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377 세드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0377 세드나는 2003년 발견된 태양계 외곽 천체로, 매우 긴 궤도 주기를 가지며, 이심률이 커서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곳 중 하나이다. 이누이트 신화의 바다 여신 세드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궤도와 자전, 물리적 성질, 기원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세드나의 극단적인 궤도는 해왕성의 중력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워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으며, 태양계 외부의 천체나 태양의 동반성, 제9행성의 영향이라는 설 등이 있다. 소행성체센터는 세드나를 산란원반 천체로 분류하지만, 새로운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2075년에서 2076년 사이 근일점에 도달할 예정이며, 탐사선 발사 계획도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드나족 - 2012 VP113
2012 VP113은 태양계에서 발견된 소행성으로, 세드노이드에 속하며 궤도가 태양계 외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9의 존재를 시사한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명왕성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된 왜소행성으로, 2006년 행성 정의 변경으로 인해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얇은 대기와 5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고, 2015년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상세 정보를 얻었다. - 해왕성 바깥 천체 - 카론 (위성)
카론은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가장 큰 위성으로, 명왕성과 질량 중심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에 의해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과 과거 지하 해양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왜행성 분류 논쟁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왕성 위성으로 분류된다. - 2003년 발견한 천체 - 카르포 (위성)
- 2003년 발견한 천체 - 프사마테 (위성)
프사마테는 해왕성의 불규칙 위성 중 하나로, 역행 궤도를 돌며 약 25년의 공전 주기를 가지고 해왕성에서 멀리 떨어진 궤도를 공전하고, 지름은 약 38km로 추정된다.
90377 세드나 | |
---|---|
명칭 | |
한국어 이름 | 세드나 |
영어 이름 | Sedna |
기호 | [[파일:Sedna symbol (bold).svg|24px|⯲]] (주로 점성학에서 사용) |
명명 유래 | 세드나 (이누이트족 바다와 해양 동물의 여신) |
형용사 | 세드나의 |
발견 | |
발견자 | 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질로 데이비드 L. 라비노위츠 |
발견일 | 2003년 11월 14일 |
MPC 명칭 | (90377) Sedna |
궤도 특성 | |
소행성 분류 | TNO분리천체 세드나족 왜행성 |
궤도 기준점 | 2020년 5월 31일 (JD 2458900.5) |
불확실성 | 2 |
관측 호 | 30년 |
최초 프리커버리 날짜 | 1990년 9월 25일 |
긴반지름 | 또는 0.007 광년 |
근일점 | |
근일점 통과 시기 | 약 2076년 7월 18일 |
원일점 | |
궤도 이심률 | 0.8496 |
공전 주기 | yr (중심) |
회합 주기 | 11,408 그레고리력 년 |
궤도 경사 | 11.9307° |
승교점 경도 | 144.248° |
근일점 인수 | 311.352° |
평균 근점 이각 | 358.117° |
평균 운동 | / 일 |
평균 속도 | 1.04 km/s |
물리적 특성 | |
크기 | |
질량 | 알 수 없음 |
밀도 | 알 수 없음 |
표면 중력 | 알 수 없음 |
탈출 속도 | 알 수 없음 |
자전 주기 | h (약 18시간은 아닐 가능성이 높음) |
분광형 | (붉은색) ; |
겉보기 등급 | 20.8 (충) 20.5 (근일점) |
절대 등급 | 1.3 |
반사율 | |
표면 온도 | 약 12 K (참고) |
현재 위치 | |
거리 | (2024년 1월 기준) |
![]() |
2. 역사
2003년 11월 14일 마이클 브라운(칼텍), 채드 트루질리오(제미니), 데이비드 L. 라비노비츠(예일)가 팔로마 천문대의 새뮤얼 오스친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했다. 이후 칠레와 하와이 마우나케아 화산, 애리조나주 등지의 망원경을 이용한 추가 관측을 통해 세드나의 궤도가 매우 이심률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이클 브라운은 자기 웹사이트에 "이번에 새로 발견된 천체는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발견된 천체 중 가장 춥고 가장 먼 곳에 있다"며 "그래서 우리는 이누이트 신화에서 얼어붙은 북빙양 바닥에 산다고 하는 바다의 여신 세드나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라고 썼다.
연구진은 공식 번호가 매겨지기도 전에 "세드나"라는 이름부터 먼저 지어서 발표했다. 브라이언 G. 마즈든은 이런 행동은 규약 위반이며, IAU 회원 일부는 반대표를 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세드나라는 이름에 반대하는 의견은 없었고, 그 외에 다른 경합할 만한 이름이 제시되지도 않았다. IAU 소천체명명위원회는 2004년 9월에 세드나라는 이름을 정식으로 받아들였다.
2. 1. 발견
2003년 11월 14일 마이클 브라운(칼텍), 채드 트루질리오(제미니), 데이비드 L. 라비노비츠(예일)가 팔로마 천문대의 새뮤얼 오스친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했다. 발견 당시 세드나는 배경 항성에 대해 3.1시간마다 4.6 각분씩 움직였으며, 이는 약 100 AU 거리에 해당한다는 것을 시사했다.[33][52]이후 칠레의 케로 톨롤로 미주간 천문대의 SMARTS 망원경, 하와이 마우나케아 화산의 켁 천문대의 테나그라 제4망원경, 애리조나주 노갈레스의 테나그라 4 망원경을 이용한 추가 관측을 통해 세드나의 궤도가 매우 이심률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2. 2. 명명
마이클 브라운은 자기 웹사이트에 "이번에 새로 발견된 천체는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발견된 천체 중 가장 춥고 가장 먼 곳에 있다"며 "그래서 우리는 이누이트 신화에서 얼어붙은 북빙양 바닥에 산다고 하는 바다의 여신 세드나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라고 썼다. 브라운은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체센터에 앞으로 세드나의 궤도 지역에서 발견되는 천체들은 북극 신화에서 이름을 따서 명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연구진은 공식 번호가 매겨지기도 전에 "세드나"라는 이름부터 먼저 지어서 발표했다. 브라이언 G. 마즈든은 이런 행동은 규약 위반이며, IAU 회원 일부는 반대표를 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세드나라는 이름에 반대하는 의견은 없었고, 그 외에 다른 경합할 만한 이름이 제시되지도 않았다. IAU 소천체명명위원회는 2004년 9월에 세드나라는 이름을 정식으로 받아들이고, 앞으로도 이와 같이 비상한 관심의 대상인 경우 번호가 매겨지기 전에 이름을 먼저 발표할 수도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3. 궤도와 자전
세드나는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발견된 대형 천체 중 공전 주기가 가장 길어, 11,400년 전후로 계산된다.[117] 그 궤도는 이심률이 극도로 커서 원일점 거리가 약 937 AU이고 근일점 거리가 약 76 AU이다.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세드나는 자전 주기도 이상하게 길게 나왔다(20에서 50일). 처음에는 커다란 동반 천체가 있어서 세드나의 자전을 늦추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나왔다. 그러나 2004년 3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그러한 동반 천체 또는 위성이 있는지 찾아보았지만 아무것도 없었다. 이후 MMT 천문대의 망원경으로 다시 측정한 결과 자전 주기는 초기값보다 훨씬 짧은 10시간(이 정도면 세드나 정도 크기의 천체의 자전 주기로 보다 전형적이다)으로 나왔다.
천체명 | 태양으로부터 거리 (AU) | 겉보기등급 | 절대등급 (H) | |||||||||||||||||||||||||||||||||||||||||||||||||||||||||||||||||||||||||||||||||||||||||||||||
---|---|---|---|---|---|---|---|---|---|---|---|---|---|---|---|---|---|---|---|---|---|---|---|---|---|---|---|---|---|---|---|---|---|---|---|---|---|---|---|---|---|---|---|---|---|---|---|---|---|---|---|---|---|---|---|---|---|---|---|---|---|---|---|---|---|---|---|---|---|---|---|---|---|---|---|---|---|---|---|---|---|---|---|---|---|---|---|---|---|---|---|---|---|---|---|---|---|---|
현재 | 근일점 | 원일점 | ||||||||||||||||||||||||||||||||||||||||||||||||||||||||||||||||||||||||||||||||||||||||||||||||
세드나 | 85.14 | 76.0 | 939 | 21.0 | 1.5 | |||||||||||||||||||||||||||||||||||||||||||||||||||||||||||||||||||||||||||||||||||||||||||||
V774104 | 103 | 50 | 150 | 24 | 4 | |||||||||||||||||||||||||||||||||||||||||||||||||||||||||||||||||||||||||||||||||||||||||||||
에리스 | 96.14 | 37.8 | 97.6 | 18.7 | −1.1 | |||||||||||||||||||||||||||||||||||||||||||||||||||||||||||||||||||||||||||||||||||||||||||||
90.93 | 38.0 | 179.8 | 23.2 | 3.5 | ||||||||||||||||||||||||||||||||||||||||||||||||||||||||||||||||||||||||||||||||||||||||||||||
89.17 | 28.6 | 139.7 | 26.2 | 6.6 | ||||||||||||||||||||||||||||||||||||||||||||||||||||||||||||||||||||||||||||||||||||||||||||||
87.96 | 33.0 | 100.8 | 21.7 | 1.8 | ||||||||||||||||||||||||||||||||||||||||||||||||||||||||||||||||||||||||||||||||||||||||||||||
84.83 | 34.6 | 347.6 | 24.5 | 4.9 | ||||||||||||||||||||||||||||||||||||||||||||||||||||||||||||||||||||||||||||||||||||||||||||||
84.72 | 40.3 | 106.9 | 24.1 | 4.6 | ||||||||||||||||||||||||||||||||||||||||||||||||||||||||||||||||||||||||||||||||||||||||||||||
83.85 | 37.8 | 96.7 | 23.6 | 4.3 | ||||||||||||||||||||||||||||||||||||||||||||||||||||||||||||||||||||||||||||||||||||||||||||||
83.65 | 80.5 | 438 | 23.4 | 4.0 | ||||||||||||||||||||||||||||||||||||||||||||||||||||||||||||||||||||||||||||||||||||||||||||||
[120] | 83.00 | 65.0 | 2000 | 24.64 | 5.3 | |||||||||||||||||||||||||||||||||||||||||||||||||||||||||||||||||||||||||||||||||||||||||||||
82.87 | 34.7 | 90.1 | 25.3 | 6.0 | ||||||||||||||||||||||||||||||||||||||||||||||||||||||||||||||||||||||||||||||||||||||||||||||
80.07 | 36.1 | 81.8 | 22.1 | 3.0 | ||||||||||||||||||||||||||||||||||||||||||||||||||||||||||||||||||||||||||||||||||||||||||||||
78.66 | 33.5 | 127.5 | 25.7 | 6.7 | ||||||||||||||||||||||||||||||||||||||||||||||||||||||||||||||||||||||||||||||||||||||||||||||
78.62 | 33.1 | 93.9 | 24.2 | 5.2 | ||||||||||||||||||||||||||||||||||||||||||||||||||||||||||||||||||||||||||||||||||||||||||||||
71.89 | 48.7 | 693 | 25.1 | 6.5 | ||||||||||||||||||||||||||||||||||||||||||||||||||||||||||||||||||||||||||||||||||||||||||||||
71.39 | 36.2 | 71.6 | 24.8 | 6.1 | ||||||||||||||||||||||||||||||||||||||||||||||||||||||||||||||||||||||||||||||||||||||||||||||
71.17 | 38.7 | 152.2 | 24.2 | 5.6 | ||||||||||||||||||||||||||||||||||||||||||||||||||||||||||||||||||||||||||||||||||||||||||||||
68.75 | 45.8 | 80.6 | 25.7 | 7.3 | ||||||||||||||||||||||||||||||||||||||||||||||||||||||||||||||||||||||||||||||||||||||||||||||
68.38 | 35.6 | 78.6 | 25.1 | 6.7 | ||||||||||||||||||||||||||||||||||||||||||||||||||||||||||||||||||||||||||||||||||||||||||||||
67.95 | 40.3 | 70.3 | 24.8 | 6.5 | ||||||||||||||||||||||||||||||||||||||||||||||||||||||||||||||||||||||||||||||||||||||||||||||
67.76 | 48.7 | 80.6 | 24.4 | 6.0 | ||||||||||||||||||||||||||||||||||||||||||||||||||||||||||||||||||||||||||||||||||||||||||||||
66.14 | 36.4 | 73.0 | 24.4 | 6.1 | ||||||||||||||||||||||||||||||||||||||||||||||||||||||||||||||||||||||||||||||||||||||||||||||
65.83 | 36.8 | 75.3 | 25.6 | 7.3 | ||||||||||||||||||||||||||||||||||||||||||||||||||||||||||||||||||||||||||||||||||||||||||||||
64.99 | 36.3 | 69.2 | 25.2 | 7.0 | ||||||||||||||||||||||||||||||||||||||||||||||||||||||||||||||||||||||||||||||||||||||||||||||
64.47 | 38.2 | 65.3 | 25.4 | 7.2 | ||||||||||||||||||||||||||||||||||||||||||||||||||||||||||||||||||||||||||||||||||||||||||||||
64.44 | 38.2 | 170.4 | 25.0 | 6.8 | ||||||||||||||||||||||||||||||||||||||||||||||||||||||||||||||||||||||||||||||||||||||||||||||
64.22 | 34.7 | 67.8 | 24.7 | 6.5 | ||||||||||||||||||||||||||||||||||||||||||||||||||||||||||||||||||||||||||||||||||||||||||||||
64.17 | 38.6 | 69.3 | 25.0 | 6.9 | ||||||||||||||||||||||||||||||||||||||||||||||||||||||||||||||||||||||||||||||||||||||||||||||
63.28 | 37.2 | 68.8 | 25.6 | 7.1 | ||||||||||||||||||||||||||||||||||||||||||||||||||||||||||||||||||||||||||||||||||||||||||||||
63.27 | 33.7 | 129.2 | 22.1 | 3.9 | ||||||||||||||||||||||||||||||||||||||||||||||||||||||||||||||||||||||||||||||||||||||||||||||
63.09 | 30.8 | 109.8 | 25.0 | 7.0 | ||||||||||||||||||||||||||||||||||||||||||||||||||||||||||||||||||||||||||||||||||||||||||||||
62.60 | 36.0 | 88.1 | 22.0 | 4.7 | ||||||||||||||||||||||||||||||||||||||||||||||||||||||||||||||||||||||||||||||||||||||||||||||
62.34 | 39.0 | 68.5 | 25.5 | 7.5 | ||||||||||||||||||||||||||||||||||||||||||||||||||||||||||||||||||||||||||||||||||||||||||||||
62.31 | 36.3 | 4274.0 | 24.1 | 6.1 | ||||||||||||||||||||||||||||||||||||||||||||||||||||||||||||||||||||||||||||||||||||||||||||||
62.23 | 26.7 | 185.6 | 25.6 | 7.6 | ||||||||||||||||||||||||||||||||||||||||||||||||||||||||||||||||||||||||||||||||||||||||||||||
61.71 | 34.2 | 89.0 | 23.0 | 5.0 | ||||||||||||||||||||||||||||||||||||||||||||||||||||||||||||||||||||||||||||||||||||||||||||||
61.59 | 44.3 | 412 | 23.9 | 6.3 | ||||||||||||||||||||||||||||||||||||||||||||||||||||||||||||||||||||||||||||||||||||||||||||||
61.03 | 45.5 | 768.9 | 24.2 | 6.2 | ||||||||||||||||||||||||||||||||||||||||||||||||||||||||||||||||||||||||||||||||||||||||||||||
60.74 | 42.4 | 154.5 | 22.2 | 4.2 | ||||||||||||||||||||||||||||||||||||||||||||||||||||||||||||||||||||||||||||||||||||||||||||||
60.40 | 34.4 | 76.6 | 24.1 | 6.2 | ||||||||||||||||||||||||||||||||||||||||||||||||||||||||||||||||||||||||||||||||||||||||||||||
60.34 | 40.5 | 60.4 | 25.1 | 7.2 | ||||||||||||||||||||||||||||||||||||||||||||||||||||||||||||||||||||||||||||||||||||||||||||||
60.18 | 37.1 | 63.3 | 24.8 | 6.9 | ||||||||||||||||||||||||||||||||||||||||||||||||||||||||||||||||||||||||||||||||||||||||||||||
60.11 | 36.7 | 62.1 | 22.5 | 4.7 | ||||||||||||||||||||||||||||||||||||||||||||||||||||||||||||||||||||||||||||||||||||||||||||||
59.70 | 37.6 | 66.3 | 25.1 | 7.3 | ||||||||||||||||||||||||||||||||||||||||||||||||||||||||||||||||||||||||||||||||||||||||||||||
59.69 | 35.8 | 111.8 | 24.9 | 7.1 | ||||||||||||||||||||||||||||||||||||||||||||||||||||||||||||||||||||||||||||||||||||||||||||||
59.63 | 41.5 | 82.8 | 21.6 | 3.9 | ||||||||||||||||||||||||||||||||||||||||||||||||||||||||||||||||||||||||||||||||||||||||||||||
59.22 | 22.6 | 76.0 | 24.4 | 6.2 | ||||||||||||||||||||||||||||||||||||||||||||||||||||||||||||||||||||||||||||||||||||||||||||||
59.03 | 33.1 | 77.0 | 24.0 | 6.5 | ||||||||||||||||||||||||||||||||||||||||||||||||||||||||||||||||||||||||||||||||||||||||||||||
발견된 태양계 천체 중 현재 해왕성보다 두 배 이상 먼 천체들을 나열했음.[119] |
4. 물리적 성질
세드나의 절대등급(H)은 약 1.8 등급이며 알베도는 약 0.32이고, 직경은 약 1000km이다.[121] 발견 당시 세드나는 1930년 명왕성 발견 이후 가장 밝은 천체였다. 2004년 발견자들은 세드나의 직경 상한을 1800km로 추정했고, 2007년 스피처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1600km로 수정되었다. 2012년 허셜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세드나의 직경은 995km로, 카론보다 작다.[121] 세드나는 위성이 없어 질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우주탐사선을 직접 보내는 것뿐이다.
SMARTS 망원경 관측 결과 세드나는 가시광선 대역에서 태양계 천체 중 가장 붉은 축에 속하며, 거의 화성만큼 붉다. 채드 트루질로 등은 세드나의 암적색이 표면이 탄화수소 슬러지나 톨린으로 덮여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톨린은 단순한 유기화합물이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어 만들어진다. 세드나의 표면은 색깔과 분광 면에서 균질하다. 이는 세드나가 태양에 가까운 천체들과 달리 다른 천체와 충돌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8405 아스볼루스처럼 충돌이 일어나면 아래쪽의 밝은 얼음질 물질이 드러나 밝기 차이가 생긴다. 세드나와 (308933) 2006 SQ372, (87269) 2000 OO67는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및 센타우루스군 소행성 5145 폴루스와 같은 색깔을 공유하는데, 기원이 유사할 수 있다.
트루질로 등은 세드나 표면에서 메탄 얼음이 최대 60%, 물 얼음이 최대 70%를 차지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메탄의 존재는 세드나 표면에 톨린(메탄이 빛을 받아 만들어진다)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바루키 등은 세드나의 분광을 트리톤의 분광과 비교하여 메탄과 고체 질소에 해당하는 미약한 흡수선을 발견했다. 이들은 세드나의 표면 조성이 트리톤형 톨린 24%, 비결정형 탄소 7%, 질소 10%, 메탄올 26%, 메탄 33%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2006년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중적외선 측광으로 메탄과 물 얼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표면에 질소가 존재한다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세드나에 미약한 대기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근일점 근처 200여 년 동안 세드나의 최대 온도는 35.6 K (−237.6 °C)를 넘었을 것이다. 알파단계 고체 질소와 트리톤에서 발견되는 베타단계 고체질소 사이의 천이온도는 38 K 정도이다. 38 K에서 N2의 증기압은 14 마이크로바(1.4 파스칼 또는 0.000014 기압)이다. 그러나 붉은 대역에서 나타나는 깊은 분광 기울기는 세드나 표면에 유기물질이 매우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미약한 메탄 흡수선은 세드나 표면의 메탄이 새로이 누적된 것이 아니라 오래된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세드나가 너무 추워서 메탄이 증발한 뒤 눈으로 다시 내리는 과정(현재 트리톤에서 일어나고 있고 아마 명왕성에서도 일어나는 과정으로 추측됨)이 일어날 수 없음을 의미한다.
2022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의 저해상도 근적외선(0.7–5 μm) 분광학 관측 결과, 세드나 표면에 상당한 양의 에탄 얼음(C2H6)과 복잡한 유기물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JWST 스펙트럼에는 소량의 에틸렌(C2H4), 아세틸렌(C2H2) 및 아마도 이산화탄소(CO2)의 존재에 대한 증거도 포함되어 있다. 반면에 이전 관측과는 달리 메탄(CH4)과 질소 얼음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97]
방사성 감쇠를 통한 내부열 모형은 세드나 표면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로 된 바다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5. 기원
세드나의 극단적인 궤도는 해왕성의 중력 섭동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카이퍼대 너머의 보이지 않는 행성: 로드니 고메스와 패트릭 리카우카 등 많은 천문학자들은 힐스 구름(내부 오르트 구름)에 가설상의 행성급 천체가 존재하여 세드나의 궤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태양계 옆을 지나가던 항성: 태양계 근처를 지나간 항성이 세드나의 궤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 태양과 함께 형성된 젊은 항성: 알레산드로 모르비델리와 스콧 제이 케니언 등은 태양이 산개성단에서 탄생했을 때 함께 형성된 젊은 항성들이 세드나의 궤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줄리오 A. 페르난데스와 에이드리언 브루니니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이러한 산개성단 환경에서 젊은 항성들이 옆을 지나가면서 세드나와 같은 궤도를 가진 천체가 여럿 만들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칼텍 연구원 콘스탄틴 바티긴과 마이클 브라운은 이심률이 큰 거대행성(제9행성)이 태양계 외부를 공전한다는 증거를 제시하며, 이 행성이 세드나의 궤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22]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10배이고,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해왕성의 평균 거리(30.1 AU)보다 20배 더 멀 것으로 추정된다.
모르비델리와 케니언은 세드나가 태양계 외부의 다른 행성계에서 포획된 천체라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123][124]
6. 분류
소행성체센터는 세드나를 산란원반 천체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분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많은 천문학자들은 세드나와 등 유사한 천체들을 묶어 확장 산란원반 천체(E-SDO),[78] 분리천체,[79] 원거리 분리천체(DDO),[74] 심원황도탐사(DES)에서 쓰는 산란확장[80] 등 새로운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세드나와 같이 근일점이 먼 긴 타원 궤도를 가진 천체들은 세드노이드로 하위 분류되기도 한다.
7. 탐사
세드나는 2075년에서 2076년 사이에 근일점에 도달할 예정인데,[91] 이는 세드나를 연구할 수 있는 12,000년에 한 번 밖에 없는 기회이다. 세드나는 NASA의 태양계 탐사 웹사이트에 올라와 있지만,[112] 현재 NASA가 세드나 탐사 임무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은 없다.[113]
목성의 중력 보조를 이용하면 세드나까지 24.48년 만에 도달할 수 있다는 계산 결과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33년 5월 6일 또는 2046년 6월 23일에 우주선을 발사하면, 우주선이 도착했을 때 세드나는 태양으로부터 각각 77.27 AU 또는 76.43 AU 거리에 있을 것이다.[92]
2018년 5월, 천체물리학자 Ethan Siegel|이선 시걸영어은 세드나가 내부 오르트 구름의 천체일 가능성이 있어 탐사 가치가 높다고 주장하며, 근일점에 접근하는 세드나를 연구하기 위한 우주 탐사선 발사를 제안했다.[114]
러시아 우주 과학 연구소의 블라디슬라프 줍코(Vladislav Zubko) 등의 연구 그룹은 2029년부터 2037년 사이에 세드나 탐사선을 발사하는 것이 최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29년 발사가 가장 좋으며, 2031년이나 2034년도 후보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라이바이 탐사를 가정했지만, 금성, 지구, 목성, (2034년 발사 시) 해왕성에서 스윙바이를 할 수 있으며, 최단 항행 시간은 2029년 발사 시 18년 미만도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탐사 도중 스윙바이하는 행성이나 소행성대의 소행성을 근접 탐사할 기회도 얻을 수 있다고 한다.[115]
참조
[1]
논문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X. Thermal properties of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from combined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2013-09-29
[2]
논문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X. Thermal properties of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from combined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2013-09-29
[3]
웹사이트
Star Maps of Asteroid 90377 Sedna (2003 VB12) {{!}} TheSkyLive
https://theskylive.c[...]
2024-01-10
[4]
서적
How I Killed Pluto And Why It Had It Coming
Spiegel & Grau
[5]
웹사이트
MPEC 2004-S73: Editorial Notice
https://minorplanetc[...]
IAU Minor Planet Center
2010-07-18
[6]
웹사이트
Miscellaneous Symbols and Arrows
https://www.unicode.[...]
Unicode
1991–2021
[7]
웹사이트
Eris and Sedna Symbols
https://www.unicode.[...]
2016-06-12
[8]
웹사이트
SBDB Epoch 2019
https://ssd.jpl.nasa[...]
JPL
[9]
웹사이트
Mysterious Sedna {{!}} Science Mission Directorate
https://science.nasa[...]
2023-03-31
[10]
웹사이트
Most Distant Object in Solar System Discovered
https://www.jpl.nasa[...]
2004-03-15
[11]
문서
Apparent magnitude of Sun at 937 AU = -26.74 + 5log(937) = -11.88
[12]
문서
Calculated: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G*solar+mass%2FAU%281%2F76.19-1%2F937%29%3D1%2F2*%28x+m%2Fs%29%5E2%28%28937%2F76.19%29%5E2-1%29
[13]
문서
377.4 m/s for Sedna divided by 29.78 km/s for Earth.
[14]
논문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VII. Size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90377) Sedna and {{mp|2010 EK|139}}
[15]
논문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X. Thermal properties of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from combined Herschel and Spitzer observations⋆⋆⋆
2013-09-29
[16]
논문
(90377) Sedna: Investigation of Surface Compositional Variation
2010-12
[17]
간행물
Caltech Researchers Find Evidence of a Real Ninth Planet
http://www.caltech.e[...]
2016-01-20
[18]
논문
A search for Planet Nine using the Zwicky Transient Facility public archive
2022-01-31
[19]
논문
Sun Accused of Stealing Planetary Objects from Another Star
http://www.scientifi[...]
[20]
웹사이트
Grand Theft Sedna: how the sun might have stolen a mini-planet
https://www.newscien[...]
2015-06-19
[21]
웹사이트
Stealing Sedna
https://www.universe[...]
2015-08-06
[22]
논문
Exploring Trans-Neptunian Space with TESS: A Targeted Shift-stacking Search for Planet Nine and Distant TNOs in the Galactic Plane
2020-12
[23]
논문
What Is A Planet?
https://www.planetar[...]
2020-04-21
[24]
논문
Equilibrium Shapes of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2017-11-15
[25]
논문
SMARTS Studies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Dwarf Planets
2011-05
[26]
논문
On the Importance of a Few Dwarf Planets
2009-05
[27]
논문
The mutual orbit, mass, and density of transneptunian binary Gǃkúnǁʼhòmdímà ({{mp|(229762) 2007 UK|126}})
http://www2.lowell.e[...]
2019-12
[28]
웹사이트
List Of Transneptunian Objects
https://minorplanetc[...]
2022-06-21
[29]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Lookup
https://ssd.jpl.nasa[...]
2022-06-28
[30]
논문
The fastest routes of approach to dwarf planet Sedna for studying its surface and composition at the close range
2022-03
[31]
논문
Analysis of mission opportunities to Sedna in 2029–2034
https://linkinghub.e[...]
2021-10
[32]
논문
Investigation of Interplanetary Trajectories to Sedna
https://trace.tennes[...]
2023-05
[33]
웹사이트
MPEC 2004-E45 : 2003 VB12
https://minorplanetc[...]
IAU: Minor Planet Center
2004-03-15
[34]
웹사이트
Discovery Circumstances: Numbered Minor Planets (90001)–(95000)
http://www.minorplan[...]
IAU: Minor Planet Center
[35]
트윗
"#TNO2018"
2018-03-27
[36]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a planetary-sized body in the inner Oort cloud – HST Proposal 10041
https://archive.stsc[...]
2004-03-16
[37]
웹사이트
Hubble Observes Planetoid Sedna, Mystery Deepens
http://hubblesite.or[...]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04-04-14
[38]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90377
http://www.boulder.s[...]
Deep Ecliptic Survey
2009-11-22
[39]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90377 Sedna (2003 VB12)
https://ssd.jpl.nasa[...]
2020-01-21
[40]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2 VP113)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3-10-30
[41]
웹사이트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90377 Sedna (2003 VB12)
https://ssd.jpl.nasa[...]
[42]
서적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43]
서적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44]
웹사이트
Kuiper Belt Object Magnitudes and Surface Colors
http://www.physics.n[...]
Northern Arizona University
2006-01-26
[45]
웹사이트
AstDys (90377) Sedna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46]
웹사이트
AstDys (90377) Sedna Ephemerides 2003-11-14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47]
웹사이트
Horizons Output for Sedna 2076/2114
http://home.surewest[...]
2010-07-18
[48]
웹사이트
Sedna Ephemerides for July 2076
https://newton.space[...]
AstDyS
[49]
웹사이트
How many dwarf planets are there in the outer solar system? (updates daily)
http://www.gp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1-09-23
[50]
웹사이트
Which are the dwarfs in the solar system?
http://www.lpi.usra.[...]
Asteroids, Comets, Meteors
[51]
웹사이트
The Man Who Finds Planets
http://discovermagaz[...]
[52]
간행물
Discovery of a Candidate Inner Oort Cloud Planetoid
[53]
웹사이트
Sedna
http://www.gps.calte[...]
Caltech
[54]
뉴스
How do planets get their nam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3-16
[55]
웹사이트
MPC 52733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56]
간행물
The Surface of Sedna in the Near-infrared
[57]
웹사이트
Long View from a Lonely Planet
https://hubblesite.o[...]
Hubblesite, STScI-2004-14
[58]
웹사이트
Hubble Observes Planetoid Sedna, Mystery Deepens
http://hubblesite.or[...]
Hubblesite, STScI-2004-14
[59]
간행물
On the Rotation Period of (90377) Sedna
[60]
간행물
Diverse Albedos of Small Trans-Neptunian Objects
https://cds.cern.ch/[...]
[61]
간행물
Near-Infrared Surface Properties of the Two Intrinsically Brightest Minor Planets: (90377) Sedna and (90482) Orcus
[62]
간행물
The colors of extreme outer Solar System objects
[63]
간행물
Ices on 90377 Sedna: Conformation and compositional constraints
[64]
간행물
Is Sedna another Triton?
[65]
서적
Trans-Neptunian Objects and Comets: Saas-Fee Advanced Course 35. Swiss Society for Astrophysics and Astronomy
Berlin: Springer
[66]
간행물
Dynamical classification of trans-Neptunian objects: Probing their origin, evolution, and interrelation
[67]
간행물
Regarding the accretion of 2003 VB12 (Sedna) and like bodies in distant heliocentric orbits
[68]
웹사이트
Small Bodies in the Outer Solar System
http://www.dtm.ciw.e[...]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69]
간행물
Sedna and the birth of the solar system
[70]
웹사이트
Transneptunian Object 90377 Sedna (formerly known as 2003 VB12)
http://www.planetary[...]
The Planetary Society
[71]
논문
Scenarios for the Origin of the Orbits of the Trans-Neptunian Objects 2000 CR105 and 2003 VB12 (Sedna)
[72]
논문
Stellar encounters as the origin of distant Solar System objects in highly eccentric orbits
https://cds.cern.ch/[...]
2004-12-02
[73]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Sedna
http://www.cfa.harva[...]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9-03-26
[74]
논문
A distant planetary-mass solar companion may have produced distant detached objects
[75]
논문
An Outer Planet Beyond Pluto and the Origin of the Trans-Neptunian Belt Architecture
[76]
웹사이트
Searching for Sedna's Sisters: Exploring the inner Oort cloud
http://www.astro.cal[...]
Caltech
2010-08-06
[77]
논문
A Search for Distant Solar System Bodies in the Region of Sedna
[78]
웹사이트
Evidence for an Extended Scattered Disk?
http://www.obs-nice.[...]
Observatoire de la Côte d'Azur
2010-07-22
[79]
서적
Solar System Update : Topical and Timely Reviews in Solar System Sciences
Springer-Praxis Ed.
[80]
논문
The Deep Ecliptic Survey: A Search for Kuiper Belt Objects and Centaurs. II. Dynamical Classification, the Kuiper Belt Plane, and the Core Population
[81]
논문
A Sedna-like body with a perihelion of 80 astronomical units
[82]
웹사이트
AstDys (136199) Eris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23-10-31
[83]
웹사이트
AstDys (225088) 2007 OR10 Ephemerides
https://newton.space[...]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Pisa, Italy
2023-10-31
[84]
논문
Regarding the criteria for planethood and proposed planetary classification schemes
http://www.boulder.s[...]
2010-08-06
[85]
논문
2006 SQ372: A Likely Long-Period Comet from the Inner Oort Cloud
[86]
웹사이트
A new object at the edge of our Solar System discovered
http://phys.org/news[...]
2014-03-26
[87]
웹사이트
DPS/EPSC update: 2007 OR10 has a moon!
http://www.planetary[...]
2016-10-19
[88]
웹사이트
New extremely distant Solar System object found during hunt for Planet X
https://carnegiescie[...]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2018-10-02
[89]
논문
A New High Perihelion Trans-Plutonian Inner Oort Cloud Object: 2015 TG387
2019-04
[90]
논문
Stellar occultations enable milliarcsecond astrometry for Trans-Neptunian objects and Centaurs
2020-12
[91]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Sedna in July 2076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1-04-10
[92]
논문
A Survey of Mission Opportunities to Trans-Neptunian Objects
2011
[93]
간행물
Intermediate (20–100 KM ) Sized Volcanic Edifices on Venus
https://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20-02-29
[94]
뉴스
Ninth Planet May Exist Beyond Pluto, Scientists Repor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1-21
[95]
웹사이트
A second Sedna! What does it mean?
https://www.planetar[...]
2014-03-26
[96]
논문
Evidence for a Distant Giant Planet in the Solar System
2016
[97]
논문
A Tale of 3 Dwarf Planets: Ices and Organics on Sedna, Gonggong, and Quaoar from JWST Spectroscopy
2024
[98]
서적
天文学大事典
地人書館
[99]
웹사이트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90377 Sedna
https://web.archive.[...]
2012-11-19
[100]
웹사이트
AstDyS
https://newton.space[...]
[101]
웹사이트
HST Proposal Search
https://archive.stsc[...]
[102]
웹사이트
Hubble Observes Planetoid Sedna, Mystery Deepens
http://hubblesite.or[...]
[103]
웹사이트
"https://twitter.com/astrokiwi/status/978589989226401794"
https://twitter.com/[...]
[104]
웹사이트
Sedna (2003 VB12)
https://web.archive.[...]
2010-07-25
[105]
논문
Near-Infrared Surface Properties of the Two Intrinsically Brightest Minor Planets: (90377) Sedna and (90482) Orcus*
https://iopscience.i[...]
2005-07-10
[106]
논문
Near‐Infrared Surface Properties of the Two Intrinsically Brightest Minor Planets: (90377) Sedna and (90482) Orcus
https://doi.org/10.1[...]
2005-07-10
[107]
논문
THE COLORS OF EXTREME OUTER SOLAR SYSTEM OBJECTS
https://doi.org/10.1[...]
2010-03-04
[108]
논문
Ices on (90377) Sedna: confirmation and compositional constraints
https://www.aanda.or[...]
2007-04-01
[109]
논문
Is Sedna another Triton?
https://www.aanda.or[...]
2005-08-01
[110]
논문
Subsurface oceans and deep interiors of medium-sized outer planet satellites and large trans-neptunian objects
https://www.scienced[...]
2006-11-01
[111]
웹사이트
Orbit and Astrometry for 90377
https://www.boulder.[...]
2021-04-03
[112]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Multimedia: Gallery: Sedna's Orbit
https://web.archive.[...]
2012-09-30
[113]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Missions: By Target: Dwarf Planets: Present
https://web.archive.[...]
2012-07-03
[114]
웹사이트
Is Humanity Ignoring Our First Chance For A Mission To An Oort Cloud Object?
https://www.forbes.c[...]
2021-04-03
[115]
웹사이트
1万年に1度の好機? 太陽系外縁天体「セドナ」に向けて探査機を打ち上げるなら2029年が最適か
https://sorae.info/s[...]
sorae
2022-01-26
[116]
문서
U+2BF2 ⯲. David Faulks (2016) 'Eris and Sedna Symbols,' L2/16-173R, Unicode Technical Committee Document Register.
https://www.unicode.[...]
[117]
문서
"mpl|(308933) 2006 SQ|372}}, {{mpl|2005 VX|3}}, {{mpl|(87269) 2000 OO|67}}, {{mpl|2002 RN|109}}, {{mpl|2007 TG|422}} 등의 [[태양계 소천체]]와 몇몇 혜성들(예컨대 [[1577년 대혜성]])의 태양중심 궤도가 더 크다. 그러나 이 중 원일점이 목성 궤도 너머에 있는 것은 {{mp|(308933) 2006 SQ|372}}, {{mp|(87269) 2000 OO|67}}, {{mp|2007 TG|422}} 뿐이다. 때문에 이 천체들이 사실 잘못 분류된 혜성이 아닌지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18]
뉴스
Ninth Planet May Exist Beyond Pluto, Scientists Report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16-01-21
[119]
웹인용
AstDyS-2, Asteroids - Dynamic Site
http://hamilton.dm.u[...]
2018-04-03
[120]
Youtube
Astronomer Michele Bannister
https://twitter.com/[...]
2018-03-29
[121]
저널 인용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VII. Size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90377) Sedna and {{mp|2010 EK|139}}'
[122]
웹사이트
caltech-researchers-find-evidence-real-ninth-planet
http://www.caltech.e[...]
[123]
웹인용
Sun Accused of Stealing Planetary Objects from Another Star
http://www.scientifi[...]
[124]
웹인용
Grand Theft Sedna: how the sun might have stolen a mini-planet
https://www.newscien[...]
[125]
저널 인용
(90377) Sedna: Investigation of surface compositional variation
http://iopscience.io[...]
[126]
간행물
SMARTS Studies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Dwarf Planets
http://adsabs.harvar[...]
2011
[127]
간행물
On the Importance of a Few Dwarf Planets
http://adsabs.harvar[...]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