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3 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3 비자는 호주 시민을 위한 미국의 전문직 취업 비자이며, 여러 면에서 H-1B 비자와 유사하다. E-3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는 미국에서 제한 없이 일할 수 있으며, 갱신에 최대 제한이 없다. 연간 10,500개의 쿼터가 있으며,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비자는 쿼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E-3 비자는 2005년 5월 11일 제정되었으며, 미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과 관련이 있다. 2013년에는 한국을 위한 E-3 KOREA 비자 발급에 합의했으나, 현재까지 시행되지 않고 있다. 과거에는 E-3 비자 소지자가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었으나, 관련 제도는 철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비자 - H-1B 비자
    H-1B 비자는 미국 내 전문직 종사를 위해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비이민 비자로, 학사 학위 이상을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의 직업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6년간 유효하나, 연간 발급 수가 제한되어 미국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미국의 비자 - 다양성 이민 비자
    다양성 이민 비자는 미국 이민법에 따라 미국으로의 이민자 수가 적은 국가 출신자들에게 추첨을 통해 이민 비자를 발급하는 프로그램으로, 미국 내 이민자 출신 국가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신청 자격은 출생 국가, 학력 또는 경력 요건을 포함하고, 특정 국가 출신은 신청이 제한될 수 있으며, 사기, 무작위성, 안보 문제 등에 대한 비판과 폐지 시도, 경제적 영향과 안보 측면에서 긍정적, 부정적 주장이 공존한다.
E-3 비자
비자 정보
비자 종류취업 비자
발급 대상오스트레일리아 시민
H-1B 비자 변형H-1B1 비자와 유사
설명미국에서 특정 전문 직종에 종사하려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민에게 발급되는 비자
필요 조건특정 전문 직종에서 일자리 제안을 받아야 함
쿼터 제한연간 10,500개의 쿼터 제한이 있음
가족 동반배우자와 자녀는 E-3D 비자를 통해 동반 가능
자격 요건
학력특정 분야의 학사 학위 이상 소지
직업학사 학위와 관련된 전문 직종이어야 함
고용주미국 내 고용주의 스폰서십 필요
비자 신청 절차
고용주의 역할노동 조건 신청 (LCA)을 미국 노동부에 제출
개인의 역할DS-160 양식 작성 및 인터뷰 예약
대사관 인터뷰미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인터뷰 진행
비자 유효 기간
초기 기간최대 2년
연장 가능성자격 유지를 조건으로 연장 가능
E-3D 비자
대상E-3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 및 미혼 자녀
혜택미국 내에서 학업 또는 취업 가능
참고 사항
비자 신청 제한오스트레일리아 시민에게만 해당
비자 할당매년 할당되는 비자 수 제한
추가 정보
미국 국무부미국 국무부 E-3 비자 정보 페이지

2. E-3 비자 (호주)

E-3 비자는 H-1B 비자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E-3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는 제한 없이 미국에서 일할 수 있으며,[3] 갱신 횟수에 제한이 없다. E-3 비자는 연간 10,500개의 쿼터가 할당되어 있다.[4]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비자는 이 쿼터에 포함되지 않으며, 배우자와 자녀는 호주 시민일 필요가 없다.

E-3 비자 신청 절차는 2005년 9월 2일 미국 연방 관보에 게재되었다. 호주 시민은 미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E-3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H-1B 비자와 유사하게, E-3 비자를 받으려는 호주인의 잠재적 고용주는 먼저 미국 노동부에 노동 조건 신청서(LCA)를 신청해야 하며, 양식 상단에 호주 시민을 위한 E-3 비자임을 표시해야 한다. LCA가 승인된 후, 호주 시민은 미국 영사관에서 실제 비자를 신청하고 미국에 입국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임시/비이민 비자로 이미 미국에 있는 호주 시민도 E-3 비자로 신분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단,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통해 입국한 경우에는 신분 변경이 불가능하다.

1965년 이민 및 국적법(INA) § 101(a)(15)(E)는 모든 E 비이민자가 E 체류 허가가 만료되면 미국을 떠날 의사를 유지하도록 요구하지만, 미국 시민권 및 이민국(USCIS)에서 발행한 지침에 따르면, 승인된 영구 노동 인증 또는 계류 중이거나 승인된 이민 비자 청원만을 근거로 E 분류 신청(연장 또는 신분 변경 포함)을 거부할 수 없다.[5] 그러나 USCIS에 따르면 E-3 비자는 H-1B 비자 및 L-1 비자의 의미에서 이중 의도 비자가 아니다.[6]

E-3 비자는 2005년 5월 11일 국방, 테러와의 세계 전쟁 및 쓰나미 구호에 관한 긴급 추가 예산 법안 제501조에 의해 제정되었다.[14] 이 비자는 E 비자 범주 내에서 생성되었는데, E-1 및 E-2 비자는 일반적으로 "통상 조약" 및 "투자 조약" 비자라고 불린다.[16] 1990년 이민법에 따라 호주는 E 비자를 받을 자격이 있으며, E-3 비자의 제정은 미국-호주 자유 무역 협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0]

2. 1. 특징

E-3 비자는 H-1B 비자와 여러 면에서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E-3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는 제한 없이 미국에서 일할 수 있다.[3]
  • 갱신에 최대 제한이 없다.
  • 연간 10,500개의 쿼터가 있다.[4]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비자는 이 쿼터에 포함되지 않으며, 배우자와 자녀는 호주 시민일 필요가 없다.
  • 미국 노동부에 노동 조건 신청서(LCA)를 제출하고 승인받아야 한다. 양식 상단에 호주 시민을 위한 E-3 비자임을 표시해야 한다.[4]
  • LCA 승인 후, 미국 영사관에서 비자를 신청하고 미국에 입국한다.
  • 다른 유형의 임시/비이민 비자로 이미 미국에 있는 호주 시민도 E-3 비자로 신분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단, 비자 면제 프로그램을 통해 입국한 경우에는 신분 변경이 불가능하다.
  • INA § 101(a)(15)(E)에 따라 E 비이민자는 미국을 떠날 의사를 유지해야 하지만, USCIS 지침에 따르면 영구 노동 인증 또는 이민 비자 청원 계류/승인만으로는 E 분류 신청(연장 또는 신분 변경 포함)을 거부할 수 없다.[5]
  • USCIS에 따르면 E-3 비자는 H-1B 비자 및 L-1 비자와 달리 이중 의도 비자가 아니다.[6]

2. 2. 통계

E-3 비자는 도입 이후 매년 2,000~3,000건이 미국 영사관에서 호주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발급되었다. 기존 비자가 만료된 호주 전문직 종사자에게는 E-3R 비자가 발급된다. 또한, 이들 전문직 종사자의 배우자나 자녀에게는 연간 1,000~1,500개의 E-3D 비자가 발급된다. E-3 비자의 연간 할당량은 10,500개이다.[24]

연도신규 E-3 비자E-3R 비자E-3D 비자총 E-3 입국자 수
2005 회계연도4---
2006 회계연도1,918--2,123
2007 회계연도2,5726-9,294
2008 회계연도2,9611,568--
2009 회계연도2,1911,421--
2019 회계연도5,807-4,177-



미국 회계연도는 전년도 10월 1일부터 당해 9월 30일까지이다.[24] E-3 비자는 24개월 동안 유효한 복수 입국 비자이며, 이 기간 동안 비자 소지자가 미국에 재입국할 때마다(캐나다 또는 멕시코와 같은 "인접 국가"로의 짧은 여행 후가 아닌 경우) 새로운 입국 기록이 생성된다. 따라서 특정 회계연도의 입국자 수는 발급된 비자 수와 다를 수 있다.[24]

2. 3. 상호 관계

호주 서브클래스 457 장기 체류 사업 비자는 미국 시민에게 호주에서 유사한 취업 권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비자는 모든 국적에게 제공되므로, 호주에서는 미국 시민을 위한 특별 취업 허가가 도입되지 않았다. 호주 숙련 근로자 비자에 대한 최근의 법률 변경으로 개인에게 비자를 부여받을 수 있는 직업 범위가 더욱 좁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3 비자와 달리 호주에서 취업 비자를 받기 위해 반드시 학위가 필요하지는 않다.[1]

3. E-3 KOREA 비자 (대한민국, 미시행)

2013년 5월 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과의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E-3 KOREA 전문직 취업비자를 매년 15,000개 발급하는 데 동의했다.[25]

E-3 비자는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미국 현지 회사에 채용되어야 하며, 2년마다 갱신해야 하고 직업이 유지되는 한 무제한으로 갱신할 수 있다. 미국 노동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노동조건신청서(LCA)를 신청해 승인받은 다음, 미국 이민국에 신청(신청료 30만) 없이, 서울의 주한미국대사관에서 E-3 비자를 바로 발급받는다.[25]

일반적인 전문직 취업비자인 H-1B 비자와는 달리 이민 의도를 인정받지 못하며, H-1B 비자를 별도로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영주권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E-3 비자에서 H-1B 비자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5]

3. 1. 특징 (예상)

E-3 비자는 학사 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미국 현지 회사에 채용된 한국인 전문직 종사자를 위한 비자이다. 2013년 5월 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간의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매년 15,000개의 E-3 비자를 발급하기로 합의했다.[25]

미국 노동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노동조건신청서(LCA)를 승인받은 후,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바로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다. 미국 이민국 신청 절차는 필요없다. 비자는 2년마다 갱신해야 하며, 직업이 유지되는 한 무제한 갱신이 가능하다.[25]

그러나 일반적인 전문직 취업비자인 H-1B 비자와는 달리 이민 의도를 인정받지 못한다. 따라서 영주권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E-3 비자에서 H-1B 비자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된다.[25] H-1B 비자는 별도로 신청할 수 있다.

3. 2. 한계 (미시행)

2013년 5월 7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과의 워싱턴 정상회담에서 E-3 KOREA 전문직 취업비자를 매년 15,000개 발급하는 데 동의했다.[25]

학사 학위 이상이어야 하며, 미국 현지의 회사로부터 채용되어야 한다. 미국 노동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노동조건신청서(LCA)를 신청해 승인받은 다음, 미국 이민국에 신청(신청료 30만) 없이, 서울의 주한미국대사관에서 E-3 비자를 바로 발급받는다.[25]

2년마다 갱신해야 하며, 직업이 유지되는 한 무제한으로 갱신할 수 있다.[25]

그러나 일반적인 전문직 취업비자인 H-1B 비자와는 달리 이민 의도를 인정받지 못한다. 별도로 H-1B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따라서 영주권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E-3 비자에서 H-1B 비자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5]

4. 캐나다 영주권과의 관계 (과거)

2010년 8월 23일까지, 앨버타 주에서 캐나다 영주권을 취득하기 위해, 적격 직종에 종사하면서 H-1B, H-1B1, H-1C 또는 E-3 비자 소지자로서 미국에서 1년간 거주한 경력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다.[13] 이는 캐나다 주정부 지명 프로그램에 따라 앨버타 주가 모든 유형의 지명에 대해 최대 5,000건으로 제한되면서 철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Qualifying for the E3 visa http://canberra.usem[...]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 Canberra, Australia 2011-10-22
[2] 문서 The Real Story Behind the New E-3 Visa https://www.ilw.com/[...] Gary Endelman
[3] 웹사이트 PART 41—VISAS: DOCUMENTATION OF NONIMMIGRANTS UNDER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AS AMENDED § 41.51 Treaty trader, treaty investor, or treaty alien in a specialty occupation - (c) Nonimmigrant E–3 treaty aliens in specialty occupations http://ecfr.gpoacces[...]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011-10-22
[4] 문서 Frequently-Asked Questions Regarding the 'Australians-Only' E-2 Visa http://www.usvisalaw[...]
[5] 웹사이트 Revisions to Adjudicator's Field Manual (AFM) Chapters 34.1 and 34.6 (AFM Update AD05-24) https://www.uscis.go[...] U.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2005-12-15
[6] 웹사이트 Nonimmigrant_Empl (uscis.gov) https://www.uscis.go[...] 2024-03-20
[7] 문서 Table (B), Nonimmigrant Visas Issued by Classification (Including Crewlist Visas and Border Crossing Cards): Fiscal Years 2005 - 2009 http://www.travel.st[...]
[8] 웹사이트 Supplemental Table 1: Nonimmigrant Admissions (I-94 Only) by Class of Admission and Country of Citizenship: Fiscal Year 2006 https://www.dhs.gov/[...]
[9] 문서 Yearbook of Immigration Statistics: 2007 https://www.dhs.gov/[...]
[10] 문서 Nonimmigrant Visas Issued by Classification (Including Border Crossing Cards): Fiscal Years 2015 - 2019 https://travel.state[...] state.gov/
[11] 문서 E-3 Program https://www.dol.gov/[...] dol.gov
[12]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Australia reciprocity schedule https://travel.state[...] 2017-06-24
[13] 웹사이트 Archive - In the U.S. on an H1B? Alberta PNP has a new option for you: no job offer required https://www.canadavi[...]
[14] 문서 Public law 109 http://www.gpo.gov/f[...] gpo.gov
[15] 문서 Bill HR 1268 http://www.gpo.gov/f[...] gpo.gov
[16] 웹사이트 Visas for Treaty Traders and Treaty Investors https://travel.state[...] 2017-06-24
[17] 문서 8 U.S.C. 1101(a)(15)(E)
[18] 웹사이트 List of E-1 and E-2 Treaty Countries http://www.americanl[...]
[19] 웹사이트 9 FAM 402.9-10 https://fam.state.go[...]
[20] 웹사이트 New US Visa Category Created Exclusively for Australians http://www.austrade.[...]
[21] 웹사이트 Qualifying for the E3 visa http://canberra.usem[...]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 Canberra, Australia 2011-10-22
[22] 문서 PART 41—VISAS: DOCUMENTATION OF NONIMMIGRANTS UNDER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AS AMENDED § 41.51 Treaty trader, treaty investor, or treaty alien in a specialty occupation - (c) Nonimmigrant E–3 treaty aliens in specialty occupations http://ecfr.gpoacces[...]
[23] 웹사이트 Revisions to Adjudicator’s Field Manual (AFM) Chapters 34.1 and 34.6 (AFM Update AD05-24) http://www.uscis.gov[...] U.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2005-12-15
[24] 문서 Table (B), Nonimmigrant Visas Issued by Classification (Including Crewlist Visas and Border Crossing Cards): Fiscal Years 2005 - 2009 http://www.travel.st[...]
[25] 문서 korusnews.com http://korusnew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