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년은 여러 연호, 기년, 사건, 문화, 탄생, 사망 등을 아우르는 연도이다. 이 해에는 갑자년으로, 전한의 원시 4년, 신라 남해왕 원년, 백제 온조왕 22년, 단군기원 2337년에 해당한다. 사건으로는 신라 혁거세 거서간의 사망과 남해 차차웅의 즉위, 낙랑의 신라 침공, 백제의 말갈 격파 등이 있었으며, 파르티아의 프라테스 5세와 무사의 폐위 및 살해가 일어났다. 로마 제국에서는 아우구스투스가 티베리우스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렉스 아일리아 센티아 법이 제정되었으며, 게르만족과의 조약이 체결되었다. 문화적으로는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우스가 세계사를 저술했으며, 예수 그리스도가 이 해에 태어났다는 추정이 있다. 사망자로는 신라의 혁거세 거서간, 로마의 가이우스 카이사르 등이 있다. 4년은 또한 올림픽과 월드컵과 같은 주요 스포츠 대회가 4년마다 개최되는 주기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4년 | |
---|---|
개요 | |
기원전 | 기원전 |
서기 | 서기 |
로마 숫자 | IV |
달력 | |
율리우스력 | 4 |
2. 연호
- 간지 : 갑자
- 일본
- * 스이닌 천황 33년
- * 황기 664년
- 중국
- * 전한 : 원시 4년
- 조선
- * 고구려 : 유리명왕 23년
- * 신라 : 남해왕 원년
- * 백제 : 온조왕 22년
- * 단기 2337년
- 불멸기원 : 547년
- 유대력 : 3764년 - 3765년
3. 기년
4. 사건
음력 3월, 혁거세 거서간이 사망하여 사릉에 장사지냈다. 사릉은 담암사(曇巖寺) 북쪽에 있다.[2]
음력 7월, 낙랑 군사가 신라에 쳐들어와 금성을 포위했다. 남해 차차웅은 신하들에게 자신의 덕이 부족하여 이웃 나라의 침범을 받았다고 말하며 대책을 물었다. 신하들은 낙랑군이 신라의 국상을 틈타 공격해 왔으니 하늘이 돕지 않을 것이라며 왕을 안심시켰고, 얼마 후 낙랑군은 물러갔다.[3]
8월, 백제는 말갈을 부근현(父斤峴)에서 격파했다.
남해 차차웅은 혁거세 거서간의 뒤를 이어 신라 제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파르티아에서는 황제 프라테스 5세와 황후 무사가 폐위, 살해되었다. 오로데스 3세는 6년에 즉위하였다.
4. 1. 로마 제국
-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티베리우스를 로마로 소환하여 자신의 후계자이자 미래의 황제로 지명하고, 동시에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의 마지막 아들인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도 입양하여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로 지명했다.[1]
- 티베리우스는 게르마니쿠스를 자신의 후계자로 입양했다.[1]
- ''렉스 아일리아 센티아''는 노예 해방을 규정했다.[1]
- 티베리우스가 대표하는 로마 제국과 그들의 왕 세지머가 대표하는 게르만 부족인 케루스키 사이에 불가침 및 우호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르미니우스와 세지머의 아들 플라부스는 로마 군대에 보조 부대의 지휘관으로 들어갔다.[1]
- 율리아 (대)는 수치스러운 처지로 유배에서 돌아와 레기움에 살았다.[1]
- 리빌라는 티베리우스의 아들 드루수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결혼했다.[1]
- 섹스투스 아이리우스 카투스, 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가 집정관에 취임했다.[1]
4. 2. 신라
기원후 4년 음력 3월 - 혁거세 거서간이 죽었다. 사릉에 장사지냈는데, 능은 담암사(曇巖寺) 북쪽에 있다.[2]기원후 4년 음력 7월 - 낙랑의 군사가 신라에 와서 금성을 몇 겹으로 둘러쌌다. 남해 차차웅이 좌우의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두 성인이 나라를 버리시고 내가 나라 사람들의 추대로 그릇되이 왕위에 있어, 두려움이 마치 냇물을 건너는 것과 같다. 지금 이웃 나라가 와서 침범하니, 이는 내가 덕이 없는 까닭이다. 이를 어찌하면 좋겠는가?” 좌우의 신하들이 대답하였다. “적(賊)이 우리가 국상(國喪)을 당하였음을 다행으로 여겨서 망령되게 군사를 이끌고 왔으니 하늘이 반드시 도와주지 않을 것입니다. 지나치게 두려워하지 않아도 됩니다.” 적이 잠시 후에 물러갔다.[3]
남해 차차웅이 박혁거세를 이어 신라의 제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4. 3. 중국
전한 평제 4년, 왕망은 "상공"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한 평제는 왕망의 딸과 결혼하여 그의 영향력을 굳건히 하였다.4. 4. 파르티아
파르티아의 황제 프라테스 5세와 공동 통치자인 황후 무사가 폐위되어 살해되었다. 파르티아의 오로데스 3세는 6년에 제위에 올랐다.[1] 이로써 파르티아는 과도기가 시작되었다.[2]4. 5. 기타 지역
5. 문화
- 다마스쿠스의 니콜라우스는 15권으로 된 ''세계사''를 저술하였다.
6. 탄생
- 예수: 유대교 설교자이자 종교 지도자 (기원후 30/33년경 처형)[1]
- 대무신왕: 고구려의 왕 (기원후 44년 사망)
- 푸블리우스 퀸틸리우스 바루스: 로마 귀족 (기원후 27년 사망)
- Lucio Giunio Moderato Columella|루키우스 유니우스 모데라투스 콜루멜라영어: 고대 로마의 저술가 (기원후 70년 사망)
6. 1. 신라
고구려 대무신왕이 재위하였다.[1]6. 2. 로마 제국
- 콜루멜라, 로마의 라틴어 작가 (기원후 70년 사망)
- 아우구스투스는 티베리우스,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를 양자로 삼았다. 동시에 게르마니쿠스를 티베리우스의 양자로 삼았다.
- 섹스투스 아이리우스 카투스, 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가 집정관에 취임했다.
- Lucio Giunio Moderato Columella영어 - 고대 로마의 저술가 (기원후 70년 사망)
6. 3. 기타 지역
7. 사망
- 2월 21일 - 가이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와 율리아의 아들 (기원전 20년)
- 6월 26일 - 아리오바르자네스 2세, 아르메니아의 로마 위임 통치 왕 (기원전 40년)
-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폴리오, 로마의 웅변가, 시인, 역사가 (기원전 65년)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로마 집정관
- 프라아테스 5세, 파르티아의 황제
7. 1. 신라
7. 2. 로마 제국
아우구스투스는 티베리우스, 아그리파 포스투무스를 양자로 삼았다. 동시에 게르마니쿠스를 티베리우스의 양자로 삼았다. 섹스투스 아이리우스 카투스, 가이우스 센티우스 사투르니누스가 집정관에 취임했다.7. 3. 파르티아
프라아테스 5세는 파르티아의 황제였다.[1]8. 기타
참조
[1]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Allen Lane
1993
[2]
문서
삼국사기 김부식 혁거세 거서간 조
1145
[3]
문서
삼국사기 김부식 남해 차차웅 조
11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