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ljazeera.co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ljazeera.com은 2011년 4월 이전까지 알 자지라 위성 방송, 사우디아라비아 신문사와 무관한 잡지 영어판 웹사이트였다. 2005년 알 자지라 방송사는 해당 도메인을 취득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Aljazeera.com은 자신들이 다른 알 자지라 관련 단체들과 무관함을 공지했다. 2004년 김선일 납치 사건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 웹사이트를 방송사로 착각하여 혼란이 있었으며, 언론에서도 오보가 발생했다. 2011년 4월부터 Aljazeera.com은 알 자지라 방송사의 영어판 웹사이트로 연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자지라 - 알자지라 잉글리시
    알자지라 잉글리시는 2006년 개국한 국제 뉴스 채널로, 자체 수사팀을 통해 글로벌 이슈를 보도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지만, 방송 금지 및 반미 편향 의혹 등의 논란도 있었다.
  • 방송 웹사이트 - BBC 온라인
    BBC 온라인은 영국 방송 협회(BBC)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로, 뉴스, 스포츠, 날씨, iPlayer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여러 차례 브랜드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 방송 웹사이트 - TV.com
    TV.com은 CNET이 시작하여 TV 프로그램 정보, 에피소드 상세 정보, 사진, 비디오 등을 제공하고 사용자 참여를 통해 콘텐츠를 생성했으나, 2021년 6월 28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Aljazeera.com
기본 정보
알 자지라 아랍어 로고
알 자지라 아랍어 로고
유형주식회사
산업뉴스 방송
설립1996년 11월 1일
창립자하마드 빈 칼리파 알사니
본사카타르 도하
중요 인물하마드 빈 자심 알사니 (회장)
모스타파 소우아그 (총괄 이사)
모회사알 자지라 미디어 네트워크
웹사이트
웹사이트알 자지라
알 자지라 채널
주요 채널알 자지라 아랍어
알 자지라 영어
알 자지라 무바셰르
알 자지라 도큐멘터리
이전 채널알 자지라 미국
알 자지라 발칸
알 자지라 터크

2. 도메인 소유권 분쟁

2004년 故 김선일 씨 납치 사건 때,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Aljazeera.com을 방송사 웹사이트로 착각하고 구명 호소문을 올리는 일이 있었다. 중앙일보,[3] 오마이뉴스,[4] KBS[5] 등 언론사들도 같은 실수를 저질렀다가 정정 보도나 사과문을 올리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2011년 4월부터 Aljazeera.com은 방송사의 영어판 웹사이트로 연결되기 시작했다. 소유권 이전 당시 이 주소를 입력하면 "도하로 옮기는 중"(Moving to Doha)[7]이라는 간단한 페이지가 나타났으며, 양사 간의 계약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2. 1. 분쟁 초기

2011년 3월 이전에는 Aljazeera'''.com'''은 동명의 위성 방송이나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신문사와는 무관한 '알 자지라' 잡지의 영어판 웹사이트였다. 방송사는 Aljazeera'''.net'''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었다.

2005년 방송사에서 .com 도메인을 취득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다.[1]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 중재·조정 센터(Arbitration and Mediation Center)의 행정 패널 결정문에서는 출판사가 도메인을 구입한 시점 이후에 동명의 방송사가 설립되었기 때문에 출판사가 악의적인 의도로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다는 방송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사건 이후 Aljazeera.com의 소개(About) 문서에는 다음과 같은 공지가 있었다.

2. 2.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 (WIPO) 판결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중재·조정 센터는 2005년 알 자지라 방송사가 제기한 도메인 소유권 분쟁에서, 알 자지라 방송사보다 먼저 'Aljazeera.com' 도메인을 '알 자지라' 잡지사가 구입했기 때문에 잡지사가 악의적인 의도로 도메인을 소유하고 있다는 방송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기각했다.[1]

2. 3. Aljazeera.com의 입장

2011년 3월 이전에는 Aljazeera'''.com'''은 동명의 위성 방송이나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신문사와는 무관한 '알 자지라' 잡지의 영어판 웹사이트였다. 방송사는 Aljazeera'''.net'''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었다.[1]

이 사건 이후 Aljazeera.com의 소개(About) 문서에는 다음과 같은 공지가 있었다.

다른 나라에서도 종종 .com에 실린 내용이 방송사의 의견으로 잘못 소개되는 일이 있었다. 2006년 영국타임스(The Times)는 .com 사이트에 올라온 내용을 보고 방송사를 비난했다가 다음날 사과했다.[6] 잡지의 논조는 방송사와 확실하게 다른데, 전자(잡지)가 후자(방송사)와 비교하면 미국이스라엘의 대외 정책에 많이 비판적이다.

3. 대한민국에서의 혼란

2004년 故 김선일 씨 피랍 사건 당시, Aljazeera.com 도메인이 알자지라 방송사 웹사이트로 오인되어 혼란이 발생했다. 많은 네티즌이 .com을 방송사 웹사이트로 착각해 구명 호소문을 올렸고, 중앙일보, 오마이뉴스, KBS 등 언론사들도 같은 실수를 저질렀다.[3][4][5]

이는 Aljazeera.com이 알자지라 방송사와 무관한 '알 자지라' 잡지의 영어판 웹사이트였기 때문이다. 당시 알자지라 방송사는 Aljazeera.net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었다.

3. 1. 네티즌들의 오인

2004년 故 김선일 씨 납치 사건 당시, 대한민국의 많은 네티즌들이 Aljazeera.com을 알자지라 방송사 웹사이트로 착각하고 해당 사이트에 김선일 씨 구명 호소문을 올리는 일이 있었다. 중앙일보는 2004년 6월 22일 자 3면에 .com 사이트의 스크린샷을 방송사 웹사이트로 잘못 소개하여 다음날 정정했고,[3] 오마이뉴스도 '알 자지라 유럽·북미판 홈페이지'(www.aljazeera.com)에 한국 네티즌들이 김선일 씨의 무사귀환을 촉구하는 글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가 나중에 정정 기사를 올렸다.[4] KBS 역시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잘못 방송했다가 사과문을 올렸다.[5]

3. 2. 언론 오보 사태

2004년 故 김선일 씨 납치 사건 당시, 많은 한국 네티즌들이 Aljazeera.com을 알자지라 방송사 웹사이트로 오인하여 구명 호소문을 올리는 일이 있었다. 이와중에 중앙일보는 2004년 6월 22일 자 3면에 Aljazeera.com 사이트의 스크린샷을 방송사 웹사이트로 잘못 소개하여 다음 날 정정 보도를 하였다.[3] 오마이뉴스 또한 '알 자지라 유럽·북미판 홈페이지'(www.aljazeera.com)에 한국 네티즌들이 김선일 씨의 무사귀환을 촉구하는 글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가 이후 정정 기사를 게재했다.[4] KBS 역시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잘못 방송했다가 사과문을 올렸다.[5]

이는 언론사들이 Aljazeera.com과 Aljazeera.net을 혼동하여 발생한 오보 사태였다. Aljazeera.com은 알자지라 잡지의 영어판 웹사이트였고, 실제 방송사는 Aljazeera.net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일보와 같은 보수 언론이 충분한 확인 절차 없이 보도한 것은 비판받을 소지가 있다.

4. 도메인 소유권 이전

2011년 4월부터 Aljazeera.com 주소는 알자지라 방송사의 영어판 웹사이트로 연결되기 시작했다. 소유권 이전 당시 이 주소를 입력하면 "도하로 옮기는 중"(Moving to Doha)[7]이라는 내용의 간단한 페이지가 나타났으며, 양사 간의 계약 내용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인용 Jazeera Space Channel TV Station v. AJ Publishing aka Aljazeera Publishing http://www.wipo.int/[...] WIPO 2005-07-19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2.aljazeer[...] 2013-03-19
[3] 뉴스 알자지라 인터넷 주소 혼선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6-04-23
[4] 뉴스 <알 자지라 닷컴>과 위성TV <알 자지라>는 다른 회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6-22
[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kbs.co.k[...] 2013-03-19
[6] 뉴스 Times apologises to al-Jazeera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6-02-16
[7] 문서 방송사 알 자지라 본사는 [[카타르]]의 수도 도하에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