 25일 | 고베시 | |
8 | 8분26초30 | 나가야마 다케토(ja:永山博基) | SGH 그룹 | 2021년 12월 4일 | 호세이 대학 | |
9 | 8분26초73 | 니시케 쇼타(ja:西池和人) | 코니카 미놀타 | 2010년 6월 6일 | 마루가메시 | |
10 | 8분27초18 | 다카야마 노부아키(ja:高山野武彦) | 닛산 자동차 | 1998년 6월 27일 | 하마마쓰시 |
10. 1. 1. 남자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10. 1.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10. 2. 일본 학생 역대 Top 10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 09초 91 | 미우라 류지 | 준텐도 대학 | 2023년6월 9일 |
2 | 8분 24초 68 | 시바타 다이치 | 주오 대학 | 2024년6월 28일 |
3 | 8분 25초 80 | 신타쿠 마사야 | 니혼 체육 대학 | 1979년10월 28일 |
4 | 8분 26초 77 | 이와미즈 요시타카 | 준텐도 대학 | 2001년6월 9일 |
5 | 8분 27초 80 | 오하라 히비키 |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 2021년6월 26일 |
6 | 8분 28초 16 | 쇼부 아츠시 | 와세다 대학 | 2023년6월 2일 |
7 | 8분 28초 67 | 다니엘 젱가 | 류츠케이자이 대학 | 1996년5월 6일 |
8 | 8분 29초 14 | 시오지리 카즈야 | 준텐도 대학 | 2018년6월 24일 |
9 | 8분 29초 71 | 비즈네 야에 투라 | 아시아 대학 | 1993년6월 13일 |
10 | 8분 29초 85 | 사카구치 류헤이 | 토카이 대학 | 2019년6월 29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9분 39초 86 | 요시무라 레미 | 다이토 분카 대학 | 2022년6월 11일 |
2 | 9분 44초 22 | 타카미자와 안주 | 마츠야마 대학 | 2016년6월 25일 |
3 | 9분 45초 62 | 사이토 미우 | 니혼 체육 대학 | 2024년12월 7일 |
4 | 9분 53초 87 | 나카무라 마유코 | 츠쿠바 대학 | 2014년6월 8일 |
5 | 9분 55초 01 | 니시데 유즈키 | 칸사이 외국어 대학 | 2020년12월 4일 |
6 | 9분 58초 31 | 아키야마 유키 | 다이토 분카 대학 | 2020년8월 23일 |
7 | 9분 58초 81 | 세가와 호노카 | 다이토 분카 대학 | 2016년5월 8일 |
8 | 9분 58초 98 | 모리 치카코 | 다이토 분카 대학 | 2014년5월 24일 |
9 | 9분 59초 17 | 오카다 요시코 | 마츠야마 대학 | 2016년9월 4일 |
10 | 9분 59초 35 | 이즈미다 마키 | 릿쿄 대학 | 2016년6월 25일 |
10. 2. 1. 남자
남자 3000m 장애물 경주는 올림픽에서 1920년부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3년부터 시행되었다.3000m 장애물 달리기는 육상 종목 중 하나로, 선수들은 트랙을 돌면서 물웅덩이와 장애물을 넘어야 한다. 이 종목은 체력, 기술, 그리고 전략이 모두 요구된다. 선수들은 트랙을 돌면서 정해진 높이의 장애물을 뛰어넘고, 물웅덩이를 건너야 한다. 물웅덩이는 깊이가 다양하며, 선수들은 물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남자 3000m 장애물 달리기는 올림픽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주요 육상 대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종목은 선수들의 뛰어난 운동 능력과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많은 육상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10. 2.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1996. 4. 20 |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1996. 5. 17 |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1996. 6. 23 |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1998. 4. 18 |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1998. 6. 21 |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1999. 7. 31 |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2000. 8. 7 |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2002. 06. 5 |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2002. 07. 27 |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2004. 7. 4 |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10. 3. U20 일본 역대 Top 10
기록 수립 연도의 12월 31일 시점에 20세 미만인 선수만을 대상으로 한다.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 09초 92 | 미우라 류지 | 준텐도 대학 | 2021년7월 30일 |
2 | 8분 30초 37 | 나가하라 소마 | 준텐도 대학 | 2024년8월 31일 |
3 | 8분 31초 27 | 아이테이 시게요키 | 주쿄 대학 | 1983년8월 9일 |
4 | 8분 37초 23 | 사사키 테츠 | 사쿠조세이 고등학교 | 2024년8월 1일 |
5 | 8분 37초 25 | 쿠로다 아사히 | 아오야마 가쿠인 대학 | 2023년5월 21일 |
6 | 8분 39초 19 | 핫토리 소마 | 준텐도 대학 | 2021년6월 26일 |
7 | 8분 40초 71 | 쿠로다 젠 | 오카야마현립 타마노 코난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8 | 8분 41초 64 | 무라오 유키 | 준텐도 대학 | 2022년7월 16일 |
9 | 8분 41초 73 | 야마모토 고 | 니혼 대학 | 1992년9월 20일 |
10 | 8분 41초 91 | 이케다 요시유키 | 센슈 대학 | 1992년9월 18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9분 49초 30 | 요시무라 레미 | 다이토 분카 대학 | 2019년7월 17일 |
2 | 9분 53초 72 | 타카미자와 안쥬 | 마츠야마 대학 | 2015년9월 13일 |
3 | 9분 59초 17 | 오카다 요시코 | 마츠야마 대학 | 2016년9월 4일 |
4 | 10분 00초 40 | 무카이 치카 | 메이조 대학 | 2016년5월 1일 |
5 | 10분 00초 49 | 니시야마 미나미 | 마츠야마 대학 | 2018년7월 13일 |
6 | 10분 05초 33 | 미야우치 시카 | 니혼 체육 대학 | 2021년9월 19일 |
7 | 10분 05초 52 | 시미즈 모이노 | 도쿄 농업 대학 | 2016년9월 4일 |
8 | 10분 06초 33 | 야마나카 유노 | 에히메 은행 | 2019년7월 22일 |
9 | 10분 07초 79 | 타카야나기 메구미 | 마츠야마 대학 | 2011년9월 11일 |
10 | 10분 08초 92 | 시바타 유키 | 기타큐슈 시립 고등학교 | 2016년5월 1일 |
10. 3. 1. 남자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10. 3. 2. 여자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경기장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10분 34초 5 | Sara Heeb | 미국 | 1996. 4. 20 | 미국 Walnut | |||||
2 | 10분 30초 2 | Gracie Padilla | 미국 | 1996. 5. 17 | 미국 로스앤젤레스 | |||||
3 | 10분 23초 47 | Courtney Meldrum | 미국 | 1996. 6. 23 | 미국 애틀랜타 | |||||
4 | 10분 19초 6 | Karen Harvey | 캐나다 | 1998. 4. 18 | 미국 Walnut | |||||
09분 55초 28 | Daniela Petrescu | 루마니아 | 1998. 6. 21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8초 88 | Yelena Motalova | 러시아 | 1999. 7. 31 | 러시아 툴라 | ||||||
09분 43초 64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7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
09분 40초 20 | Cristina Casandra | 루마니아 | 2000. 8. 30 | Reims | ||||||
09분 22초 29 | Justyna Bąk | 폴란드 | 2002. 06. 5 | 이탈리아 밀라노 | ||||||
09분 21초 72 | - 0.57초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6. 12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육상 대회 | 체코 오스트라바 | ||||
09분 16초 51 | Alesya Turova | 벨라루스 | 2002. 07. 27 | 폴란드 그단스크 | ||||||
09분 08초 33 | - 08초 18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3. 8. 10 | 러시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러시아 툴라 | ||||
09분 01초 59 | Gulnara Samitova-Galkina | 러시아 | 2004. 7. 4 | 그리스 Iraklio | ||||||
08분 58초 81 | 굴라나 갈키나 | 러시아 | 2008. 8. 17 | 29회 하계 올림픽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베이징 국가체육장 |
10. 4. U18 일본 최고 기록
수립 연도의 12월 31일 시점에서 연령이 18세 미만인 선수만 대상이 된다.
10. 5. 고교 역대 Top 10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 32초 12 | 나가하라 소마 | 사쿠 초세이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2 | 8분 37초 23 | 사사키 테츠 | 사쿠 초세이 고등학교 | 2024년8월 1일 |
3 | 8분 39초 37 | 미우라 류지 | 라쿠난 고등학교 | 2019년6월 27일 |
4 | 8분 39초 79 | 쿠로다 아사히 | 오카야마현립 타마노코난 고등학교 | 2021년6월 26일 |
5 | 8분 40초 71 | 쿠로다 젠 | 오카야마현립 타마노코난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6 | 8분 44초 77 | 쿠시베 세이지 | 우베코조 고등학교 | 1989년9월 16일 |
7 | 8분 45초 47 | 엔도 다이세이 | 사쿠 초세이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8 | 8분 45초 66 | 시오지리 카즈야 | 군마현립 이세사키 세이메이 고등학교 | 2014년7월 27일 |
9 | 8분 46초 85 | 츠지모토 사쿠토시 | 하마마츠 카이세이칸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10 | 8분 46초 86 | 이츄 마사키 | 요나고 상업 고등학교 | 1998년10월 1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10분 07초 48 | 요시무라 레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8년6월 23일 |
2 | 10분 08초 92 | 시바타 유키 | 기타큐슈 시립 고등학교 | 2016년5월 1일 |
3 | 10분 15초 07 | 노스에 유카 | 기타큐슈 시립 고등학교 | 2018년4월 21일 |
4 | 10분 19초 73 | 니와 나나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2년8월 26일 |
5 | 10분 20초 57 | 사토 미아키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2년8월 26일 |
6 | 10분 25초 14 | 시라카와 아사히 | 오사카부립 오츠카 고등학교 | 2022년6월 25일 |
7 | 10분 25초 25 | 니시야마 미나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7년6월 25일 |
8 | 10분 26초 84 | 사토 유유 | 센다이 이쿠에이 학원 고등학교 | 2023년6월 1일 |
9 | 10분 27초 81 | 시미즈 모에노 | 가나가와현립 즈시 고등학교 | 2014년11월 1일 |
10 | 10분 30초 08 | 오자키 사토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1년8월 20일 |
10. 6. 고교 학년별 역대 기록
2002년부터 일본 국적이 없는 고등학생의 기록은 일본 고등학교 국내 국제 기록으로 간주되었다.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19초21 | 다니엘 젱가 | 센다이이쿠에이 고등학교 | 1994년6월 21일 |
2 | 8분21초30 | 필레몬 키프라가트 | 구라시키 고등학교 | 2017년8월 2일 |
3 | 8분35초08 | 사무엘 키바티 | 구라시키 고등학교 | 2022년5월 28일 |
4 | 8분36초49 | 루카 무센비 | 센다이이쿠에이 고등학교 | 2017년8월 2일 |
5 | 8분42초27 | 체보티빈 에제키엘 | 후쿠오카 제일 고등학교 | 2009년8월 2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9분02초82 | 쓰지모토 사쿠토시 | 하마마쓰카이세이칸 고등학교 | 2021년10월 30일 |
2 | 9분05초47 | 오야마 노리아키 | 오무타 고등학교 | 2011년8월 7일 |
3 | 9분08초70 | 오타케 미부키 | 도쿄 농업대학 제2고등학교 | 2023년6월 19일 |
4 | 9분10초78 | 미우라 류지 | 로난 고등학교 | 2017년9월 15일 |
5 | 9분12초06 | 하세가와 타이토 | 스마가쿠엔 고등학교 | 2022년9월 16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10분56초84 | 나가미네 노노카 | 미우라 학원 고등학교 | 2019년3월 30일 |
2 | 10분57초14 | 토미타 사호 | 가와구치 시립 고등학교 | 2022년8월 20일 |
3 | 11분01초64 | 시라카와 아사히 | 오사카부립 오쓰카 고등학교 | 2021년7월 17일 |
4 | 11분16초98 | 나카노 구미코 | 미우라 학원 고등학교 | 2016년3월 26일 |
5 | 11분17초07 | 고바야시 리사코 | 효고현립 스마토모가오카 고등학교 | 2011년6월 25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46초56 | 미우라 류지 | 로난 고등학교 | 2018년9월 14일 |
2 | 8분49초32 | 쓰지모토 사쿠토시 | 하마마쓰카이세이칸 고등학교 | 2022년10월 29일 |
3 | 8분51초21 | 나가하라 소마 | 사쿠 조세이 고등학교 | 2022년4월 30일 |
4 | 8분52초41 | 도바시 게이타 | 오무타 고등학교 | 2001년10월 16일 |
5 | 8분53초74 | 아미오카 마사타카 | 히로시마현립 히로시마이구치 고등학교 | 2000년10월 17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10분19초73 | 니와 나나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2년8월 26일 |
2 | 10분25초14 | 시라카와 아사히 | 오사카부립 오쓰카 고등학교 | 2022년6월 25일 |
3 | 10분26초84 | 사토 유우 | 센다이이쿠에이 고등학교 | 2023년6월 1일 |
4 | 10분34초62 | 토미타 사호 | 가와구치 시립 고등학교 | 2023년8월 19일 |
5 | 10분34초85 | 시미즈 모에노 | 가나가와현립 즈시 고등학교 | 2013년8월 25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8분32초12 | 나가하라 소마 | 사쿠 조세이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2 | 8분37초23 | 사사키 테츠 | 사쿠 조세이 고등학교 | 2024년8월 1일 |
3 | 8분39초37 | 미우라 류지 | 로난 고등학교 | 2019년6월 27일 |
4 | 8분39초79 | 구로다 아사히 | 오카야마현립 타마노코난 고등학교 | 2021년6월 26일 |
5 | 8분40초71 | 구로다 젠 | 오카야마현립 타마노코난 고등학교 | 2023년8월 6일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10분07초48 | 요시무라 레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8년6월 23일 |
2 | 10분08초92 | 시바타 유키 | 기타큐슈 시립 고등학교 | 2016년5월 1일 |
3 | 10분15초07 | 노스에 유카 | 기타큐슈 시립 고등학교 | 2018년4월 21일 |
4 | 10분20초57 | 사토 미아키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2년8월 26일 |
5 | 10분25초25 | 니시야마 미나미 | 하쿠호 여자 고등학교 | 2017년6월 25일 |
11.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일본 입상자
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2021 | 제32회 올림픽 경기 대회 (도쿄) | 일본 | 미우라 류지 | 7위 | 8분 16초 90 |
2023 | 제19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부다페스트) | 미우라 류지 | 6위 | 8분 13초 70 |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미우라 류지가 7위를 기록하며, 이 종목에서 일본 남자 선수 최초의 입상자가 되었다.
11. 1. 남자
남자 3000m 장애물 경주는 1900년과 1904년 올림픽에서 열렸지만 표준화된 거리는 아니었다. 1908년 올림픽에서 3200m가 넘는 거리가 사용되었고, 1920년 올림픽에서 4000m가 넘는 거리가 사용되었다. 현재의 3000m 거리는 1928년 올림픽부터 시작되었다.국제 아마추어 육상 연맹(IAAF)은 1954년에 세계 기록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아래 표는 올림픽 남자 3000m 장애물 경기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00 파리 | 조지 오턴 | 시드니 로빈슨 | 자크 샤스타니에 |
1904 세인트루이스 | 짐 라이트보디 | 아서 뉴턴 | 윌리엄 버너 |
1908 런던 | 아서 러셀 | 아치 로버트슨 | 존 에설트 |
1920 안트베르펜 | 퍼시 호지 | 패트릭 플린 | 에르네스토 암브로시니 |
1924 파리 | 빌레 리톨라 | 엘리아스 카츠 | 폴레트 베송 |
1928 암스테르담 | 토이보 루코라 | 파볼 슈츠 | 오베 펠톤 |
1932 로스앤젤레스 | 볼마리 이소홀로 | 토머스 에번 | 조지프 에번 |
1936 베를린 | 볼마리 이소홀로 | 카를 하인 | 알프레드 돔페르트 |
1948 런던 | 토레 셰스트란드 | 에릭 엘름세터 | 고테 하그스트룀 |
1952 헬싱키 | 호러스 애션펠터 | 블라디미르 카잔체프 | 존 디슬리 |
1956 멜버른 | 크리스토퍼 브라셔 | 샨도르 로즈뇨이 | 에른스트 라르센 |
1960 로마 | 지모 고르벤코 | 니콜라이 소콜로프 | 셈욘 르지신 |
1964 도쿄 | 가스통 루알란츠 | 모리스 에르조그 | 이반 벨야예프 |
1968 멕시코시티 | 볼프강 뢸프 | 케냐 벤저민 코고 | 조지 영 |
1972 뮌헨 | 케냐 키프루트 루토 | 미국 벤저민 주이 | 핀란드 타피오 칸타넨 |
1976 몬트리올 | 스웨덴 안데르스 예르데루드 | 폴란드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 동독 프랑크 바움가르트 |
1980 모스크바 | 폴란드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 탄자니아 필베르트 바이라티 | 스페인 도밍고 라몬 |
1984 로스앤젤레스 | 케냐 줄리어스 코리르 | 프랑스 조제프 마무 | 미국 브라이언 디머 |
1988 서울 | 케냐 줄리어스 카리우키 | 케냐 피터 코에치 | 서독 볼프강 뢸프 |
1992 바르셀로나 | 케냐 매튜 비리르 | 케냐 패트릭 상 | 미국 앨레산드로 라미레즈 |
1996 애틀랜타 | 케냐 조지프 케테르 | 케냐 모제스 키프타누이 | 이탈리아 알레산드로 라미레즈 |
2000 시드니 | 케냐 루벤 코스게이 | 케냐 윌슨 보이트 키프케메이 | 모로코 알리 에지네 |
2004 아테네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 | 케냐 폴 키프실레 코에치 |
2008 베이징 | 케냐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 | 프랑스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케냐 리처드 마테롱 맷롱 |
2012 런던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프랑스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케냐 아벨 무타이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미국 에번 재거 | 프랑스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20 도쿄 | 모로코 수피안 엘 바칼리 | 에티오피아 라메차 기르마 | 케냐 벤저민 키겐 |
아래 표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3000m 장애물 경기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3 헬싱키 | 미국 헨리 로노 | 서독 칼 바르밍스키 | 이탈리아 주세페 리파 |
1987 로마 | 케냐 프란체스코 파네타 | 서독 하겐 멜처 | 영국 윌리엄 밴크스 |
1991 도쿄 | 케냐 모제스 키프타누이 | 케냐 패트릭 상 | 알제리 아제딘 브라흐미 |
1993 슈투트가르트 | 케냐 모제스 키프타누이 | 이탈리아 알레산드로 라미레즈 | 케냐 크리스토퍼 코스케이 |
1995 예테보리 | 케냐 모제스 키프타누이 | 케냐 이노센트 에굼 | 독일 스테판 프라이강 |
1997 아테네 | 케냐 윌슨 보이트 키프케메이 | 케냐 모제스 키프타누이 | 미국 버나드 바르마사이 |
1999 세비야 | 케냐 버나드 바르마사이 | 모로코 알리 에지네 | 케냐 윌슨 보이트 키프케메이 |
2001 에드먼턴 | 모로코 엘 하지 라우이니 | 케냐 버나드 바르마사이 | 영국 존 무요키르 |
2003 파리 | 카타르 사이프 사이드 샤힌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미샤 코고 |
2005 헬싱키 | 카타르 사이프 사이드 샤힌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우간다 본페이스 키프루트 |
2007 오사카 | 케냐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리처드 마테롱 맷롱 |
2009 베를린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리처드 마테롱 맷롱 | 프랑스 부압델라 타흐리 |
2011 대구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 | 프랑스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13 모스크바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프랑스 마히에딘 메키시-베나바드 |
2015 베이징 | 케냐 에제키엘 켐보이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케냐 브리민 키프로프 키프루토 |
2017 런던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모로코 수피안 엘 바칼리 | 미국 에번 재거 |
2019 도하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에티오피아 라메차 기르마 | 모로코 수피안 엘 바칼리 |
2022 유진 | 모로코 수피안 엘 바칼리 | 에티오피아 라메차 기르마 | 케냐 콘세슬루스 키프루토 |
2023 부다페스트 | 모로코 수피안 엘 바칼리 | 에티오피아 라메차 기르마 | 케냐 아브라함 키비욧 |
참조
[1]
웹사이트
3000 metres steeplechase
http://www.iaaf.or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5-01-05
[2]
웹사이트
All-time men's best 3000m steeplechase
https://www.iaaf.org[...]
IAAF
2017-05-05
[3]
웹사이트
Kipyegon, Girma and Ingebrigtsen make history in Paris
https://worldathleti[...]
2023-06-09
[4]
뉴스
With near World record run, Kipruto steals the show in Monaco - Samsung Diamond League
http://www.iaaf.org/[...]
IAAF
2011-07-22
[5]
웹사이트
El Bakkali, Tsegay and Mahuchikh impress in Rabat
https://worldathleti[...]
2023-05-29
[6]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static.sport[...]
sportresult.com
2018-07-20
[7]
웹사이트
3000 Metres Steeplechase Result | Memorial Van Damme
https://www.worldath[...]
[8]
웹사이트
3000 Metres Steeplechase Results
http://diamondleague[...]
Omega SA
2013-07-06
[9]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livecache.spo[...]
sportresult.com
2016-06-05
[10]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tatic.sportr[...]
static.sportresult.com
2015-07-04
[11]
웹사이트
3000 Metres Steeplechase Results
http://berlin.iaaf.o[...]
IAAF
2009-08-18
[12]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
https://ps-cache.web[...]
2024-07-07
[13]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
https://ps-cache.web[...]
2024-07-07
[14]
웹사이트
All-time women's best 3000m steeplechase
https://www.iaaf.org[...]
IAAF
2017-05-05
[15]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static.sport[...]
2018-07-20
[16]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ps-cache.web[...]
2024-08-30
[17]
웹사이트
Ingebrigtsen and Yavi shine as records fall on day one of Diamond League Final
https://worldathleti[...]
2023-09-16
[18]
웹사이트
Yavi breaks Olympic record to win 3000m steeplechase in Paris
https://worldathleti[...]
2024-08-06
[19]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livecache.spo[...]
2016-08-27
[20]
웹사이트
Women's 3000m Steeplechase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0
[21]
웹사이트
Women's 3000m Steeplechase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3-08-27
[22]
웹사이트
Women's 3000m Steeplechase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0
[23]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
https://ps-cache.web[...]
2024-05-25
[24]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
https://ps-cache.web[...]
2024-04-20
[25]
웹사이트
Women's 3000m Steeplechase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0
[26]
뉴스
Pocket Rocket Fraser-Pryce into orbit again in Paris as she equals 100m world lead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2-06-19
[27]
웹사이트
Bol blazes to 51.45 Diamond League record in London
https://worldathleti[...]
2023-07-23
[28]
웹사이트
Prefontaine Classic 2021 Complete Results
http://static.sportr[...]
2021-08-21
[29]
뉴스
Chespol stuns with world U20 record in Eugene – IAAF Diamond League
https://www.iaaf.org[...]
IAAF
2017-05-27
[30]
웹사이트
World record obliterates memories of Osaka for Galkina-Samitova
https://www.worldath[...]
[31]
웹사이트
Prefontaine Classic 2016 Results
http://www.tilastopa[...]
tilastopaja.org
2016-05-28
[32]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
https://livecache.sp[...]
2023-06-02
[33]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media.aws.ia[...]
IAAF
2019-09-30
[34]
웹사이트
Results
https://results.usat[...]
2024-06-28
[35]
웹사이트
3000m Steeplechase Results
http://static.sportr[...]
sportresult.com
2015-09-11
[36]
웹사이트
Women's 3000m Steeplechase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3-08-27
[37]
뉴스
Zaripova world lead the best of new Olympic champions in Stockholm - REPORT - Samsung Diamond League
http://www.iaaf.org/[...]
IAAF
2012-08-17
[38]
뉴스
IOC sanctions nine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 at Beijing 2008
https://www.olympic.[...]
IOC
2016-10-26
[39]
웹사이트
The decisions of the Lausanne (Switzerland)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regarding the Russian medalists
http://www.rusada.ru[...]
2016-03-24
[40]
뉴스
World champion steeplechaser Marta Dominguez banned for doping
https://www.si.com/m[...]
[41]
뉴스
Spanish runner Marta Dominguez banned 3 years by CAS
http://www.stamforda[...]
[42]
문서
水濠がトラックの内側に設置されている場合は、1周目は400mコースの方を走り270m(スタートからフィニッシュラインまで)は障害は設置せず水濠も通らない。
[43]
간행물
陸上競技マガジン
1999
[44]
웹인용
Venue Records Report for Nepstadion, Budapest
http://dayinathletic[...]
2013-01-27
[45]
뉴스
'World Record For Rono'
http://news.google.c[...]
Tri City Herald
1978-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