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LBUM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LBUM은 1977년 발매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아라이 유미와 마츠토야 유미 명의의 베스트 앨범이다. 레코드 회사의 요청으로 발매되었으나, 유밍 본인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상업적으로 부진한 성과를 거두었다. 앨범에는 오리지널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1977년의 싱글 곡 4곡이 수록되어 팬들에게는 소중하게 여겨지지만, 판권 문제로 CD로는 발매되지 않아 현재는 폐반 상태이다. 앨범 자켓은 흰색 레이블의 샘플 음반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쓰토야 유미의 음반 - 주욘반메노쓰키
    마쓰토야 유미의 1976년 앨범 '주욘반메노쓰키'는 마쓰토야 마사타카의 프로듀싱으로 풍성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팝, 록,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의 10곡이 수록되어 발매 당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마쓰토야 유미의 음반 - MISSLIM
    1974년 아라이 유미의 두 번째 앨범 MISSLIM은 마츠토야 마사타카, 호소노 하루오미 등 유명 뮤지션들이 참여하고 '태어난 거리에서', '눈을 감고', '상냥함에 감싸인다면', '12월의 비' 등의 대표곡이 수록되었으며, 특히 '상냥함에 감싸인다면'은 《마녀 배달부 키키》의 엔딩곡으로 유명하다.
  • 1977년 음반 - Watermark (아트 가펑클의 음반)
    아트 가펑클의 세 번째 솔로 음반인 Watermark는 지미 웹의 곡들을 주로 수록하고 있으며, 폴 데즈먼드의 마지막 녹음 세션이 담긴 앨범으로, 재발매반에는 "Wonderful World"가 추가되었다.
  • 1977년 음반 - Something Magic
    1977년 발매된 프로콜 하럼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앨범 《Something Magic》은 앨런 카트라이트 탈퇴 후 론과 하워드 앨버트 형제와 함께 마이애미에서 작업했으며, 게리 브루커와 키스 리드가 주도적으로 작사, 작곡에 참여하여 빌보드 200 차트 147위를 기록했고, 2009년 살보에서 리마스터 재발매되었다.
ALBUM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ALBUM
종류베스트 음반
가수마쓰토야 유미
발매일1977년 12월 25일
장르J-POP
레이블EXPRESS
차트 순위주간 12위 (오리콘)
마쓰토야 유미 음반 연대기
이전 음반YUMING BRAND (1976년)
현재 음반ALBUM (1977년)
다음 음반Neue Musik (1998년)
마쓰토야 유미 관련 음반
이전 음반열네 번째 달 (1976년)
현재 음반ALBUM (1977년)
다음 음반홍작 (1978년)

2. 앨범 발매 배경 및 과정

`'''아라이 유미 & 마쓰토야 유미'''`라는 명의로 1977년에 발매된 베스트 앨범이다. 결혼 후 활동이 뜸했던 시기였고, 유밍 본인은 앨범을 낼 생각이 없었지만 음반 회사의 요청으로 이 베스트 앨범을 발매했다.

유밍 본인은 이 앨범 발매에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베스트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오리콘 집계 기준 LP 판매량 5.1만 장, 카세트테이프 판매량 0.9만 장으로 판매가 부진했던 점 등 때문에 훗날 자신의 자서전 『루주의 전언』에서 이 앨범을 `'''최대의 오점'''`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는 샘플 음반을 그대로 사용한 앨범 재킷 디자인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유밍의 기분과는 달리 팬들 사이에서는 이 앨범이 1977년에 발표된 싱글 4곡(다른 정규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음)을 모두 수록한 유일한 앨범으로 귀중하게 다뤄진다. 판권 사정 등으로 인해 CD로 발매되지 않아 지금은 폐반상태지만, 이 때문에 현재 구하기 어려운 싱글들과 더불어 본작의 중고 LP는 상태가 좋으면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다.

과거 알파 레코드 기획으로 여러 베스트 앨범이 나왔지만, 이 앨범은 한때 음반 회사 제작의 비매품 목록이나 공식 사이트의 베스트반 디스코그래피에 게재되는 등 공인 베스트 앨범으로 취급되기도 했다. 하지만 여러 번 삭제와 복구를 거듭하다 2022년 10월 기준으로 현재는 공식 사이트 목록에서 제외된 상태이다.

2. 1. 앨범 디자인

앨범 재킷 디자인은 흰색 레이블의 샘플 음반을 그대로 촬영하여 사용했다. 이는 앨범 발매에 대한 유밍 본인의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재킷에 사용된 샘플 음반은 이 앨범(ALBUM)의 것이 아니라, 이전 앨범인 『14번째 달』의 LP판을 촬영한 것이다. 가사 카드는 독특하게 주사위 놀이 형태로 제작되었다.

3. 수록곡

이 앨범은 아라이 유미 시절과 마츠토야 유미 시절의 곡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정규 앨범에는 실리지 않았던 1977년 발표 싱글 4곡 〈먼 여행길〉, 〈내비게이터〉, 〈바닷바람에 흩어져〉, 〈소등비행〉이 모두 수록되어 소장 가치를 더한다. 각 곡의 상세 정보는 아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Side A


  • '''먼 여행길''' 遠い旅路|토오이 타비지일본어
  • : 싱글 〈먼 여행길〉에서.
  • '''중앙 프리웨이''' 中央フリーウェイ|츄오 후리웨이일본어
  • : 앨범 《14번째 달》에서.
  • '''굿 럭 앤 굿바이''' グッド・ラック・アンド・グッドバイ|굿도 락쿠 안도 굿도바이일본어
  • : 앨범 《14번째 달》에서.
  • '''흐린 하늘''' 曇り空|쿠모리조라일본어
  • : 앨범 《비행기 구름》에서.
  • '''내비게이터''' ナビゲイター|나비게이타일본어
  • : 싱글 〈먼 여행길〉에서.

3. 2. Side B

# '''졸업사진''' 卒業写真|소츠교샤신일본어 : 음반 《COBALT HOUR》 수록.

# '''바다를 보고있던 오후''' 海を見ていた午後|우미오 미테이타 고고일본어 : 음반 《MISSLIM》 수록.

# '''바닷바람에 흩어져''' 潮風にちぎれて|시오카제니 치기레테일본어 : 싱글 〈바닷바람에 흩어져〉 수록.

# '''태어난 거리에서''' 生まれた街で|우마레타 마치데일본어 : 음반 《MISSLIM》 수록.

# '''소등비행''' 消灯飛行|쇼토히코일본어 : 싱글 〈바닷바람에 흩어져〉 수록.

4. 앨범의 의의 및 평가

이 베스트 앨범은 아라이 유미 & 마쓰토야 유미라는 명의로 발매되었다. 1977년, 유밍 본인은 결혼 후 활동이 뜸했던 시기였고 앨범 발매 의사가 없었으나, 레코드 회사의 요청으로 발매하게 되었다. 유밍 자신은 이 앨범에 대해 판매 부진 등을 이유로 훗날 "최대의 오점"이라 평가할 정도로 부정적이었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다른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1977년 발표 싱글 4곡을 모두 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재는 CD로 재발매되지 않아 폐반되었으며, 이러한 희소성 때문에 팬들에게는 귀중한 앨범으로 여겨진다.

4. 1. 상업적 성과와 한계

이 앨범은 아라이 유미 & 마쓰토야 유미라는 명의로 발매된 베스트 앨범이다. 결혼 후 별다른 활동이 없던 1977년, 유밍 본인은 앨범 발매 의사가 없었으나 음반 회사의 요청으로 발매되었다. 본인이 적극적이지 않았던 탓인지, 베스트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오리콘 집계 기준 LP 판매량 5.1만 장, 카세트테이프 0.9만 장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유밍 본인도 훗날 자서전 『루주의 전언』에서 이 앨범을 "최대의 오점"이라고 평가했다. 앨범 재킷 디자인조차 샘플반 LP를 그대로 촬영하여 사용하는 등, 제작에 소극적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팬들 사이에서는 1977년에 발매된 싱글 4곡(오리지널 앨범 미수록곡)을 모두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앨범이라는 점에서 귀중하게 여겨진다. 판권 문제 등으로 CD로 재발매되지 않아 현재는 폐반 상태이며, 이로 인해 상태가 좋은 중고 LP는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공식 사이트의 베스트 앨범 목록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 이는 후에 알파 레코드에서 기획하여 여러 차례 발매된 비공식 베스트 앨범과는 구별된다.

4. 2. 팬들의 평가와 재조명

가수인 마쓰토야 유미(유밍) 본인은 이 앨범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1977년 결혼 이후 활동이 뜸했던 시기에 본인은 앨범 발매 의사가 없었으나, 레코드 회사의 요청으로 마지못해 발매했다. 베스트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오리콘 집계 기준 LP 5.1만 장, 카세트테이프 0.9만 장이라는 부진한 판매 실적 역시 유밍이 훗날 자서전 『루주의 전언』에서 이 앨범을 "최대의 오점"이라고 언급한 이유 중 하나이다. 앨범 재킷 디자인마저 흰색 라벨의 샘플 음반(실제로는 『14번째 달』 LP)을 그대로 촬영해 사용했을 정도로 제작에 소극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유밍의 평가와는 달리, 팬들 사이에서는 이 앨범이 매우 귀중하게 여겨진다.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정규 앨범에는 실리지 않은 1977년 발표 싱글 4곡이 모두 수록된 유일한 앨범이라는 점 때문이다. 판권 문제 등으로 CD로는 재발매되지 않아 현재는 폐반 상태이며, 이러한 희소성은 앨범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후에 알파 레코드 기획으로 여러 베스트 앨범이 나왔지만, 이 앨범은 한때 공식 사이트에도 등재되었던 공인 베스트 앨범으로 취급받기도 했다(2022년 10월 기준 공식 사이트에서는 삭제됨).

발매 당시 판매량은 저조했지만, 현재 구하기 어려운 싱글 곡들이 수록되어 있고 앨범 자체가 희귀해진 이유로 중고 LP 시장에서는 보존 상태가 좋은 앨범이 매우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이 앨범의 희소성과 팬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4. 3. 현재 상황

판권 문제 등으로 인해 CD로 발매되지 않아 현재는 폐반 상태이다. 나중에 알파 레코드 기획으로 여러 베스트 앨범이 나왔지만, 이 앨범은 당시 음반 회사가 제작한 비매품 디스코그래피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었던 공인 베스트 앨범이었다. 공식 웹사이트의 YUMING SOUND LIBRARY 베스트 음반 디스코그래피에도 게재되었으나, 여러 차례 삭제되어 2022년 10월 기준으로는 실려 있지 않다.

발매 당시 판매량이 많지 않았고, 수록된 싱글(EP, CD 싱글 모두) 역시 현재 구하기 어려워진 점 때문에, 이 앨범의 중고 LP는 보존 상태가 좋으면 가격이 매우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5. 참여 음악가

각 오리지널 앨범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