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therCA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therCAT은 EtherCAT Technology Group (ETG)에 의해 규정된 산업용 이더넷 통신 기술이다. 표준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지만, 각 슬레이브 장치가 데이터를 "온더플라이(On-the-fly)" 방식으로 처리하여 통신 효율성을 높인다. EtherCAT은 라인, 트리, 링, 스타 토폴로지 등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을 지원하며, 분산 클럭 메커니즘을 통해 정밀한 동기화를 제공한다. CAN over EtherCAT (CoE), Safety over EtherCAT (FSoE)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제어 및 조절, 측정 시스템에 활용된다. EtherCAT Technology Group (ETG)은 기술 개발 및 보급을 지원하며, 상호 운용성 테스트를 통해 장치의 적합성을 보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용 이더넷 - 이더넷/IP
    이더넷/IP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UDP, TCP 기반 메시징과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지원하며 ODVA에서 관리하는 CIP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
  • 산업용 이더넷 - 모드버스
    모드버스는 1979년 모디콘에서 개발된 산업용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PLC와 컴퓨터 간 데이터 교환 및 제어에 사용되며 다양한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Modbus RTU, ASCII, TCP 등 여러 변형이 존재하여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EtherCAT
일반 정보
이름EtherCAT
개발자베크호프 오토메이션
유형필드버스
표준IEC 61158
IEC 61784
토폴로지라인
트리
스타
전송 매체차폐 연선
광섬유
데이터 속도100 Mbit/s, 1 Gbit/s
최대 노드 수65535
프로토콜이더넷
지연 시간100 μs 미만
기술실시간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
라이선스로열티 프리
기술 상세
작동 방식"온더플라이" 방식
각 노드가 데이터를 읽고 필요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다음 노드로 전달
특징고속 데이터 전송
높은 정밀도
유연한 토폴로지
프로토콜 효율성높은 프로토콜 효율성으로 인해 짧은 사이클 타임과 낮은 지터 실현
동기화분산 클록을 통한 높은 동기화 정확도
안전성IEC 61508 에 따른 안전 기능 구현 가능
Fail-safe over EtherCAT (FSoE) 프로토콜 지원
활용 분야
산업 자동화로봇 공학
모션 제어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분산 제어 시스템 (DCS)
기타 분야테스트 및 측정 장비
의료 장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
추가 정보
장점높은 성능
유연성
비용 효율성
단점구현 복잡성
특허 문제 (로열티 프리이지만 특허 존재)
관련 기술PROFINET
EtherNet/IP
SERCOS III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EtherCAT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이더캣 기술 그룹(EtherCAT Technology Group, ETG)은 2003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회원을 보유한 산업용 이더넷 사용자 단체이다.[6][7] 전 세계의 다양한 산업 제어 공급업체, OEM, 기계 제조업체 및 기술 단체들이 ETG 회원이다.

ETG는 회원들에게 구현 지원 및 교육을 제공하고, 상호 운용성 테스트(종종 "플러그 페스트(Plug Fests)"[8]라고 불림)를 조직하며, 기술 개발 및 배포를 촉진한다. 독일, 중국, 일본, 한국 및 북미 지역의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회원 및 팀의 지원을 받는다.

ETG 최종 사용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있으며, 강력한 제어 기술의 기계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가 힘을 합쳐 이더캣 기술을 지원하고 홍보한다. 다양한 산업 분야는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대한 이더캣의 최적의 준비를 보장한다.[9] 시스템 파트너는 모든 필요한 장비 클래스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간단한 통합을 위한 자격을 갖춘 피드백을 제공한다.

ETG 회원사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이더캣 적합성 테스트 도구(EtherCAT Conformance Test Tool, CTT)[10]는 이더캣 장치의 상호 운용성 및 프로토콜 적합성을 보장한다. ETG는 뉘른베르크에 본부를 두고, 도쿄, 베이징(중국), 서울(대한민국), 오스틴(텍사스, 미국)에 지부를 두고 있다. 회비 무료 등, 가입 조건이 완화되어 있어 최근 회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ETG의 가맹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약 2400개사이다.[24]

3. 기능

자동화 기계에서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이며, 모션용 고기능 장치에서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는 기껏해야 10바이트 정도이다. 이 데이터 통신 단위는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크기보다 작아, 그대로 이더넷에 실는 것은 대역폭 낭비가 된다. 산업용 네트워크에서는 컨트롤러(PLC)와 통신 유닛(마스터)이 기능 장치(슬레이브)에 대해 1대 다 통신을 수행하므로, EtherCAT에서는 이 해결책으로, 논리적으로 링 네트워크가 되도록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에 대해 컨트롤러는 하나의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슬레이브 앞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22]

각 슬레이브 장치는 EtherCAT 기동 시 1개 이상의 주소 공간이 컨트롤러에 의해 부여되고(중복도 가능)[22], 컨트롤러는 메모리 맵 I/O를 수행한다. 프레임의 페이로드가 되는 각 슬레이브 앞으로의 전문은 데이터그램이라고 불리며, 각 데이터그램에는 주소와 이에 대한 읽기/쓰기 종류를 기록한 헤더가 붙는다.[22] 각 슬레이브는 수신 프레임 중 자신에게 부여된 주소의 데이터그램에 대해서만 변경을 가하고, 나머지는 투명하게 전송하는 것을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실행''한다(On the fly|온더플라이영어 처리).[22][23][21]

또한 기기 상호 간의 시각 동기화에 대해서는 마스터 컨트롤러에 의한 집중 동기화가 아닌 각 장치 노드마다 로컬 시계를 갖는 분산 시각 동기화 방식을 채택했다. 컨트롤러가 정기적으로 송출하는 시각 동기화 프레임은, 처음에 수신한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모든 슬레이브 노드를 통과하고, 또한, 송출원 슬레이브 장치까지 되돌아온다는 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 각 슬레이브 장치도 지연 시간을 알 수 있다.[22] 이로 인해 EtherCAT 프레임 도달 범위 내에서 고정밀도(1 μs 이하)의 시각 동기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22][23]

3. 1. 기능적인 원리

프레임 처리


EtherCAT을 사용하면, 표준 프레임 (IEEE 802.3)은 각 노드에서 데이터를 수신, 해석 및 복사할 필요가 없다. EtherCAT 슬레이브 장치는 텔레그램이 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데이터를 읽고 "온더플라이(On-the-fly)" 방식으로 처리한다.[22][23][21] 즉, 실시간 데이터와 메시지가 일반적이고 시간 제약이 적거나 부하가 큰 데이터보다 우선시된다.

마찬가지로 텔레그램이 통과하는 동안 입력 데이터가 삽입된다. 프레임은 처리되기 전에 완전히 수신되지 않으며, 대신 가능한 한 빨리 처리가 시작된다. 전송 또한 작은 비트 시간의 최소 지연으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전체 네트워크는 단 하나의 프레임으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2]

각 슬레이브 장치의 호스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프로세스 상태 등 주기적인 이더넷 패킷 전송과 관련된 처리에 관여하지 않으면서 빠른 사이클 타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프로세스 데이터 통신은 각 슬레이브 하드웨어 컨트롤러에서 처리된다.

'''ISO/OSI 참조 모델'''

ISO/OSI 계층EtherCAT
호스트
계층
7. 응용HTTP*, FTP*style="background:#d8ec9c; vertical-align: top;" |
6. 표현
5. 세션
4. 전송TCP*
미디어
계층
3. 네트워크IP*
2. 데이터 링크style="background:#e9c189; vertical-align: top;" colspan="2" |
이더넷 MAC
1. 물리100BASE-TX, 100BASE-FX
*선택 사항, 일반적인 필드버스 장치에는 표시된 TCP/IP 스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EtherCAT 마스터는 복잡한 도구 없이도 EtherCAT 슬레이브의 이름 및 데이터 유형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EtherCAT은 수정 없이 표준 이더넷(IEEE 802.3 - 이더넷 MAC 및 PHY)을 사용합니다.



자동화 기계에서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이며, 모션용 고기능 장치에서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는 기껏해야 10바이트 정도이다. 이 데이터 통신 단위는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크기보다 작아, 그대로 이더넷에 실는 것은 대역폭 낭비가 된다. 산업용 네트워크에서는 컨트롤러(PLC)와 통신 유닛(마스터)이 기능 장치(슬레이브)에 대해 1대 다 통신을 수행하므로, EtherCAT에서는 이 해결책으로, 논리적으로 링 네트워크가 되도록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에 대해 컨트롤러는 하나의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슬레이브 앞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22] 각 슬레이브 장치는 EtherCAT 기동 시 1개 이상의 주소 공간이 컨트롤러에 의해 부여되고(중복도 가능)[22], 컨트롤러는 메모리 맵 I/O를 수행한다. 프레임의 페이로드가 되는 각 슬레이브 앞으로의 전문은 데이터그램이라고 불리며, 각 데이터그램에는 주소와 이에 대한 읽기/쓰기 종류를 기록한 헤더가 붙는다.[22] 각 슬레이브는 수신 프레임 중 자신에게 부여된 주소의 데이터그램에 대해서만 변경을 가하고, 나머지는 투명하게 전송하는 것을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실행''한다.

3. 2. 프로토콜

EtherCAT은 IEEE 802.3 표준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며, 이더 타입(Ethertype) 0x88a4를 사용하여 식별된다.[1] 각 프레임은 여러 개의 데이터그램(서브 텔레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그램은 특정 슬레이브 장치의 메모리 영역에 매핑된다.[1] 데이터그램의 주소 지정은 물리적인 순서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통신도 가능하다.[1] 필요에 따라 EtherCAT 프로토콜을 UDP/IP 데이터그램에 캡슐화하여 IP 라우팅을 사용할 수도 있다.[1]

EtherCAT 통신 프로토콜은 IEEE 802.3의 이더넷 규격을 준수하며, 이더 타입 0x88a4를 사용한다.[1] 데이터 링크 계층은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가 처리한다.[1]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CAN over EtherCAT(CoE)이며,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에 접속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상의 소프트웨어로 구현한다.[1]

3. 3. 성능

계층7. 응용 (Application)style="background:#d8ec9c; vertical-align: top;" colspan="2" |6. 표현 (Presentation)—5. 세션 (Session)—4. 전송 (Transport)—미디어
계층3. 네트워크 (Network)—2. 데이터 링크(Data Link)style="background:#e9c189; vertical-align: top;" colspan="2" |이더넷 MAC1. 물리 (Physical)100BASE-TX, 100BASE-FX



이러한 특징 덕분에 슬레이브 장치의 호스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더넷 패킷 처리에 관여하지 않고도 빠른 사이클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모든 프로세스 데이터 통신은 슬레이브 컨트롤러 하드웨어에서 처리된다.

EtherCAT은 이러한 기능적 원리와 결합하여 매우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각 노드와 각 데이터가 별도의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대역폭 활용률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100μs 이하의 매우 짧은 사이클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100BASE-TX의 전이중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100Mbit/s 이상의 유효 데이터 속도(2x100Mbit/s의 90%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EtherCAT 기술 원리는 확장 가능하며, EtherCAT G 및 10G는 각각 1Gbps 및 10Gbps를 사용하여 IIoT 및 Industry 4.0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자동화 기계에서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대부분 작은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 데이터는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크기보다 작아 대역폭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EtherCAT은 하나의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슬레이브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22] 각 슬레이브 장치는 자신에게 할당된 주소의 데이터그램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투명하게 전송하는 On the fly|온더플라이영어 처리를 수행한다.[22][23][21] 또한, 각 장치 노드는 분산 시각 동기화 방식을 통해 고정밀(1 μs 이하) 시각 동기화 기능을 제공한다.[22][23]

3. 4. 토폴로지

EtherCAT은 전이중 통신 이더넷 물리 계층을 사용하여 라인, 트리, 링, 스타 토폴로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21] 슬레이브 컨트롤러는 열린 포트를 자동으로 닫고 다운스트림 장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더넷 프레임을 반환한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케이블 이중화, 핫 커넥트, 핫 스탠바이와 같은 다양한 통신 기능을 지원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인다.

이더넷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두 노드 간의 케이블 길이는 최대 100m까지 가능하다. 더 먼 거리 연결을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단일 모드 광섬유를 사용하면 두 노드 간에 최대 20km의 거리를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세그먼트당 총 65,535개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어 네트워크 확장이 거의 무제한이다.

3. 5. 동기화

EtherCAT은 분산 클럭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슬레이브 장치 간의 정밀한 동기화를 제공한다. 이는 IEEE 1588 정밀 시간 프로토콜(PTP) 표준과 호환되며, 1 μs 미만의 지터를 달성할 수 있다.[22][23] 마스터는 정기적으로 동기화 메시지를 전송하여 슬레이브 클럭을 보정하며, 각 슬레이브는 자체 클럭의 오차를 보정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분산 클럭을 설정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마스터가 특정 주소로 모든 슬레이브에 브로드캐스트를 전송한다.

2. 각 슬레이브는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와 반환되었을 때 내부 클럭의 값을 두 번 래치한다.

3. 마스터는 래치된 모든 값을 읽고 각 슬레이브에 대한 지연 시간을 계산한다.

4. 이 과정은 지터를 줄이고 값을 평균화하기 위해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5. 총 지연 시간은 슬레이브 링 내의 위치에 따라 각 슬레이브에 대해 계산되며 오프셋 레지스터에 업로드된다.

6. 마스터는 시스템 클럭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읽기/쓰기를 발행하여 첫 번째 슬레이브를 기준 클럭으로 만들고 다른 모든 슬레이브가 내부 클럭을 적절하게 설정하도록 강제한다.

초기화 후 클럭을 동기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는 정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를 다시 전송해야 한다. 각 슬레이브는 조정해야 할 때마다 내부 클럭의 속도를 조정하거나 내부 보정 메커니즘을 구현해야 한다.

시스템 클럭은 2000년 1월 1일 0:00부터 시작하여 1ns를 기본 단위로 하는 64비트 카운터로 지정된다.

자동화 기계에서 사용하는 통신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이며, 모션용 고기능 장치에서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는 기껏해야 10바이트 정도이다. 이 데이터 통신 단위는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크기보다 작아, 그대로 이더넷에 실는 것은 대역폭 낭비가 된다. 산업용 네트워크에서는 컨트롤러(PLC)와 통신 유닛(마스터)이 기능 장치(슬레이브)에 대해 1대 다 통신을 수행하므로, EtherCAT에서는 이 해결책으로, 논리적으로 링 네트워크가 되도록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에 대해 컨트롤러는 하나의 이더넷 프레임으로 모든 슬레이브 앞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22] 각 슬레이브 장치는 EtherCAT 기동 시 1개 이상의 주소 공간이 컨트롤러에 의해 부여되고, 컨트롤러는 메모리 맵 I/O를 수행한다. 각 슬레이브는 수신 프레임 중 자신에게 부여된 주소의 데이터그램에 대해서만 변경을 가하고, 나머지는 투명하게 전송하는 것을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실행''한다.[22][23][21] 또한 기기 상호 간의 시각 동기화에 대해서는 마스터 컨트롤러에 의한 집중 동기화가 아닌 각 장치 노드마다 로컬 시계를 갖는 분산 시각 동기화 방식을 채택했다. 컨트롤러가 정기적으로 송출하는 시각 동기화 프레임은, 처음에 수신한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모든 슬레이브 노드를 통과하고, 또한, 송출원 슬레이브 장치까지 되돌아온다는 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 각 슬레이브 장치도 지연 시간을 알 수 있다.[22]

3. 6. 진단

EtherCAT은 전송 중 비트 오류를 CRC 검사 합 분석을 통해 안정적으로 감지한다. 32비트 CRC 다항식은 해밍 거리가 4이다. 오류 감지 및 위치 파악 프로토콜과 EtherCAT 시스템의 전송 물리 및 토폴로지를 통해 모든 개별 전송 경로의 품질을 개별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련 오류 카운터를 자동 분석하여 문제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EtherCAT은 IEEE 802.3에 따른 표준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므로, 모든 표준 이더넷 도구를 사용하여 EtherCAT 통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샤크(이전의 Ethereal, 오픈 소스 모니터링 도구) 및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워크 모니터용 무료 파서 소프트웨어가 있어, 기록된 EtherCAT 데이터 트래픽을 편리하게 준비하고 표시할 수 있다.

4. 장치 프로파일

EtherCAT은 특정 응용 분야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프로파일을 지원한다. 장치 프로파일은 장치별 상태 머신을 포함하여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 매개변수와 기능적 동작을 설명한다. 기존 장치 프로파일에 대해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므로, 펌웨어 및 하드웨어를 조정하여 EtherCAT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2]

4. 1. CAN application protocol over EtherCAT (CoE)

CANopen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은 I/O 모듈, 드라이브 (예: IEC 61800-7-201/301로 표준화된 드라이브 프로파일 CiA 402), 엔코더 (CiA 406), 비례 밸브, 유압 컨트롤러 (CiA 408)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등 광범위한 장치 범주 및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EtherCAT은 CAN을 대체한다.[2]

EtherCAT의 통신 프로토콜은 IEEE 802.3의 이더넷 규격을 준수하며, 이더 타입 (이더넷 헤더에서 LAN 프레임이 운반하는 상위 프로토콜의 식별자를 격납하는 필드) 0x88a4를 사용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가 처리하며,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CAN over EtherCAT(CoE)이다. CoE는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에 접속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상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4. 2. Servodrive-Profile over EtherCAT (SoE)

SERCOS 인터페이스는 모션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서보 드라이브 및 통신 기술에 대한 SERCOS 프로파일은 IEC 61800-7에 표준화되어 있다. 이 표준에는 SERCOS 서보 드라이브 프로파일을 EtherCAT (IEC 61800-7-304)에 매핑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2]

5. 관련 프로토콜

계층7. 응용 (Application)HTTP*, FTP*6. 표현 (Presentation)——5. 세션 (Session)——4. 전송 (Transport)TCP*—미디어
계층3. 네트워크 (Network)IP*—2. 데이터 링크 (Data Link)colspan="2" |Ethernet MAC1. 물리 (Physical)100BASE-TX, 100BASE-FX*선택적

5. 1. Ethernet over EtherCAT (EoE)

스위치 포트를 통해 모든 이더넷 장치를 EtherCAT 세그먼트 내에 연결할 수 있다. 이더넷 프레임터널링을 통해 EtherCAT 프로토콜로 캡슐화되며,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TCP/IP, VPN, PPPoE(DSL) 등)에서 일반적인 방식이다. EtherCAT 네트워크는 이더넷 장치에 대해 완전히 투명하며, EtherCAT의 실시간 기능은 방해받지 않는다.[2]

5. 2. Safety over EtherCAT (FSoE)

Safety over EtherCAT (FSoE, Fail Safe over EtherCAT)는 EtherCAT을 이용한 기능 안전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 프로토콜과 구현은 모두 TÜV의 인증을 받았으며 IEC 61508에 따른 안전 무결성 레벨 3 (SIL 3)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3] 2010년부터 Safety over EtherCAT은 IEC 61784-3-12로 국제 표준화되었다.

EtherCAT은 안전 정보와 비안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단일 채널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송 매체는 "블랙 채널"로 간주되어,[4] 안전 고려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5. 3. File over EtherCAT (FoE)

TFTP와 유사한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장치 내 파일 접근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한다. TCP/IP 스택이 필요하지 않으며, 부트 로더 프로그램에서 지원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2]

6. 구현

EtherCAT 마스터는 표준 이더넷 MAC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운영 체제용 코드가 제공되며,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도 존재한다. 슬레이브 하드웨어에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마스터의 CPU 성능 요구 사항은 상대적으로 낮다.[2]

EtherCAT 슬레이브는 하드웨어에 통합된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ESC)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ESC는 ASIC 또는 FPGA 기반으로도 제공되며, 2012년 초부터 EtherCAT 슬레이브 인터페이스를 갖춘 표준 마이크로프로세서도 출시되고 있다.[2]

EtherCAT 마이크로컨트롤러

6. 1. 마스터

EtherCAT 마스터는 표준 이더넷 MAC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운영 체제용 코드가 제공되며, 여러 오픈 소스 프로젝트도 존재한다. 슬레이브 하드웨어에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마스터의 CPU 성능 요구 사항은 상대적으로 낮다.[2]

6. 2. 슬레이브

EtherCAT 슬레이브는 하드웨어에 통합된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ESC)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ESC는 ASIC 또는 FPGA 기반으로도 제공되며, 2012년 초부터 EtherCAT 슬레이브 인터페이스를 갖춘 표준 마이크로프로세서도 출시되고 있다.[2]

간단한 장치의 경우, 추가적인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더 복잡한 장치에서는 EtherCAT의 통신 성능이 사용된 컨트롤러의 성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대한 요구 사항은 드라이브 제어와 같은 로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된다.

EtherCAT 슬레이브 컨트롤러 공급업체와 타사 공급업체 모두에서 개발 보드를 선택할 수 있다. SOES 및 ArduCAT과 같은 EtherCAT 슬레이브 장치 개발 보드를 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도 있다.

7. 제어 및 조절

EtherCAT은 높은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보안, 동기성을 제공하여 물리적 프로세스의 제어 및 조절에 적합하며, 빠른 제어에 대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1]

8. 측정 시스템

최신 계측 시스템은 멀티 채널, 동기성 및 정확성을 특징으로 한다. EtherCAT의 고급 프로토콜 기능 덕분에 효율적인 동기 데이터 처리량이 보장된다.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는 분산된 계측 모듈을 갖춘 계측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한다.

9. EtherCAT Technology Group (ETG)

EtherCAT Technology Group(ETG)은 2003년에 설립되었으며, 독일 뉘른베르크에 본부를 두고 있다. 또한 일본 도쿄, 중국 베이징, 대한민국 서울,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지부를 두고 있다.[24] ETG는 회원들에게 구현 지원, 교육, 상호 운용성 테스트 (주로 "플러그 페스트"라고 불림)를 제공한다. 회원사의 지원을 받아 개발된 EtherCAT 적합성 테스트 도구(CTT)는 EtherCAT 장치의 상호 운용성 및 프로토콜 적합성을 보장한다.

ETG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실무 그룹의 공식적인 연락 파트너이다. EtherCAT은 ISO 15745-4,[16], SEMI 표준 포트폴리오(E54.20)[17], IEC 61784-3[18], IEC 61784-5[19] 등 다양한 국제 표준에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Vernetzung: Industrial Ethernet auf dem Vormarsch https://www.elektrot[...] 2021-04-19
[2] Youtube EtherCAT Functional Principle (3D) https://www.youtube.[...] 2012-02-23
[3] 웹사이트 Sicherheit für EtherCAT: Safety-over-EtherCAT ermöglicht die Integration der Sicherheitlösung in das Maschinenkonzept https://www.konstruk[...] 2009-01-12
[4] 뉴스 The Hidden Network http://www.controlgl[...] Verhappen, Ian 2011-02-14
[5] 웹사이트 EtherCAT Technology Group | EtherCAT https://www.ethercat[...]
[6] 웹사이트 ETG Members List https://www.ethercat[...]
[7] 웹사이트 EtherCAT Technology Group: Die größte Feldbusorganisation der Welt https://www.elektrot[...] 2011-01-14
[8] 웹사이트 EtherCAT Plug Fests https://www.ethercat[...]
[9] 웹사이트 EtherCAT Application Articles https://www.ethercat[...]
[10] 웹사이트 EtherCAT Conformance Test Tool https://www.ethercat[...]
[11] 간행물 IEC/PAS 62407 (Ed 1.0), Real-time Ethernet control automation technology (EtherCAT)
[12] 간행물 IEC 61158-2 (Ed.4.0),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2: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and service definition
[13] 간행물 IEC 61158-3/4/5/6-12 (Ed.1.0),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3-12: Data-link layer service definition - Part 4-12: Data-link layer protocol specification - Part 5-12: Application layer service definition - Part 6-12: Application layer protocol specification -Type 12 elements (EtherCAT)
[14] 간행물 IEC 61784-2 (Ed.1.0),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 Part 2: Additional fieldbus profiles for real-time networks based on ISO/IEC 8802-3
[15] 간행물 IEC 61800-7-301/304 (Ed.1.0), Adjustable speed electrical power drive systems - Part 7-301: Generic interface and use of profiles for power drive systems - Mapping of profile type 1 to network technologies - Part 7-304: Generic interface and use of profiles for power drive systems - Mapping of profile type 4 to network technologies
[16] 간행물 ISO 15745-4:2003/Amd 2:2007,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and integration -- Open systems application integration framework - Part 4: Reference description for Ethernet-based control systems
[17] 간행물 SEMI E54.20-1108 - Standard for Sensor/Actuator Network Communications for EtherCAT
[18] 간행물 IEC 61784-3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 Part 3: Functional safety fieldbuses
[19] 간행물 IEC 61784-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 Part 5: Installation of fieldbuses
[20] 웹사이트 EtherCAT Technology Group | EtherCAT https://www.ethercat[...]
[21] 웹사이트 いまさら聞けない EtherCAT入門 (2/4)ページ https://monoist.itme[...] ITmedia 2013-09-17
[22] 웹사이트 EtherCAT - イーサネットフィールドバス https://www.ethercat[...]
[23] 웹사이트 いまさら聞けない EtherCAT入門 https://monoist.itme[...] ITmedia 2013-09-17
[24] 웹사이트 EtherCAT Technology Group http://www.ether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