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P2 아시아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P2 아시아 시리즈는 2007년 모나코 GP2 시리즈 라운드에서 공식 발표된 하위 레이싱 시리즈이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진행되었으며, 포뮬러 원과의 연계를 강조하며 아시아 지역의 모터 레이싱을 홍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시리즈는 유럽 시리즈와 통합되기 전까지 말레이시아, 바레인 등에서 경기를 개최했으며, 달라라 섀시와 메카크롬 엔진을 사용했다. 로맹 그로장과 카무이 코바야시 등이 챔피언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폐지된 행사 - KFC 트웬티 20 빅 배쉬
    KFC 트웬티 20 빅 배쉬는 오스트레일리아 6개 주 대표 팀들이 참가하는 크리켓 대회이며, 빅토리안 부시레인저스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2005-06 시즌부터 2010-11 시즌까지 진행되었다.
  • 포뮬러 자동차 경주 시리즈 - 인디카 시리즈
    인디카 시리즈는 1996년 인디 레이싱 리그로 시작하여 2003년부터 현재 명칭을 사용하는 북미 오픈휠 자동차 경주 시리즈로, 규격 섀시와 2.2리터 V6 트윈터보 엔진을 사용하는 원메이크 시리즈이며, 오벌 트랙 외에 로드/스트리트 코스에서도 경주가 진행된다.
  • 포뮬러 자동차 경주 시리즈 - GP2 시리즈
    GP2 시리즈는 2005년에 시작되어 F1 등용문 역할을 했으며, 루이스 해밀턴과 같은 챔피언을 배출했으나, 문제점으로 인해 2017년 FIA 포뮬러 2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GP2 아시아 시리즈
일반 정보
종류포뮬러 카
출범2008년
폐지2011년
드라이버 수34명
팀 수13개
섀시달라라
엔진메카크롬
타이어피렐리
지역아시아
마지막 시즌2011년
웹사이트gp2series.com
역대 우승자
드라이버 챔피언로망 그로장
팀 챔피언DAMS

2. 역사

GP2 아시아 시리즈는 GP2 시리즈의 자매 대회로, 2007년 모나코 그랑프리 기간 중 발표되었다.[1][12] 주최자인 브루노 미셸(Bruno Michelfra)은 이 시리즈가 포뮬러 원(F1)과의 강력한 연계를 유지하고 아시아 지역의 모터스포츠 발전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또한 북반구 레이싱의 오프시즌인 겨울철에 개최되어, 당시 유사한 시기에 열리던 A1 그랑프리에 대응하는 성격도 있었다.[12]

2008년 첫 시즌을 시작으로, 주로 GP2 메인 시리즈의 오프시즌에 경기가 열렸으며, 일부 경기는 말레이시아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이나 바레인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등에서 F1 그랑프리의 서포트 레이스로 개최되었다. 시리즈 초기에는 아시아 지역 드라이버 육성을 위해 비유럽/미주 출신 드라이버 기용을 권장했으나,[1] 유망주 부족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이 목표는 완전히 달성되지 못했다.

경주차는 초기에는 메인 시리즈의 중고 차량인 'GP2/05'를 사용하다가 2010-2011 시즌부터는 신형 'GP2/11'로 변경되었다. 엔진 내구성을 위해 최고 회전수는 제한되었다.

그러나 드라이버 수급 문제와 더불어 2011년 바레인 봉기로 인한 대회 일정 차질 등 운영상의 어려움이 겹치면서,[12] 2011년 7월, 주최측은 2011 시즌을 끝으로 시리즈를 종료하고 메인 GP2 시리즈와 통합한다고 발표했다.[3] 이에 따라 GP2 아시아 시리즈는 4년간의 운영을 마치고 막을 내렸으며, 이후 GP2 메인 시리즈가 아시아 지역에서 경기를 개최하는 방식으로 그 명맥을 잇게 되었다.

2. 1. 출범 (2007-2008)

2007년 모나코 그랑프리 기간 중 열린 GP2 시리즈 라운드 주말에 GP2 아시아 시리즈의 개최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12] GP2 시리즈 주최자인 브루노 미셸(Bruno Michelfra)은 이 시리즈가 포뮬러 원(F1)과 강력하고 실질적인 연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2008년 아시아 그랑프리 프로그램에서 서포트 레이스로 포함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북반구의 주요 자동차 경주가 없는 겨울철에 시리즈가 개최됨으로써, 당시 비슷한 시기에 열리던 A1 그랑프리에 대항하는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12]

첫 시즌은 메인 GP2 시리즈의 오프시즌인 2008년 1월부터 4월까지 총 5라운드, 라운드당 2번의 레이스로 진행되었다.[2] 이 시리즈는 새로 출범한 스피드카 시리즈와 함께 개최되었으며,[2] 말레이시아세팡 인터내셔널 서킷바레인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열린 경기는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의 서포트 레이스로 열렸다.

아시아 지역의 모터스포츠를 활성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주최 측은 각 참가 팀에게 서유럽이나 미주(북미 및 남미) 출신이 아닌 드라이버를 최소 한 명 이상 의무적으로 기용하도록 권장했다. 이 규정에서 터키와 러시아는 유럽 국가로 간주되지 않았다.[1] 처음에는 아시아 국적 드라이버 기용을 요구했으나, 아시아권에서 F1 수준에 근접한 유망주가 부족하여 규정이 '비유럽권 드라이버'로 완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 시즌에는 13개 참가 팀 중 4개 팀이 규정을 피하기 위해 두 명의 비아시아권 드라이버를 등록하면서, 그중 한 명은 공식적으로 상금을 받지 않는 이른바 '유령 드라이버'로 참가시키는 편법을 사용하기도 했다.[1]

참가팀 구성은 메인 시리즈와 거의 동일했으나, 스페인의 레이싱 엔지니어링 팀이 불참하는 대신 말레이시아 국적의 멜리투스 팀이 새롭게 참가했다. 사용된 경주차는 2009-2010 시즌까지 메인 시리즈에서 사용하던 'GP2/05' 모델이었으며, 엔진 내구성을 고려하여 최고 엔진 회전수(RPM)는 8,250rpm으로 제한되었다.

2. 2. 규정 변화와 드라이버 구성 (2008-2011)

아시아 지역의 모터스포츠 활성화를 목표로, 시리즈 초기에는 참가팀에게 서유럽이나 미주 (북미, 남미) 출신이 아닌 드라이버를 최소 한 명 포함하도록 권장했다.[12] 이 규정에서 터키러시아는 '유럽' 국가로 간주되지 않았다. 하지만 2008 시즌에는 13개 팀 중 4개 팀이 두 명의 비아시아권 드라이버를 기용하는 방식을 택했는데, 이 과정에서 드라이버 중 한 명은 시리즈 참가에 대한 상금을 받지 않는 이른바 '유령 드라이버'로 합의하는 편법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후 아시아권의 유력 드라이버 부족 문제로 인해, 드라이버 기용 규정은 '유럽권 외부 드라이버 기용'으로 완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완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결국 유럽 출신 드라이버 2명으로 팀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당초 의도했던 아시아 드라이버 육성 및 기용이라는 목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2009-2010 시즌까지 GP2 시리즈의 중고 차량인 "GP2/05" 섀시를 사용했다. 2010-2011 시즌부터는 메인 시리즈와 동일한 신형 섀시인 "GP2/11"을 도입했다. 또한 엔진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엔진 최고 회전수를 8,250rpm으로 제한하는 규정이 적용되었다.

2. 3. 시리즈 통합과 종료 (2011)

2011년 7월, GP2 CEO인 브루노 미셸은 2011 시즌을 마지막으로 GP2 아시아 시리즈가 유럽에서 열리는 메인 시리즈와 통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

시리즈 통합 및 종료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었다. 당초 주최측은 아시아 지역 모터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참가팀에게 최소 1명의 아시아권 드라이버 기용을 요구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유럽권 외부 드라이버 기용'으로 기준을 완화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아 유럽 출신 드라이버 2명으로 팀을 구성하는 경우가 생기는 등, 시리즈 출범 당시의 취지가 퇴색되었다.

또한 2010-2011 시즌에는 2011년 바레인 봉기의 영향으로 바레인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2개의 이벤트가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 취소된 경기의 대체 개최지로 이탈리아이몰라 서킷이 선정되면서, 시리즈 명칭인 '아시아'와는 거리가 먼 유럽에서 경기가 열리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주최측은 2011-2012 시즌을 앞두고 아시아 시리즈의 개최 중단을 최종 결정했다. 대신 GP2 메인 시리즈의 경기를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개최하는 방식으로 아시아 지역에서의 시리즈 운영을 이어가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로써 GP2 아시아 시리즈는 2008년 시작 이후 4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3. 경기 진행 방식

GP2 아시아 시리즈의 경기 주말은 일반적으로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걸쳐 진행된다. 금요일에는 30분간의 자유 연습 세션과 30분간의 예선 세션이 열린다. 이 예선 결과는 토요일에 열리는 첫 번째 경주(피처 레이스)의 출발 순서(그리드)를 결정한다.

토요일에 열리는 피처 레이스는 약 180km를 달리는 주요 경주이다. 이 경주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의무적으로 피트 스톱을 한 번 이상 실시해야 하며, 이때 최소 두 개의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일요일에는 약 80km 거리의 스프린트 레이스가 열린다. 스프린트 레이스의 출발 순서는 토요일 피처 레이스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위 8명의 순서를 역순으로 배치하는 리버스 그리드 방식이 적용된다. 즉, 토요일 레이스에서 8위를 기록한 드라이버가 일요일 스프린트 레이스에서는 폴 포지션에서 출발하고, 반대로 토요일 우승자는 8번째 그리드에서 경주를 시작하게 된다.

3. 1. 연습 및 예선

금요일에는 30분간의 자유 연습 세션과 30분간의 예선 세션이 있다. 예선 세션 결과는 토요일 경주(피처 레이스)의 그리드 순서를 결정한다.

3. 2. 피처 레이스 (Feature Race)

피처 레이스는 토요일에 열리는 주요 경주로, 총 경주 거리는 180km이다. 각 드라이버는 경주 도중 의무적으로 피트 스톱을 해야 하며, 이때 최소 두 개의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피처 레이스의 출발 순서인 그리드는 금요일에 열린 예선 세션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3. 3. 스프린트 레이스 (Sprint Race)

일요일에는 80km 거리의 스프린트 레이스가 진행되었다. 스프린트 레이스의 출발 순서(그리드)는 토요일 레이스의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는데, 상위 8명의 순위를 역순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즉, 토요일 레이스에서 8위를 기록한 드라이버가 일요일 스프린트 레이스에서는 폴 포지션에서 출발하고, 반대로 토요일 우승자는 8번째 그리드에서 경주를 시작하게 되었다.

3. 4. 점수 시스템 (Point System)

피처 레이스 점수 체계
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FL
10865432121



스프린트 레이스 점수 체계
1위2위3위4위5위6위FL
6543211



피처 레이스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한 드라이버에게는 2점이 주어진다.

각 레이스(피처 레이스, 스프린트 레이스)에서 최고 속도 랩을 기록한 드라이버에게는 1점이 주어진다. 단, 최고 속도 랩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레이스 전체 랩의 90% 이상을 주행해야 하며, 배정된 그리드 위치에서 출발하여 최종 순위 10위 안에 들어야 한다.

따라서 한 라운드에서 한 드라이버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20점이다. (폴 포지션 2점 + 피처 레이스 우승 10점 + 피처 레이스 최고 속도 랩 1점 + 스프린트 레이스 우승 6점 + 스프린트 레이스 최고 속도 랩 1점)

4. 사용 섀시 및 엔진

GP2 아시아 시리즈는 이탈리아 달라라에서 제작한 탄소 섬유 섀시와 프랑스 메카크롬의 V8108 4L V8 엔진을 기반으로 운영되었다. 시리즈 진행 중 섀시 모델과 타이어 공급 업체(브리지스톤, 피렐리)에 변경이 있었다.

4. 1. 섀시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이탈리아 회사 달라라가 생산한 GP2/05 섀시를 사용했다. 2011년에는 GP2/11 섀시로 변경되었다. 두 섀시 모두 탄소 섬유로 제작되었으며, 유럽 GP2 시리즈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4. 2. 엔진

GP2 아시아 시리즈 차량은 프랑스 메카크롬에서 제작한 V8108 4L V8 엔진을 사용했다. 이 엔진은 620마력(456kW)의 출력을 냈으며, 6단 수동 휴랜드 변속기와 결합되었다. 타이어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브리지스톤 제품을 사용했고, 2011년에는 피렐리 제품으로 변경되었다.

5. 역대 챔피언

2008년 첫 시즌에는 ART 그랑프리 소속의 로맹 그로장이 초대 드라이버 챔피언에 올랐으며, 팀 챔피언십 또한 ART 그랑프리가 차지했다.

2008-2009년 시즌에는 DAMS 소속의 코바야시 가무이가 드라이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는 일본인 드라이버로서는 F1 다음가는 수준의 국제 자동차 경주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거둔 우승이었다. 팀 챔피언 역시 DAMS가 차지했다.

2009-2010년 시즌에는 아이 스포츠 인터내셔널 소속의 다비데 발세치가 드라이버 챔피언을, 아이 스포츠 인터내셔널이 팀 챔피언을 차지했다.

2011년 시즌에는 DAMS 소속의 로맹 그로장이 다시 한번 드라이버 챔피언에 올랐으며, 팀 챔피언십도 DAMS가 가져갔다. 이로써 로맹 그로장은 GP2 아시아 시리즈에서 두 번의 드라이버 챔피언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5. 1. 드라이버 챔피언

크리스티안 바케르드(Christian Bakkerud)가 슈퍼 노바 레이싱(Super Nova Racing) 소속으로 2008년 바레인 GP2 아시아 시리즈 라운드에서 경주하는 모습


시즌드라이버국적폴 포지션우승포디엄최고 속도 랩포인트챔피언 확정 경기2위와의 점수 차
2008로맹 그로장 (Romain Grosjean)프랑스ART 그랑프리 (프랑스)4444612008 바레인 스프린트 레이스24 [4][5]
2008–09카무이 고바야시 (Kamui Kobayashi)일본DAMS (프랑스)2243562009 제2 바레인 피처 레이스20 [6][7]
2009–10다비데 발세키 (Davide Valsecchi)이탈리아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 (영국)1364562010 바레인 피처 레이스27 [8][9]
2011로맹 그로장 (Romain Grosjean)프랑스DAMS (프랑스)2122242011 이몰라 스프린트 레이스6 [10][11]


  • 로맹 그로장은 2008년과 2011년, 총 2회 GP2 아시아 시리즈 드라이버 챔피언을 달성했다.
  • 2008-09 시즌 챔피언인 카무이 고바야시는 일본인 드라이버 최초로 F1 바로 아래 단계의 국제 자동차 경주 시리즈에서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6][7]

5. 2. 팀 챔피언

wikitext

시즌폴 포지션우승포디엄최고 속도 랩포인트확정차이
2008ART 그랑프리4444612008 UAE 2차 GP2 아시아 시리즈11
2008–09DAMS3286922009 바레인 2차 GP2 아시아 시리즈33
2009–10아이스포츠 인터내셔널1474732010 바레인 국제 서킷 GP2 아시아 시리즈36
2011DAMS2122252011 이몰라 GP2 아시아 시리즈3


참조

[1] 뉴스 GP2 confirms Asian series for 2008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07-05-24
[2] 웹사이트 Speedcar Series | News http://www.speedcars[...]
[3] 뉴스 GP2 to drop Asia Series in 2012 http://www.f1fanatic[...] Keith Collantine 2011-07-12
[4] 웹사이트 2008 GP2 Asia Series https://www.motorspo[...] 2024-02-23
[5] 웹사이트 GP2 Asia - 2007-2008: Point standings https://www.speedspo[...] 2024-02-23
[6] 웹사이트 2008/09 GP2 Asia Series https://www.motorspo[...] 2024-02-23
[7] 웹사이트 GP2 Asia - 2008-2009: Point standings https://www.speedspo[...] 2024-02-23
[8] 웹사이트 2009/10 GP2 Asia Series https://www.motorspo[...] 2024-02-23
[9] 웹사이트 GP2 Asia - 2009-2010: Point standings https://www.speedspo[...] 2024-02-23
[10] 웹사이트 2011 GP2 Asia Series https://www.motorspo[...] 2024-02-23
[11] 웹사이트 GP2 Asia - 2010-2011: Point standings https://www.speedspo[...] 2024-02-23
[12] 뉴스 GP2 confirms Asian series for 2008 http://www.autosport[...] Haymarket Publications 2007-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