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IFA 비치사커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FIFA가 주관하는 비치사커 국제 대회이다. 1995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BSWW 주관으로 첫 대회가 개최되었고, 2005년부터 FIFA가 BSWW와 협력하여 대회를 운영하며 참가국을 16개국으로 확대했다. 대회는 2년 주기로 열리며,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브라질이 최다 우승국이며, 유럽,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북중미,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대륙의 국가들이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SUPER GT
    SUPER GT는 전일본 그룹 C 스포츠 자동차 챔피언십의 후속으로 시작된 일본의 스포츠카 레이스 시리즈로, 운영 비용 문제 해결을 위해 엔진 출력 제한과 중량 페널티를 도입, GT500과 GT300 두 클래스로 운영되며, FIA 규정으로 명칭 변경 후 국제적인 협력과 독자적인 기술 규정을 유지하며 드라이버 및 팀 챔피언십을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 200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GP2 시리즈
    GP2 시리즈는 2005년에 시작되어 F1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루이스 해밀턴과 같은 챔피언을 배출했으나, 문제점으로 인해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 FIFA 비치사커 월드컵 - 2013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2013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2013년 9월 18일부터 28일까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타히티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개최되었으며, 러시아가 스페인을 꺾고 우승했고 브루누 자비에르가 골든볼, 드미트리 시신이 골든슈를 수상했다.
  • FIFA 비치사커 월드컵 - 1995년 비치사커 세계 선수권 대회
    1995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코파카바나 해변에서 열린 첫 번째 비치사커 월드컵 대회에서 브라질이 미국을 꺾고 초대 우승국이 되었으며, 지쿠와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최다 득점자, 주니오르와 지쿠가 최우수 선수, 파울루 세르지우가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FIFA 비치사커 월드컵
기본 정보
주최FIFA
창립2005년
지역AFC
CAF
CONCACAF
CONMEBOL
OFC
UEFA
참가 팀 수16
현재 챔피언(6번째 우승)
최다 우승 팀(6회 우승)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대회2025년 FIFA 비치사커 월드컵
대회 이름FIFA 비치사커 월드컵
로마자 표기FIFA Beach Soccer World Cup
월드컵 목록
비치사커 세계 선수권 대회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FIFA 비치사커 월드컵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3
2015
2017
2019
2021
2024
2025
추가 정보
종목비치사커
첫 우승 팀(1995년)
최다 진출 팀(19회, 모든 대회 출전)

2. 역사

1995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비치 사커 월드와이드(BSWW) 주관으로 첫 번째 비치 사커 월드 챔피언십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현대 비치사커 규칙의 기틀을 마련한 대회로 평가받는다. 2004년까지 총 10번의 대회가 열렸다.[1]

2005년, 국제 축구 연맹(FIFA)은 BSWW와 협력하여 FIFA 명칭 하에 새로운 월드컵 대회를 공동 주관하게 되었다. 대회 명칭은 FIFA 비치사커 월드컵으로 변경되었으며, 2005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2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에릭 칸토나가 이끄는 프랑스가 포르투갈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6년, FIFA는 월드컵 참가국을 16개국으로 확대하고, 대륙별 예선 시스템을 도입하여 대회의 규모를 키웠다. 2008년에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2009년에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월드컵이 개최되면서 브라질 외 지역에서도 대회가 열리기 시작했다.[2]

2009년, FIFA는 2011년부터 월드컵을 2년 주기로 변경하여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각 대륙 연맹이 비치사커를 발전시킬 시간을 더 확보하고, 월드컵 사이에 각 연맹이 자체 지역 토너먼트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3] 2013년부터는 대회 우승팀에게 FIFA 챔피언 배지가 수여되기 시작했다.[5]

2. 1. 역대 대회

FIFA는 2005년에 BSWW와 협력하여 FIFA 명칭 하에 새로운 월드컵 대회를 공동 주관했다. 2004년 대회를 이어 12개 팀이 참가하는 전통을 유지하며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월드컵을 개최했고, 결승전에서 에릭 칸토나가 이끄는 프랑스가 포르투갈을 승부차기 끝에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1]

이 토너먼트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2006년 대회부터 FIFA는 참가국을 16개국으로 표준화하고 연중 열리는 'FIFA 비치사커 월드컵 예선'을 설립했다. 2007년 월드컵이 끝날 무렵, FIFA는 개최지를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스포츠의 인기를 확대하기 위해 2008년 월드컵은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2009년 월드컵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들은 브라질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대회였다.[2]

2009년 월드컵 결승전 이전에 FIFA는 2011년부터 월드컵이 2년마다 개최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각 연맹이 스포츠를 개발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확보하고, 월드컵 사이에 각 연맹이 자체 지역 토너먼트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3] 2010년 3월 FIFA는 2011년 월드컵이 이탈리아에서, 2013년 월드컵이 타히티에서 개최될 것이라고 확인했다.[4] 2013년, FIFA는 대회 우승팀에게 FIFA 챔피언 배지를 수여하기 시작했으며, 러시아가 우승을 차지했다.[5]

#년도개최지결승전3·4위전참가팀 수득점
(경기당 평균)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2005코파카바나 해변,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프랑스3–3 (연장)
(1–0 승부차기)
포르투갈브라질11–2일본12164 (8.2)
22006코파카바나 해변,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브라질4–1우루과이프랑스6–4포르투갈16286 (8.9)
32007코파카바나 해변,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브라질8–2멕시코우루과이2–2 (연장)
(1–0 승부차기)
프랑스16261 (8.2)
42008프라도 해변, 마르세유, 프랑스브라질5–3이탈리아포르투갈5–4스페인16258 (8.3)
52009주메이라, 두바이, 아랍에미리트브라질10–5스위스포르투갈14–7우루과이16269 (8.7)
62011라벤나, 마리나 디 라벤나, 이탈리아러시아12–8브라질포르투갈3–2엘살바도르16269 (8.4)
72013파페에테, 플라스 토아타, 타히티러시아5–1스페인브라질7–7 (연장)
(1–0 승부차기)
타히티16243 (7.6)
82015에스피뉴, 프라이아 다 바이아, 포르투갈포르투갈5–3타히티러시아5–2이탈리아16257 (8.0)
92017나소, 말콤 파크, 바하마브라질6–0타히티이란5–3이탈리아16266 (8.3)
102019파라과이 올림픽 공원, 루케, 파라과이포르투갈6–4이탈리아러시아5–4일본16286 (8.9)
112021루즈니키 콤플렉스, 모스크바, 러시아RFU5–2일본스위스9–7세네갈16302 (9.4)
122024디자인 지구, 두바이, 아랍에미리트브라질6–4이탈리아이란6–1벨라루스16223 (7.0)
132025빅토리아, 세이셸16



FIFA 비치사커 월드컵 (2005년 ~ 현재)
년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대회 최우수 선수최다 득점 선수최우수 골키퍼페어플레이상
12005년브라질프랑스포르투갈브라질일본마조엘(포르투갈)12골 마조엘(포르투갈)일본
22006년브라질브라질우루과이프랑스포르투갈마조엘(포르투갈)21골 마조엘(포르투갈)프랑스
32007년브라질브라질멕시코우루과이프랑스브루(브라질)10골 브루(브라질)브라질
42008년프랑스브라질이탈리아포르투갈스페인아마렐호(스페인)13골 마조엘(포르투갈)로베르토 바예호(스페인)러시아
52009년아랍에미리트브라질스위스포르투갈우루과이데얀 스탄코비치(스위스)16골 데얀 스탄코비치(스위스)막스(브라질)일본
러시아
62011년이탈리아러시아브라질포르투갈엘살바도르일리야 레오노프(러시아)14골 안드레(브라질)안드레이 부흐리츠키(러시아)나이지리아
72013년타히티러시아스페인브라질타히티브루누 자비에르(브라질)11골 드미트리 시신(러시아)도나(스페인)러시아
82015년포르투갈포르투갈타히티러시아이탈리아헤이마누 타이아루이(타히티)8골 페드로 모란(파라과이) / 마조엘(포르투갈) / 노엘 오트(스위스)조나단 트로이아(타히티)브라질
92017년바하마브라질타히티이란이탈리아모하마드 아마드자데(이란)17골 가브리엘레 고리(이탈리아)페이만 호세이니(이란)브라질
102019년파라과이포르투갈이탈리아러시아일본모레이라 오즈(일본)16골 가브리엘레 고리(이탈리아)엘링턴 안드라데(포르투갈)세네갈
112021년러시아RFU일본스위스세네갈노엘 오트(스위스)12골 글렌 호델(스위스)엘리엇 모나드(스위스)브라질
122024년아랍에미리트브라질이탈리아이란벨라루스로드리고(브라질)12골 브리스첼(벨라루스)티아고 보보(브라질)포르투갈
132025년세이셸
비치사커 세계 선수권 대회 (1995년 ~ 2004년)
년도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대회 최우수 선수최다 득점 선수최우수 골키퍼총 득점 수
(경기당 평균)
11995년브라질브라질미국잉글랜드이탈리아지쿠 (브라질)
주니오르 (브라질)
12골
지쿠 (브라질)
알토벨리 (이탈리아)
파울로 세르지오(브라질)149 (9.3)
21996년브라질브라질우루과이이탈리아미국에지뉴(브라질)14골
알토벨리 (이탈리아)
파울로 세르지오(브라질)131 (8.2)
31997년브라질브라질우루과이미국아르헨티나주니오르 (브라질)11골
주니오르 (브라질)
베난시오 라모스(우루과이)
파울로 세르지오(브라질)144 (9.0)
41998년브라질브라질프랑스우루과이페루주니오르 (브라질)14골
주니오르 (브라질)
파울로 세르지오(브라질)219 (9.1)
51999년브라질브라질포르투갈우루과이페루조르지뉴(브라질)10골
주니오르 (브라질)
마토사스(우루과이)
페드로 크레스포(포르투갈)186 (9.3)
62000년브라질브라질페루스페인일본주니오르 (브라질)13골
주니오르 (브라질)
가토나가 카즈히토(일본)172 (8.6)
72001년브라질포르투갈프랑스아르헨티나브라질에르나니(포르투갈)10골
알란(포르투갈)
파스칼 올메타(프랑스)144 (7.2)
82002년브라질브라질포르투갈우루과이태국네넨(브라질)9골
네넨(브라질)
마조엘(포르투갈)
니코(우루과이)
노름차로엔(태국)145 (9.1)
92003년브라질브라질스페인포르투갈프랑스아마렐호(스페인)15골
네넨(브라질)
로베르치뉴(브라질)150 (9.4)
102004년브라질브라질스페인포르투갈이탈리아조르지뉴(브라질)12골
마조엘(포르투갈)
로베르토(스페인)155 (7.8)



최초의 비치 사커 월드컵은 1995년 브라질에서 개최되었으며, 현대 표준 규칙의 창립자 전신인 비치 사커 월드와이드(Beach Soccer Worldwide)가 주관하였고, ''비치 사커 월드 챔피언십''(Beach Soccer World Championships)이라는 타이틀로 열렸다. 마지막 대회는 2004년에 열렸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collapse:collapse; font-size:90%; text-align:center; width:100%" cellpadding=2 cellspacing=0

|- bgcolor="#c1d8ff"

!rowspan=2 width=5

2. 1. 1. 통산 기록

우승준우승3위4위
브라질1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2*, 2003*, 2004*, 2006*, 2007*, 2008, 2009, 2017, 2024)1 (2011)2 (2005*, 2013)1 (2001*)
포르투갈3 (2001, 2015*, 2019)3 (1999, 2002, 2005)5 (2003, 2004, 2008, 2009, 2011)1 (2006)
러시아3 (2011, 2013, 2021)-2 (2015, 2019)-
프랑스1 (2005)2 (1998, 2001)1 (2006)2 (2003, 2007)
우루과이-3 (1996, 1997, 2006)4 (1998, 1999, 2002, 2007)1 (2009)
스페인-3 (2003, 2004, 2013)1 (2000)1 (2008)
타히티-2 (2015, 2017)-1 (2013*)
이탈리아-3 (2008, 2019, 2024)1 (1996)4 (1995, 2004, 2015, 2017)
미국-1 (1995)1 (1997)1 (1996)
스위스-1 (2009)1 (2021)-
일본-1 (2021)-3 (2000, 2005, 2019)
페루-1 (2000)-2 (1998, 1999)
아르헨티나--1 (2001)1 (1997)
이란--2 (2017, 2024)-
잉글랜드--1 (1995)-
엘살바도르---1 (2011)
태국---1 (2002)
세네갈---1 (2021)
벨라루스---1 (2024)



: * 개최국

3. 대회 방식

FIFA 비치사커 월드컵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경기를 치른다. 4팀씩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르고, 각 조 상위 2팀이 녹아웃 방식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툰다. 경기 방식은 12분씩 3피리어드로 진행되며,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3분간의 연장전을 실시한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1]

3. 1. 예선

제1회 FIFA 대회 이후, FIFA는 결승전 참가 팀 수를 16개 팀으로 늘렸다. 이에 따라 FIFA와 BSWW는 각 대륙별 연맹과 협의하여 각 월드컵을 위한 표준 예선 과정을 설정하고, 각 대륙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각 선수권 대회 우승팀은 해당 지역 최고 팀으로 인정받고, "지역 경쟁력을 높이고, 무엇보다도 각 대륙 연맹 최고 팀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일관된 자격 부여 방식"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는 또한 전 세계적으로 이 스포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과거와 달리 모든 대륙 연맹이 이후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참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08년까지 유럽은 유럽 비치사커 리그를 월드컵 예선 방식으로 계속 사용했지만, 다른 모든 대륙 연맹은 같은 해에 열린 결승전을 고려하여 2006년에 첫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2006년 FIFA는 월드컵 출전권 배정과 지역 예선을 통해 월드컵에 진출하는 국가 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대륙 연맹대륙예선 토너먼트예선 통과 국가 수예선 참가 팀 수
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1년2013년2015년2017년2019년2021년
유럽축구연맹(UEFA)유럽FIFA 비치사커 월드컵 유럽 예선5개국17222426272424282027
남미축구연맹(CONMEBOL)남아메리카코파 아메리카 비치사커3개국63789910101010
아시아축구연맹(AFC)아시아AFC 비치사커 아시안컵3개국66671116151415
아프리카축구연맹(CAF)아프리카아프리카 비치사커 네이션스컵2개국68899820151314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CONCACAF)북중미카리브해CONCACAF 비치사커 선수권 대회2개국544681016161612
오세아니아축구연맹(OFC)오세아니아OFC 비치사커 네이션스컵1개국444335
총계16개국44474950677085837963



개최국의 대륙 연맹은 예선 진출권 한 자리를 잃는다. 예를 들어, 2015년 월드컵이 포르투갈에서 개최되었으므로 포르투갈은 자동으로 예선을 통과하여 유럽 5개국의 출전권 중 하나를 차지했다. 따라서 2015년 UEFA 예선에서는 4개국만이 예선을 통과하여 개최국과 함께 총 5개의 유럽 국가가 출전하게 되었다.

표에서 보듯이, 예선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국가 수는 일반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06년 이후 전 세계 참가자 수는 거의 두 배가 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토너먼트임에도 불구하고, 주된 목표가 월드컵 진출이기 때문에, 브라질이 2007년 CONMEBOL 비치사커 선수권 대회에 불참하고, 타히티가 2013 OFC 비치사커 선수권 대회에 불참하는 등, 개최국으로서 결승전에 자동으로 진출하는 경우 일부 팀은 참가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FIFA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대륙 예선을 실시하며, 상위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각 대륙별 예선 대회는 다음과 같다.

대륙 연맹대회명
아시아축구연맹(AFC)AFC 비치사커 아시안컵
아프리카축구연맹(CAF)아프리카 비치사커 네이션스컵
유럽축구연맹(UEFA)FIFA 비치사커 월드컵 유럽 예선
오세아니아축구연맹(OFC)OFC 비치사커 네이션스컵
북중미카리브해축구연맹(CONCACAF)CONCACAF 비치사커 선수권 대회
남미축구연맹(CONMEBOL)코파 아메리카 비치사커


3. 2. 본선

2005년 대회 설립 이후, 2021년 월드컵까지 11번의 대회에 39개국이 참가했다. 브라질과 일본 두 나라만 모든 월드컵에 참가했다. 39개국 중 10개국이 유럽 출신으로 다른 대륙보다 두 배나 많아 유럽 팀이 대륙별 예선에서 독보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선구자 챔피언십에 출전했던 8개국은 FIFA 월드컵에 출전하지 못했다. 페루(5회)는 FIFA 주관 월드컵에 아직 출전하지 못한 채 가장 많은 대회에 출전했다. 한편, 세네갈(9회)은 2005년 이전 구 월드 챔피언십에는 출전한 적이 없으면서 FIFA가 승인한 대회에 가장 많이 출전했다.

출전 횟수첫 출전마지막 출전최고 성적
12Seleção Brasileira de Futebol de Areia|브라질pt20052024우승
ビーチサッカー日本代表|일본일본어20052024준우승
11Seleção Portuguesa de Futebol de Praia|포르투갈pt20052024우승
9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España|스페인es20052024준우승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Argentina|아르헨티나es200520248강
Nazionale di beach soccer dell'Italia|이탈리아it20062024준우승
Équipe du Sénégal de football de plage|세네갈프랑스어200720244위
8Сборная России по пляжному футболу|러시아ru20072021우승
تیم ملی فوتبال ساحلی ایران|이란fa200620243위
منتخب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لكرة القدم الشاطئية|아랍에미리트ar200720248강
7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Uruguay|우루과이es20052021준우승
United States men's national beach soccer team|미국영어20052024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México|멕시코es20072024준우승
Équipe de Tahiti de football de plage|타히티프랑스어20112024준우승
6Nigeria national beach soccer team|나이지리아영어200620198강
Schweizer Beach-Soccer-Nationalmannschaft|스위스de20092021준우승
5Solomon Islands national beach soccer team|솔로몬 제도영어20062013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El Salvador|엘살바도르es200820214위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Paraguay|파라과이es201320218강
منتخب عُمان لكرة القدم الشاطئية|오만ar201120241라운드
4Équipe de France de football de plage|프랑스프랑스어20052008우승



출전 횟수첫 출전마지막 출전최고 성적
3Збірна України з пляжного футболу|우크라이나uk200520138강
Зборная Беларусі па пляжным футболе|벨라루스be201920244위
2Reprezentacja Polski w piłce nożnej plażowej|폴란드pl200620171라운드
منتخب البحرين لكرة القدم الشاطئية|바레인ar200620098강
Équipe du Cameroun de football de plage|카메룬프랑스어20062008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Costa Rica|코스타리카es200920151라운드
Équipe de Côte d'Ivoire de football de plag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200920131라운드
1Australia national beach soccer team|오스트레일리아영어20051라운드
Suid-Afrikaanse nasionale strandvoetbalspan|남아프리카 공화국af20051라운드
ฟุตบอลชายหาดทีมชาติไทย|태국th20051라운드
Canada national beach soccer team|캐나다영어20068강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Venezuela|베네수엘라es20111라운드
Nederlands beachsoccerteam|네덜란드nl20131라운드
Équipe de Madagascar de football de plage|마다가스카르프랑스어20151라운드
Bahamas national beach soccer team|바하마영어2017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Ecuador|에콰도르es2017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Panamá|파나마es20171라운드
Seleção Moçambicana de Futebol de Praia|모잠비크pt20211라운드
Selección de fútbol playa de Colombia|콜롬비아es20241라운드
منتخب مصر لكرة القدم الشاطئية|이집트ar20241라운드
Équipe des Seychelles de football de plage|세이셸프랑스어2025미정



이번 대회에는 총 16개 팀이 출전한다. 4팀씩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르고, 각 조 상위 2팀이 녹아웃 방식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툰다.

3. 3. 경기 방식

경기는 12분씩 3피리어드로 진행된다. 정규 시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3분간의 연장전을 실시한다.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1]

4. 대륙별 참가 현황

FIFA 비치사커 월드컵 대륙별 참가 현황
대륙AFCCAFCONCACAFCONMEBOLOFCUEFA합계
참가 팀 수362324361356188
8강 진출 횟수14752454196
4강 진출 횟수5121232548
결승 진출 횟수101821224
우승 횟수00060612
준우승 횟수10122612
3위 횟수20030712
4위 횟수21111612


5. 월드컵 참가국

2005년 대회 설립 이후, 2021년 월드컵까지 11번의 대회에 39개국이 참가했다. 브라질과 일본 두 나라만 모든 월드컵에 참가했다. 39개국 중 10개국이 유럽 출신으로 다른 대륙보다 두 배나 많아 유럽 팀이 대륙별 예선에서 독보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선구자 챔피언십에 출전했던 8개국은 FIFA 월드컵에 출전하지 못했다. 페루(5회)는 FIFA 주관 월드컵에 아직 출전하지 못한 채 가장 많은 대회에 출전했다. 한편, 세네갈(9회)은 2005년 이전 구 월드 챔피언십에는 출전한 적이 없으면서 FIFA가 승인한 대회에 가장 많이 출전했다.

출전 횟수첫 출전마지막 출전최고 성적
12브라질20052024우승
일본20052024준우승
11포르투갈20052024우승
9스페인20052024준우승
아르헨티나200520248강
이탈리아20062024준우승
세네갈200720244위
8러시아[1]20072021우승
이란200620243위
아랍에미리트200720248강
7우루과이20052021준우승
미국200520241라운드
멕시코20072024준우승
타히티20112024준우승
6나이지리아200620198강
스위스20092021준우승
5솔로몬 제도200620131라운드
엘살바도르200820214위
파라과이201320218강
오만201120241라운드
4프랑스20052008우승
3우크라이나200520138강
벨라루스201920244위
2폴란드200620171라운드
바레인200620098강
카메룬200620081라운드
코스타리카200920151라운드
코트디부아르200920131라운드
1오스트레일리아20051라운드
남아프리카 공화국20051라운드
태국20051라운드
캐나다20068강
베네수엘라20111라운드
네덜란드20131라운드
마다가스카르20151라운드
바하마20171라운드
에콰도르20171라운드
파나마20171라운드
모잠비크20211라운드
콜롬비아20241라운드
이집트20241라운드
세이셸2025미정


6. 관중

2009년을 제외한 모든 대회는 한 경기장에서 모든 경기가 개최되었다. 2009년에는 두 경기장이 사용되었는데, 작은 경기장에서는 6경기가 열렸고 수용 인원은 1,200명이었으며, 이곳에서 가장 낮은 관중 수가 기록되었다.[6]

연도개최지경기장 수용 인원경기 수총 관중 수최저 관중 수최고 관중 수평균 관중 수관중률
2005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10,00020110,50050010,0005,52555%
2006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10,00032179,80080010,0005,61956%
2007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10,00032157,3001,00010,0005,52549%
2008 마르세유, 프랑스7,00032176,5003,0007,0005,51679%
2009 두바이, 아랍에미리트5,700 / 1,2003297,5001505,7003,04763%
2011 라벤나, 이탈리아5,50032119,3701,0005,5003,73068%
2013 파페에테, 타히티4,20032109,6501,1004,2003,42782%
2015 에스피뉴, 포르투갈3,5003296,3001,6003,5003,00986%
2017 나소, 바하마3,5003257,4504003,5001,79551%
2019 루케, 파라과이2,8473234,9972162,8471,09438%
2021 모스크바, 러시아2,5003253,1494722,5001,66166%
2024 두바이, 아랍에미리트3,4583272,8937113,4582,27866%
합계 (2005–2024)3721,265,40915010,0003,40262%


참조

[1] 웹사이트 Brazil the undisputed kings of sand https://www.fifa.com[...] 2009-11-24
[2] 웹사이트 DUBAI 2009: FIFA Beach Soccer World Cup https://bleacherrepo[...] 2009-11-25
[3] 웹사이트 Valcke: Beach soccer on the move https://web.archive.[...] 2009-11-21
[4] 뉴스 FIFA Executive Committee approves special funding for Chile and Haiti https://www.fifa.com[...] 2010-03-19
[5] 웹사이트 FIFA World Champions Badge honours Real Madrid's impeccable year https://web.archive.[...] 2014-10-20
[6] 웹사이트 FIFA Beach Soccer World Cup Dubai 2009 Technical Report and Statistics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Samoura: We Want The World Cup To Be A Safe Place For Everyone https://www.fifa.com[...] 2021-08-19
[8] 웹사이트 Матчи ЧМ по пляжному футболу можно посетить без теста на COVID-19 и QR-кода о вакцинации https://www.sports.r[...] 2021-08-09
[9] 웹사이트 ВАДА разрешило провести в Москве ЧМ по пляжному футболу https://www.sport-in[...] 2021-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