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코칸트 191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코칸트 1912는 우즈베키스탄 코칸트에 위치한 축구 클럽으로, 중앙아시아 최초의 축구팀으로 시작되었다. 1912년 창단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으며, 1992년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에 참가했다. 1997년, 2001년, 2009년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현재는 우즈베키스탄 슈퍼 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구단 - FC 부뇨드코르
FC 부뇨드코르는 2005년 창단된 우즈베키스탄 프로 축구 클럽으로, 짧은 기간에 1부 리그로 승격하여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리그 5회 우승 등 전성기를 누렸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준결승에 두 번 진출하는 등 아시아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 구단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는 1956년 창단하여 우즈베키스탄 리그에서 16회, 우즈베키스탄 컵에서 13회 우승한 우즈베키스탄의 대표적인 프로 축구 클럽으로, 선수단 항공 사고의 비극을 딛고 재건하여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1912년 설립된 축구단 - 모데나 FC 2018
모데나 FC 2018은 1912년 창단된 모데나 FC의 파산 후 2018년에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B까지 승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코파 안글로-이탈리아나 2회 우승과 세리에 C 슈퍼컵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12년 설립된 축구단 - 세로 포르테뇨
세로 포르테뇨는 1912년 창단되어 파라과이 양대 정당의 상징색을 결합한 붉은색과 파란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하는 파라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4회 우승했으며 45,000명을 수용하는 에스타디오 헤네랄 파블로 로하스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올림피아와의 더비 매치인 수페르클라시코가 유명하며 축구 외 다양한 종목에서도 활동한다.
FK 코칸트 1912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FC 코칸트 1912 |
전체 이름 | 코칸트 1912 축구 클럽 |
별칭 | 코칸트인 트레일블레이저 |
창단 | 1912년 |
홈 경기장 | 코칸트 마르카지 스타디움 |
수용 인원 | 10,500명 |
회장 | (정보 없음) |
감독 | 누몬 카사노프 |
리그 정보 | |
리그 |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
시즌 | 2023년 |
순위 |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3위 (11개 팀 중) |
웹사이트 | FC 코칸트 1912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 | |
원정 유니폼 | (이미지 정보 없음) |
2. 역사
축구가 20세기 초 현대 우즈베키스탄 영토에 처음 들어온 것은 러시아 제국 군인들이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에 주둔하면서였다. 그들은 여가 시간에 축구를 즐겼고, 주변 군사 요새, 도시, 마을 주민들이 이 새로운 스포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1]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축구의 인기가 높아졌고, 이들은 군인들처럼 경기장을 흉내 내고 직접 공을 만들어 경기를 즐겼다. 처음에는 가죽으로 만든 공에 천을 채워 사용했고, 이후 돈을 모아 러시아 군인들에게 진짜 공을 사서 사용하면서 축구의 인기는 더욱 커졌다.[1]
1912년, 코칸트에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최초의 축구팀이 결성되었는데, 이는 중앙아시아와 우즈베키스탄 역사상 최초의 축구팀이었다.[2] 이 팀은 처음에는 자체적으로 경기를 하다가 러시아 군인 팀과 경기를 시작하여 점차 승리하기 시작했다. 이후 코칸트 팀은 페르가나 군 수비대 팀과 경기를 치렀는데, 첫 경기에서는 수비대 팀이 승리했지만 재경기에서는 코칸트 팀이 승리했다. 이 경기에는 많은 관중이 몰려들었다.[2]
코칸트 팀의 성공 이후, 축구는 코칸트뿐만 아니라 페르가나 계곡 전체의 지식인, 부유층, 상인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고, 그들의 노력으로 1912년 중앙아시아와 우즈베키스탄 역사상 최초의 축구팀인 "무스꼬만다"(무슬림 팀)가 창설되었다. 이후 페르가나 계곡의 다른 도시와 마을에도 지역 팀이 창설되었고, "무스꼬만다"는 이 팀들과 경기를 하며 페르가나 계곡을 순회했다.[2]
소련 시대에 들어서 "무스꼬만다"는 종교적 색채를 없애기 위해 "코칸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는 무신론을 장려하는 소련의 이념을 반영한 결과였다. 1926년 시작된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서 코칸트 팀은 초기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1930년대 우즈베키스탄 축구는 부흥기를 맞이했고, 코칸트 선수들은 타슈켄트 팀 선수들과 함께 우즈베키스탄 SSR 축구팀 창설에 기여했다.[2]
1950년대에 코칸트 클럽은 "메흐나트"(Mehnat, 우즈베크어로 '노동'이라는 뜻)로 이름을 바꾸고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1958년에는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콤소몰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당시 코칸트에는 여러 축구팀이 있었는데, 이들은 메흐나트의 팜 클럽 역할을 하며 재능 있는 선수들을 배출했다.[2] 1968년, 메흐나트는 소련 선수권 대회 2부 리그 B조에 데뷔하여 19위를 기록했고, 1987년에는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2]
1988년, 클럽은 "아브토모빌리스트"(Avtomobilist, 러시아어로 '자동차 운전자'라는 뜻)로 이름을 변경하고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하여 1989년에는 5위까지 상승했다. 1990년대 초,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할 당시 주요 선수진은 네르드 아이리예프 감독을 비롯해 이고르 우소프, 아이딘벡 알리예프 등이 있었다.[2]
소련 해체 이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하면서 1992년부터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십이 시작되었고, 클럽은 "테미률치"(Temiryolchi/Temiryo'lchiuz) (우즈베크어로 "철도원"을 의미)로 이름을 변경했다.[2] 테미률치는 우즈베키스탄 최고 리그에 포함되어 리그 첫 경기 참가팀 중 하나가 되었고, 데뷔 시즌에 6위를 차지했다. 1992년에는 우즈베키스탄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나망간의 나브바호르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2]
테미률치는 1995년까지 우즈베키스탄 최고 리그에 참가하다가 1995 시즌에 우즈베키스탄 퍼스트 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1997 시즌에 우승하며 최고 리그로 복귀했고, 2000 시즌에 다시 강등되었다. 2001년 퍼스트 리그에서 다시 우승하며 최고 리그로 복귀했고, 2002년에 클럽 이름을 코칸트로 변경했다. 2004년에는 재정 문제로 리그 참가가 불허되었고, 2007년에는 심지어 세컨드 리그에도 참가했다. 2009년에는 클럽 이름을 분요드코르-코칸트로 변경했다. 2012년에 "코칸트 1912"라는 이름으로 재창단하여 2014년까지 퍼스트 리그에 참가했고, 2014년에는 퍼스트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여 다시 최고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2. 1. 초기 역사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 군인들이 코칸트에서 축구를 시작한 것이 시초였다. 1912년, 코칸트 지역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중앙아시아 최초의 축구팀인 "무스꼬만다"를 결성했다. 이는 우즈베키스탄 축구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다.초창기 "무스꼬만다"는 공과 축구화 부족이라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루지마트 니야조프 형제와 구두 제작자 이스마일 니야조프가 수제 공을 제작하며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들은 곧 생산을 확대하여 축구화까지 만들었고, 코칸트에서 생산된 공은 중앙아시아 전역은 물론 러시아 지역까지 판매되었다.[2] 형제는 러시아로부터 400개의 공을 주문받아 보내기도 했다.
1910년대 "무스꼬만다"의 주요 선수로는 루지마트 니야조프 형제, 이스마일 니야조프, 하산잔 무히디노프, 아훈잔, 아크바르잔, 무민잔 바야마토프 형제가 있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코칸트 유류 생산 공장 직원들이 주축이 되었으며, M. 아흐메도프, M. 압둘라예프, A. 무히디노프, K. 무히디노프, R. 니야조프, M. 바야마토프, O. 바야마토프, W. 샤흐니야조프, B. 우사로프, M. 솔리예프, P. 하이다로프 등이 활약했다.[2]
2. 2. 소련 시대
소련 체제 하에서 "무스꼬만다"는 종교적 색채를 배제하기 위해 "코칸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무신론을 장려하는 소련의 이념이 반영된 결과였다.1926년 시작된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서 코칸트 팀은 초기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1930년대 우즈베키스탄 축구는 전례 없는 부흥기를 맞이했고, 이 시기에 타슈켄트 팀 선수들과 함께 코칸트 선수들이 주축이 되어 우즈베키스탄 SSR 축구팀이 창설되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
1950년대에 코칸트 클럽은 "메흐나트" (Mehnat, 우즈베크어로 '노동'이라는 뜻)로 이름을 바꾸고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1958년에는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콤소몰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당시 코칸트에는 여러 축구팀이 있었는데, 이들은 메흐나트의 팜 클럽 역할을 하며 재능 있는 선수들을 배출했다.[2]
1968년, 메흐나트는 소련 선수권 대회 2부 리그 B조에 데뷔하여 22개 팀 중 19위를 기록했다. 1969년에는 24개 팀 중 14위를 차지했다. 1970년부터 1987년까지는 지역 선수권 대회와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1987년에는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우즈베키스탄 SSR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코칸트 클럽은 우즈베키스탄 SSR 컵에도 참가했지만, 우승은 하지 못했다.[2]
1988년, 클럽은 "아브토모빌리스트" (Avtomobilist, 러시아어로 '자동차 운전자'라는 뜻)로 이름을 변경하고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하여 19개 팀 중 13위를 기록했다. 1989년에는 21개 팀 중 5위로 상승했다. 1990년과 1991년에도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하여 각각 7위와 14위를 기록했다.[2]
1980년대 말, 소련 2부 리그에 참가할 당시 팀의 주요 선수진은 다음과 같다: 감독 — 네르드 아이리예프, 선수 — 이고르 우소프, 아이딘벡 알리예프, 이고르 폴리슈크, 세르게이 칼리스트루, 자몰리딘 토지보예프, 에드바르드 쿠드랴쇼프, 딜쇼드 무미노프, 알렉산드르 골로콜로소프, 엘베딘 아유포프, 네일 사기토프, 이고르 골로바노프, 다미르 라흐마툴린, 자히드 누르마토프, 루스탐 우라조프, 누몬 하사노프, 비탈리 아바네소프, 안드레이 티모페예프, 뱌체슬라프 데르비셰프, 알렉산드르 스타리코프, 예브게니 마트베예프, 마이클 엔스, 무라드 캄치예프, 루스탐 압둘라예프, 안드레이 예마노프, 무라드 이스마일로프, 알프레드 디트리히, 앙드레 페도로프, 로디온 샤마나예프.[2]
2. 3.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소련 해체 이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하면서 1992년부터 우즈베키스탄 챔피언십이 시작되었고, 클럽은 "테미률치"(Temiryolchi/Temiryo'lchiuz) (우즈베크어로 "철도원"을 의미)로 이름을 변경했다.[2] 테미률치는 우즈베키스탄 최고 리그에 포함되어 리그 첫 경기 참가팀 중 하나가 되었다. 데뷔 시즌에 코칸트 클럽은 17개 팀 중 6위를 차지했다.1992년, 테미률치는 우즈베키스탄 컵 결승에 진출하여 나망간의 나브바호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5-6으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정규 시간과 연장전은 0:0으로 끝났다).[2] 이는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클럽의 최고 성과로 여겨진다.
테미률치는 1995년까지 우즈베키스탄 최고 리그에 참가하다가 1995 시즌에 15위로 우즈베키스탄 퍼스트 리그로 강등되었다. 퍼스트 리그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1997 시즌에 우승하며 최고 리그로 복귀했다. 2000년까지 최고 리그에 참가했지만, 2000 시즌에 최하위인 20위를 기록하며 다시 퍼스트 리그로 강등되었다.
2001년, 퍼스트 리그에서 다시 우승하며 최고 리그로 복귀했고, 2002년에 클럽 이름을 코칸트로 변경했다. 2002년과 2003년 시즌에는 최고 리그에 참가했으나, 2004년에는 재정 문제로 리그 참가가 불허되었다. 2005년과 2006년에는 퍼스트 리그에 참가했고, 2007년에는 심지어 세컨드 리그에도 참가했다. 이후 두 시즌 동안 다시 퍼스트 리그에 참가했다. 2009년에는 클럽 이름을 분요드코르-코칸트로 변경했다.
2010-2011년에는 클럽이 사실상 해체되었다가, 2012년에 "코칸트 1912"라는 이름으로 재창단하여 2014년까지 퍼스트 리그에 참가했다. 2014년에는 퍼스트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여 다시 최고 리그에 참가할 기회를 얻었으며, 현재까지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3. 클럽 명칭 변경 역사
FK 코칸트 1912는 클럽 역사 동안 여러 차례 명칭을 변경했다. 초기에는 무스코만다 (1912–1925)로 불렸으며, 이후 코칸트 (1925–1950)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50년부터 1987년까지는 메흐나트라는 명칭으로 활동했다. 1988년에는 아브토모빌리스트로 변경되어 1991년까지 사용되었다.
1992년에 팀은 테미률치로 이름을 바꾸고 2001년까지 이 명칭을 유지했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는 다시 코칸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분요드코르-코칸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코칸트 1912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기간 | 명칭 |
---|---|
1912–1925 | 무스코만다(Muskomanda) |
1925–1950 | 코칸트(Kokand) |
1950–1987 | 메흐나트(Mehnat) |
1988–1991 | 아브토모빌리스트(Avtomobilist) |
1992–2001 | 테미률치(Temiryulchi) |
2002–2008 | 코칸트(Kokand) |
2009–2011 | 분요드코르-코칸트(Bunyodkor-Kokand) |
2012 – | 코칸트 1912(Kokand 1912) |
3. 1. 무스코만다 (1912–1925)
1912년부터 1925년까지 FK 코칸트 1912는 "무스코만다(Muskomanda)"라는 이름으로 불렸다.3. 2. 코칸트 (1925–1950)
1925년부터 1950년까지 팀은 코칸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3. 3. 메흐나트 (1950–1987)
1950년부터 1987년까지 FK 코칸트 1912는 메흐나트(Mehnat)라는 이름으로 불렸다.3. 4. 아브토모빌리스트 (1988–1991)
1988년부터 1991년까지 팀은 아브토모빌리스트(Avtomobilist)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3. 5. 테미률치 (1992–2001)
1992년부터 2001년까지 팀 명칭은 테미률치였다.3. 6. 코칸트 (2002–2008)
1912년부터 FK 코칸트 1912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1912년–1925년: 무스코만다
- 1925년–1950년: 코칸트
- 1950년–1987년: 메흐나트
- 1988년–1991년: 아브토모빌리스트
- 1992년–2001년: 테미률치
- 2002년–2008년: 코칸트
- 2009년–2011년: 분요드코르-코칸트
- 2012년–현재: 코칸트 1912
3. 7. 분요드코르-코칸트 (2009–2011)
분요드코르-코칸트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FK 코칸트 1912의 명칭이었다.3. 8. 코칸트 1912 (2012–현재)
기간 | 명칭 |
---|---|
1912–1925 | 무스코만다(Muskomanda) |
1925–1950 | 코칸트(Kokand) |
1950–1987 | 메흐나트(Mehnat) |
1988–1991 | 아브토모빌리스트(Avtomobilist) |
1992–2001 | 테미률치(Temiryulchi) |
2002–2008 | 코칸트(Kokand) |
2009–2011 | 분요드코르-코칸트(Bunyodkor-Kokand) |
2012 – | 코칸트 1912(Kokand 1912) |
분류:코칸트 1912의 축구 선수
4. 역대 시즌 성적
시즌 | 리그 | 우즈베키스탄 컵 | 득점왕 | 감독 | |||||||||
---|---|---|---|---|---|---|---|---|---|---|---|---|---|
디비전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이름 | 리그 | |||
1992 | 1부 | 6위 | 32 | 18 | 7 | 7 | 47 | 28 | 43 | 준우승 | 루스탐 압둘라예프 | 18 | align=left| |
1993 | 1부 | 6위 | 30 | 13 | 5 | 12 | 36 | 34 | 31 | 32강 | 오이딘베크 알리예프 | 12 | align=left| |
1994 | 1부 | 5위 | 30 | 16 | 4 | 10 | 50 | 42 | 36 | 16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1995 | 1부 | 15위 | 30 | 6 | 3 | 21 | 26 | 67 | 21 | 8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1996 | 2부 | 4위 | 52 | 32 | 7 | 13 | 112 | 62 | 103 | 1라운드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1997 | 2부 | 1위 | 42 | 27 | 9 | 6 | 101 | 39 | 90 | 8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1998 | 1부 | 7위 | 30 | 13 | 4 | 13 | 53 | 63 | 43 | 16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1999 | 1부 | 10위 | 30 | 11 | 3 | 16 | 53 | 79 | 36 | 개최되지 않음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0 | 1부 | 20위 | 38 | 8 | 5 | 25 | 53 | 104 | 29 | 32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1 | 2부 | 1위 | 32 | 27 | 5 | 0 | 78 | 24 | 86 | 16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2 | 1부 | 14위 | 30 | 10 | 2 | 18 | 31 | 60 | 32 | 8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3 | 1부 | 10위 | 30 | 11 | 0 | 19 | 47 | 67 | 33 | 16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4 | 클럽은 연간 기여금 미납으로 인해 리그 참가가 중단되었습니다.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
2005 | 2부 | 3위 | 30 | 18 | 5 | 7 | 49 | 31 | 59 | -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6 | 2부 | 18위 | 38 | 9 | 3 | 26 | 58 | 89 | 24 | 1라운드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7 | 3부 | 1위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
2008 | 2부 | 4위 | 34 | 19 | 8 | 7 | 56 | 30 | 65 | -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09 | 2부 | 1위 | 26 | 18 | 4 | 4 | 55 | 22 | 58 | 2라운드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10/2011 | 클럽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
2012 | 2부 | 9위 | 30 | 12 | 8 | 10 | 45 | 43 | 44 | -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13 | 2부 | 3위 | 30 | 18 | 5 | 7 | 49 | 31 | 59 | 16강 | align=left| | align=center| | align=left| |
2014 | 2부 | 2위 | 30 | 23 | 2 | 5 | 75 | 28 | 71 | 16강 | 오타베크 카이다로프 | 25 | align=left| |
2015 | 1부 | 12위 | 30 | 9 | 4 | 17 | 31 | 52 | 31 | 16강 | 노시르베크 오타쿠지예프 | 9 | 루스탐 압둘라예프 바딤 쇼디마토프 |
2016 | 1부 | 12위 | 30 | 8 | 5 | 17 | 31 | 55 | 29 | 8강 | 노시르베크 오타쿠지예프 | 7 | 누몬 카사노프 |
2017 | 1부 | 9위 | 30 | 11 | 8 | 11 | 42 | 47 | 41 | 8강 | 수흐롭 베르디예프 | 11 | 누몬 카사노프 |
2018 | 1부 | 9위 | 20 | 7 | 7 | 6 | 21 | 14 | 28 | 4강 | 무로드 홀무하메도프 | 11 | 누몬 카사노프 |
2019 | 1부 | 11위 | 26 | 6 | 8 | 12 | 31 | 45 | 26 | 2라운드 | 무로드 홀무하메도프 | 8 | 누몬 카사노프 |
2020 | 1부 | 5위 | 26 | 13 | 3 | 10 | 35 | 28 | 42 | 4강 | 무로드 홀무하메도프 | 12 | 바크티요르 아슈르마토프 |
2021 | 1부 | 8위 | 26 | 9 | 9 | 8 | 37 | 36 | 36 | 조별리그 | 이반 조소비치 사르도르베크 아지모프 무하마디아나스 하사노프 | 5 | 바크티요르 아슈르마토프 |
5. 현재 선수단
2024년 6월 27일 기준으로 등록된 FK 코칸트 1912의 현재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2]
- 1번: 이슬롬 압둘라예프 (UZB, GK)
- 2번: 자파르 아크라모프 (UZB, DF)
- 3번: 보부르 악바로프 (UZB, DF)
- 4번: 아슬리딘 토쉬테미로프 (UZB, DF)
- 6번: 자파르 하키모프 (UZB, DF)
- 7번: 파르호드 미라흐마도프 (UZB, MF)
- 8번: 자보키르 후사노프 (UZB, MF)
- 9번: 보부르 소비로프 (UZB, FW)
- 10번: 도니요르 이스마일로프 (UZB, MF)
- 11번: 샤흐조드 베시모프 (UZB, FW)
- 13번: 아지즈콘 이소코프 (UZB, GK)
- 15번: 무스타포 압두만노포프 (UZB, MF)
- 17번: 이브로힘 누모노프 (UZB, MF)
- 18번: 바흐롬 압두라히모프 (UZB, MF)
- 19번: 이슬롬 샤리포프 (UZB, MF)
- 20번: 이크볼존 말리크조노프 (UZB, MF)
- 21번: 세르히 페트로프 (UKR, FW)
- 23번: 알렉산드르 메르즐리야코프 (UZB, DF)
- 25번: 아사드벡 조키르조노프 (UZB, MF)
- 30번: 이브로힘 무흐토로프 (UZB, MF)
- 77번: 벡존 유라보예프 (UZB, MF)
- 44번: 안드로 기오르가제 (GEO, DF)
- 71번: 우스모날리 압두카리모프 (UZB, DF)
- 77번: 벡존 유라보예프 (UZB, MF)
- 99번: 미르조키드존 잘릴로프 (UZB, GK)
FK 코칸트 1912는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에서 1997년, 2001년, 그리고 2009년에 우승한 경력이 있다.
6. 우승 기록
-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우승 (3): 1997, 2001, 2009
6. 1.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
우즈베키스탄 프로 리그에서 1997년, 2001년, 그리고 2009년에 우승했다.7. 역대 감독
- 토히르 카파제 (2013–14)
- 루스탐 압둘라예프 (2014–2015년 11월)
- 바딤 쇼디마토프 (임시) (2015년 11월–2015년 12월 6일)
- 무로드 이스마일로프 (2015년 12월 7일–2016년 5월 16일)
- 세르게이 코브쇼프 (2016년 5월 16일–2016년 6월 11일)
- 누몬 하사노프 (2016년 6월 11일–)
참조
[1]
웹사이트
"Қўқон 1912" футбол жамоасининг қисқача тарихи
http://kokand1912.uz[...]
www.kokand1912.uz –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футбольного клуба "Коканд 1912"
2018-02-12
[2]
웹사이트
FK Kokand 1912
https://championat.a[...]
pfl.uz
2024-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