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32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323은 1996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처음 발표한 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으로,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한 화상 회의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광역 통신망(WAN)과 인터넷을 포함한 다양한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을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H.323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 표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채택한 최초의 VoIP 표준 중 하나이며, 단말, 다지점 제어 장치(MCU),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경계 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음성 통신(VoIP) 서비스와 화상 회의 서비스에 활용되며, H.261, H.263, G.711, G.729 등의 코덱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TU-T H 시리즈 권고 - H.262/MPEG-2 파트 2
    H.262/MPEG-2 파트 2는 디지털 TV 및 DVD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TV 카메라의 비압축 영상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다양한 화면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며, DVD-Video, HDV, XDCAM 등에서 활용된다.
  • ITU-T H 시리즈 권고 - H.264/MPEG-4 AVC
    H.264/MPEG-4 AVC는 ITU-T와 ISO/IEC가 공동 개발한 비디오 코딩 표준으로, 높은 압축 효율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블루레이 디스크, HD DVD 등에서 필수적인 비디오 압축 형식으로 사용된다.
  • VoIP 프로토콜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은 스트리밍 미디어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로, IP 네트워크에서 오디오/비디오 전송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타임스탬프, 순서 제어, QoS 피드백 등을 제공한다.
  • VoIP 프로토콜 - VoiceXML
    VoiceXML은 음성 브라우저에게 음성 합성, 자동 음성 인식, 대화 관리, 오디오 재생을 지시하는 XML 기반 마크업 언어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음성 인터페이스 구축에 사용되었으며, 관련 표준과 함께 1999년 개발 후 W3C로 표준 관리가 이관되었으나 현재는 새로운 표준 개발이 중단되었다.
  • ITU-T 권고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른 비대칭적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로,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과 이산 다중톤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거리와 잡음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광섬유 인터넷의 발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고 있다.
  • ITU-T 권고 - 팩시밀리
    팩시밀리는 문서나 그림을 전기 신호로 원격 전송하고 복제하는 기술 및 장치이며, 유선, 무선, 전화선을 이용한 전송 방식으로 발전해왔고, 기술적 분류를 거쳐 소형화, 고속화되었으며, 21세기에는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특정 분야에서 활용된다.
H.323
개요
종류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상태발효 중
시작 연도1996년
최신 버전8
최신 버전 날짜2022년 3월
조직ITU-T
위원회해당 사항 없음
기반 표준해당 사항 없음
관련 표준Q.931
약어해당 사항 없음
도메인해당 사항 없음
라이선스해당 사항 없음
웹사이트ITU-T H.323 권고안

2. 역사

H.323의 첫 번째 버전은 1996년 11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 의해 발표되었으며[4],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화상 회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곧 광역 통신망(WAN)과 인터넷을 포함한 다양한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을 전송하는 수단으로 업계에서 빠르게 채택되었다(VoIP 참조).

H.323은 수년에 걸쳐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비디오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과 함께 개정 및 재발행되었으며, 각 버전은 이전 버전과 하위 호환(backward-compatible)된다.[5] H.323이 LAN뿐만 아니라 WAN 및 대규모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서도 통신에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1998년에 H.323의 제목이 변경되었다.[6]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은 이 제목은 "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버전의 H.323은 2009년에 승인되었다.[7]

H.323의 강점 중 하나는 기본 통화 모델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통신 기대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보조 서비스를 정의하는 일련의 표준이 비교적 일찍 제공되었다는 점이다.

H.323은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 표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채택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한 최초의 VoIP 표준 중 하나였다.

2. 1. 초기 역사

H.323의 첫 번째 버전은 1996년 11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 의해 발표되었으며[4],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화상 회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곧 광역 통신망(WAN)과 인터넷을 포함한 다양한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을 전송하는 수단으로 업계에서 빠르게 채택되었다(VoIP 참조).

H.323은 수년에 걸쳐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비디오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과 함께 개정 및 재발행되었으며, 각 버전은 이전 버전과 하위 호환(backward-compatible)된다.[5] H.323이 LAN뿐만 아니라 WAN 및 대규모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서도 통신에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1998년에 H.323의 제목이 변경되었다.[6]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은 이 제목은 "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버전의 H.323은 2009년에 승인되었다.[7]

H.323은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 표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채택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한 최초의 VoIP 표준 중 하나였다.

2. 2. 발전 과정

H.323의 첫 번째 버전은 1996년 11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 의해 발표되었으며[4],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화상 회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곧 광역 통신망(WAN)과 인터넷을 포함한 다양한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을 전송하는 수단으로 업계에서 빠르게 채택되었다(VoIP 참조).

H.323은 수년에 걸쳐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비디오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과 함께 개정 및 재발행되었으며, 각 버전은 이전 버전과 하위 호환(backward-compatible)된다.[5] H.323이 LAN뿐만 아니라 WAN 및 대규모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서도 통신에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1998년에 H.323의 제목이 변경되었다.[6] 그 이후로 변경되지 않은 이 제목은 "패킷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이다. 현재 버전의 H.323은 2009년에 승인되었다.[7]

H.323은 인터넷 기술 특별 위원회(IETF) 표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채택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한 최초의 VoIP 표준이었다.

3. 주요 특징

H.323은 상호 연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에서 독립적이며,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도 독립적이다. 메시지는 이진 형식을 채용한다.

4. 구성 요소

H.323 시스템은 풍부한 멀티미디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여러 네트워크 요소를 정의한다. 이러한 요소는 터미널, 다지점 제어 장치(MCU),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 및 경계 요소이다. 터미널, 다지점 제어 장치 및 게이트웨이를 통칭하여 '엔드포인트'라고 한다. H.323은 TCP 포트 번호 1720을 사용한다.

모든 요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두 사람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려면 최소 두 개의 터미널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H.323 배포에서는 주소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게이트키퍼가 사용된다.

IP 전화망을 예로 들어, H.323의 4가지 구성 요소 (필요한 장치)를 설명한다.

=== 단말 (Terminals) ===

H.323 네트워크의 단말은 H.323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장치이다. 단말은 단순한 IP 전화의 형태일 수도 있고, 강력한 고화질 화상 회의 시스템의 형태일 수도 있다.

H.323 단말 내부에는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하는 것이 있으며, 이는 H.323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ITU-T 권고 H.225.0 및 H.245에 정의된 기본 프로토콜의 구현과 RTP 또는 위에 설명된 기타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그림 1 - 완벽하고 정교한 프로토콜 스택


그림 1은 음성, 비디오 및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완벽하고 정교한 스택을 보여준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H.323 시스템이 이렇게 광범위한 기능을 구현하지 않지만, 논리적인 배열은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서비스 단말로서의 기능을 갖는 기기는 다음과 같다.

=== 다지점 제어 장치 (Multipoint Control Units, MCU) ===

다지점 제어 장치(Multipoint Control Units, MCU)는 다지점 회의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다지점 제어기(MC)와 다지점 프로세서(MP)라는 두 개의 논리적 실체로 구성된다. MCU는 오늘날 PSTN에서 사용되는 컨퍼런스 브리지와 유사한 회의 브리지이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H.323 MCU가 기존의 컨퍼런스 브리지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오디오 믹싱 외에도 비디오를 믹싱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MCU는 다지점 데이터 협업 기능도 제공한다.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H.323 MCU에 화상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다른 참가자들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회의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지점 제어 장치(MCU)는 패킷을 단말에 배분하여 화상 회의 등 다지점 간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MCU는 회의 자원을 관리하고, 단말 간의 협상을 진행하며, 경우에 따라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한다. MCU는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와 동일한 장치에서 공존할 수도 있다.

=== 게이트웨이 (Gateways) ===

게이트웨이는 H.323 네트워크와 PSTN 또는 ISDN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통화의 한쪽 당사자가 H.323 터미널이 아닌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면, 양 당사자가 통신할 수 있도록 통화는 게이트웨이를 거쳐야 한다.

게이트웨이는 현재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배포한 대규모 국제 H.323 네트워크와 레거시 PSTN 전화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늘날 널리 사용된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IP 전화가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 PSTN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업 내에서도 사용된다.

게이트웨이는 H.320 및 H.324 기반의 화상 회의 장치가 H.323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오늘날 배포된 대부분의 3세대(3G) 모바일 네트워크는 H.324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러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기업 네트워크의 H.323 기반 터미널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통신 프로토콜과의 상호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로, 다른 망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패킷을 조립하고, 게이트키퍼의 명령으로 IP망으로 전송하며, 수신한 패킷을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망으로 송출한다.

  • IP 전화 어댑터
  • IP-PBX


=== 게이트키퍼 (Gatekeepers) ===

게이트키퍼는 H.323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MCU 장치에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적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엔드포인트 등록, 주소 확인, 연결 제어, 사용자 인증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키퍼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 중 주소 확인은 두 엔드포인트가 서로의 IP 주소를 알 필요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 가장 중요하다.

게이트키퍼는 "직접 라우팅" 모드와 "게이트키퍼 라우팅" 모드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직접 라우팅 모드는 가장 효율적이며 널리 배포된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 엔드포인트는 RA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 엔드포인트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원격 장치와 직접 통화를 설정한다. 게이트키퍼 라우팅 모드에서는 통화 신호가 항상 게이트키퍼를 통과한다. 후자는 게이트키퍼가 더 많은 처리 능력을 갖도록 요구하지만 게이트키퍼에게 통화에 대한 완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엔드포인트를 대신하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H.323 엔드포인트는 RA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게이트키퍼와 통신한다. 마찬가지로, 게이트키퍼는 RAS를 사용하여 다른 게이트키퍼와 통신한다.

H.323에서 단일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엔드포인트 모음을 "영역"이라고 한다. 이 장치 모음은 반드시 관련 물리적 토폴로지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영역은 완전히 논리적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정의된다.

게이트키퍼는 영역 간에 통화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인접은 글로벌 다이얼링 방식과 같은 다이얼링 방식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다이얼링 방식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두 엔드포인트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영역 간" 다이얼링을 용이하게 한다. 네트워크 연결 관리 및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로 H.323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두뇌에 해당한다. 다음 기능을 갖는다.

  • IP 주소전화번호 등의 상호 변환
  • 통신 대역폭 제어: QoS를 위한 어드미션 제어
  • 과금
  • 전송·보류·프레즌스 관리 등의 부가 기능.


필수 기능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단말을 발견하고, 인증·인가하고, 대역을 관리하며, 계정 및 과금을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다.

=== 경계 요소 (Border elements) 및 피어 요소 (Peer elements) ===

그림 2 - 경계 요소, 피어 요소 및 게이트키퍼가 있는 관리 도메인의 예시


경계 요소 및 피어 요소는 게이트키퍼와 유사하지만, 엔드포인트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RAS 프로토콜에 설명되지 않은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적 엔티티이다. 경계 또는 피어 요소의 역할은 "관리 도메인"의 정의를 통해 이해된다.

관리 도메인은 서비스 제공자와 같이 단일 개인 또는 조직의 제어하에 있는 모든 존의 집합이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내에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게이트웨이 장치, 전화, 비디오 터미널 또는 기타 H.323 네트워크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도시별 논리적 배열과 같이 제어하에 있는 모든 장치를 가장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장치를 "존"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함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내의 모든 존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게 "관리 도메인"으로 나타난다.

경계 요소는 일반적으로 관리 도메인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다른 관리 도메인과 통신하는 시그널링 엔티티이다. 이 통신에는 액세스 권한 정보, 통화 요금 정보 또는 두 관리 도메인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기타 중요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피어 요소는 관리 도메인 내의 엔티티로, 경계 요소에서 얻은 정보를 관리 도메인 전체로 전파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서 대규모 배포를 가능하게 하고 클리어링하우스와 같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 2는 경계 요소, 피어 요소 및 게이트키퍼가 있는 관리 도메인의 예시를 제공한다.

4. 1. 단말 (Terminals)

H.323 네트워크의 단말은 H.323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장치이다. 단말은 단순한 IP 전화의 형태일 수도 있고, 강력한 고화질 화상 회의 시스템의 형태일 수도 있다.

H.323 단말 내부에는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하는 것이 있으며, 이는 H.323 시스템에 의해 정의된 기능을 구현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ITU-T 권고 H.225.0 및 H.245에 정의된 기본 프로토콜의 구현과 RTP 또는 위에 설명된 기타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그림 1은 음성, 비디오 및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완벽하고 정교한 스택을 보여준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H.323 시스템이 이렇게 광범위한 기능을 구현하지 않지만, 논리적인 배열은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서비스 단말로서의 기능을 갖는 기기는 다음과 같다.

4. 2. 다지점 제어 장치 (Multipoint Control Units, MCU)

다지점 제어 장치(Multipoint Control Units, MCU)는 다지점 회의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다지점 제어기(MC)와 다지점 프로세서(MP)라는 두 개의 논리적 실체로 구성된다. MCU는 오늘날 PSTN에서 사용되는 컨퍼런스 브리지와 유사한 회의 브리지이다.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H.323 MCU가 기존의 컨퍼런스 브리지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오디오 믹싱 외에도 비디오를 믹싱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MCU는 다지점 데이터 협업 기능도 제공한다.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H.323 MCU에 화상 통화를 연결함으로써 다른 참가자들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회의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지점 제어 장치(MCU)는 패킷을 단말에 배분하여 화상 회의 등 다지점 간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MCU는 회의 자원을 관리하고, 단말 간의 협상을 진행하며, 경우에 따라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한다. MCU는 게이트웨이, 게이트키퍼와 동일한 장치에서 공존할 수도 있다.

4. 3. 게이트웨이 (Gateways)

게이트웨이는 H.323 네트워크와 PSTN 또는 ISDN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통화의 한쪽 당사자가 H.323 터미널이 아닌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면, 양 당사자가 통신할 수 있도록 통화는 게이트웨이를 거쳐야 한다.

게이트웨이는 현재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배포한 대규모 국제 H.323 네트워크와 레거시 PSTN 전화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늘날 널리 사용된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IP 전화가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 PSTN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업 내에서도 사용된다.

게이트웨이는 H.320 및 H.324 기반의 화상 회의 장치가 H.323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오늘날 배포된 대부분의 3세대(3G) 모바일 네트워크는 H.324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러한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기업 네트워크의 H.323 기반 터미널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통신 프로토콜과의 상호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로, 다른 망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패킷을 조립하고, 게이트키퍼의 명령으로 IP망으로 전송하며, 수신한 패킷을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망으로 송출한다.

  • IP 전화 어댑터
  • IP-PBX

4. 4. 게이트키퍼 (Gatekeepers)

게이트키퍼는 H.323 네트워크에서 단말기, 게이트웨이 및 MCU 장치에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적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엔드포인트 등록, 주소 확인, 연결 제어, 사용자 인증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키퍼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 중 주소 확인은 두 엔드포인트가 서로의 IP 주소를 알 필요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 가장 중요하다.

게이트키퍼는 "직접 라우팅" 모드와 "게이트키퍼 라우팅" 모드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직접 라우팅 모드는 가장 효율적이며 널리 배포된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 엔드포인트는 RA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 엔드포인트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원격 장치와 직접 통화를 설정한다. 게이트키퍼 라우팅 모드에서는 통화 신호가 항상 게이트키퍼를 통과한다. 후자는 게이트키퍼가 더 많은 처리 능력을 갖도록 요구하지만 게이트키퍼에게 통화에 대한 완전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엔드포인트를 대신하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H.323 엔드포인트는 RA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게이트키퍼와 통신한다. 마찬가지로, 게이트키퍼는 RAS를 사용하여 다른 게이트키퍼와 통신한다.

H.323에서 단일 게이트키퍼에 등록된 엔드포인트 모음을 "영역"이라고 한다. 이 장치 모음은 반드시 관련 물리적 토폴로지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영역은 완전히 논리적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정의된다.

게이트키퍼는 영역 간에 통화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인접은 글로벌 다이얼링 방식과 같은 다이얼링 방식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다이얼링 방식은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두 엔드포인트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영역 간" 다이얼링을 용이하게 한다. 네트워크 연결 관리 및 부가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로 H.323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두뇌에 해당한다. 다음 기능을 갖는다.

  • IP 주소전화번호 등의 상호 변환
  • 통신 대역폭 제어: QoS를 위한 어드미션 제어
  • 과금
  • 전송·보류·프레즌스 관리 등의 부가 기능.


필수 기능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단말을 발견하고, 인증·인가하고, 대역을 관리하며, 계정 및 과금을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갖는다.

4. 5. 경계 요소 (Border elements) 및 피어 요소 (Peer elements)



경계 요소 및 피어 요소는 게이트키퍼와 유사하지만, 엔드포인트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RAS 프로토콜에 설명되지 않은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적 엔티티이다. 경계 또는 피어 요소의 역할은 "관리 도메인"의 정의를 통해 이해된다.

관리 도메인은 서비스 제공자와 같이 단일 개인 또는 조직의 제어하에 있는 모든 존의 집합이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내에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게이트웨이 장치, 전화, 비디오 터미널 또는 기타 H.323 네트워크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도시별 논리적 배열과 같이 제어하에 있는 모든 장치를 가장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장치를 "존"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함께,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내의 모든 존은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게 "관리 도메인"으로 나타난다.

경계 요소는 일반적으로 관리 도메인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다른 관리 도메인과 통신하는 시그널링 엔티티이다. 이 통신에는 액세스 권한 정보, 통화 요금 정보 또는 두 관리 도메인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기타 중요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피어 요소는 관리 도메인 내의 엔티티로, 경계 요소에서 얻은 정보를 관리 도메인 전체로 전파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아키텍처는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서 대규모 배포를 가능하게 하고 클리어링하우스와 같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 2는 경계 요소, 피어 요소 및 게이트키퍼가 있는 관리 도메인의 예시를 제공한다.

5. 프로토콜

H.323은 여러 ITU-T 및 IETF 프로토콜의 사용을 설명하는 시스템 사양이다.[8] 거의 모든 H.323 시스템의 핵심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8]


  • H.225.0 등록, 허가 및 상태 (RAS): H.323 종단점과 게이트키퍼 간에 사용되어 주소 확인 및 허가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H.225.0 통화 시그널링: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두 H.323 개체 간에 사용된다. (Q.931 기반)
  • H.245: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 기능 교환,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에 대한 논리 채널 열기 및 닫기, 제어 및 표시에 사용되는 메시지 및 절차를 설명한다.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 두 개체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음성, 비디오 또는 텍스트)를 보내거나 받는데 사용된다.


많은 H.323 시스템은 또한 다양한 ITU-T 권고에 정의된 다른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보조 서비스 지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 H.235 시리즈는 시그널링 및 미디어에 대한 보안을 포함하여 H.323 내의 보안을 설명한다.
  • H.239는 화상 회의에서 이중 스트림 사용을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하나는 라이브 비디오, 다른 하나는 정지 이미지에 사용된다.
  • H.450 시리즈는 다양한 보조 서비스를 설명한다.
  • H.460 시리즈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 방화벽 (FW) 트래버스를 위한 ITU-T 권고 H.460.17, H.460.18, H.460.19를 포함하여 종단점 또는 게이트키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선택적 확장을 정의한다.


이러한 ITU-T 권고 외에도 H.323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을 포함하여 미디어 전송 및 미디어 패킷화를 위해 다양한 IETF 요청 댓글 (RFC)을 구현한다.

H.323에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과 코덱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 H.225 등록, 허가, 상태 (RAS - registration, admission, and status)
  • H.225 호 시그널링
  • H.245 제어 시그널링
  •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오디오 코덱 G.711, G.729, G.723.1
  • 비디오 코덱 H.261, H.263


코덱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 표현 형식이며, H.323에서는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코덱이 지정되어 있다.

5. 1. 핵심 프로토콜

H.323은 여러 ITU-T 및 IETF 프로토콜의 사용을 설명하는 시스템 사양이다.[8] 거의 모든 H.323 시스템의 핵심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8]

  • H.225.0 등록, 허가 및 상태 (RAS): H.323 종단점과 게이트키퍼 간에 사용되어 주소 확인 및 허가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H.225.0 통화 시그널링: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두 H.323 개체 간에 사용된다. (Q.931 기반)
  • H.245: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 기능 교환,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에 대한 논리 채널 열기 및 닫기, 제어 및 표시에 사용되는 메시지 및 절차를 설명한다.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 두 개체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음성, 비디오 또는 텍스트)를 보내거나 받는데 사용된다.


많은 H.323 시스템은 또한 다양한 ITU-T 권고에 정의된 다른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보조 서비스 지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 H.235 시리즈는 시그널링 및 미디어에 대한 보안을 포함하여 H.323 내의 보안을 설명한다.
  • H.239는 화상 회의에서 이중 스트림 사용을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하나는 라이브 비디오, 다른 하나는 정지 이미지에 사용된다.
  • H.450 시리즈는 다양한 보조 서비스를 설명한다.
  • H.460 시리즈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 방화벽 (FW) 트래버스를 위한 ITU-T 권고 H.460.17, H.460.18, H.460.19를 포함하여 종단점 또는 게이트키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선택적 확장을 정의한다.


이러한 ITU-T 권고 외에도 H.323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을 포함하여 미디어 전송 및 미디어 패킷화를 위해 다양한 IETF 요청 댓글 (RFC)을 구현한다.

5. 2. 기타 프로토콜

H.323은 여러 ITU-T 및 IETF 프로토콜의 사용을 설명하는 시스템 사양이다.[8] 거의 모든 H.323 시스템의 핵심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8]

  • H.225.0 등록, 허가 및 상태(RAS): H.323 종단점과 게이트키퍼 간에 사용되어 주소 확인 및 허가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H.225.0 통화 시그널링: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두 H.323 개체 간에 사용된다. (Q.931 기반)
  • H.245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 기능 교환,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에 대한 논리 채널 열기 및 닫기, 제어 및 표시에 사용되는 메시지 및 절차를 설명한다.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두 개체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음성, 비디오 또는 텍스트)를 보내거나 받는데 사용된다.


많은 H.323 시스템은 또한 다양한 ITU-T 권고에 정의된 다른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보조 서비스 지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 H.235 시리즈는 시그널링 및 미디어에 대한 보안을 포함하여 H.323 내의 보안을 설명한다.
  • H.239는 화상 회의에서 이중 스트림 사용을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하나는 라이브 비디오, 다른 하나는 정지 이미지에 사용된다.
  • H.450 시리즈는 다양한 보조 서비스를 설명한다.
  • H.460 시리즈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 방화벽(FW) 트래버스를 위한 ITU-T 권고 H.460.17, H.460.18, H.460.19를 포함하여 종단점 또는 게이트키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선택적 확장을 정의한다.


이러한 ITU-T 권고 외에도 H.323은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을 포함하여 미디어 전송 및 미디어 패킷화를 위해 다양한 IETF 요청 댓글(RFC)을 구현한다.

5. 3. H.323 네트워크 시그널링

H.323은 여러 ITU-T 및 IETF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사양이다.[8] 거의 모든 H.323 시스템의 핵심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 H.225.0 등록, 허가 및 상태 (RAS): H.323 종단점과 게이트키퍼 간에 사용되어 주소 확인 및 허가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H.225.0 통화 시그널링: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두 H.323 개체 간에 사용된다. (Q.931 기반)
  • H.245: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제어 프로토콜로, 기능 교환,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에 대한 논리 채널 개폐, 제어 및 표시에 사용되는 메시지와 절차를 설명한다.
  • RTP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두 개체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음성, 비디오 또는 텍스트)를 보내거나 받는 데 사용된다.


많은 H.323 시스템은 보조 서비스 지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다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ITU-T 권고에 정의된 다른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이러한 권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H.235 시리즈는 시그널링 및 미디어에 대한 보안을 포함하여 H.323 내의 보안을 설명한다.
  • H.239는 화상 회의에서 이중 스트림 사용을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하나는 라이브 비디오, 다른 하나는 정지 이미지에 사용된다.
  • H.450 시리즈는 다양한 보조 서비스를 설명한다.
  • H.460 시리즈는 NAT / 방화벽 (FW) 트래버스를 위한 ITU-T 권고 H.460.17, H.460.18, H.460.19를 포함하여 종단점 또는 게이트키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선택적 확장을 정의한다.


H.323은 이진 프로토콜로 정의되며, 네트워크 요소에서 효율적인 메시지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 프로토콜의 구문은 ASN.1으로 정의되며, 전송 시 효율적인 메시지 인코딩을 위해 PER(Packed Encoding Rules) 형태의 메시지 인코딩을 사용한다.

H.323 통화 설정


원격 종단의 주소가 확인되면, 종단은 원격 개체와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H.225.0 통화 신호를 사용한다. H.225.0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9]

  • 설정 및 설정 확인
  • 통화 진행
  • 연결
  • 알림
  • 정보
  • 릴리스 완료
  • 기능
  • 진행
  • 상태 및 상태 조회
  • 알림


가장 간단한 형태에서 H.323 통화는 위 그림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왼쪽에 있는 종단(EP)은 오른쪽에 있는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시작했으며 게이트웨이는 통화를 호출된 측과 연결했다. 실제로는 통화 흐름이 이보다 더 복잡한 경우가 많지만, H.323 내에서 정의된 고속 연결 절차를 활용하는 대부분의 통화는 2~3개의 메시지로 설정될 수 있다. 종단은 게이트키퍼(게이트키퍼가 사용되는 경우)에게 통화 중임을 알려야 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장치는 릴리스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 그런 다음 종단은 게이트키퍼(게이트키퍼가 사용되는 경우)에게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려야 한다.

두 종단점(EP)과 두 게이트키퍼(GK) 간의 상위 수준 통신 교환


종단점은 게이트키퍼와 통신하기 위해 RA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게이트키퍼는 피어 게이트키퍼와 통신하기 위해 RAS를 사용한다. RAS는 다음과 같은 몇 개의 메시지로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 게이트키퍼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GRx)
  • 등록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RRx)
  • 등록 해제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URx)
  • 수락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ARx)
  • 대역폭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BRx)
  • 해제 요청, 거부 및 확인(DRx)
  • 위치 요청, 거부 및 확인 메시지(LRx)
  • 정보 요청, 응답, 부정 응답 및 응답(IRx)
  • 비표준 메시지
  • 알 수 없는 메시지 응답
  • 진행 중인 요청(RIP)
  • 리소스 가용성 표시 및 확인(RAx)
  • 서비스 제어 표시 및 응답(SCx)


종단점이 켜지면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게이트키퍼를 "검색"하기 위해 게이트키퍼 요청(GRQ) 메시지를 보낸다. 그러면 게이트키퍼는 게이트키퍼 확인(GCF)으로 응답하고 종단점은 함께 작업할 게이트키퍼를 선택한다. 또는 시스템의 관리 설정에 게이트키퍼가 미리 정의되어 있어 종단점이 게이트키퍼를 검색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종단점은 작업할 게이트키퍼를 결정하면 등록 요청(RRQ)을 보내 게이트키퍼에 등록하려고 시도하며, 게이트키퍼는 등록 확인(RCF)으로 응답한다. 이 시점에서 종단점은 네트워크에 알려져 있으며 통화를 걸고 받을 수 있다.

종단점이 통화를 걸고 싶을 때 게이트키퍼에게 수락 요청(ARQ)을 보낸다. 게이트키퍼는 주소를 확인하고(로컬에서, 다른 게이트키퍼에게 문의하거나,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쿼리하여) 수락 확인 메시지(ACF)에서 원격 종단점의 주소를 반환한다. 그러면 종단점은 통화를 걸 수 있다.

통화를 수신할 때 원격 종단점은 ARQ를 보내고 ACF를 수신하여 수신 전화를 수락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 예를 들어 발신 장치를 인증하거나 통화에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위 그림은 두 종단점(EP)과 두 게이트키퍼(GK) 간의 상위 수준 통신 교환을 보여준다.

통화가 시작되면 (반드시 완전히 연결될 필요는 없음) 종단점은 컨퍼런스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H.245 통화 제어 신호를 시작할 수 있다. H.245는 다중 지점 통신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많은 절차를 포함하는 다소 방대한 규격이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구현에서 점대점 통신 음성 및 영상 통신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 구현한다. H.245는 기능 협상, 마스터/슬레이브(기술) 결정, "논리 채널"(예: 오디오 및 비디오 흐름)의 개폐, 흐름 제어 및 컨퍼런스 제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유니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통신을 모두 지원하여 이론적으로 컨퍼런스의 크기를 무한정 확장할 수 있다.

6. 코덱

H.323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된 코덱과 ITU 외부에서 정의된 코덱을 모두 활용한다.[7] H.323 장비에서 널리 구현되는 코덱은 다음과 같다.



모든 비디오 통신을 제공하는 H.323 단말기는 H.261 QCIF에 따라 비디오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H.323 단말기는 오디오 코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ITU-T 권고안 G.711에 따라 음성을 인코딩하고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 모든 단말기는 A-law 및 μ-law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에 대한 지원은 선택 사항이다.[7]

H.323에서는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과 코덱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 H.225 등록, 허가, 상태 (RAS - registration, admission, and status)
  • H.225 호 시그널링
  • H.245 제어 시그널링
  •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 오디오 코덱 G.711, G.729, G.723.1
  • 비디오 코덱 H.261, H.263


코덱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 표현 형식이며, H.323에서는 실시간 통신에 적합한 코덱이 지정되어 있다.

6. 1. 오디오 코덱

H.323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된 코덱과 ITU 외부에서 정의된 코덱을 모두 활용한다.[7] H.323 장비에서 널리 구현되는 오디오 코덱은 G.711, G.729 (G.729a 포함), G.723.1, G.726, G.722, G.728, Speex, AAC-LD이다.[7]

모든 H.323 단말기는 오디오 코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ITU-T 권고안 G.711에 따라 음성을 인코딩하고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7] 모든 단말기는 A-law 및 μ-law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7] 다른 오디오 코덱에 대한 지원은 선택 사항이다.[7]

6. 2. 텍스트 코덱

H.323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된 코덱과 ITU 외부에서 정의된 코덱을 모두 활용한다.[7] 텍스트 코덱으로는 T.140이 있다.[7]

6. 3. 비디오 코덱

H.323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된 코덱과 ITU 외부에서 정의된 코덱을 모두 활용한다.[7] H.323 장비에서 널리 구현되는 비디오 코덱은 H.261, H.263, H.264, H.265이다.[7]

모든 비디오 통신을 제공하는 H.323 단말기는 H.261 QCIF에 따라 비디오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한다.[7]

7. 활용 사례

7. 1. 음성 통신 (VoIP) 서비스

인터넷 전화(VoIP)는 인터넷 또는 다른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음성을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ITU-T 권고 H.323은 VoIP에 사용되는 표준 중 하나이다. VoIP를 사용하려면 인터넷 또는 다른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 VoIP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구독, 그리고 클라이언트(아날로그 전화 어댑터(ATA), VoIP 전화 또는 "소프트폰")가 필요하다. 서비스 제공업체는 다른 VoIP 서비스 또는 PSTN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서비스 제공업체는 월별 요금을 부과한 다음 통화 시 추가 비용을 부과한다. 예를 들어, 두 기업 위치 간의 VoIP를 사용하면 VoIP 서비스 제공업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H.323은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IP를 통해 원격 위치를 상호 연결하려는 회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7. 2. 화상 회의 서비스

화상 회의 또는 화상 통신 회의(VTC)는 둘 이상의 위치에서 양방향 비디오 및 오디오 전송을 통해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통신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두 가지 유형의 화상 회의가 있다. 전용 VTC 시스템은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단일 장비로 패키징하는 반면 데스크톱 VTC 시스템은 일반 PC에 대한 부가 기능으로, PC를 VTC 장치로 변환한다. 세 개 이상의 원격 지점 간의 동시 화상 회의는 MCU(Multipoint Control Unit)를 통해 가능하다. IP 및 ISDN 기반 화상 회의를 위한 MCU 브리지가 있다.

가격대와 특히 광대역을 포함한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H.323 기반 IP 화상 회의의 사용과 성장이 급증했다. H.323은 DSL과 같이 고속 인터넷 연결을 가진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다. 화상 회의는 원격 교육, 원격 의료, 영상 릴레이 서비스 및 비즈니스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된다.

8. H.323 Annex


  • H.245 세션 제어 메시지
  • 비디오의 스케일러블 코딩 방식 지원
  • 비동기 전송 모드(ATM)에서의 전송
  • 실시간 팩시밀리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통신 절차
  • 음성 전용 단말 제어 절차
  • 실시간 텍스트 채팅
  • 이동체 확장(Mobility)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 이동체 확장의 전송 계층 이하
  • Annex F의 보안 확장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연계
  • 기동 신호
  • QSIG(Q 레퍼런스 포인트의 신호 프로토콜), ISUP(ISDN 사용자부), DSS1(디지털 신호 시스템 1)의 터널링 중계
  • 종단간 서비스 품질(QoS) 제어 및 신호 전송
  • 인터넷 기술 태스크 포스(IETF) 표준 IP 폰
  • 실시간 모뎀 중계
  • 원격 카메라 조작, H.281, H.224
  • 구성 요소의 확장법

9. 대안

IAX2는 바이너리 프로토콜로, 음성 스트림과 관련하여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설계되었으며 RFC 5456에 정의되어 있다.[10] IETF는 IP를 통해 음성 및 화상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이라는 표준을 만들었다.[10] 화상 회의 및 화상 전화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른 ITU-T 권고 사항으로는 H.320(ISDN 사용) 및 H.324(일반 아날로그 전화선 및 3G 휴대폰 사용)가 있다.[10] 징글(Jabber/XMPP 확장) 또한 IP를 통한 비디오 및 음성을 지원한다.[10] 일부 제공업체(예: 스카이프)는 자체 폐쇄형 전용 형식을 사용하기도 한다.[10] 액세스 그리드(Access Grid)는 오픈 소스에 더 중점을 두고 멀티캐스트를 활용하여 광범위하게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10] EVO는 또한 Java를 통해 비교적 개방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H.323 지원을 포함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H.323: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s https://www.itu.int/[...] 2021-04-29
[2] 서적 Voice over IP fundamentals https://archive.org/[...] Cisco Press
[3] 웹사이트 H.323 Products & Services http://www.h323forum[...]
[4] 문서 ITU-T Recommendation H.323 (11/1996) http://www.itu.int/r[...]
[5] 문서 ITU-T Recommendation H.323 http://www.itu.int/r[...]
[6] 문서 ITU-T Recommendation H.323 (02/1998) http://www.itu.int/r[...]
[7] 문서 ITU-T Recommendation H.323 (12/2009) http://www.itu.int/r[...]
[8] 문서 ITU-T Recommendations of the H.323 System
[9] 웹사이트 H.225.0 : Call signalling protocols and media stream packetization for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s https://www.itu.int/[...]
[10] 웹사이트 EVO The Collaboration Network http://evo.caltech.e[...] 2010-03-08
[11] 웹인용 H.323: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s https://www.itu.int/[...] 2021-04-29
[12] 서적 Voice over IP fundamentals https://archive.org/[...] Cisco Press
[13] 웹인용 H.323 Products & Services http://www.h323for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