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PS-3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N/SPS-39는 1960년 실용화된 미국 해군의 3차원 대공 레이더이다. AN/SPS-26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S 밴드를 사용하고, 실린더형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한다. 1m² 목표물 기준 최대 280km의 탐지 거리를 가지며, 30km 고도까지 탐지 가능하다. 초기에는 평균 고장 간격이 짧았으나, 개량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해군의 함정에 탑재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은 1963년 도입한 미사일 호위함 아마츠카제에 탑재하여 운용했다. 대부분의 함정에서는 이후 AN/SPS-42 또는 AN/SPS-52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 해상 레이더 - AN/SPY-3
AN/SPY-3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X 대역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 시스템으로, 8~12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며 줌왈트급 구축함과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탑재되어 표적 식별 및 미사일 표적 조명에 사용된다.
AN/SPS-39 | |
---|---|
AN/SPS-39 | |
개요 | |
국가 | 미국 |
도입 연도 | 1960년 |
제조사 | 휴즈 항공 |
수량 | 89대 |
유형 | 3차원 레이다 |
기술적 사양 | |
주파수 | S 대역 |
펄스 반복 빈도 (PRF) | (1) 925 pps (2) 1850 pps |
펄스 폭 | (1) 4마이크로초 (2) 2마이크로초 |
빔 폭 | 2.4 × 3.0도 |
안테나 회전 속도 (RPM) | (1) 5 rpm (2) 15 rpm (3) 11.5 rpm |
안테나 | 실린드리컬 파라볼라 안테나 |
탐지 거리 | (RCS 1㎡의 목표물 대상) |
안테나 직경 | 2.9 m |
방위각 | 전방위 무제한 |
고각 | 48도 |
이득 | 34 dB |
출력 | 1 MW |
빔 폭 | 1.1° × 2.25° |
2. 개발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3차원 레이더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다중 빔 방식의 AN/SPS-2가 개발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시제품 제작에 그쳤다. 휴즈사의 야로우(Yarow)가 개발한 주파수 주사(FRESCAN) 방식은 전파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빔을 조향하는 혁신적인 기술이었다.[1]
AN/SPS-39는 AN/SPS-26과 유사하게 세로로 긴 실린더형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했다. AN/SPS-26은 전자적으로 안정화되었지만, AN/SPS-39는 높은 고도에서 레이다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계적 안정화 메커니즘을 도입했다. 이후에는 이동하는 목표물을 탐지하는 MTI(Moving Target Indication) 기술도 채택되었다.[2]
FRESCAN 방식을 수직 주사에, 안테나 회전 방식을 수평 주사에 적용한 실험용 레이다 AN/SPS-26이 제작되었다. 1953년 육상 시험, 1957년 8월 노퍽에서 해상 시험을 거쳐, 1960년 1월 신뢰성이 향상된 AN/SPS-39가 실용화되어 해군에 인도되었다.[4][5]
3. 설계
평균 고장 간격(MTBF)은 1960년부터 1962년까지 시험에서 14.2시간에 불과했지만, 개선을 거쳐 시리즈 III에서는 샘슨 탑재기에서 43.2시간, USS 갤버스턴 탑재기에서 67.4시간으로 향상되었다.[2]
이후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NTDS)과 인터페이스를 도입한 AN/SPS-42와 더욱 개선된 AN/SPS-52가 개발되었다. 1963년에 배치된 AN/SPS-39 시리즈 III는 AN/SPS-52와 동일한 유형의 플래너 어레이 안테나를 채용하여 외관상 AN/SPS-52와 구별하기 어렵다.
3. 1. 레이다 성능
AN/SPS-39 레이다는 S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며, 안테나 직경은 2.9m이다. RCS 크기에 따른 탐지 거리는 다음과 같다.[1]
탐지 거리 | RCS 크기 |
---|---|
280km | 1m² |
370km | 5m² |
460km | 10m² |
3. 2. 레이다 모드
AN/SPS-39 레이다는 세 가지 모드로 작동한다.- 높은 데이터 속도 모드: 근접한 목표물을 탐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분당 15회(15rpm) 회전하며, 탐지 거리는 60nmi이고, 펄스폭은 2.5µs이다.
- 고각 모드: 높은 고도의 목표물을 탐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분당 7.5회(7.5rpm) 회전하며, 탐지 거리는 160nmi이고, 펄스폭은 4.6µs이다.
- 원거리 모드: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탐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분당 7.5회(7.5rpm) 회전하며, 탐지 거리는 245nmi이고, 펄스폭은 10µs이다.
4. 탑재 함정
국가 | 함정 |
---|---|
United States영어| 키티호크급 항공모함, 타로스 탑재함(갤버스턴급 미사일 순양함, 올버니급 미사일 순양함), 테리어 탑재함(파라갓급 (쿤츠급) 미사일 구축함, 보스턴급 미사일 순양함, 프로비던스급 미사일 순양함, 리히급 미사일 순양함,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베인브리지), 타터 탑재함(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 블루크급 미사일 프리깃, 존 폴 존스급 미사일 구축함, 미처급 구축함) | |
Australia영어| 퍼스급 구축함 | |
Deutschlandde| 뤼첸스급 구축함 | |
France프랑스어| 쉬르쿠프급 구축함 방공형 개장함 | |
Italiait| 안드레아 도리아급 순양함, 순양함 비토리오 베네토, 순양함 주세페 가리발디, 임파비도급 구축함 | |
Japan일본어| 미사일 호위함 아마츠카제 | |
Netherlandsnl| 순양함 데 제벤 프로빈센 |
참조
[1]
서적
Naval Radar
Naval Institute Press
[2]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 systems 1997-1998
Naval Institute Press
[3]
간행물
艦載レーダー発達の歴史 (特集 最近の艦載レーダー)
海人社
[4]
서적
Naval Radar
Naval Institute Press
[5]
간행물
艦載レーダーの歩み
海人社
[6]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 systems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