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reedesktop.or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reedesktop.org는 X 데스크톱 환경의 상호 운용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의 집합체이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X.Org 서버, D-Bus, Wayland, Mesa 3D, PulseAudio 등이 있으며, 데스크톱 환경 간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표준과 사양을 개발하고 지원한다. XDG 기본 디렉터리 사양을 통해 사용자별 파일의 위치를 정의하고, X 데스크톱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중립적인 포럼 역할을 수행하며,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reedesktop.org - D-Bus
    D-Bus는 2002년에 시작된 프로세스 간 통신 시스템으로, 시스템 버스와 세션 버스를 통해 정보 공유, 모듈성, 권한 격리를 제공하며, 일대일 요청-응답 및 발행/구독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 Freedesktop.org - 메사 (컴퓨터 그래픽스)
    메사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3D 그래픽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하는 자유-오픈 소스 그래픽 라이브러리로, OpenGL, Vulkan, OpenCL 등 다양한 그래픽 API를 지원하며 소프트웨어 렌더링 기능도 제공한다.
  • 컴퓨팅 웹사이트 - 깃허브
    깃허브는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 기능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플랫폼이지만, 여러 논란과 비판도 존재하는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이다.
  • 컴퓨팅 웹사이트 - 아르스 테크니카
    아르스 테크니카는 1998년 설립되어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과학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기술 뉴스 및 정보 웹사이트로, 깊이 있는 분석 기사와 리뷰로 알려져 있으며 2008년 콘데 나스트 디지털에 인수되었다.
  • X 윈도 시스템 - 데스크톱 환경
    데스크톱 환경은 아이콘, 창, 메뉴 등으로 컴퓨터 화면을 책상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창 관리자, 파일 관리자 등으로 구성되어 파일 관리 및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 X 윈도 시스템 - 오픈 그룹
    오픈 그룹은 다양한 기술 공급업체, 구매자,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국제 컨소시엄으로, 표준 개발, 인증 프로그램 운영, TOGAF와 같은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제공 및 UNIX 상표 권리 보유를 통해 개방형 IT 표준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한다.
Freedesktop.org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reedesktop.org 로고
Freedesktop.org 로고
URLfreedesktop.org 공식 웹사이트
상업성아니오
유형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시스템
등록해당 없음
언어영어
콘텐츠 라이선스해당 없음
설립자하보크 페닝턴
설립일2000년 3월
현재 상태온라인
조직 정보
약칭fd.o
유형비영리 단체
본부해당 없음
위치해당 없음
서비스 제공 지역전 세계
회원개인 및 후원 기업
목적유닉스 계열의 데스크톱 환경의 불필요한 차이점 균일화
주요 조직해당 없음
관련 조직프리 스탠다드 그룹
자원 봉사자 수불명 (전 세계에 존재)
예산해당 없음

2. 주요 프로젝트

freedesktop.org는 다양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지원하며[8][9],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명설명
X.Org 서버X11의 공식 레퍼런스 구현이다. 현재 버전은 라이선스 변경 전의 XFree86에서 분기되었다.
D-BusKDE의 DCOP나 GNOME의 Bonobo와 같은 메시지 버스이다.
드래그 앤 드롭X11에서 일관성이 부족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HAL운영 체제에 의존하는 부분을 계층으로 분리하는 프로젝트이다.
fontconfig글꼴 검색 등을 수행하는 라이브러리이다.
XftFreeTyp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새로운 글꼴 라이브러리이다.
cairo장치에 독립적인 벡터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이다.
DRIX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그래픽 하드웨어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GStreamer크로스 플랫폼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
Mesa 3DOpenGL 구현 중 하나이다.
XCBXlib의 새로운 구현이다.
GTK-Qt 엔진Qt를 사용하여 위젯을 그리는 GTK+ 2 엔진으로, GTK+ 2 애플리케이션의 룩앤필을 KDE와 동일하게 만든다.
PopplerPDF 렌더링 라이브러리이다.
WaylandX.Org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가벼운 디스플레이 서버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GU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vahi자유로운 Zeroconf 구현이다. (현재는 freedesktop.org 산하가 아니다.)


2. 1. 윈도 시스템 및 그래픽스

Freedesktop.org는 윈도 시스템 및 일반적인 그래픽스와 관련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주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 X.Org 서버: X11 공식 규격 구현체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Wayland: X11을 대체하는 프로토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D-Bus: KDE의 DCOP, GNOME의 보노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메시지 버스이다.
  •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 일관성 있는 초-운영체제적 계층을 제공한다.
  • fontconfig: 글꼴 검색, 글꼴 이름 변경 등 글꼴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라이브러리이다.
  • Xft: 프리타입을 사용하는 안티앨리어싱 처리된 글꼴을 지원한다.
  • 카이로: 초-장치적 차원에서의 출력을 지원하는 벡터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직접 렌더링 장치(DRI): 사용자가 X 서버를 거치지 않고도 안전하게 비디오 하드웨어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GStreamer: 초-플랫폼적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
  • Mesa 3D: OpenGL 구현물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 X C 바인딩: Xlib 대체물이다.
  • GTK-Qt 엔진: Qt를 통하여 위젯을 그려 Qt 애플리케이션과 GTK+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외형적 위화감을 완화하는 GTK+용 엔진이다.
  • PolicyKit: 시스템 전역적 인증 관리 도구이다.
  • Poppler: PDF 렌더링 라이브러리이다.


이 외에도 글래머, 픽스맨(Pixman), 포플러, 비디오 가속 API, XCB, 제피르(Xephyr), wlroots 등 다양한 그래픽스 관련 프로젝트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자유 데스크톱

2. 1. 1. X.Org Server

X.Org 서버는 X11 프로토콜의 공식 참조 구현체이다.[19][20] 현재 버전은 XFree86의 라이선스 변경 직전 버전에서 파생되었다. X 윈도우 시스템 및 일반적인 그래픽스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로, freedesktop.org의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2. 1. 2. Wayland

Wayland는 X.Org를 대체하는 가벼운 디스플레이 서버 프로토콜이다.[19][20]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에서 화면 찢김(tearing), 지연(lag), 다시 그리기, 깜빡임 등이 없는 완벽한 GU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2. 1. 3. Cairo

카이로는 여러 장치에 출력을 지원하는 벡터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이다.[19][20]

2. 1. 4. Mesa 3D

OpenGL, Vulkan 등 여러 그래픽스 API의 구현체이다.[19][20]

2. 1. 5. 직접 렌더링 인프라 (DRI)

X11, 웨이랜드 컴포지터, Mesa 3D 등에서 그래픽 하드웨어에 접근하기 위한 리눅스 API이다.[19][20]
직접 렌더링 인프라(Direct Rendering Infrastructure, DRI)는 X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그래픽 하드웨어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2. 1. 6. 기타 그래픽스 관련 프로젝트

OpenGL/EGL/GBM API를 지원하는 그래픽 칩셋에서 X 서버를 위한 2D 그래픽스 공통 드라이버인 글래머[10], 이미지 합성 및 픽셀 조작을 위한 저수준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인 픽스맨(Pixman)[11], PDF 렌더링 라이브러리인 포플러, 비디오 가속 API, Xlib 대체물인 XCB, 디스플레이 서버인 제피르(Xephyr), 모듈형 웨이랜드 컴포지터 라이브러리인 wlroots 등이 있다.

2. 2. 기타 프로젝트

freedesktop.org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 및 시스템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8][9]

  • X.Org 서버: X11의 공식 레퍼런스 구현이다. 현재 버전은 라이선스를 변경하기 전의 XFree86에서 분기되었다.
  • 드래그 앤 드롭: X11의 드래그 앤 드롭은 일관된 방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 Xft: FreeTyp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새로운 글꼴 라이브러리이다.
  • cairo: 장치에 독립적인 벡터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이다.
  • 다이렉트 렌더링 인프라스트럭처 (DRI): X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그래픽 하드웨어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 Mesa 3D: OpenGL 구현 중 하나이다.
  • XCB: Xlib의 새로운 구현이다.
  • Poppler: PDF 렌더링 라이브러리이다.
  • Wayland: X.Org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가벼운 디스플레이 서버이다. 사용자에게 테어링, 랙, 다시 그리기, 깜빡임 없는 GUI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2. 1. D-Bus

KDE의 DCOP, GNOME의 보노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메시지 버스이다.[19][20]

2. 2. 2. PulseAudio

PulseAudio는 소프트웨어 믹싱, 네트워크 오디오 및 애플리케이션별 볼륨 제어를 제공하는 사운드 서버 프런트엔드이다.[12] 최근에는 PipeWire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2. 2. 3. PipeWire

PipeWire는 리눅스에서 샌드박스 친화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저지연 서버이다.[19][20] PulseAudio, JACK 및 ALSA의 기능을 통합하고, Wayland 환경에서 스크린샷스크린캐스트를 위한 보안 방법을 제공한다.

2. 2. 4. systemd

systemd는 이전 init 모델을 대체하기 위한 서비스 및 세션을 시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이다.

2. 2. 5. 기타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


  • Elektra: 구성 읽기 및 쓰기 라이브러리이다.[12]
  • FreeType: 텍스트 렌더링 라이브러리이다.[12]
  • fontconfig: 글꼴 검색, 이름 대체 등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12]
  • fprint: 소비자 지문 판독기 장치용 라이브러리이다.[12]
  • Geoclue: 지리 정보 서비스이다.[12]
  • GStreamer: 크로스 플랫폼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12]
  • GTK-Qt 엔진: Qt를 사용하여 그래픽 제어 요소를 그리는 GTK+ 2 엔진으로, GTK+2 애플리케이션에 KDE 애플리케이션의 모양과 느낌을 제공한다.[12]
  • HAL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일관된 크로스 운영 체제 계층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udev로 대체되었다.[12]
  • kmscon: 리눅스 콘솔을 대체하는 사용자 공간 가상 콘솔이다. KMS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유니코드를 지원한다.[12]
  • luit: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사용되는 도구이다.[12]
  • libinput:[13] Wayland 컴포지터에서 입력 장치를 처리하고 일반 X.Org 입력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장치 감지, 장치 처리, 입력 장치 이벤트 처리 및 추상화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대하는 공통 기능 세트를 제공하기 위해 컴포지터가 제공해야 하는 사용자 지정 입력 코드의 양을 최소화한다.
  • pkg-config: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기 위해 컴파일러 및 링커에 대한 플래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도우미 프로그램이다.[12]
  • Avahi: 무료 Zeroconf 구현이다. 단, 현재는 freedesktop.org 산하가 아니다.[12]

3. XDG 기본 디렉터리 규격

'''XDG 기본 디렉터리 규격'''(XDG BDS)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사용자별 파일 위치를 정의하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다.[14] 이는 프로그램 간 호환성과 데이터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15] 많은 도구와 응용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이 변수들을 사용한다.

3. 1. 사용자 디렉터리


  • `XDG_DATA_HOME`: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의 자체 데이터 파일을 위한 것으로, 기본값은 `$HOME/.local/share`이다.
  • `XDG_CONFIG_HOME`: 사용자 앱 구성 파일을 위한 것으로, 기본값은 `$HOME/.config`이다.
  • `XDG_STATE_HOME`: 향후 재사용을 위해 저장해야 하는 사용자별 앱 세션 데이터를 위한 것으로, 기본값은 `$HOME/.local/state`이다. X 세션 관리자와 같이 시스템 세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앱에서 저장해야 하는 세션 데이터와 유사하게, 로그, 최근 사용 파일, 응용 프로그램별 정보(예: 창 레이아웃, 뷰, 열린 파일, 실행 취소 기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 `XDG_CACHE_HOME`: 사용자별 앱 캐시 파일을 위한 것으로, 기본값은 `$HOME/.cache`이다.
  • `XDG_RUNTIME_DIR`: 재부팅 및 전체 로그아웃/로그인 주기를 거쳐도 유지되지 않아야 하는 소켓과 같은 사용자별 앱 런타임 파일을 위한 것이다.


XDG BDS는 사용자의 로컬 바이너리 파일이 `$HOME/.local/bin`에 설치될 수 있다고 명시한다. 이 사양을 준수하는 시스템은 이 디렉토리를 CLI의 `PATH` 환경 변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14]

3. 2. 시스템 디렉터리

XDG_DATA_DIRS는 데이터 파일을 검색할 때 우선순위를 갖는 경로들을 콜론(:)으로 구분한 목록으로, 기본값은 /usr/local/share/:/usr/share/이다.[1] XDG_CONFIG_DIRS는 설정 파일의 경로를 나타내며, 기본값은 /etc/xdg/이다.[1]

4. 목표

freedesktop.org는 X 데스크톱 상호 운용성 문제를 개발 과정 초기에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공식적인 표준 제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상호 운용성 문제의 조기 발견과 해결에 중점을 둔다.[8][9]

4. 1. 주요 활동


  • X 데스크톱 상호 운용성과 관련된 기존의 명세, 표준 및 문서를 수집하여 중앙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여러 X 데스크톱 간에 공유할 새로운 명세 및 표준 개발을 장려한다.
  • 데스크톱 관련 표준을 리눅스 표준 베이스 및 ICCCM과 같은 더 광범위한 표준 노력에 통합한다.
  • 특정 X 데스크톱에서 이러한 표준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 X 데스크톱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중립적인 포럼 역할을 한다.
  • X 데스크톱 상호 운용성과 자유로운 X 데스크톱을 더욱 발전시키는 기술을 구현한다.
  • 상업 및 자원 봉사 응용 프로그램 제작자에게 X 데스크톱 및 X 데스크톱 표준을 홍보한다.
  • 자유 운영 체제 커널, X 윈도 시스템 자체, 자유 OS 배포판 등의 개발자와 소통하여 데스크톱 관련 문제를 해결한다.
  •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소스 저장소(git[16] 및 CVS[17]), 웹 호스팅, Bugzilla, 메일링 리스트 및 기타 리소스를 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X desktop group https://lwn.net/2000[...]
[2] 웹사이트 Freedesktop.org, home of the X Desktop Group http://www.freedeskt[...] 2013-08-26
[3] 웹사이트 Specifications https://www.freedesk[...] 2023-10-27
[4] 뉴스 Portland points desktop Linux at $10 billion market http://desktoplinux.[...] October 12, 2006
[5] 웹사이트 X.Org To Join Forces With FreeDesktop.org While Foundation Elections Hit A Snag https://www.phoronix[...] 2021-09-09
[6] 웹사이트 X.Org To Join Forces With FreeDesktop.org While Foundation Elections Hit A Snag https://www.phoronix[...] 2019-04-11
[7] 웹사이트 Welcome to freedesktop.org https://www.freedesk[...] 2023-10-27
[8] 웹사이트 FreedesktopProjects http://freedesktop.o[...] 2013-09-22
[9] 웹사이트 Software http://freedesktop.o[...] 2013-09-22
[10] 웹사이트 Glamor http://www.freedeskt[...] 2013-05-17
[11] 웹사이트 Pixman http://www.pixman.or[...]
[12] 웹사이트 DIY: Get top-quality open source security tools in one distro https://web.archive.[...] 2011-12-06
[13] 웹사이트 '[ANNOUNCE] libinput 0.4.0' http://lists.freedes[...] 2014-06-24
[14] 문서 XDG Base Directory Specification https://specificatio[...] freedesktop.org 2021-05-15
[15] 웹사이트 XDG Base Directory - ArchWiki https://wiki.archlin[...] 2021-10-08
[16] 웹사이트 freedesktop.org git http://gitweb.freede[...] 2013-09-22
[17] 웹사이트 ViewVC Repository Listing https://web.archive.[...] 2013-09-22
[18] 뉴스 Portland points desktop Linux at $10 billion market http://desktoplinux.[...] DesktopLinux.com 2006-10-11
[19] 문서 freedesktop.org - FreedesktopProjects http://freedesktop.o[...]
[20] 문서 freedesktop.org - Software http://freedesktop.o[...]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