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 Road Blue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ross Road Blues"는 로버트 존슨이 1936년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녹음한 곡이다. 이 곡은 교차로에서 차를 잡지 못하는 상황을 묘사하거나, 사탄과의 거래를 암시한다는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사회적 논평이나 개인적 고독을 표현한다는 분석도 있다. 이 곡은 1937년 싱글로 발매되었고, 엘모어 제임스, 에릭 클랩튼과 크림(Cream) 등 여러 아티스트에 의해 재해석되었다. 1986년 블루스 재단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1998년 그래미 명예의 전당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소에 관한 노래 - Y.M.C.A. (노래)
Y.M.C.A.는 1978년 빌리지 피플이 발표한 디스코 곡으로, YMCA의 숙박 시설을 소재로 하여 빌보드 차트 2위를 기록했으며,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되고 국립 녹음 보존소에 추가되었으며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장소에 관한 노래 - Why Don't We Do It in the Road?
"Why Don't We Do It in the Road?"는 폴 매카트니가 작곡하고 비틀즈의 1968년 앨범 《The Beatles》에 수록된 곡으로, 성에 대한 솔직한 묘사가 특징이며 폴 매카트니가 주도적으로 녹음했다.
Cross Road Blue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노래 정보 | |
제목 | Cross Road Blues (크로스 로드 블루스) |
가수 | 로버트 존슨 |
발매일 | 1937년 5월 |
녹음일 | 1936년 11월 27일 |
장르 | 블루스 |
길이 | 2분 39초 |
레이블 | 보컬리온 |
작곡가 | 로버트 존슨 |
프로듀서 | 돈 로 |
![]() | |
녹음 장소 | 건터 호텔, 샌안토니오, 텍사스 |
2. 녹음
1936년 10월, 로버트 존슨은 미시시피주 잭슨에서 음반사 스카우트 H. C. 스피어의 오디션을 보았다. 스피어는 존슨을 아메리칸 레코드 코퍼레이션(ARC)의 어니 오어틀에게 추천했고, 두 번째 오디션 후 오어틀은 존슨이 샌안토니오에서 녹음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 존슨은 1936년 11월 23일부터 27일까지 3일 동안 ARC를 위해 22곡을 녹음했는데, 첫 번째 세션에서는 "테라플레인 블루스", "스위트 홈 시카고", "아 빌리브 아일 더스트 마이 브룸" 등 상업적으로 성공할 만한 곡들을 녹음했다.
이틀 후 샌안토니오에서 재개된 두 번째 및 세 번째 녹음 세션에서 존슨은 찰리 패튼과 손 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컨트리 블루스 스타일의 곡들을 녹음했다. "Cross Road Blues"는 이 중 세 번째 세션인 1936년 11월 27일 금요일에 녹음되었다.
2. 1. 녹음 과정
존슨은 1936년 11월 27일 금요일, 샌안토니오에서 세 번째 녹음 세션을 가졌다. 녹음은 건터 호텔(Gunter Hotel) 414호에서 즉석 스튜디오 형태로 진행되었다. 아메리칸 레코드 코퍼레이션(ARC Records)의 프로듀서 돈 로(Don Law)가 녹음을 감독했다. 이 곡의 비슷한 두 개의 테이크가 녹음되었다.3. 가사와 해석
"Cross Road Blues"는 로버트 존슨이 교차로에서 차를 얻어 타려다 실패한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11] 이 노래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초자연적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12]
노래에서 존슨은 교차로에 무릎 꿇고 신에게 자비를 구한다. 이어 차를 잡으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해가 지면서 고립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표현한다. 그리고 친구 윌리 브라운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려달라고 부탁한다.[13][14][15] 싱글로 발매된 버전에는 여자가 없어 고통스럽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16]
3. 1. 다양한 해석
"Cross Road Blues"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악마와의 거래: 로버트 존슨이 교차로에서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음악적 재능을 얻었다는 전설은 이 노래 가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1] 하지만 가사에는 악마나 파우스트적 거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2][3][4] 존슨은 악마를 주제로 한 "Hellhound on My Trail", "Me and the Devil Blues" 등을 녹음하기도 했다.[5][6]
4. 구성
"Cross Road Blues"는 1936년 11월 27일 금요일, 로버트 존슨이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의 건터 호텔 414호에서 녹음한 곡이다. 돈 로(Don Law)가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두 개의 테이크가 녹음되었다.[1]
이 곡은 존슨의 델타 블루스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곡으로, 손 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슬라이드 기타 연주가 돋보인다. 존슨은 "블루스 하프 스타일" 기타 연주를 선보이는데, 이는 낮은 현에서 타악기적인 액센트를 사용하며 다양한 코드 보이싱과 필을 탐구하는 방식이다.[2]
12마디 블루스 형식을 따르지만, 벌스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고 화성 진행이 명확하지 않은 등 독특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4. 1. 음악적 특징
"Cross Road Blues"는 존슨의 델타 블루스 뿌리를 반영하며, 1932년부터 그의 레퍼토리에 포함되었을 수 있다.[1] 이 곡은 그의 멘토인 손 하우스의 스타일, 특히 슬라이드 기타 기술을 보여주는 첫 번째 녹음이다.[2] 음악 역사가 에드워드 코마라는 Leroy Carr와 Scrapper Blackwell (1929)의 "Straight Alky Blues"의 일부와 Roosevelt Sykes가 이후 "Black River Blues" (1930)로 각색한 것을 멜로디적 선례로 꼽는다.[3] 존슨은 이들의 느긋한 도시적 접근 방식에 더 강렬한 시골적 접근 방식을 불어넣었다.[4]코마라는 존슨의 기타 연주를 "블루스 하프 스타일"이라고 칭한다.[5] 이는 존슨의 핑거스타일 기타 "피아노 스타일"과 대조되는데, 이 스타일은 낮은 현에서 부기우기 스타일의 반주를 사용하면서 높은 현에서 멜로디와 하모니를 통합한다.[6] 하프 스타일 연주는 낮은 현에서 타악기적인 액센트를 사용하고 (하모니카 연주자가 사용하는 날카로운 드로우를 모방), 존슨이 다양한 코드 보이싱과 필을 탐구할 수 있게 한다.[7]
이 곡의 구조는 잘 정의된 12마디 블루스와 다르다. 벌스는 일관성이 없으며 14마디에서 15마디까지 길이에 걸쳐 있다.[8] 화성 진행은 종종 명시되기보다는 암시된다 (전체 IV 및 V 코드는 사용되지 않음).[9] 존슨은 B 키로 조율된 기타와 함께 스페인 또는 오픈 G 튜닝을 사용한다.[10] 이는 그의 슬라이드 기타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이 곡에서 보컬만큼이나 두드러진다.[11] 슬라이드 부분은 반주라기보다는 보컬에 대한 "응답"의 역할을 하며, 그 긴장은 가사의 어두운 혼란을 강조한다.[12]
차터스는 이 곡의 리듬을 모호하다고 특징지으며, 4/4 및 8/8 박자 느낌을 모두 부여한다.[13] 음악 작가 데이브 헤드람은 존슨의 리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미터 자체는 낮은 비트의 유동적인 리듬과 변화하는 액센트에 대한 응답으로 초점이 들어오고 나가는 작곡 및 연주 장치입니다. 불규칙한 그룹화는 더 작은 비트 분할로 확장되며, 3연음 '스윙'과 이중 분할 비트 사이의 상호 작용이 있습니다... 존슨의 불규칙한 리듬과 미터 비트를 지원하는 변화는 더욱 개인적이고 독특한 비전을 제시합니다.[14]
이 곡의 두 가지 테이크는 중간 템포로 연주되지만 다소 다르다.[15] 둘 다 느리게 시작하여 속도가 빨라지며, 첫 번째는 약 106 bpm이고, 두 번째는 약 96 bpm이다.[16] 존슨은 더 느린 두 번째 테이크의 다섯 번째 섹션으로 들어가려고 했지만, 엔지니어는 10인치 78 rpm 레코드의 시간 제한 때문에 그를 중단시킨 것으로 보인다.[17] 더 느린 템포와 함께 존슨은 벌스를 더 낮은 음높이로 부르지만, 두 테이크 모두 같은 키이다.[18] 이를 통해 보컬에서 더 큰 변화와 뉘앙스를 얻을 수 있다.[19]
5. 발매
ARC와 보컬리온 레코드는 1937년 5월 "Cross Road Blues"의 첫 번째 테이크를 당시 표준인 78rpm 레코드로 발매했다.[4] B면에는 "Ramblin' on My Mind"가 수록되었으며, 존슨의 생애 동안 발매된 11개의 싱글 중 세 번째였다.[4] 퍼펙트 레코드와 로미오 레코드는 다임 스토어에서 판매할 싱글을 발매했다.[8] 이 레코드는 델타 지역에서 널리 들렸으며, 존슨의 곡들은 이 지역의 주크박스에서 발견되었다.[9]
5. 1. 재발매
존슨의 대부분의 녹음과 마찬가지로, "Cross Road Blues"의 싱글 버전은 1990년 ''The Complete Recordings'' 박스 세트가 발매될 때까지 초판 발매 이후 절판되었다.[4] 두 번째 테이크는 미국 포크 음악 부흥 후기인 1961년에 발매되었다.[5] 프로듀서 프랭크 드리그스는 존슨의 첫 번째 LP 앨범 컴필레이션인 ''King of the Delta Blues Singers''에서 오리지널 버전을 대체하여 사용했다.[6] 이 테이크는 1990년 ''Complete Recordings''에도 포함되었는데, 오리지널 2:39 싱글 버전보다 10초 짧은 2:29였다.[4] ''King of the Delta Blues Singers''는 약 12,000장, ''The Complete Recordings''는 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1991년에 그래미상 최우수 역사 앨범을 수상했다.[7]6. 엘모어 제임스 버전
엘모어 제임스는 〈Cross Road Blues〉를 "Standing at the Crossroads"라는 제목으로 두 번 녹음했다.[1] 이 버전들은 로버트 존슨의 원곡 가사를 일부 수정하고, 제임스 특유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를 추가하여 새로운 느낌을 주었다.
6. 1. 엘모어 제임스의 편곡
엘모어 제임스는 로버트 존슨의 〈Dust My Broom〉을 대중화시켰으며, "Cross Road Blues"를 두 가지 버전으로 녹음했다.[1] 작가 제임스 페론은 제임스의 편곡을 "1960년대 이전 [존슨의 노래 중] 가장 훌륭한 곡"이라고 묘사했다.[2] 두 곡 모두 "Standing at the Crossroads"라는 제목으로, 제임스의 트레이드마크인 "Dust My Broom" 앰프 슬라이드 기타 연주와 백킹 앙상블을 특징으로 하며, 가사는 잃어버린 사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 Well I was standin' at the crossroad, and my baby not around (2×)
>
> Well I begin to wonder, "Is poor Elmore sinkin' down"
제임스는 1954년 8월 캘리포니아 컬버 시티에 있는 Modern Records의 새로운 스튜디오에서 처음 이 곡을 녹음했다.[3] 맥스웰 데이비스가 세션을 감독했고, 전문 스튜디오 뮤지션 그룹이 백업을 제공했다.[3] 이 노래는 Modern이 B.B. 킹에게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새로운 스타일로 제작되었으며, 제임스의 슬라이드 기타는 믹스에서 더 뒤로 배치되었다.[3] Bihari brothers의 또 다른 Modern 레이블인 Flair Records는 "Sunny Land"를 뒷면에 수록하여 싱글로 발매했다.[3] 이 곡은 지역적인 히트를 기록했지만, 전국 차트에는 진입하지 못했다.[3] Modern과 관련된 발매로는 "Standing at the Crossroads"가 ''Blues After Hours'' (Crown), ''The Blues in My Heart – The Rhythm in My Soul'' (Custom Records), ''Original Folk Blues'' (Kent Records) 등 여러 제임스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되었다.[3]
1959년, 프로듀서 바비 로빈슨은 제임스를 자신의 Fury/Fire/Enjoy 레이블 그룹과 계약했다.[4] 로빈슨은 제임스에게 "Standing at the Crossroads"를 포함한 그의 몇몇 옛 노래를 새로운 자료와 함께 다시 불러오도록 했다.[5] 제임스는 1960년 말 또는 1961년 초, 그의 마지막 세션 중 하나인 뉴욕 시의 벨톤 스튜디오에서 다시 녹음했다.[5] 스튜디오 뮤지션들이 다시 백업을 제공했으며, 혼 섹션에는 폴 윌리엄스의 바리톤 색소폰이 포함되었다.[5] 1965년 제임스의 사망 후, Bell Records의 자회사 레이블은 이 노래를 발매했으며, Flashback Records는 "The Sky Is Crying"의 재발매와 함께 싱글을 발매했고, Sphere Sound Records는 ''The Sky Is Crying''이라는 제목의 제임스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했다.[6] 1954년과 1960-1961년 버전 모두 ''Elmore James: The Classic Early Records 1951–1956'' (1993, Virgin America/Flair)[7]과 ''Elmore James: King of the Slide Guitar'' (1992, Capricorn) 등 이후의 제임스 컴필레이션에 수록되었다.[8]
7. 에릭 클랩튼과 크림(Cream) 버전
에릭 클랩튼은 존 메이올 앤 더 블루스브레이커스에서 활동하던 시절 로버트 존슨의 "Cross Road Blues"를 접하고, 이 곡을 편곡하여 자신의 밴드 크림의 대표곡 중 하나로 만들었다.
1966년 초, 클랩튼은 임시 스튜디오 그룹인 에릭 클랩튼 앤 더 파워하우스와 함께 이 곡을 녹음했다.[4] 일렉트라 레코드의 프로듀서 조 보이드는 앨버트 킹의 "Crosscut Saw"를 녹음하려는 클랩튼에게 더 오래된 컨트리 블루스를 편곡할 것을 제안했고, 클랩튼은 존슨의 "Traveling Riverside Blues"를 선호했지만, 보이드는 "Crossroads"를 제안했다.[4] 결국 클랩튼은 두 곡을 모두 활용한 편곡을 개발하여 녹음했으며,[5] 이 버전은 1966년 컴필레이션 앨범 ''What's Shakin'''에 "Crossroad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크림은 1966년 11월 28일 BBC ''Guitar Club''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 곡을 녹음했고,[7] 1968년 3월 10일 샌프란시스코 윈터랜드 볼룸 공연 실황을 담은 버전은 1968년 8월에 발매된 크림의 더블 앨범 ''Wheels of Fire'' 라이브 부분의 첫 곡으로 수록되었다. 이 곡은 1969년 1월 싱글로도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차트 28위,[9] ''캐시박스'' 차트 17위에 올랐다.
크림은 1968년 11월 26일 로열 앨버트 홀 고별 콘서트와 2005년 재결합 콘서트에서도 "Crossroads"를 연주했다. 클랩튼은 크림 해체 이후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 곡을 연주했다.[10]
7. 1. 크림의 편곡과 영향
에릭 클랩튼은 존 메이올 앤 더 블루스브레이커스와 함께 활동하던 1966년 초, 임시 그룹 에릭 클랩튼 앤 더 파워하우스에서 로버트 존슨의 "Cross Road Blues"를 편곡하여 녹음했다.[4] 이 곡은 일렉트라 레코드의 컴필레이션 앨범 ''What's Shakin'''에 "Crossroad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이후 클랩튼은 크림을 결성하여 이 곡을 다시 편곡했다. 1968년 3월 10일, 샌프란시스코 윈터랜드 볼룸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이 1968년 더블 앨범 ''Wheels of Fire''에 수록되었다. 크림 해체 후, 1969년 1월 싱글로 발매된 "Crossroads"는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8위에 올랐다.[9]
클랩튼은 자신의 기타 솔로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지만,[7] 크림의 "Crossroads"는 많은 사랑을 받았다. 클랩튼은 크림 해체 이후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 곡을 연주했다.[10]
8. 인정과 영향
로버트 존슨의 "Cross Road Blues"는 1986년 블루스 재단 명예의 전당에 "블루스 녹음의 고전싱글 또는 앨범 트랙" 부문으로 헌액되었다.[12] 짐 오닐은 블루스 재단을 위해 쓴 글에서 "신화와 로큰롤 해석에 상관없이, 존슨의 음반은 정말 강력했으며,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을 노래였다."라고 평가했다.[13] 1998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상을 수상했다.[14]
1995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로큰롤을 형성한 500곡"에 존슨과 크림의 버전을 모두 포함시켰다.[16] 롤링 스톤은 2021년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목록에 이 곡을 481위에 올렸다.[15]
8. 1. 다른 버전 및 등장
크림은 1966년 11월 28일 BBC의 ''Guitar Club'' 라디오 프로그램 방송을 위해 이 곡을 녹음했고, 2003년 ''BBC 세션''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10] 1968년 3월 10일, 크림은 샌프란시스코 윈터랜드 볼룸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이 곡을 다시 녹음했고, 1968년 8월 영국에서는 폴리도 레코드에서, 미국에서는 애트코 레코드에서 발매된 크림의 더블 앨범 ''Wheels of Fire''의 라이브 부분 오프닝 곡이 되었다. 그룹 해체 후, 애트코는 1969년 1월 이 곡을 싱글로 발매했는데,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28위에 올랐고,[9] ''캐시박스'' 차트에서는 17위에 올랐다. 오리지널 앨범과 싱글 모두 작곡자를 로버트 존슨 또는 R. 존슨으로 표기했지만, 클랩튼과 크림은 이 곡을 광범위하게 재작업했다.크림은 1968년 11월 26일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열린 마지막 콘서트와 2005년 재결합 당시 이 곡을 연주했으며, 각각 1977년 발매된 ''크림의 고별 콘서트'' 영화 확장 버전과 ''로열 앨버트 홀 런던 2005년 5월 2-3-5-6일'' 앨범 및 비디오에 수록되었다. 1968년 크림 해체 후, 클랩튼은 다양한 환경에서 "Crossroads"를 계속 연주했지만, 좀 더 느긋하고 절제된 스타일로 연주했다.[10] 라이브 녹음은 ''필모어에서의 라이브'' (데릭 앤 더 도미노스와 함께), ''크로스로드 2: 70년대 라이브'', ''더 시크릿 폴리스맨스 아더 볼'' (제프 벡과 함께)에 수록되어 있다.
1986년, 로버트 존슨의 "Cross Road Blues"는 "블루스 재단" 명예의 전당의 "블루스 녹음의 고전싱글 또는 앨범 트랙" 부문에 헌액되었고,[12] 1998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상을 수상했다.[14] ''롤링 스톤''은 2021년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목록에서 이 곡을 481위에 올렸고,[15] 1995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존슨과 크림의 해석을 "로큰롤을 형성한 500곡" 무순위 목록에 모두 등재했다.[16] ''롤링 스톤''은 2003년 크림의 버전을 "역대 최고의 기타 곡" 목록에서 3위에 올렸다.[17]

여러 음악가들이 "Cross Road Blues"를 "Crossroads"라는 제목으로 연주했다. 1950년, 텍사스 알렉산더는 Freedom Records에서 이 곡을 녹음했으며, 그의 마지막 싱글이 되었다. 알렉산더는 백킹 기타리스트 레온 벤턴과 피아니스트 버스터 피켄스("벤턴의 바쁜 벌들"로 명시)의 반주와 함께 보컬을 담당했다.[19] 1963년 7월 23일, 홈식 제임스는 사촌 엘모어 제임스와 함께 녹음하고 투어를 다녔으며, 이 곡을 녹음했다. 홈식은 엘모어에게서 기타 스타일을 따왔고, 존슨의 원곡을 기반으로 가사를 썼다. 이 녹음 세션에서 시카고 기반의 USA Records에서 유일한 싱글인 "Crossroads"와 "My Baby's Sweet"이 함께 제작되었다.
블루스 스탠다드 외에도, "Crossroads"는 블루스 록 아티스트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18] 레너드 스키너드는 밴드 초창기 시절 이 곡을 앙코르 곡으로 공연한 후 "Free Bird"로 대체했고, 라이브 버전은 1976년 앨범 ''One More from the Road''에 수록되었다. 2004년, 러시는 커버 곡 EP인 ''Feedback''를 위해 이 곡을 녹음했다. 러시는 또한 2013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 "Crossroads"의 올스타 잼 세션에 참여했다.[21]
이 노래는 광고에도 사용되었다. 1997년, 앤호이저-부시는 "Cross Roads Beer" 출시 중에, 토요타는 2000년 "Crossroads of American Values" 자동차 프로모션에서 이 곡의 버전을 사용했다. 클랩튼은 이 노래를 처음 녹음한 지 여러 해가 지난 후, 자신이 설립한 약물 재활 시설인 Crossroads Centre와 이 시설의 기금 마련을 위한 Crossroads Guitar Festival에 그 이름을 사용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웹사이트
Eric Clapton: "I actually have about zero tolerance for most of my old material. Especially Crossroads"
https://www.musicrad[...]
2023-08-28
[9]
간행물
Cream: Chart historyBillboard Hot 100
https://www.billboar[...]
2023-07-20
[10]
웹사이트
How Cream and Eric Clapton Delivered Four Minutes of Magic and the Holy Grail of Guitar Solos
https://www.louderso[...]
2023-08-15
[11]
웹사이트
Cream: ''Wheels of Fire''Review
https://www.allmusic[...]
2023-08-15
[12]
웹사이트
Award Winners and Nominees Search
https://blues.org/aw[...]
2023-08-13
[13]
웹사이트
'Cross Road Blues'Robert Johnson (ARC/Vocalion, 1936)
https://blues.org/bl[...]
2023-07-20
[14]
웹사이트
'Cross Road Blues': Robert Johnson, Vocalion (1936) SingleInducted 1998
https://www.grammy.c[...]
2023-07-20
[15]
간행물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2021)
https://www.rollings[...]
2023-07-20
[16]
웹사이트
500 Songs That Shaped Rock and Roll
http://www.rockhall.[...]
2023-07-20
[17]
간행물
100 Greatest Guitar Song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3-07-20
[18]
뉴스
Go Down to the 'Crossroads' with Bluesman Robert Johnson
https://www.goldmine[...]
2023-07-06
[19]
웹사이트
Texas AlexanderBiography
https://www.allmusic[...]
2023-08-15
[20]
웹사이트
''Feedback''Review
https://www.allmusic[...]
2023-08-15
[21]
웹사이트
Every Rock Hall of Fame All-Star Jam, Ranked by Epicness
https://www.vulture.[...]
2023-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