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ugak T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ugak TV는 2019년 12월 17일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국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산 송신소를 본사로 FM 99.1㎒ 주파수로 방송을 시작했으며, 전국 각지에 송신소 및 중계소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방송 프로그램으로는 '국악산책', '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 '바투의 상사디야', '맛있는 라디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국악방송
    국악방송은 2001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으로, 국악 FM과 국악 TV를 운영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한국 전통 문화 예술 보급, 지역 문화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 201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위라이크
    위라이크는 딜라이브, Btv cable, 서경방송 등 주요 케이블 방송사를 통해 시청 가능한 대한민국의 케이블 방송 채널이다.
  •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케이블 방송국 - JTBC
    중앙일보가 설립하고 동양방송의 계승을 상징하는 JTBC는 뉴스,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며 높은 신뢰도를 얻었으나, 올림픽 중계권 단독 확보로 보편적 시청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기도 한 중앙그룹 계열의 종합편성채널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케이블 방송국 - 국악방송
    국악방송은 2001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으로, 국악 FM과 국악 TV를 운영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한국 전통 문화 예술 보급, 지역 문화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Gugak TV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국국악방송
개국일2019년 12월 17일
방송 지역대한민국
방송 언어한국어
방송국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2
해상도1080i
슬로건한국문화의 중심
외부 링크국악방송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2019년 12월 17일 Gugak TV가 개국하였다.[1]

2. 1. 개국

2019년 12월 17일 Gugak TV가 개국하였다. 호출부호는 HLQA-FM, 주파수는 초단파 99.1㎒, 출력은 5㎾이다. 관악산 송신소에서 전파를 발사한다.[1]

3.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

Gugak TV는 평일과 주말에 다양한 국악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왕준호의 '국악방송에서 전하는 문화소식입니다'(하루 네 차례), 김경훈의 '꿈꾸는 청춘'(대전), 지정남의 '남도마실'(광주), 정영미의 '충청풍류 다이어리'(대전), 김경란의 '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본방송, 재방송), 바투의 '바투의 상사디야', 김민경의 '오후의 음악정원', 현경채의 'FM국악당', 김상연의 '김상연의 FM국악당'(광주), 신창렬의 '음악의 교차로'가 방송된다.

주말에는 김성필의 '솔바람 물소리'(대전), 박경소의 '창호에 드린 햇살', 송지원의 '국악산책'(본방송, 재방송), 이금희의 '이금희와 함께 음악의 숲을..'(토요일), 이진영의 '음악이 흐르는 마루'(전주), 강길원과 방수미의 '온고을 상사디야'(전주), 황민왕의 '노래가 좋다', 오정해의 '오정해가 전하는 엄마의 국악 \'달강달강\'', 김필원의 '맛있는 라디오', 양지현의 '무돌길 산책'(광주), 신찬균의 '신찬균의 FM국악당'(대전, 토요일), 박정경의 '연구의 현장'(일요일), 황인찬의 '글과 음악의 온도', 원일의 '원일의 여시아문', 황윤기의 '황윤기의 세계음악여행', '흐르는 음악처럼'(광주, 진행자 없음)이 방송된다.

매일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솔바람 물소리'(대전, 김성필), '창호에 드린 햇살'(박경소), '국악산책'(송지원, 본방송, 재방송), '노래가 좋다'(황민왕), '오정해가 전하는 엄마의 국악 \'달강달강\''(오정해), '맛있는 라디오'(김필원), '글과 음악의 온도'(황인찬), '흐르는 음악처럼'(광주, 진행자 없음)이다.

3. 1. 평일 (월~금)

시간프로그램진행자
08:55, 13:55, 15:55, 19:55국악방송에서 전하는 문화소식입니다왕준호
09:00 ~ 10:55꿈꾸는 청춘 [대전]김경훈
09:00 ~ 11:00남도마실 [광주]지정남
11:00 ~ 12:00(본), 22:00 ~ 23:00 (재)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김경란
12:00 ~ 13:55충청풍류 다이어리 [대전]정영미
14:00 ~ 16:00바투의 상사디야바투
16:00 ~ 17:40오후의 음악정원김민경
20:00 ~ 21:00FM국악당현경채
20:00 ~ 21:00김상연의 FM국악당 [광주]김상연
23:00 ~ 00:00음악의 교차로신창렬


3. 2. 주말 (토~일)

시간프로그램명진행자비고
05:00 ~ 07:00솔바람 물소리김성필대전
07:00 ~ 08:55창호에 드린 햇살박경소
09:00 ~ 11:00
(본방송),
00:00 ~ 02:00
(재방송)
국악산책송지원
11:00 ~ 12:00이금희와 함께 음악의 숲을..이금희토요일
12:00 ~ 14:00음악이 흐르는 마루이진영전주
14:00 ~ 16:00온고을 상사디야강길원, 방수미전주
16:00 ~ 17:40노래가 좋다황민왕
17:40 ~ 18:00오정해가 전하는 엄마의 국악 '달강달강'오정해
18:00 ~ 20:00맛있는 라디오김필원
18:00 ~ 19:30무돌길 산책양지현광주
20:00 ~ 21:00신찬균의 FM국악당신찬균대전, 토요일
20:00 ~ 21:00연구의 현장박정경일요일
21:00 ~ 22:00글과 음악의 온도황인찬
22:00 ~ 23:00원일의 여시아문원일
23:00 ~ 00:00황윤기의 세계음악여행황윤기
02:00 ~ 05:00흐르는 음악처럼진행자 없음광주


4. 주파수

Gugak TV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주파수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각 지역별 송신소와 중계소의 주파수 및 출력 정보는 다음과 같다.

방송국송신소주파수출력비고
Gugak TV남산 송신소FM 99.1㎒5㎾[1]
괘방산 송신소FM 103.3㎒1㎾
미륵산 송신소FM 95.3㎒1㎾
교룡산 중계소FM 95.9㎒1㎾
대둔산 송신소FM 94.7㎒500W
앞산 송신소FM 107.5㎒1㎾[2]
도음산 송신소FM 107.9㎒1㎾
영도 송신소FM 98.5㎒1㎾
견월악 송신소FM 91.3㎒0.5W[3]
삼매봉 중계소FM 106.9㎒0.5W[4]
대전국악방송대전 송신소FM 90.5㎒1㎾[5]
충주남산 중계소FM 101.7㎒300W[6]
영동 중계소FM 99.3㎒100W
광주국악방송무등산 송신소FM 99.3㎒1㎾


4. 1. 본사 (Gugak TV)

방송국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호출부호비고
Gugak TV남산 송신소FM 99.1㎒5kW서울 용산구 남산공원길 126HLQA-FM
괘방산 송신소FM 103.3㎒1kW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1]
미륵산 송신소FM 95.3㎒1kW전북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 산69-2
교룡산 중계소FM 95.9㎒1kW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1
대둔산 송신소FM 94.7㎒500W전남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산1-16
앞산 송신소FM 107.5㎒1kW대구 남구 대명9동 산227-1[2]
도음산 송신소FM 107.9㎒1kW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1104-1
영도 송신소FM 98.5㎒1kW부산 영도구 신선동3가 산1-1
견월악 송신소FM 91.3㎒0.5W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3]
삼매봉 중계소FM 106.9㎒0.5W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4]
대전국악방송대전 송신소FM 90.5㎒1kW대전 동구 효동 122-1HLEK-FM[5]
충주남산 중계소FM 101.7㎒300W충북 충주시 목벌동 산58-3[6]
영동 중계소FM 99.3㎒100W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산32-3[6]
광주국악방송무등산 송신소FM 99.3㎒1kW광주 동구 운림동산 132-4HLEG-FM


4. 2. 대전국악방송

방송국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호출부호비고
대전국악방송대전 송신소FM 90.5㎒1㎾대전 동구 효동 122-1HLEK-FM[5]
충주남산 중계소FM 101.7㎒300W충북 충주시 목벌동 산58-3[6]
영동 중계소FM 99.3㎒100W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산32-3[6]


4. 3. 광주국악방송

방송국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호출부호
광주국악방송무등산 송신소FM 99.3㎒1㎾광주 동구 운림동산 132-4HLEG-FM


참조

[1] 뉴스 강릉에 도내 첫 국악FM방송 개설 허가 http://news.naver.co[...]
[2] 뉴스 국악방송, 대구(107.5㎒) 국악FM방송 개국 https://news.v.daum.[...]
[3] 웹사이트 제주국악방송(북제주) 방송 시스템 설치 사업 https://www.igbf.kr/[...]
[4] 웹사이트 제주국악방송(삼매봉) 방송 시스템 설치 사업 http://www.gugakfm.c[...]
[5] 웹인용 제안요청서-대전국악방송 방송시스템 설치(최종) http://gugakfm.co.kr[...] 2022-11-28
[6] 웹사이트 제안요청서-충북 충주 및 영동보조국 방송시설 설치공사 http://www.gugakfm.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