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1715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7156은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별로, 2007년 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행성 HD 17156 b가 발견되었다. HD 17156 b는 주성을 통과하는 것이 밝혀졌으며, 2019년 국제천문연맹(IAU)의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를 통해 HD 17156은 '누샤가크', HD 17156 b는 '멀챗나'로 명명되었다. HD 17156 b 외에 2008년 두 번째 행성이 제안되었으나 2017년에 철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형 준거성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G형 준거성 - 글리제 777
글리제 777은 백조자리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황색 준거성 글리제 777 A와 적색 왜성 글리제 777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글리제 777 A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및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행성 통과 변광성 - HD 209458
HD 209458은 태양과 유사한 F형 주계열성으로, 최초로 통과 현상이 관측된 외계 행성인 오시리스(HD 209458 b)를 거느리고 있어 행성의 크기와 대기 성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D 17156 | |
---|---|
기본 정보 |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분광형 | G형 별 |
관측 정보 | |
적경 (J2000) | 02h 49m 44.4867s |
적위 (J2000) | +71° 45′ 11.6322″ |
겉보기 등급 | 8.17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특징 | |
분광형 | G0IV |
B 겉보기 등급 | 8.76 |
V 겉보기 등급 | 8.17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3.15 ± 0.20 km/s |
고유 운동 (적경) | 90.982 ± 0.064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33.197 ± 0.062 mas/yr |
시차 | 12.7776 mas |
절대 등급 | 3.70 |
세부 정보 | |
질량 | 1.275 ± 0.018 M☉ |
반지름 | 1.5007 ± 0.0076 R☉ |
표면 온도 | 6079 ± 80 K |
금속 함량 | 0.24 ± 0.05 |
나이 | 3.37 Gyr |
식별 정보 | |
이름 | 누샤가크 |
기타 명칭 | BD+71°171 HIP 13192 SAO 4737 GSC 04321-01320 PPM 5099 TYC 4321-1320-1 AG+71 95 |
SIMBAD | HD+17156 |
EPE | HD+17156 |
행성 정보 | |
행성 수 | 1 |
2. 행성계
HD 17156 주위를 도는 행성 중 가장 먼저 발견된 것은 HD 17156 b로, 2007년에 그 존재가 밝혀졌다. 2008년 2월 두 번째 행성 HD 17156 c의 존재가 예측되었으나, 2017년에 이 행성 후보는 철회되었다.
동반 천체 | 질량 | 공전주기 | 공전궤도 반지름 | 이심률 |
---|---|---|---|---|
b | 3.111 | 21.21725 | 0.1594 | 0.6717 |
c | 0.063 | 111.314 | 0.481 | 0.136 |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외계행성 이름 짓기) 콘테스트에서 미국 대표단이 HD 17156에 '''누샤가크'''라는 이름을, HD 17156 b에는 누샤가크 강의 지류인 멀챗나를 따라 '''멀챗나'''라는 이름을 제안하여 승인받았다. 누샤가크는 알래스카주 딜링햄 인근의 강으로, 지역 원주민 공동체를 부양하는 야생 연어로 유명하다.[1]
HD 17156 b는 2007년 시선 속도법을 이용한 관측으로 발견되었으며,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행성계이다. 이후 관측으로 이 행성은 주성을 통과하는 것이 밝혀져 그 반경이 측정되었다.
3. 명칭
2019년 'IAU100 Name ExoWorlds 프로젝트'에서 HD 17156은 미국에 할당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천문연맹 100주년 사업의 일환으로, 미국 내 선정 및 국제천문연맹(IAU) 제안을 거쳐 외계 행성과 주성에 고유 명칭이 승인되는 방식이었다. 2019년 12월 17일 IAU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고, HD 17156은 '''누샤가크''', HD 17156 b는 '''멀차트나'''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들은 알래스카주 남서부 브리스톨 만 주변 하천 이름에서 유래했다. 누샤가크는 딜링햄 근처를 흐르며 지역 원주민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야생 연어로 유명한 누샤가크 강에서, 멀차트나는 누샤가크 강의 지류에서 따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