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ive Live Yardbird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ve Live Yardbirds는 1964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야드버즈의 라이브 앨범이다. 이 앨범은 런던의 마키 클럽에서 녹음되었으며, 주로 미국의 블루스 및 리듬 앤 블루스 곡들을 커버한 곡들로 구성되었다. 앨범에는 에릭 클랩튼의 기타 연주가 돋보이는 "Smokestack Lightning",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앨범 발매 당시에는 영국 앨범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앨범은 에릭 클랩튼의 초기 연주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으로 평가받으며, 크림과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같은 그룹의 즉흥 연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라이브 음반 - Beach Boys Concert
    Beach Boys Concert는 비치 보이스의 라이브 앨범으로, 1964년에 발매되어 빌보드 톱 LP 차트 1위를 기록했으며, 인기곡과 다른 아티스트의 곡들을 담고 있다.
  • 1964년 라이브 음반 - Miles in Berlin
    Miles in Berlin은 1964년 베를린 필하모니에서 열린 마일스 데이비스 퀸텟의 실황 공연을 담은 라이브 앨범으로, 마일스 데이비스, 웨인 쇼터, 치크 코리아, 데이브 홀랜드, 잭 디조넷이 참여했으며 "Yesternow"와 "Agitation"을 포함한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어 1969년 발매 후 2004년 리마스터링된 디럭스 에디션으로 재발매되었다.
  • 1964년 데뷔 음반 - Kinks (음반)
    킹크스의 데뷔 음반인 Kinks는 1964년 발매되어 브리티시 인베이전 흐름 속에서 개러지 록 사운드, R&B 영향, 프로토 펑크적 요소가 특징이며, "You Really Got Me"를 포함한 자작곡과 로큰롤 커버 곡들이 수록되어 영국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했다.
  • 1964년 데뷔 음반 - Stay with The Hollies
    The Hollies가 1964년에 발매한 앨범 《Stay with The Hollies》는 영국 앨범 차트 2위를 기록하고, 싱글 "Stay"는 영국 싱글 차트 42위에 올랐으며, 영국, 미국, 캐나다에서 서로 다른 트랙 목록으로 발매되었고, 론 리차드가 프로듀싱한 The Hollies 특유의 보컬 하모니가 돋보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곡들을 담고 있다.
  • 리메이크 음반 - A Tribute To 들국화
    《A Tribute To 들국화》는 윤도현 밴드, 권인하, 박효신 등 여러 후배 가수들이 참여하여 들국화의 명곡들을 재해석한 헌정 앨범이다.
  • 리메이크 음반 - Memories & Melodies
    Memories & Melodies는 핑클이 10대와 20대에게는 새로운 음악을, 30대와 40대에게는 추억을 선사하고자 2001년에 발매한 리메이크 앨범으로, 멤버들이 직접 수록곡 선정에 참여했으며, 혜은이의 '당신은 모르실꺼야'를 타이틀곡으로 하여 영화 패러디 컨셉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기성 가수들의 히트곡을 핑클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수록했다.
Five Live Yardbirds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철문 뒤에 서 있는 야드버즈.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키스 렐프, 크리스 드레야, 에릭 클랩튼, 폴 샘웰-스미스, 짐 맥카티.
야드버즈
장르블루스 록
R&B
녹음일1964년 3월 20일
녹음 장소런던 마키 클럽
발매일1964년 12월 4일
길이42분 11초
레이블컬럼비아 그래모폰 컴퍼니
프로듀서조르조 고멜스키
야드버즈 연대기 (영국)
다음 앨범Yardbirds
다음 앨범 발매년도1966년

2. 배경 및 녹음

1963년 10월, 야드버즈롤링 스톤스가 떠난 크로대디 클럽의 레지던트 밴드 자리를 이어받았고, 클럽 소유주인 조르지오 고멜스키와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했다.[6] 소니 보이 윌리엄슨 2세와의 투어 후, 밴드는 컬럼비아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I Wish You Would"와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 두 장의 싱글을 발매했지만,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10] 고멜스키는 밴드의 데뷔 앨범을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하도록 컬럼비아를 설득했다.[6]

야드버즈는 라이브 공연에서 "레이브 업"이라는 독특한 편곡으로 인기를 얻었다.[9] 베이시스트 폴 샘웰-스미스가 고안한 이 편곡은 곡의 연주 시간을 늘리고 분위기를 고조시켜 관객들을 열광시켰다.[9] 이러한 공연 중 에릭 클랩튼이 기타 줄을 끊는 일이 잦았는데, 이때 관객들이 천천히 박수를 치는 것에서 착안하여 고멜스키는 클랩튼에게 "슬로우핸드"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Five Live Yardbirds''는 런던의 마키 클럽에서 녹음되었다.[8][9] 녹음 날짜는 자료마다 다소 차이가 있는데, 마키 클럽 공식 사이트에서는 3월 13일[8], 크리스 웰치의 저서에서는 3월 20일로 기록되어 있다.[9] 앨범 녹음 당시 "I Wish You Would"도 연주되었으나 폴 새뮤얼-스미스의 실수로 테이프에서 지워져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9] 앨범에 수록된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 라이브 버전은 싱글 버전과 달리 에릭 클랩튼과 새뮤얼-스미스가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10]

3. 구성 및 음악 스타일

《Five Live Yardbirds》에 수록된 곡들은 대부분 미국의 블루스 및 리듬 앤 블루스 아티스트들의 곡을 커버한 것이다. 밴드의 초기 자료는 롤링 스톤스애니멀스와 같은 영국 리듬 앤 블루스 그룹의 영향을 받았다. 앨범의 오프닝 곡인 척 베리의 "Too Much Monkey Business"는 앨범에서 가장 록 지향적인 곡으로 꼽힌다.

몇몇 곡들은 긴 기악 즉흥 연주를 특징으로 하는데, 특히 "Smokestack Lightning"은 야드버즈의 가장 인기 있는 라이브 곡 중 하나였으며, 하울링 울프는 이 곡의 야드버즈 버전을 "결정적인 버전"이라고 언급했다. 이 곡의 공연은 최대 30분까지 지속될 수 있었다. 키스 렐프와 에릭 클랩튼이 리프를 주고받는 것은 이 곡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이다. 보 디들리의 "Here 'Tis"는 폴 샘웰-스미스와 클랩튼의 상호작용이 돋보이는 곡이다.[1] 느린 블루스 스탠다드인 "Five Long Years"는 에릭 클랩튼의 긴 기타 솔로를 특징으로 한다. 클랩튼과 샘웰-스미스는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에서 리드 보컬을 공유한다.[2] 보 디들리의 "I'm a Man"과 슬림 하포존 리 후커의 곡들도 앨범에 포함되어 있다.

4. 곡 목록

'''Side one'''

척 베리의 "Too Much Monkey Business"는 3분 51초 길이로 연주되었다. 슬림 하포의 "I Got Love If You Want It"은 2분 40초로 연주되었다. 하울링 울프의 "Smokestack Lightnin'"은 5분 35초로 연주되었다.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은 2분 42초로 연주되었으며, 작곡가는 앨범에 Demarais로 표기되었으나, 이후 Sonny Boy Williamson으로 변경되었다. 오켈리 아일레이, 로널드 아일레이, 루돌프 아일레이가 작곡한 "Respectable"은 5분 35초로 연주되었다.

'''Side two'''

"Five Long Years" (에디 보이드)는 5분 18초, "Pretty Girl" (엘라스 맥다니엘/Ellas McDaniel영어 a.k.a. 보 디들리)는 3분 4초, "Louise" (존 리 후커)는 3분 43초, "I'm a Man" (맥다니엘)은 4분 33초, "Here 'Tis" (맥다니엘)는 5분 10초이다.

4. 1. Side one

척 베리의 "Too Much Monkey Business"는 3분 51초 길이로 연주되었다. 슬림 하포의 "I Got Love If You Want It"은 2분 40초로 연주되었다. 하울링 울프의 "Smokestack Lightnin'"은 5분 35초로 연주되었다.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은 2분 42초로 연주되었으며, 작곡가는 앨범에 Demarais로 표기되었으나, 이후 Sonny Boy Williamson으로 변경되었다. 오켈리 아일레이, 로널드 아일레이, 루돌프 아일레이가 작곡한 "Respectable"은 5분 35초로 연주되었다.

4. 2. Side two

"Five Long Years" (에디 보이드)는 5분 18초, "Pretty Girl" (엘라스 맥다니엘/Ellas McDaniel영어 a.k.a. 보 디들리)는 3분 4초, "Louise" (존 리 후커)는 3분 43초, "I'm a Man" (맥다니엘)[1]은 4분 33초, "Here 'Tis" (맥다니엘)는 5분 10초이다.

4. 3. 추가 트랙 (일부 재발매판)

일부 CD 재발매판에는 1963년에서 1964년 사이에 녹음된 데모 및 라이브 트랙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10] 이러한 추가 트랙에는 "베이비 왓츠 롱(Baby What's Wrong)" (지미 리드), "붐 붐(Boom Boom)" (J. L. Hooker), "허니 인 유어 힙스(Honey in Your Hips)" (키스 렐프), "토킹 바웃 유(Talking 'Bout You)" (C. Berry), 그리고 "허니 인 유어 힙스"의 라이브 버전이 포함되어 있다.[10]

5. 평가

''Five Live Yardbirds''는 발매 당시 영국 앨범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이후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4] 올뮤직(AllMusic)의 브루스 에더(Bruce Eder)는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4.5점을 주며 "1960년대 영국 로큰롤 붐에서 나온 최초의 중요하고 필수적인 라이브 앨범"이자 "연주와 음질 면에서 1960년대 중반 최고의 라이브 레코드"라고 평가했다.[3][13] 또 다른 올뮤직 리뷰에서 릭 클락(Rick Clark)은 "Smokestack Lightning"과 같은 곡들이 크림과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같은 그룹의 즉흥 연주에 토대를 마련했다고 언급했다.

이 앨범은 에릭 클랩튼의 초기 연주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으로 평가받는다.[4] 에어로스미스조 페리는 "척 베리의 'Too Much Monkey Business' 커버는 에어로스미스가 시도했던 많은 것들의 청사진과 같았다"며 "에릭을 지원했던 'Rave Ups' [기악 간주곡], 솔로들, 밴드는 마치 새총과 같았고, 그 부분이 궤도에 오르자 그는 날아갔다. 노래의 그 부분들은 아직도 소름을 돋게 한다"라고 회고했다.[5] 반면, 존 메이올은 "몇 곡에서 에릭의 기타 솔로를 들을 수 있는데, 정말 거칠다. 하지만, 테크닉이나 기교 면에서는 별 볼일 없다. 너무 평범하다"라고 비판적인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12]

''얼티메이트 클래식 록''은 이 앨범을 "최고의 라이브 앨범 100선"에 포함시키며 "미국 음악에 힘, 불꽃, 증폭된 기지를 불어넣는 영국 블루스 밴드의 폭발적인 기록"이라고 평가했다.[4]

6. 참여진

'''야드버즈'''



'''제작'''

  • 조르조 고멜스키 - 프로듀서, 라이너 노트
  • 필립 우드 - 엔지니어, 음향 효과 엔지니어
  • 빌 잉글롯 - 디지털 리마스터링
  • 리처드 로서 - 사진

6. 1. 야드버즈

에릭 "슬로우핸드" 클랩튼은 리드 기타와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의 공동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 크리스 드레야는 리듬 기타를 연주했다. 짐 매카티는 드럼을 담당했다. 키스 렐프는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를 제외한 모든 곡에서 리드 보컬, 하모니카, 마라카스를 담당했다. 폴 "샘" 샘웰-스미스는 베이스 기타와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의 공동 리드 보컬을 담당했다.

제작에는 조르조 고멜스키가 프로듀서와 라이너 노트를 담당했고, 필립 우드는 엔지니어와 음향 효과 엔지니어를 담당했다. 빌 잉글롯은 디지털 리마스터링을 담당했고, 리처드 로서는 사진을 담당했다.

6. 2. 제작진

'''야드버즈'''

  • 에릭 "슬로우핸드" 클랩튼 - 리드 기타,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의 공동 리드 보컬
  • 크리스 드레야 - 리듬 기타
  • 짐 매카티 - 드럼
  • 키스 렐프 - 리드 보컬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 제외), 하모니카, 마라카스
  • 폴 "샘" 샘웰-스미스 - 베이스 기타, "Good Morning Little Schoolgirl"의 공동 리드 보컬


'''제작'''

  • 조르조 고멜스키 - 프로듀서, 라이너 노트
  • 필립 우드 - 엔지니어, 음향 효과 엔지니어
  • 빌 잉글롯 - 디지털 리마스터링
  • 리처드 로서 - 사진

7.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The Yardbirds: 'Here 'Tis' – Review http://www.allmusic.[...] 2016-05-08
[2] 간행물 Good Morning, Little School Girl 2006-01
[3] 웹사이트 ''Five Live Yardbirds'' – Review https://www.allmusic[...] 2016-05-08
[4] 웹사이트 Top 100 Live Albums: The Yardbirds, ''Five Live Yardbirds'' (1964) https://ultimateclas[...] 2020-02-23
[5] 간행물 Clapton's 20 Greatest Moments 2011-03
[6] 웹사이트 The Yardbirds Biography, Songs, & Album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5-15
[7] 웹사이트 Sonny Boy Williamson & the Yardbirds - Sonny Boy Williamson II, The Yardbi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5-15
[8] 웹사이트 Yardbirds, the - Five Live Yardbirds http://www.themarque[...] The Marquee Club 2022-05-15
[9] 서적 Clapton - Updated Edition: The Ultimate Illustrated History Voyageur Press 2016-05
[10] 문서 2000年再発CD (VICP-61097)ライナーノーツ(小松﨑健郎)
[11] 웹사이트 The Yardbirds replaced, reused, and revolutionized on Having A Rave Up https://www.avclub.c[...] G/O Media 2022-05-15
[12] 웹사이트 The Yardbirds: The Clapton Years Part 3 https://www.goldmine[...] Project M Group 2022-05-15
[13] 웹사이트 Five Live Yardbirds - The Yardbird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5-15
[14] 웹인용 Having a Rave Up with the Yardbirds – Album Review "{{올뮤직|class=album|i[...] 2016-05-08
[15] 문서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