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02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2009년 대회 확대를 통해 조별 리그 참가 팀 수를 늘리고, 2021년에는 4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대회 규정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2008년까지는 아시아 상위 14개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이 참가했다. 역대 우승팀으로는 알힐랄 FC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최우수 선수, 득점왕, 페어 플레이 상 등의 시상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1967년 시작하여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
    AFC 여자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지역 여자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클럽 대항전이며, 2019년 대한민국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고 2024-25 시즌부터 AFC 여자 챔피언스리그로 개편될 예정이다.
  •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
    AFC 풋살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최강 풋살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2010년 시작하여 코로나19 범유행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며, 나고야 오션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이란이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며, 최우수 선수, 득점왕, 페어플레이상 등 개인상도 수여된다.
  • AFC 챔피언스리그에 관한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1950년 미쓰비시 중공업이 창단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창설 멤버이며 J1리그, 천황배, 슈퍼컵 석권 및 AFC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인종차별 및 폭동 사건으로 클럽 이미지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에 관한 - 감바 오사카
    감바 오사카는 1980년 창단된 J리그 원년 멤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J1리그 우승,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FIFA 클럽 월드컵 3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세레소 오사카와의 오사카 더비로 유명하고 수이타 시티 풋볼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정보
이름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다른 이름AFC Champions League Elite
설립 연도1967년
지역[[파일:AFC orthographic projection Mapa AFC.png|프레임없음|25x25픽셀|link=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AFC)
참가 팀 수40 (본선), 54 (예선 포함)
하위 리그AFC 챔피언스리그 투
최근 우승알아인 (2023-24년 AFC 챔피언스리그) (2회)
최다 우승알힐랄 SFC (4회)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현재 시즌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2. 역사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2024-25 시즌부터 시작될 아시아 최상위 클럽 대항전이다.

2. 1.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 (2002~2008)

2002년에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아시안 컵위너스컵이 통합되어 '''AFC 챔피언스리그'''가 출범하였다. 2002-03 시즌 초대 챔피언은 아랍에미리트알아인이 차지하였고, 2004년과 2005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이티하드가 2연패를 달성했다.[1]

2005년 FIFA가 오스트레일리아AFC 편입을 승인함에 따라, 2007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A리그 클럽들이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기 시작하였다.[1]

2. 2. 확대 개편과 제도 변화 (2009~2020)

2009년 AFC는 UEFA 챔피언스리그를 본따 대회를 확대 개편하여 조별리그 참가팀 수를 28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확대하였고, 디펜딩 챔피언에 대한 자동 출전권을 폐지하였다.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르고 각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결승전을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치르고 대회 상금이 크게 증액되는 등 제도적인 부분에서 발전이 이루어졌다.[1] 2015년 AFC는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 플레이오프를 확대하면서 더 많은 국가의 클럽들이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2. 3. 추가 확대와 현재 (2021~)

2020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AFC 랭킹 중하위권 국가 리그 클럽들의 참가를 늘리기 위해 챔피언스리그를 확대 개편하여 조별리그 참가팀 수를 32개 팀에서 40개 팀으로 확대하였다. 40개 팀은 10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르며, 각 조 1위 팀은 16강에 바로 진출하고 각 조 2위 팀 중 상위 6팀이 16강에 진출한다.

3. 대회 규정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2024-25 시즌부터 새롭게 개편될 예정이지만,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새 대회 규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변경 예정이라는 사실 외에 추가적인 내용을 작성하기 어렵다.

3. 1. 2008년까지

상위 14개 축구 연맹의 리그 우승 클럽과 컵 대회 우승 클럽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졌고, 전 대회 우승 클럽은 8강부터 참가하여 총 29개 클럽이 경쟁했다. 조별 리그에 참가한 클럽들은 지역별로 나뉜 7개 조에 속했다.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가 8강에 진출하고 전 대회 우승 클럽이 합류했다. 8강과 4강, 결승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3. 2. 2009년 ~ 2012년

2009년부터 참가 팀이 29개 팀에서 3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08년 AFC에서 2년마다 실시한 리그 평가에 따라 평가가 높은 리그의 동아시아 15개 팀, 서아시아 15개 팀에게 본선 진출 티켓을 배분하였다.[2] 또한 참가국을 16개국에서 10개국으로 줄이고 UEFA 챔피언스리그처럼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르고 각 조 2위까지 16강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결승전을 중립 지역에서 단판으로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상금액이 4배가량 크게 증액되는 등 제도적인 부분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3]

3. 3. 2013년

16강과 결승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3. 4. 2014년 ~ 2020년

2014년부터 챔피언스리그 참가국을 19개국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조별리그 이전에 치러지는 예선을 확대 개편하였다.[4] 3라운드에 걸친 예선을 통해 조별리그 서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에 각각 2팀이 올라오게 된다. 한편 대회 방식에도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16강까지만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나누어 진행되던 기존 대회 방식을 4강전까지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를 나누어 진행하고 결승에서 서아시아 1팀과 동아시아 1팀이 격돌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다.[5]

3. 5. 2021년 ~ 현재

2021년부터 참가 팀이 32개 팀에서 4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19년 AFC에서 2년마다 실시한 리그 평가에 따라 평가가 높은 리그의 동아시아 16개 팀, 서아시아 16개 팀에게 본선 진출 티켓을 배분하였다. 본선 진출 국가 수는 기존 최소 각 6개국에서 각 10개국으로 대폭 늘어났다.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동아시아와 서아시아가 각 본선 직행 16개 팀과 플레이오프 통과 팀 4팀이 참가한다.

예선은 기존 3라운드에서 2라운드로 축소되며 예선을 통해 조별리그 서아시아 지역과 동아시아 지역에 각각 4팀이 올라오게 된다. 한편 대회 방식에도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본선 조별리그는 각 조 당 4팀씩 총 10개 조(서아시아 5개 조, 동아시아 5개 조)로 확대되었다. 10개 조 40개 팀들이 경쟁하여 16강에는 각 조 1위 팀 전원과 각 조 2위 팀 중 서아시아 조에서 상위 3팀, 동아시아 조에서 상위 3팀이 진출한다.

16강부터는 기존 방식을 따른다.

4. 대회 상금

총 대회 상금은 2008년 1000만달러에서 2009년 1200만달러로 증가했다.[1] 2016년에는 소폭 증가하여 우승 상금이 150만달러에서 300만달러로 올랐다.[1] 2018년부터는 우승 상금이 300만달러에서 400만달러로 다시 증가했다.[1]

단계내용상금 및 보조금
예선원정 경기 보조4만달러
조별 리그승리 시: 5만달러
무승부 시: 1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x 3
16강참가: 10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8강참가: 15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만달러
4강참가: 25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600만달러
결승우승: 4000만달러
준우승: 2000만달러
원정 경기 보조: 12만달러


5. 역대 우승팀 및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의 전신인 AFC 챔피언스리그의 역대 우승팀과 관련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의 클럽들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총 12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국가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5. 1. 시즌별 우승 구단

0-1BEC 테로 사사나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방콕, 라차망칼라 스타디움2004알이티하드1-3
5-0성남 일화 천마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
성남, 성남종합운동장2005알이티하드1-1
4-2알아인알아인, 타흐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지다,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경기장2006전북 현대 모터스2-0
1-2알카라마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홈스, 칼레드 빈 왈레드 경기장200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2-0세파한이스파한, 풀라드 샤하르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2008감바 오사카3-0
2-0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오사카, 만박 기념 경기장
애들레이드, 하인드마시 스타디움2009포항 스틸러스2-1알이티하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2010성남 일화 천마3-1조브 아한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2011알사드2-2 (a.e.t.)
(4-2 p)전북 현대 모터스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2012울산 현대3-0알아흘리울산, 울산문수축구경기장2013광저우 헝다2-2
1-1 (a)FC 서울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2014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
0-0알힐랄시드니, 패러매타 스타디움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2015광저우 헝다0-0
1-0알아흘리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광저우, 톈허 스포츠 센터2016전북 현대 모터스2-1
1-1알아인전주, 전주월드컵경기장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201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2018가시마 앤틀러스2-0
0-0페르세폴리스가시마,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2019알힐랄1-0
2-0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리야드, 킹 사우드 대학 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2020울산 현대2-1페르세폴리스알와크라, 알자누브 스타디움2021알힐랄2-0포항 스틸러스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2022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1
1-0알힐랄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2023-24알아인1-2
5-1요코하마 F 마리노스요코하마, 닛산 스타디움
알아인,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


5. 2.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알힐랄452019, 20212014, 2017, 202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312007, 2017, 20222019
알아인222003, 2023-242005, 2016
알이티하드212004, 20052009
전북 현대 모터스212006, 20162011
울산 현대202012, 2020
광저우202013, 2015
포항 스틸러스1120092021
성남 FC1120102004
감바 오사카102008
알사드102011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02014
가시마 앤틀러스102018
페르세폴리스022018, 2020
요코하마 F 마리노스012023-24
폴리스 테로012003
알카라마012006
세파한012007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12008
조브 아한012010
알아흘리012012
FC 서울012013
샤바브 알아흘리012015


5. 3.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우승준우승
대한민국127
일본85
사우디아라비아610
이란36
중국중국|듕귁중국어



대한민국은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에서 12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국가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지지 기반인 호남 지역을 연고로 하는 전북 현대 모터스수도권 지역을 연고로 하는 FC 서울, 성남 FC가 모두 우승과 준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6. 시상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에서는 최우수선수(MVP), 득점왕, 페어 플레이 상을 시상한다.

6. 1. 최우수선수(MVP)

AFC 챔피언스리그 최우수선수(MVP)
연도선수클럽
2007나가이 유이치로|나가이 유이치로일본어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일본어
2008엔도 야스히토|엔도 야스히토일본어감바 오사카|감바 오사카일본어
2009노병준포항 스틸러스
2010사샤 오그네노브스키성남 일화 천마
2011이동국전북 현대 모터스
2012이근호울산 현대
2013무리키광저우 헝다
2014안테 코비치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2015히카르두 골라르트광저우 헝다
2016오마르 압둘라흐만알아인
2017가시와기 요스케|가시와기 요스케일본어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일본어
2018스즈키 유마|스즈키 유마일본어가시마 앤틀러스|가시마 앤틀러스일본어
2019바페팀비 고미스알힐랄
2020윤빛가람울산 현대


6. 2. 득점왕

} || 다롄 스더|중국어 || 9

|-

| 2004 || 김도훈 || 성남 일화 천마 || 9

|-

| 2005 || 모하메드 칼론|영어 || 알이티하드 || 6

|-

| 2006 || 마그누 아우베스|pt || 감바 오사카 || 9

|-

| 2007 ||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pt || 성남 일화 천마 || 7

|-

| 2008 || 난따왓 딴소파|th || 끄룽타이은행|th || 9

|-

| 2009 || 레안드루 몬테라 다 시우바|pt || 감바 오사카 || 10

|-

| 2010 || 조제 호베르투 호드리게스 모타|p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9

|-

| 2011 || 이동국 || 전북 현대 모터스 || 9

|-

| 2012 || 히카르두 올리베이라|pt || 알자지라 || 12

|-

| 2013 || 무리키 (축구 선수)|pt || 광저우 헝다 || 13

|-

| 2014 || 아사모아 기안|영어 || 알아인 || 12

|-

| 2015 || 히카르두 골라르트|pt || 광저우 헝다 || 8

|-

| 2016 || 카를루스 아드리아누 지 소우사 크루스|pt || FC 서울 || 13

|-

| 2017 || 오마르 크르빈|ar || 알힐랄 || 10

|-

| 2018 || 바그다드 부네자|ar || 알사드 || 13

|-

| 2019 || 바페팀비 고미스|프랑스어 || 알힐랄 || 11

|-

| 2020 || 압데라자크 함달라|ar || 알나스르 || 7

|}

6. 3. 페어 플레이 상

년도선수클럽
2003{{lang|zh|하오하이둥|}
연도클럽
2008감바 오사카
2009포항 스틸러스
2010성남 일화 천마
2011전북 현대 모터스
2012울산 현대
2013FC 서울
2014알힐랄
2015광저우 헝다
2016알아인
2017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18페르세폴리스
2019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20울산 현대


7. 기록과 통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의 기록과 통계를 설명한다.

2004년 성남 일화 천마페르식 케디리를 상대로 한 경기와 2006년 감바 오사카가 다낭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두 팀 모두 15-0으로 승리하여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큰 점수 차로 승리한 경기로 기록되었다.

7. 1. 개편(2003년) 이후 팀별 4강 이상 성적

2003년 AFC 챔피언스리그 개편 이후 4강 이상 기록한 팀
구단횟수연도
알힐랄72010, 2014, 2015, 2017, 2019, 2021, 2022
알이티하드52004, 2005, 2009, 2011, 2012
전북 현대 모터스52004, 2006, 2011, 2016, 202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52007, 2008, 2017, 2019, 2022
알아인42003, 2005, 2014, 2016
울산 현대42006, 2012, 2020, 2021
성남 FC32004, 2007, 2010
알사드32011, 2018, 2019
FC 서울32013, 2014, 2016
광저우32013, 2015, 2019
페르세폴리스32017, 2018, 2020
파흐타코르22003, 2004
부뇨드코르22008, 2012
감바 오사카22008, 2015
수원 삼성 블루윙즈22011, 2018
알나스르22020, 2021
포항 스틸러스22009, 2021
폴리스 테로12003
다롄 스더12003
선전12005
부산 아이파크12005
카디시야12006
알카라마12006
알와흐다12007
세파한12007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12008
나고야 그램퍼스12009
움살랄12009
조브아한12010
알샤바브12010
알아흘리12012
에스테그랄12013
가시와 레이솔12013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12014
샤바브 알아흘리12015
엘자이시12016
상하이 하이강12017
가시마 앤틀러스12018
비셀 고베12020
알두하일12022


7. 2. 최다 점수차 경기

2004년 성남 일화 천마페르식 케디리를 상대로 한 경기와 2006년 감바 오사카가 다낭을 상대로 한 경기에서 두 팀 모두 15-0으로 승리하여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큰 점수 차로 승리한 경기로 기록되었다.

8. 스폰서

참조

[1] 뉴스 호주 AFC 편입, 아시아에 득보다는 실 https://web.archive.[...] 마이데일리 2014-05-22
[2] 뉴스 11 countries confirmed for new ACL http://www.the-afc.c[...] the-AFC.com 2008-05-20
[3] 웹인용 Criteria for Participation in AFC Club Competitions for 2011–2012 seasons https://web.archive.[...] 2014-05-26
[4] 웹사이트 null http://www.the-afc.c[...] null null
[5] 웹사이트 ACL: East vs West final proposed http://www.the-afc.c[...] ACL 홈페이지 2013-11-25
[6] 뉴스 K리그, ACL 티켓 최대 3.5장으로 줄어들었다. https://web.archive.[...] 베스트일레븐 2014-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