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AF 챔피언스리그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1964년 아프리카 챔피언 클럽컵으로 시작하여 1997년 현재의 형태로 개편되었다. 각국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하며,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린다. 이집트 클럽들이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챔피언스리그는 아프리카 클럽 축구의 최고 권위 대회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AF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CAF 컨페더레이션컵
CAF 컨페더레이션컵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이 주관하는 아프리카 클럽 대항전으로, 아프리칸 컵위너스컵과 CAF컵을 통합하여 2004년에 창설되었으며, CAF 챔피언스 리그 다음으로 규모가 크고 우승 팀은 CAF 슈퍼컵에 출전한다. - CAF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CAF 슈퍼컵
CAF 슈퍼컵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축구 대회로, 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과 CAF 컨페더레이션컵 우승팀이 단판 승부로 우승을 가리며, 알아흘리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FIFA 클럽 월드컵 - OFC 챔피언스리그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오세아니아 지역 최강 클럽을 가리고 우승팀은 FIFA 클럽 월드컵에 진출하며, 2007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FIFA 클럽 월드컵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최상위 클럽들이 참가하는 연례 축구 대회이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의 통합으로 시작되어 UEFA 챔피언스리그를 벤치마킹하여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CAF 챔피언스리그 | |
---|---|
기본 정보 | |
![]() | |
주최 | CAF |
창립 | 1964년 |
재편 | 1997년 |
참가 팀 수 | 16 (조별 리그) |
전체 참가 팀 수 | 68 (56개 협회) |
다음 대회 진출 자격 | CAF 슈퍼컵 FIFA 클럽 월드컵 FIFA 인터컨티넨털컵 |
관련 대회 | CAF 컨페더레이션컵 |
최근 우승팀 | 알 아흘리 (12번째 우승) |
최다 우승팀 | 알 아흘리 }} |
방송사 | 방송사 목록 |
공식 웹사이트 | CAF 챔피언스리그 공식 웹사이트 |
후원사 | |
스폰서 | CAF 스폰서 목록 |
2. 역사
CAF 챔피언스리그는 1997년에 창설되었으며, 그 전신은 1964년부터 1996년까지 존재했던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African Cup of Champions Clubs)이다.[70] 1996년까지는 "아프리카 챔피언스컵"이라는 명칭으로 대회가 진행되었다.
대회에는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의 국내 리그 우승 팀들과 전년도 대회 우승 팀이 참가한다. 2004년 대회부터는 CAF 소속 국가 중 상위 12개국의 리그 준우승 팀도 참가하여 총 64개 팀이 경쟁하게 되었다. 이는 CAF컵과 아프리칸 컵위너스컵이 통합되어 CAF 컨페더레이션컵으로 변경되면서 나타난 변화이다. 상위 12개 팀은 지난 5년간의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챔피언스리그는 예선전, 1회전(32개 팀), 2회전(16개 팀)의 3단계 토너먼트를 거쳐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2회전에서 탈락한 8개 팀은 CAF 컨페더레이션컵에 참가하고, 2회전에서 승리한 8개 팀은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다. 각 조 1, 2위 팀은 준결승전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툰다. 우승팀에게는 400만달러가 상금으로 주어지며,[65] FIFA 클럽 월드컵과 CAF 슈퍼컵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2. 1.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 (1964년 ~ 1996년)
1964년부터 1996년까지 존속했던 '''아프리칸 챔피언스 클럽컵'''(African Cup of Champions Clubs)은 현재 CAF 챔피언스리그의 전신이다.[70]1964년 '''아프리카 챔피언 클럽컵'''으로 창설된 이 대회의 초대 우승팀은 카메룬의 오릭스 두알라로, 단판 결승에서 말리의 스타드 말리앙을 2-1로 꺾었다.[2]
1966년에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차전 결승이 도입되었고, 말리의 AS 레알 바마코가 코트디부아르의 스타드 아비장과 맞붙었다. 레알 바마코는 홈 경기에서 3-1로 승리했지만, 아비장에서의 원정 경기에서 1-4로 패하며 합산 점수 4-5로 우승을 놓쳤다.[3]
1967년, 가나의 아산테 코토코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TP 마젬베가 결승에서 만났을 때, 두 경기 모두 무승부(1-1, 2-2)로 끝났다. CAF는 재경기를 주선했지만, 코토코가 나타나지 않아[4] 마젬베에게 우승컵이 돌아갔고, 마젬베는 이듬해에도 우승을 차지했다.[5]
1970년, 코토코와 마젬베는 다시 결승에서 만났다. 첫 경기는 다시 1-1로 끝났지만, 가나 팀은 원정 경기에서 2-1로 승리하며 3년 전에 놓쳤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6]
1970년대는 카메룬 클럽 축구의 눈부신 성장을 보였으며, 이는 오늘날 카메룬 축구가 국제적인 수준에서 성공을 거두는 발판이 되었다.
1971년부터 1980년까지 카메룬 팀은 4번이나 우승컵을 들어올렸는데, 캐논 야운데가 3번(1971년[7], 1978년[8] 및 1980년[9]) 우승했고, US 두알라가 1979년에 우승했다. 이 카메룬의 승리 사이에는 기니의 하피아 코나크리가 3번(1972년[10], 1975년[11] 및 1977년[12]) 우승했다.
1996년까지 "아프리카 챔피언스컵"이라는 명칭이었다.
2. 2. CAF 챔피언스리그 (1997년 ~ 현재)
1997년, CAF는 이사 하야투의 주도로 UEFA 챔피언스리그를 본따 대회를 개편했다. 대회 명칭을 '''CAF 챔피언스리그'''로 변경하고, 조별 리그 방식을 도입했다. 또한, 우승팀에게 100만달러, 준우승팀에게 75만달러의 상금을 지급하여 아프리카 클럽 대항전 중 가장 상금이 큰 대회가 되었다.새로운 형식에서 각국 리그 챔피언들은 예선 라운드를 거쳐 16강에 진출한다. 16강전 승리 8개 팀은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팀은 결승전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우승컵을 다툰다. 2001 시즌부터는 조별 리그 후 준결승전이 도입되어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전을 치르고, 승리 팀이 결승전에 진출한다.
2009 시즌부터 우승 상금은 150만달러, 준우승 상금은 100만달러로 인상되었다. 1997년 개편 이후 북아프리카 팀들이 강세를 보였다. 라자 카사블랑카(모로코)가 초반 3번의 대회 중 2번 우승했지만,[13] 알 아흘리(이집트)가 2001,[14] 2005,[15] 2006,[16] 2008[17] 및 2012[18] 대회를 우승하며 최강팀으로 떠올랐다. 자말레크(이집트)도 2002년에 우승했다.[19] 튀니지의 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은 2007 대회에서 우승했고,[20] 에스페랑스 드 튀니스는 2011년에 우승했다.[21]
북아프리카 팀들의 강세 속에서도 나이지리아의 엔임바가 2003과[22] 2004년[23]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코트디부아르의 아세크 미모사와 가나의 아크라 하츠 오브 오크도 서아프리카에 우승컵을 안겼다. 2010년에는 TP 마젬베(콩고 민주 공화국)가 2009년과[26] 2010년[27] 대회에서 연속 우승하며 1967년과 1968년 이후 처음으로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2017년에는 조별 리그 참가 팀이 4팀 2개 조에서 16팀 4개 조로 확대되었고, 8강전이 추가되었다.[28][29][30]
2020-21 시즌은 아프리카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무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 알 아흘리는 라이벌 자말레크와의 결승전에서 승리하며[31] 9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2] 알 아흘리는 다음 시즌에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카이저 치프스를 꺾고[33] 10번째 우승을 달성했지만, 2022년에는 모로코의 위다드 AC에게 패하며[34] 3연속 우승에는 실패했다. 2년 만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결승전이 부활한 2022-23 시즌에 알 아흘리는 결승전에서 위다드를 꺾고[35] 11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4년에는 튀니지의 에스페랑스를 꺾고[36] 12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5년 만에 두 번째로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2023-24 시즌에 아프리카 풋볼 리그가 도입되었지만, CAF는 챔피언스 리그를 유지할 계획이다.[37]
3. 진행 방식
CAF 챔피언스리그는 예선전, 1회전(32개 팀), 2회전(16개 팀)으로 구성된 녹아웃 토너먼트와 조별 리그 형태로 진행된다. 2회전에서 탈락한 8개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의 탈락 팀이 UEFA 유로파리그에 나가는 것처럼 CAF 컨페더레이션컵에 참가한다.[70] 2회전에서 승리한 8개 팀은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며, 각 조 1, 2위 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한다.
2004 시즌부터 CAF컵과 아프리카 컵 위너스 컵을 통합하여 CAF 컨페더레이션컵을 창설하면서, 상위 12개 국가의 리그 준우승팀도 참가하여 총 64개 팀이 경쟁한다.[39]
대회는 예선 라운드, 조별 리그, 2차전 녹아웃 스테이지, 단판 결승전으로 구성된다. 예선 자격을 얻은 64개 팀은 예비 라운드와 1라운드의 두 라운드 예선에 참가한다. 1차 예선 후 남은 팀들은 4개 팀씩 4개 조로 나뉘며, 1라운드에서 패배한 팀들은 CAF 컨페더레이션컵 2차 예선 라운드로 이동한다. 각 조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2차전 녹아웃 스테이지를 거쳐 단판 결승전에서 우승컵을 다툰다.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예비 예선·예선 1회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경기. 16개 팀이 조별 리그 진출.
- '''조별 리그''': 16개 팀을 4팀씩 4개 조로 나눈 홈 앤드 어웨이 방식.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진출.
- '''8강·준결승''': 홈 앤드 어웨이 방식.
- '''결승''': 중립 지역 단판 승부.
4. 역대 결과
2차전: 4-1
2차전: 2-2
2차전: 1-4
2차전: 3-1
2차전: 3-1
2차전: 2-0
플레이오프: 1-0
2차전: 3-2
2차전: 3-0
2차전: 2-1
2차전: 2-1
2차전: 3-0
승부차기: 3-0
2차전: 1-0
2차전: 2-0
2차전: 0-1
승부차기: 5-3
2차전: 3-0
2차전: 1-0
2차전: 1-1
2차전: 1-0
2차전: 1-0
2차전: 1-1
2차전: 0-2
승부차기: 4-2
2차전: 2-0
2차전: 4-0
2차전: 0-1
승부차기: 4-2
2차전: 0-1
승부차기: 5-3
2차전: 1-1
2차전: 0-0
2차전: 0-0
승부차기: 7-6
2차전: 3-1
2차전: 1-0
2차전: 2-1
승부차기: 5-4
2차전: 1-0
승부차기: 5-4
2차전: 0-0
2차전: 0-0
승부차기: 4-3
2차전: 3-1
2차전: 3-0
2차전: 1-0
2차전: 0-1
2차전: 2-1
승부차기: 5-3
2차전: 3-0
2차전: 1-0
2차전: 3-1
2차전: 2-2
2차전: 1-0
2차전: 1-1
2차전: 1-0
2차전: 2-1
2차전: 2-0
2차전: 1-1
(원정 다득점)
2차전: 2-0
2차전: 0-1
2차전: 1-0
2차전: 3-0
2차전: 1-0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