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D 3712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37124는 3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린 항성이다. 1999년 HD 37124 b가 발견되었고, 2002년 HD 37124 c, 2005년 HD 37124 d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이 행성들은 모두 목성형 행성이며, b는 금성, c는 화성, d는 목성과 비슷한 열을 받는 궤도를 돌고 있다. 2011년 자료에 따르면 c와 d는 2:1 궤도 공명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소자리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황소자리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행성계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계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HD 37124
기본 정보
다른 이름BD+20°1018
GJ 209
HIP 26381
G 100-27
SAO 77323
별자리황소자리
겉보기 등급7.68
특징
분광형G4IV-V
변광성 여부변광성 아님
운동
시차31.5536
시차 오차0.0751
절대 등급5.05
물리적 특성
다른 질량M☉
다른 반지름R☉
다른 광도L☉
표면 온도K
다른 금속 함량 [Fe/H]-0.45
자전 속도3.6 km/s

2. 행성계

2011년 기준으로 HD 37124 항성 주위를 도는 3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된 상태이다. 이 행성계의 특징은 구성원 셋 모두 질량이 큰 목성형 행성임에도 불구하고 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도는 소위 ‘뜨거운 목성’이 없다는 점이다.

첫 번째 행성 HD 37124 b1999년 W. M. 케크 천문대에서의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항성의 생물권(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안쪽 가장자리를 돌며, 받는 일사량태양계금성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행성 HD 37124 c의 존재는 2002년~2003년 사이에 보고되었다. 초기 분석에서는 약 1,940일 주기의 이심률이 큰 궤도를 도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 궤도는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후 추가 관측과 3개 행성 모델 분석을 통해 2005년 세 번째 행성 HD 37124 d의 존재가 확인되면서 행성계 구성이 명확해졌다. 이 분석에서 HD 37124 c는 생물권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돌며 화성과 비슷한 일사량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고, 가장 바깥쪽을 도는 HD 37124 d는 목성과 비슷한 수준의 에너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행성 모두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2011년 발표된 업데이트된 분석 결과에서는 HD 37124 c와 HD 37124 d가 2:1 궤도 공명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되었다.

HD 37124 행성계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HD 37124 행성계
동반 천체
(항성에서 가까운 순)
질량
(MJ)
공전궤도 반지름
(AU)
공전 주기
()
이심률
b≥ 0.675 ± 0.0170.53364 ± 0.00020154.378 ± 0.0890.054 ± 0.028
c≥ 0.652 ± 0.0521.7100 ± 0.0065885.5 ± 5.10.125 ± 0.055
d≥ 0.696 ± 0.0592.807 ± 0.0381862 ± 380.16 ± 0.14


2. 1. HD 37124 b

HD 37124 b는 HD 37124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중 가장 먼저 발견된 행성이다. 1999년 11월 1일 W. M. 케크 천문대에서의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 및 발표되었다. 관례에 따라 첫 번째로 발견된 행성이라는 의미로 소문자 'b'가 부여되었다.

이 행성은 항성의 생물권(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안쪽 가장자리를 공전하며, 항성으로부터 받는 일사량태양계금성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질량이 큰 목성형 행성임에도 항성에 아주 가까이 붙어 돌지는 않아, 소위 '뜨거운 목성' 유형에는 속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1년 발표된 개선된 궤도 정보에 따르면, HD 37124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질량의 0.675 ± 0.017배(≥ 0.675 ± 0.017 MJ)이다. 항성 주위를 약 154.38 의 주기로 공전하며, 궤도 긴반지름은 약 0.53364 AU, 궤도 이심률은 0.054 ± 0.028이다.

2. 2. HD 37124 c

2002년 W. M. 케크 천문대의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처음 그 존재가 밝혀졌다. 초기 분석에서는 약 1,940일의 주기를 가진 타원 궤도로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 궤도는 불안정하여 행성계가 장기간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2005년, 추가 관측과 3개 행성 모델 분석을 통해 HD 37124 c의 존재와 궤도가 더 명확해졌다. 이 행성은 항성의 생물권 내를 공전하지만, 영역의 바깥쪽에 치우쳐 있어 항성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는 태양계화성과 비슷한 수준이다.

2011년 발표된 최신 분석에 따르면, HD 37124 c의 질량은 목성 질량(MJ)의 0.652배 이상(≥ 0.652 ± 0.052 MJ)이며, 공전 주기는 약 885.5일(± 5.1일), 공전 궤도 반지름은 약 AU(± 0.0065 AU), 궤도 이심률은 0.125(± 0.055)이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HD 37124 c가 바깥쪽 궤도를 도는 HD 37124 d와 2:1의 궤도 공명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되었다. HD 37124 c는 가스 행성으로 분류된다.

2. 3. HD 37124 d

HD 37124 d는 HD 37124 항성 주위를 도는 세 번째 외계 행성이다. 처음에는 HD 37124 bHD 37124 c 두 개의 행성만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c 행성의 궤도가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관측과 분석을 통해 3개의 행성으로 구성된 행성계 모델이 관측 결과를 더 잘 설명한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2005년에 HD 37124 d의 발견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HD 37124 d는 항성의 생물권 바깥쪽을 공전하며, 항성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는 태양계목성이 받는 열과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 행성은 가스 행성으로 분류되며, 만약 직접 관측할 수 있다면 그 모습은 목성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에 발표된 업데이트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HD 37124 d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0.696 ± 0.059배이며, 항성으로부터 약 2.807 ± 0.038 AU 떨어져 공전한다. 공전 주기는 약 1,862 ± 38일이고, 궤도 이심률은 0.16 ± 0.14이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HD 37124 d가 바로 안쪽 궤도를 도는 HD 37124 c와 2:1 궤도 공명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참조

[1] 정보
[2] 웹사이트 HD 37124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8-01-13
[3] 논문 The California Planet Survey. III. A Possible 2:1 Resonance in the Exoplanetary Triple System HD 37124 2011-04
[4] 논문 Stellar Parameters and Metallicities of Stars Hosting Jovian and Neptunian Mass Planets: A Possible Dependence of Planetary Mass on Metallicity 2010-09
[5] 논문 Revising the ages of planet-hosting stars 2015
[6] 논문 Seven New Keck Planets Orbiting G and K Dwarfs 2003-01
[7] 논문 Five New Multicomponent Planetary Systems 2005-10
[8] 논문 Six New Planets from the Keck Precision Velocity Survey 200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