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D패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ID 패널은 일반 TV보다 큰 대형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며, 터치스크린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한다. DID 패널은 티켓 발권, 상품 구매, 정보 검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기업의 인건비 및 시간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멀티 디스플레이 구성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으며, 지하철 디지털 뷰, 버스정보시스템, 홍보, 공공업무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DID 패널은 일반 TV보다 크기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부품을 사용한다.[1]
멀티 디스플레이 구성은 한 대의 컴퓨터만으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구조로서, 한 대의 컴퓨터가 여러 개의 스크린에 동시에 동영상 및 다양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5] 시스템 운영 관리자는 키오스크, 터치스크린, LED 모니터, 멀티 디스플레이, 사이니지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으며, 단일 형태나 복합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배포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5]
DID 패널은 대중교통, 홍보, 공공업무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 특징
2. 1. 장점
DID 패널은 터치스크린이므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적 응용프로그램이 적용되는 솔루션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한다.[3]
상업용 DID 패널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티켓 발권, 상품 구매, 제품 탐색 등을 위해 카운터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은 인건비 및 시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4]
2. 2. 단점
DID패널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직접 제품을 탐색하고, 항공권을 예매하며, 티켓을 발권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러나 DID 패널 수가 늘고 오프라인 업무가 줄어듦에 따라 여러 업무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4] 또한, DID 패널을 통해 티켓 발권 시 좌석 선택, 제품 구매 시 탐색부터 구매까지 직접 해야 하므로, 모든 선택을 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부담감을 느낄 수도 있다.[4]
3. 구성 방식과 운영 시스템
4. 활용 범위
4. 1. 대중교통
DID 패널은 대중교통 시스템과 연계하여 정보 제공, 길 안내, 티켓 예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여러 도시에서는 DID 패널을 활용한 스마트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4. 1. 1. 지하철 디지털 뷰(Digital View)
DID패널은 인터넷 및 터치 기반의 전화, 지역 정보, 실시간 정보, 역사 정보, 관광 정보, 티켓 예매, 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하철 이용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지도, 노선 안내를 통해 빠른 길 찾기, 약속 장소와 가장 가까운 출구 번호 찾기, 연결 버스 찾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지하철 출발역과 도착역을 클릭하면 시간과 요금을 안내하고 환승 안내도 제공하여 편리한 지하철 이용 정보를 제공한다.[5] 이용자들에게 뉴스와 검색어에 대한 실시간 정보와 날씨 정보도 제공한다.[5] 현재 한국에서는 다음과 핑거터치가 제휴하여 강남역, 삼성역, 명동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1~4호선의 117개 모든 역사에 총 913대의 DID 패널을 설치하였다.[6]
4. 1. 2. 버스정보시스템(BIS)
버스 시간 및 노선 정보, 기상 정보, 환경 정보, 교통 방송 등의 정보를 버스 승객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여주는 기술이다.[5] 실제로 서울특별시는 종로 등에 유-쉘터(U-shelter)라는 버스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시내버스 이용객에게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버스 위치 정보, 버스의 이전 정류장 출발 모습 등의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DID 패널에 CCTV를 설치하여 치안을 강화하는 등, DID 패널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인 바 있다.[7]
4. 2. 홍보
대형 서점, 백화점, 슈퍼마켓 등에서 DID 패널은 제품 정보, 할인 정보 등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DID 패널 이용자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유통업자나 제조사가 홍보하고자 하는 내용을 선별적으로 볼 수 있다. 관리자는 DID 패널에 홍보용 정보를 입력, 수정, 삭제하여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8]
4. 3. 공공업무 보조
정부기관, 대학 등에서는 시민들이 공공업무를 볼 때 도움을 주기 위해 DID 패널을 키오스크 형태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서류 발급, 공과금 납부 등의 업무를 분담할 수 있게 되었고, 대학에서는 스마트카드와 연계된 기술을 통해 학교 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은행 등의 기관에서는 ATM 등을 통해 계좌 이체, 출금, 입금, 통장 정리, 잔액 조회 등의 금융 업무를 보조하고 있다.[3]
참조
[1]
논문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한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2013
[2]
논문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위한 움직임 속도기반 핸드제스처 인터페이스
전남대학교
2010
[3]
논문
≪디지털 공공정보 안내시스템(DID) 관리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4]
논문
≪셀프서비스 체크인 키오스크 사용의도 -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2009
[5]
논문
《공공디스플레이(DID) 관리 인터페이스(MI) 표준화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숙명여자대학교
2012
[6]
뉴스
《지하철서 다음 콘텐츠 만난다》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2-11
[7]
뉴스
≪종로에 '똑똑한' 첨단버스정류장 등장≫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0-03-16
[8]
논문
≪유통업계의 DID활용방안 연구 : 대구백화점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