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T-P-1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AT-P-13은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린 것으로 확인된 항성으로, 두 행성 모두 트랜싯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HAT-P-13 b는 목성과 비슷한 질량의 뜨거운 목성으로, 항성을 약 3일에 한 번 공전하며, HAT-P-13 c는 목성의 15배 이상 질량을 가진 슈퍼목성으로, 428.5일 주기로 항성을 공전한다. 시선 속도 측정 결과는 세 번째 동반 천체의 존재를 시사하며, 이 천체는 행성, 갈색 왜성 또는 작은 별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큰곰자리 - 북두칠성기
북두칠성기는 녹색 바탕에 은색 별로 큰곰자리를 형상화한 깃발로, 아일랜드의 자유를 상징하며 부활절 봉기에 사용되었고, 아일랜드 노동 운동과 공화주의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 큰곰자리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HAT-P-13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큰곰자리 |
겉보기 등급 | 10.62 |
식별 정보 | |
2MASS | J08393180+4721073 |
GSC | 03416-00543 |
TYC | 3416-543-1 |
위치 정보 | |
원기 | J2000.0 |
운동 정보 | |
시선 속도 | 14.69 km/s |
固有 운동(적경) | -25.2 밀리초/년 |
固有 운동(적위) | -27.6 밀리초/년 |
거리 | 700 광년(214 파섹) |
절대 등급 | 3.97 |
물리적 특징 | |
반지름 | 1.56 R☉ |
질량 | 1.22 M☉ |
표면 중력 | 14 G |
자전 속도 | 1.66 km/s |
분광형 | G4 V |
광도 | 2.22 L☉ |
표면 온도 | 5,653 K |
금속 함량 | 0.41 |
B-V 색 지수 | 0.73 |
나이 | 5.0 년 |
항성 정보 | |
이름 | HAT-P-13 |
별자리 | 큰곰자리 |
겉보기 등급 | 10.62 |
분광형 | G4 V |
거리 | 697.9 광년(214 파섹) |
질량 | 1.22 태양 질량 |
크기 | 1.56 태양 반지름 |
표면 온도 | 5638 켈빈 |
중원소 함량 | 0.43 [Fe/H] |
나이 | 5 년 |
추가 정보 | |
변광성 | 행성 통과 |
이름 | HAT-P-13 |
2MASS | J08393180+4721073 |
GSC | 03416-00543 |
TYC | 3416-543-1 |
2. 행성계
2009년 기준으로 HAT-P-13은 외계 행성 두 개를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쪽 행성 b는 트랜싯법으로, 바깥쪽 행성 c는 시선 속도법으로 각각 발견되었다. HAT-P-13은 트랜싯법으로 발견된 행성 외에 추가로 행성을 가진 최초의 항성이었다.
HAT-P-7 등 다른 항성계에서도 추가적인 동반 천체가 발견되었지만, 그 특성을 명확히 규명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했다.
시선 속도 관측 결과, 두 개의 행성 외에 세 번째 동반 천체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이 천체는 추가적인 행성이거나 갈색 왜성, 또는 작은 적색 왜성일 수 있다.
2. 1. HAT-P-13 b
(가까운 천체순)(MJ)
(일)
(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