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02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2009년 대회 확대를 통해 조별 리그 참가 팀 수를 늘리고, 2021년에는 4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대회 규정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2008년까지는 아시아 상위 14개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이 참가했다. 역대 우승팀으로는 알힐랄 FC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최우수 선수, 득점왕, 페어 플레이 상 등의 시상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1967년 시작하여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지역 여자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클럽 대항전이며, 2019년 대한민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고 2024-25 시즌부터 AFC 여자 챔피언스리그로 개편될 예정이다. -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최강 풋살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2010년 시작하여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며, 나고야 오션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이란이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며, 최우수 선수, 득점왕, 페어플레이상 등 개인상도 수여된다. - AFC 챔피언스리그에 관한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1950년 미쓰비시 중공업이 창단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창설 멤버이며 J1리그, 천황배, 슈퍼컵 석권 및 AFC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인종차별 및 폭동 사건으로 클럽 이미지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에 관한 - 감바 오사카
감바 오사카는 1980년 창단된 J리그 원년 멤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J1리그 우승,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FIFA 클럽 월드컵 3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세레소 오사카와의 오사카 더비로 유명하고 수이타 시티 풋볼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 |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정보 | |
이름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
다른 이름 | AFC Champions League Elite |
![]() | |
설립 연도 | 1967년 |
지역 | [[파일:AFC orthographic projection Mapa AFC.png|프레임없음|25x25픽셀|link=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AFC) |
참가 팀 수 | 40 (본선), 54 (예선 포함) |
하위 리그 | AFC 챔피언스리그 투 |
최근 우승 | 알아인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 (2회) |
최다 우승 | 알힐랄 SFC (4회)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현재 시즌 |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
2. 역사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2024-25 시즌부터 시작될 아시아 최상위 클럽 대항전이다.
2. 1.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 (2002~2008)
2002년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이 통합되어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하였다. 2002-03 시즌 초대 챔피언은 아랍에미리트의 알아인이 차지하였고, 2004년과 2005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이티하드가 2연패를 달성했다.[1]2005년 FIFA가 오스트레일리아의 AFC 편입을 승인함에 따라, 2007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A리그 클럽들이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하였다.[1]
2. 2. 확대 개편과 제도 변화 (2009~2020)
2009년 AFC는 UEFA 챔피언스리그를 본따 대회를 확대 개편하여 조별리그 참가팀 수를 28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확대하였고, 디펜딩 챔피언에 대한 자동 출전권을 폐지하였다.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르고 각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결승전을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치르고 대회 상금이 크게 증액되는 등 제도적인 부분에서 발전이 이루어졌다.[1] 2015년 AFC는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 플레이오프를 확대하면서 더 많은 국가의 클럽들이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2. 3. 추가 확대와 현재 (2021~)
2020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AFC 랭킹 중하위권 국가 리그 클럽들의 참가를 늘리기 위해 챔피언스리그를 확대 개편하여 조별리그 참가팀 수를 32개 팀에서 40개 팀으로 확대하였다. 40개 팀은 10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르며, 각 조 1위 팀은 16강에 바로 진출하고 각 조 2위 팀 중 상위 6팀이 16강에 진출한다.3. 대회 규정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2024-25 시즌부터 새롭게 개편될 예정이지만,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새 대회 규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변경 예정이라는 사실 외에 추가적인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
3. 1. 2008년까지
상위 14개 축구 연맹의 리그 우승 클럽과 컵 대회 우승 클럽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졌고, 전 대회 우승 클럽은 8강부터 참가하여 총 29개 클럽이 경쟁했다. 조별 리그에 참가한 클럽들은 지역별로 나뉜 7개 조에 속했다.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가 8강에 진출하고 전 대회 우승 클럽이 합류했다. 8강과 4강, 결승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3. 2. 2009년 ~ 2012년
2009년부터 참가 팀이 29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08년 AFC에서 2년마다 실시한 리그 평가에 따라 평가가 높은 리그의 동아시아 15개 팀, 서아시아 15개 팀에게 본선 진출 티켓을 배분하였다.[2] 또한 참가국을 16개국에서 10개국으로 줄이고 UEFA 챔피언스리그처럼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르고 각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결승전을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상금액이 4배가량 크게 증액되는 등 제도적인 부분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3]3. 3. 2013년
16강과 결승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개최되었다.3. 4. 2014년 ~ 2020년
2014년부터 챔피언스리그 참가국을 19개국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조별리그 이전에 치러지는 예선을 확대 개편하였다.[4] 3라운드에 걸친 예선을 통해 조별리그 서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에 각각 2팀이 올라오게 된다. 한편 대회 방식에도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16강까지만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누어 진행되던 기존 대회 방식을 4강전까지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를 나누어 진행하고 결승에서 서아시아 1팀과 동아시아 1팀이 격돌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다.[5]3. 5. 2021년 ~ 현재
2021년부터 참가 팀이 32개 팀에서 4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19년 AFC에서 2년마다 실시한 리그 평가에 따라 평가가 높은 리그의 동아시아 16개 팀, 서아시아 16개 팀에게 본선 진출 티켓을 배분하였다. 본선 진출 국가 수는 기존 최소 각 6개국에서 각 10개국으로 대폭 늘어났다.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동아시아와 서아시아가 각 본선 직행 16개 팀과 플레이오프 통과 팀 4팀이 참가한다.예선은 기존 3라운드에서 2라운드로 축소되며 예선을 통해 조별리그 서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에 각각 4팀이 올라오게 된다. 한편 대회 방식에도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본선 조별리그는 각 조 당 4팀씩 총 10개 조(서아시아 5개 조, 동아시아 5개 조)로 확대되었다. 10개 조 40개 팀들이 경쟁하여 16강에는 각 조 1위 팀 전원과 각 조 2위 팀 중 서아시아 조에서 상위 3팀, 동아시아 조에서 상위 3팀이 진출한다.
16강부터는 기존 방식을 따른다.
4. 대회 상금
총 대회 상금은 2008년 1000만달러에서 2009년 1200만달러로 증가했다.[1] 2016년에는 소폭 증가하여 우승 상금이 150만달러에서 300만달러로 올랐다.[1] 2018년부터는 우승 상금이 300만달러에서 400만달러로 다시 증가했다.[1]
단계 | 내용 | 상금 및 보조금 |
---|---|---|
예선 | 원정 경기 보조 | 4만달러 |
조별 리그 | 승리 시: 5만달러 | |
무승부 시: 1만달러 | ||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x 3 | ||
16강 | 참가: 10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 |
8강 | 참가: 15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 |
4강 | 참가: 25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00만달러 | |
결승 | 우승: 4000만달러 | |
준우승: 2000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12만달러 |
5. 역대 우승팀 및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의 전신인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대 우승팀과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의 클럽들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총 12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국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5. 1. 시즌별 우승 구단
0-1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
5-0
성남, 성남종합운동장
4-2
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1-2
홈스, 칼레드 빈 왈레드 경기장
2-0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2-0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
(4-2 p)
1-1 (a)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0-0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1-0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
1-1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1-0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0-0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2-0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1-0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5-1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