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T-02D 어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HT-02D 어뢰는 2000년 이후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어뢰로, 7.3m 길이, 53cm 직경, 250kg의 폭약을 사용하며, 음향 감응식 직주 어뢰 방식으로 15km의 사거리를 갖는다.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하여 어뢰 추진부 증거의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합동조사단은 CHT-02D 어뢰 설계도와 실제 어뢰가 다르다는 점을 발표했다. 또한, 어뢰에 쓰인 '1번' 글씨의 잉크 성분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해군 - 대제독
대제독은 여러 국가 해군의 최고 계급 중 하나로, 국가별 역사, 임명 기준, 역할이 다양하며, 독일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대중 문화 속 픽션 작품에도 등장한다. - 무기 - 탄약
탄약은 발사 무기에서 발사되는 발사체와 추진제를 포함하는 모든 물질을 지칭하며, 신관, 추진제, 탄피, 발사체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소화기용 탄약, 포탄, 미사일 등 종류가 다양하며 안전한 저장과 취급이 필수적이다. - 무기 - 지뢰
지뢰는 사람이나 차량의 존재, 근접, 접촉으로 폭발하도록 설치된 탄약으로, 대인용과 대전차용으로 나뉘며 다양한 폭발 방식을 가지고 있고,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민간인 피해로 국제적 논란이 되어 오타와 조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CHT-02D 어뢰 | |
---|---|
개요 | |
종류 | 대함 어뢰 |
개발 국가 | 북한 |
사용 국가 | 북한 |
파생형 | 청상어 |
제원 | |
무게 | 1.7톤 |
길이 | 7.3m |
지름 | 533mm |
성능 | |
사거리 | 8~10km |
속도 | 35~40kts (65~74km/h) |
탄두 | 250kg |
특징 | |
유도 방식 | 수동 음향 호밍 웨이크 호밍 |
플랫폼 | 잠수함 어뢰정 |
2. 제원
항목 | 제원 |
---|---|
길이 | 7.3m |
직경 | 53cm |
폭약 | 250kg |
중량 | 1700kg |
방식 | 음향 감응식 직주 어뢰 |
사거리 | 15km |
추진 | 전동식 |
2010년 3월 27일 지질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는 TNT 180kg이라고 밝혔으며, 3월 30일에는 수면 10m 지점에서 폭발하여 260kg이라고 밝혔다.[6] 5월 20일 공식발표에서는 수심 6~9m라고 제시를 하였다.
2. 1. 폭발력 관련 논란
국방부는 CHT-02D 어뢰가 1980년대 중동이나 중남미 수출용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지만, SBS 기사는 오보이며 1980년대 중국, 러시아의 어뢰 기술과 비교했을 때 북한의 기술로는 만들 수 없다고 밝혔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2000년 이후로 추정된다.[5]2010년 3월 27일 지질연구소는 TNT 180kg에 해당한다고 발표했으며, 3월 30일에는 수면 10m 지점에서 폭발하여 260kg에 해당한다고 밝혔다.[6] 5월 20일 공식 발표에서는 수심 6~9m에서 폭발했다고 발표했다.
CHT-02D 어뢰의 폭약량은 고성능 폭약 250kg을 의미하며, 실제 TNT 폭발량을 계산할 때는 구성 성분에 따라 RE 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3. 천안함 침몰 사건 관련 논란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하여 CHT-02D 어뢰를 둘러싼 여러 논란이 있었다. 이러한 논란은 크게 증거 조작 의혹과 '1번' 글씨에 대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3. 1. 증거 조작 의혹
2010년 5월 22일, 영국의 프리랜서 작가인 스콧 크레이튼(Scott Creighton)은 결정적인 증거인 어뢰 추진부가 조작되었고, 독일제 어뢰라고 주장하여 인터넷을 중심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설계도의 어뢰와 공개된 어뢰가 일치한다고 답변하였다.[7][8][9]2010년 6월 29일, 합동조사단은 2010년 5월 20일 발표에서 증거물로 제시한 CHT-02D 어뢰의 설계도가 CHT-02D의 설계도가 아니라 실제로는 이와 다른 별개의 북한 중어뢰인 PT-97W 어뢰의 설계도였다고 밝혔다. 이전 5월 20일에 발표한 CHT-02D 어뢰의 도면은 총 3종류였으며, 이 중 1종, 실물 크기로 제작된 수 미터 길이의 도면이 잘못 발표되었다. 또한, 어뢰에 쓰여진 ‘1번’이라는 글자는 솔벤트 블루5 성분을 사용한 청색 유성 매직이며, 솔벤트 계열은 잉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라고 밝혔다.[10][11] 국방부는 2010년 9월 13일 발표된 천안함 최종 보고서를 통해 잉크 제조국의 식별이 불가능하다고 발표하였다.[12]
3. 2. '1번' 글씨 논란
2010년 5월 22일 영국의 프리랜서 라이터인 스콧 크레이튼(Scott Creighton)은 어뢰 추진부 증거가 날조되었고, 독일제 어뢰라고 주장하여 인터넷을 중심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에 대하여 국방부는 설계도의 어뢰와 공개된 어뢰는 일치한다고 답변하였다.[7][8][9]2010년 6월 29일 합동조사단은 2010년 5월 20일 발표에서 증거물로 제시한 CHT-02D 어뢰의 설계도가 CHT-02D의 설계도가 아니라 실제론 이와 다른 별개의 북한 중어뢰인 PT-97W 어뢰의 설계도였다고 밝혔다. 이전 5월 20일 발표한 CHT-02D 어뢰의 도면은 총 3종류였으며, 이중 1종, 실물크기로 제작된 수미터 길이의 도면이 잘못 발표되었다. 또한, 어뢰에 쓰여진 ‘1번’이라는 글자는 솔벤트 블루5 성분을 사용한 청색 유성 매직이며, 솔벤트 계열은 잉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라고 밝혔다.[10][11] 국방부는 9월 13일 발표된 천안함 최종 보고서를 통해 잉크 제조국의 식별이 불가능하다고 발표하였다.[12]
참조
[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hankooki[...]
2011-04-04
[2]
뉴스
北 어뢰피격 천안함 침몰…軍 발표와 의문점들
http://media.daum.ne[...]
노컷뉴스
2010-05-20
[3]
뉴스
北 어뢰피격 천안함 침몰…軍 발표와 의문점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5-19
[4]
뉴스
합조단, “천안함, 북측 CHT-02D어뢰에 의해 침몰” 결론(2보)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정치
2010-05-20
[5]
뉴스
Daum 미디어다음 - 뉴스
http://tvnews.media.[...]
[6]
뉴스
지질연, 폭발력 규모 고무줄…180kg→ 260kg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0-09-10
[7]
웹인용
German Made Torpedo Sunk South Korean Cheonan « American Everyman
http://willyloman.wo[...]
2010-09-10
[8]
웹인용
The Sinking of the Cheonan: We Are Being Lied To « American Everyman
http://willyloman.wo[...]
2010-09-10
[9]
뉴스
어뢰 설계도-파편 일치안해` 영국인 주장 `일축
https://archive.toda[...]
머니투데이
2010-05-28
[10]
뉴스
북 어뢰, 엉뚱한 설계도 발표했다
http://hani.co.kr/ar[...]
한겨레신문
2010-06-29
[11]
뉴스
합조단 "`1번' 잉크서 솔벤트블루5 성분 검출"
http://news.chosun.c[...]
연합뉴스
2010-06-29
[12]
뉴스
의문 씻지 못한 ‘천안함 최종보고서’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10-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