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DEC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는 유럽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디지털 무선 전화 표준이다. DECT는 가정 및 소규모 사무실에서 무선 전화, VoIP 통화, 저전력 무선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며, 1900MHz 대역(유럽) 또는 1920MHz ~ 1930MHz 대역(북미)에서 시분할 다중 접속(TDMA) 기술을 사용하여 작동한다. DECT는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에서 관리하며, 핵심 기술 사양은 ETSI EN 300 175 표준으로 정의된다. ETSI는 5G 및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DECT 표준인 DECT-2020 New Radio (ETSI TS 103 636)를 포함하여 DECT 표준의 추가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여러 기술 사양을 정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대역 - FTTX
    FTTx는 광섬유를 활용한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방식으로, 광섬유 연결 위치에 따라 FTTH, FTTB, FTTC, FTTN 등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구축 비용과 제공 대역폭에 차이가 있고, VDSL, PON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미래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지속적인 발전과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 광대역 - ISDB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다양한 매체를 지원하며 모바일 수신에 강점을 가진 1세그먼트 부분 수신 서비스와 고화질 방송을 위한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 콘텐츠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 이동 통신 표준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표준 -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
    노르딕 모바일 텔레폰(NMT)은 1981년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 상용화된 아날로그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450MHz와 900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으며 GSM 등장으로 쇠퇴했다.
DECT
기본 정보
이름한국어: 디지털 향상 무선 통신
영어: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약자DECT
다른 이름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 (이전 이름)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이전 이름)
기술 정보
표준ETSI EN 300 175
ITU-T G.1050
프로토콜TDMA/TDD
주파수 대역1.880–1.900 GHz (유럽), 국가별 규제에 따라 다름
채널 간격1.728 MHz
변조 방식GFSK
비트 전송률1.152 Mbit/s
채널 수120 (유럽)
음성 코덱32 kbit/s ADPCM
액세스 방식TDMA/TDD
프레임 구조10 ms 프레임, 24 타임 슬롯 (12 업링크, 12 다운링크)
범위실내: 20-50 미터
실외: 최대 300 미터 (기지국 환경에 따라 다름)
보안암호화, 인증
데이터 속도최대 552 kbit/s (단일 슬롯), 채널 본딩을 통해 더 높은 속도 가능
응용 분야무선 전화기
무선 PBX 시스템
무선 마이크
산업용 제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특징음성 통화에 최적화
높은 보안성
낮은 전력 소비
간섭 회피 기능
역사
개발1980년대 후반
표준화1992년 ETSI에 의해 표준화됨
초기 이름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
현재 이름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유럽 외 지역에서의 사용 증가로 변경)
새로운 표준DECT-2020 NR+ (5G 기술 표준으로 ITU-R 승인)
DECT-2020 NR+
개요5G 기술 표준으로 ITU-R 승인
다른 이름NR+
특징초고신뢰성 저지연 통신 (URLLC) 지원
대규모 사물 통신 (mMTC) 지원
응용 분야산업 자동화
스마트 시티
광대역 무선 센서
관련 기관
표준화 기관유럽 통신 표준 협회 (ETSI)
포럼DECT 포럼
참고 자료
웹사이트Rohde & Schwarz - DECT 정보
DECT 포럼
DECT-2020 NR+ 관련 자료ITU-R, DECT-2020을 새로운 5G 기술 표준으로 승인

2. 표준

DECT 표준은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에서 관리하며, 여러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표준은 다음과 같다.


  • ETSI EN 300 175 시리즈: DECT 공통 인터페이스(CI)를 정의하며, DECT의 핵심 기술 사양을 8개 파트로 나누어 규정한다.
  • ETSI TS 103 636 시리즈: DECT-2020 New Radio (NR) 표준을 정의한다. 5G 및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DECT 표준으로, 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 기타 DECT 관련 표준: DECT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추가 기능 및 서비스를 위한 표준들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무선 중계국 (WRS), 일반 접속 프로필 (GAP), DECT 패킷 라디오 서비스 (DPRS), 단문 메시지 서비스 (LRMS), 무선 단말 이동성 (CAP) 등이 있다. 또한, 고음질 오디오 프로필(Advanced Audio Profile)과 저복잡도 통신 코덱 (LC3plus)을 통해 고품질 음성 통화를 지원한다.

2. 1. DECT (ETSI EN 300 175)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표준은 핵심 기술 사양을 정의하며, 다음과 같이 8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1][2][3][4]

파트제목설명
1개요 (Overview)DECT 표준의 전체적인 구조와 다른 파트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2물리 계층 (Physical Layer, PHL)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변조, 주파수, 동기화 등 물리적 특성을 정의한다.
3매체 접근 제어 계층 (Medium Access Control, MAC)무선 자원 공유 및 장치 간 통신 조정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4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 (Data Link Control, DLC)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정의한다.
5네트워크 계층 (Network, NWK)연결 설정, 라우팅, 이동성 관리 등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6식별 및 주소 지정 (Identities and addressing)장치 식별, 주소 할당 등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정의한다.
7보안 기능 (Security features)인증, 암호화 등 데이터 보호 및 보안 기능을 정의한다.
8음성 및 오디오 코딩 및 전송 (Speech and audio coding and transmission)음성 통화 품질을 위한 코덱, 전송 프로토콜 등을 정의한다.


2. 1. 1. 개요 (Part 1)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는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TSI)에서 제정한 디지털 무선 전화 표준이다. DECT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 메시징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DECT 표준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특정 계층 또는 기능을 다룬다. 주요 표준 문서는 다음과 같다.

  • ETSI EN 300 175 시리즈: DECT 공통 인터페이스(CI)를 정의한다.
  • ETSI EN 300 175-1: 개요[1]
  • ETSI EN 300 175-2: 물리 계층 (PHL)[2]
  • ETSI EN 300 175-3: 매체 접근 제어 (MAC) 계층[3]
  • ETSI EN 300 175-4: 데이터 링크 제어 (DLC) 계층[4]
  • ETSI EN 300 175-5: 네트워크 (NWK) 계층
  • ETSI EN 300 175-6: 식별 및 주소 지정
  • ETSI EN 300 175-7: 보안 기능
  • ETSI EN 300 175-8: 음성 및 오디오 코딩 및 전송
  • ETSI TS 103 636 시리즈: DECT-2020 New Radio (NR) 표준.


DECT는 단순한 무선 전화 기능을 넘어, 무선 중계국 (WRS), 일반 접속 프로필 (GAP), DECT 패킷 라디오 서비스 (DPRS), 단문 메시지 서비스 (LRMS), 무선 단말 이동성 (CAP)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고음질 오디오 프로필(Advanced Audio Profile)과 저복잡도 통신 코덱 (LC3plus)을 통해 고품질 음성 통화를 지원한다.

2. 1. 2. 물리 계층 (Part 2)

물리 계층(PHL)은 DECT 표준의 가장 낮은 계층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양을 정의한다.[2] 이 계층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 반송파 생성 및 변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를 생성하고, 선택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반송파에 싣는다.
  • 무선 주파수(RF) 송수신: 변조된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를 추출한다.
  • 동기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타이밍을 동기화하여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 오류 제어: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부 기능)


물리 계층의 상세한 기술 규격은 ETSI EN 300 175-2 문서에 정의되어 있다.[2]

2. 1. 3. 매체 접근 제어 계층 (Part 3)

ETSI EN 300 175-3은 DECT 표준의 세 번째 부분으로,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3] MAC 계층은 DECT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여러 장치 간의 통신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계층은 물리 계층(PH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제어(D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2. 1. 4.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 (Part 4)

데이터 링크 제어(DLC) 계층에 대한 기술 사양은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 EN 300 175-4[4]에 정의되어 있다.

2. 1. 5. 네트워크 계층 (Part 5)

네트워크(NWK) 계층은 ETSI EN 300 175-5[1]에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

2. 1. 6. 식별 및 주소 지정 (Part 6)

DECT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식별 및 주소 지정 방식은 ETSI EN 300 175-6에 정의되어 있다. 이 표준 문서는 DECT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식별자 유형과 주소 지정 메커니즘을 기술한다.

2. 1. 7. 보안 기능 (Part 7)

DECT 표준의 파트 7은 보안 기능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

2. 1. 8. 음성 및 오디오 코딩 및 전송 (Part 8)

DECT 표준의 Part 8은 음성 및 오디오 코딩과 전송 방식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

2. 2. DECT-2020 New Radio (ETSI TS 103 636)

DECT-2020 New Radio (NR)은 5G 및 Io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DECT 표준으로, 다음 5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1][2][3][4]

표준 번호제목
ETSI TS 103 636-1개요
ETSI TS 103 636-2무선 수신 및 전송 요구사항
ETSI TS 103 636-3물리 계층
ETSI TS 103 636-4MAC 계층
ETSI TS 103 636-5DLC 및 컨버전스 계층
















2. 2. 1. 개요 (Part 1)

DECT-2020 NR (New Radio)은 ETSI에서 개발한 새로운 무선 통신 표준이다. 이 표준은 기존 DECT 표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5G 시대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DECT-2020 NR은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 기존 DECT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여, 고품질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 낮은 지연 시간: 매우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실시간 통신 및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 높은 신뢰성: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여, 중요한 통신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 다양한 사용 사례 지원: 가정, 사무실, 산업 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DECT-2020 NR 표준은 다음과 같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 번호제목설명
ETSI TS 103 636-1개요DECT-2020 NR 표준의 전체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ETSI TS 103 636-2무선 수신 및 전송 요구사항무선 인터페이스의 수신 및 전송 관련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ETSI TS 103 636-3물리 계층물리 계층 (Physical layer)의 기능을 정의한다.
ETSI TS 103 636-4MAC 계층MAC 계층 (Medium Access Control layer)의 기능을 정의한다.
ETSI TS 103 636-5DLC 및 컨버전스 계층데이터 링크 제어 (Data Link Control) 계층 및 컨버전스 계층의 기능을 정의한다.


2. 2. 2. 무선 송수신 요구사항 (Part 2)

DECT-2020 NR의 무선 송수신 요구사항은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TS 103 636-2[2]에 정의되어 있다. 이 문서는 DECT-2020 NR 장치의 무선 송수신 성능 및 특성에 대한 최소 요구사항을 규정한다.

2. 2. 3. 물리 계층 (Part 3)

DECT의 물리 계층(PHL)은 ETSI EN 300 175-2[2]에 기술되어 있다. 이 표준은 DECT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을 정의하고, 무선 주파수(RF) 반송파, 변조 방식, 데이터 전송률 등 물리 계층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 사양을 제공한다.

2. 2. 4. MAC 계층 (Part 4)

ETSI EN 300 175-4는 DECT 표준의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4]

2. 2. 5. DLC 및 융합 계층 (Part 5)

DECT 표준의 DLC 및 융합 계층에 대한 기술 사양은 ETSI TS 103 636-5에 정의되어 있다.[1]

DLC영어는 DECT-2020 NR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융합 계층은 다양한 상위 계층 프로토콜과의 연동을 지원하여, 음성, 데이터, 메시징 등 다양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2. 3. 기타 DECT 관련 표준

DECT 표준은 기본 기능 외에도 다양한 추가 기능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여러 표준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준들은 ETSI(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에서 제정 및 관리하며, DECT 기술의 확장성과 다양한 응용 분야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 ETSI EN 300 175 시리즈: DECT 공통 인터페이스(CI)에 대한 표준으로, 개요, 물리 계층(PHL),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 데이터 링크 제어(DLC) 계층, 네트워크(NWK) 계층, 식별 및 주소 지정, 보안 기능, 음성 및 오디오 코딩 및 전송 등 총 8개 파트로 구성된다.[1]
  • ETSI TS 103 636 시리즈: DECT-2020 New Radio (NR)에 대한 표준으로, 개요, 무선 수신 및 전송 요구 사항, 물리 계층, MAC 계층, DLC 및 수렴 계층 등 총 5개 파트로 구성된다.

2. 3. 1. 저복잡도 통신 코덱 플러스 (LC3plus) (ETSI TS 103 634)

저복잡도 통신 코덱 플러스(LC3plus)는 Low Complexity Communication Codec plus영어의 약자이며, ETSI TS 103 634 V1.5.1 (2024-06) 문서에 기술 사양이 정의되어 있다.[1]

2. 3. 2. 고급 오디오 프로파일 (ETSI TS 103 706)

ETSI TS 103 706 V1.1.1 (2022-01)은 고급 오디오 프로파일(Advanced Audio Profile)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1]

2. 3. 3. 무선 중계국 (WRS) (ETSI EN 300 700)

무선 중계국(WRS)에 대한 기술 사양은 ETSI EN 300 700 V2.2.1 (2018-12) 문서에 정의되어 있다.

2. 3. 4. 일반 액세스 프로파일 (GAP) (ETSI EN 300 444)

ETSI EN 300 444 V2.5.1 (2017-10)은 일반 액세스 프로파일(GAP)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 GAP은 DECT 기본 표준을 준수하는 모든 DECT 장비가 상호 운용성을 보장받기 위해 준수해야 하는 프로파일이다.

2. 3. 5. DECT 패킷 무선 서비스 (DPRS) (ETSI EN 301 649)

DECT 패킷 무선 서비스(DPRS)는 ETSI EN 301 649 표준 문서에 기술 사양이 정의되어 있다.

2. 3. 6. 저속 메시징 서비스 (LRMS) (ETSI EN 300 757)

Low Rate Messaging Service영어 (LRMS)는 DECT의 부가 서비스로, SMS를 포함한 저속 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기술 사양을 정의한다.

2. 3. 7. 무선 단말 이동성 (CTM) – CTM 액세스 프로파일 (CAP) (ETSI EN 300 824)

무선 단말 이동성(CTM) – CTM 액세스 프로파일(CAP)은 ETSI EN 300 824[1]에 정의되어 있다. 이 표준은 DECT 시스템에서 CT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사양을 다룬다.

참조

[1] 웹인용 DECT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8-01-02
[2] 웹인용 DECT Forum https://www.dect.org[...]
[3] 간행물 ETSI TR 103 810 V1.1.1 (2021-11). Final Evaluation Report on DECT-2020 NR. https://portal.etsi.[...] ETSI 2021-11-23
[4] 웹인용 ITU-R Approves DECT-2020 as New 5G Technology Standard. DECT Forum will be Promoting the Standard under the Name NR+ https://www.dect.org[...] 2022-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