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t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its+》는 카일리 미노그가 데컨스트럭션 레코드와 계약 기간 동안 발표한 곡들을 모아 2000년에 발매한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1994년 앨범 《카일리 미노그》와 1997년 앨범 《임파서블 프린세스》의 수록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싱글 7곡이 모두 포함되었다. 영국 음반 차트 41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 63위를 기록했으며,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음반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는 U2가 2000년에 발매한 9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얼터너티브 록과 전자 음악 실험 후 전통적인 사운드로 돌아와 "Beautiful Day" 등의 히트곡을 내며 상업적,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고, 멤버들의 경험과 사회적 이슈를 담아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었으며 20주년 기념 에디션으로 재발매되었다. - 2000년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Hit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아티스트 | 카일리 미노그 |
발매일 | 2000년 11월 7일 |
녹음 기간 | 1993년 - 1997년 |
장르 | 팝 음악 댄스 음악 컨템퍼러리 R&B 트립 합 |
레이블 | 데컨스트럭션 |
앨범 정보 | |
이전 앨범 | 라이트 이어스 |
다음 앨범 | 피버 |
앨범 종류 | 베스트 앨범 |
2. 배경
카일리 미노그는 자신의 데컨스트럭션 레코드(Deconstruction Records) 시절 발표한 곡들을 모아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앨범의 제목은 ''Hits+''로 정해졌다. 원래 커버 아트에 사용될 예정이었던 사진은 1995년 마이클 윌리엄스(Michael Williams)의 세션에서 촬영한 다른 사진으로 교체되었다.
이 컴필레이션 앨범은 카일리 미노그 (1994)와 임파서블 프린세스 (1997) 앨범의 수록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미노그가 디컨스트럭션 레코드 소속 시절 발매한 싱글 7곡이 모두 포함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매된 싱글 '''카우보이 스타일''' (Cowboy Style영어)은 수록되지 않았다. ''Hits+''의 해외 발매판에는 "This Girl"이 빠져 총 15곡이 수록되었으며, 미국과 중국 발매판에서는 "Where the Wild Roses Grow"도 제외되어 14곡만 수록되었다. 영국 차트에서는 41위를 기록[4]하며, 카일리 미노그의 베스트 앨범 중에서는 낮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Hits +''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많은 평론가들이 이 앨범에 수록된 Deconstruction 시절 노래들을 칭찬했다. 올뮤직의 매켄지 윌슨은 이 앨범에 매우 긍정적인 평점을 주며 별 다섯 개 만점에 네 개 반을 부여했다. 그녀는 이 앨범에 대해 "미국에서의 급증하는 인기를 활용하여, 아리스타는 2002년 초에 카일리 미노그의 ''Hits +'' 앨범을 재발매하며 홍보했다. 이 앨범은 미노그를 인디 스타로 만든 곡들을 강조하는데, 1994년 셀프 타이틀 앨범과 1997년의 ''Impossible Princess''를 반영한다. 미국 팬들은 약간 실망할 수도 있는데, 이 앨범의 곡들이 ''피버''의 히트 싱글인 'Can't Get You Out of My Head'보다 덜 화려하고 훨씬 어둡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세련되었다. ''Hits +''는 모든 팬들에게 완벽하며, 카일리 미노그의 거친 음악 세계를 처음 접하는 팬들을 위한 훌륭한 회고 앨범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했다.[1]
이 앨범은 미노그가 데컨스트럭션 레코드에서 활동하던 시기의 싱글곡, 미발표곡, 리믹스로 구성된 베스트 앨범이다. 단, 오스트레일리아에서만 발매된 싱글곡인 "'''카우보이 스타일'''(Cowboy Style영어)"은 수록되지 않았다.
수록곡 중 "'''이프 유 돈트 러브 미'''(If You Don't Love Me영어)"는 영국의 밴드 프리팹 스프라우트(Prefab Sprout)가 1992년 발표한 앨범 ''A Life of Surprises''에 수록된 곡을 커버한 것이다. 이 곡은 2011년 미노그의 '''아프로디테 월드 투어'''에서도 불렸으며, 당시 투어에는 한국 공연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 다른 수록곡인 "'''테이크 미 위드 유'''(Take Me with You영어)"는 정규 앨범에는 수록된 적이 없으나, 1998년 발매된 라이브 앨범 『'''인티메이트 앤드 라이브'''』에서 라이브 버전으로 먼저 공개된 바 있다.
이 앨범은 영국 차트에서 41위를 기록했으며[4], 카일리 미노그의 다른 베스트 앨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판매량을 보였다.
3. 구성
수록곡 '''이프 유 돈트 러브 미''' (If You Don't Love Me영어)는 영국 밴드 프리팹 스프라우트의 커버곡이며, 2011년 내한 공연을 포함한 아프로디테 월드 투어에서도 선보였다. '''테이크 미 위드 유''' (Take Me with You영어)는 오리지널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1998년 라이브 앨범 인티메이트 앤드 라이브에서 라이브 버전으로 먼저 공개되었다.
4. 평가
4. 1. 차트 성적
이 음반은 영국 음반 차트에서 41위로 데뷔하여 정점을 찍었으며[4], 이는 카일리 미노그의 베스트 앨범 중에서는 낮은 판매량에 해당한다.
5. 곡 목록
카일리 미노그가 디컨스트럭션 레코드 시절 발표한 싱글, B사이드, 미발표곡 등을 모은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5. 1. 전체 곡 목록
이 컴필레이션 앨범은 카일리 미노그가 디컨스트럭션 레코드 시절 발표한 곡들을 모은 것으로, 정규 앨범 ''Kylie Minogue'' (1994)와 ''Impossible Princess'' (1997)의 수록곡 및 미발표곡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발매된 7개의 싱글이 모두 포함되었으나, 호주에서만 발매된 싱글 "Cowboy Style"은 제외되었다."If You Don't Love Me"는 원래 영국의 그룹 프리팹 스프라우트(Prefab Sprout)가 1992년 앨범 ''A Life of Surprises''를 위해 녹음했던 곡이다.
# | 곡 제목 | 작곡가 | 비고 | 길이 |
---|---|---|---|---|
1 | Confide in Me | 스티브 앤더슨, 데이브 시먼 | 마스터 믹스, 1994년 Kylie Minogue 수록 | 5:55 |
2 | Put Yourself in My Place | 지미 해리 | 라디오 편집, Kylie Minogue 수록 원곡 | 4:12 |
3 | Where Is the Feeling? | 윌프 스마트티스, 제이 한나 | BIR 돌핀 믹스, Kylie Minogue 수록 원곡 | 4:13 |
4 | Some Kind of Bliss | 카일리 미노그, 제임스 딘 브래드필드, 션 무어 | 1997년 Impossible Princess 수록 | 4:14 |
5 | Did It Again | 미노그, 앤더슨, 시먼 | 라디오 편집, Impossible Princess 수록 원곡 | 4:16 |
6 | Breathe | 미노그, 데이브 볼, 잉고 바우크 | 라디오 편집, Impossible Princess 수록 원곡 | 3:40 |
7 | Where the Wild Roses Grow | 닉 케이브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씨즈와 함께, 1996년 Murder Ballads 수록 | 3:58 |
8 | If You Don't Love Me | 패디 맥알룬 | 1994년 "Confide in Me"의 B 사이드 | 2:11 |
9 | Tears | 볼, 미노그, 바우크 | 1997년 "Did It Again"의 B 사이드 | 4:29 |
10 | Gotta Move On | 찰리 말로지, 마르코 사비우, 미노그 | Kylie Minogue 세션 미발표곡 | 3:36 |
11 | Difficult by Design | 말로지, 사비우, 미노그 | Kylie Minogue 세션 미발표곡 | 3:43 |
12 | Stay This Way | 미노그, 앤더슨 | Impossible Princess 세션 미발표곡 | 4:35 |
13 | This Girl | 미노그, 우시 클라센 | Impossible Princess 세션 미발표곡 (호주 & 영국 버전 보너스 트랙) | 3:08 |
14 | Automatic Love | 말로지, 사비우, 미노그, 잉가 훔페 | 어쿠스틱 버전, Kylie Minogue 수록 원곡 | 4:24 |
15 | Where Has the Love Gone? | 알렉스 팔머, 줄리 스테이플턴 | Roach Motel 리믹스, "Confide in Me"의 B 사이드 | 9:26 |
16 | Take Me with You | 미노그, 앤더슨 | Impossible Princess 세션 미발표곡 | 9:11 |
- 호주와 영국 버전에는 13번 트랙 "This Girl"이 포함되어 총 16곡이 수록되었다.
- 다른 해외 발매판에는 "This Girl"이 빠져 총 15곡이 수록되었다.
- 미국과 중국 발매판에는 "This Girl"과 더불어 7번 트랙 "Where the Wild Roses Grow"도 제외되어 총 14곡만 수록되었다.
6. 인증
wikitext
지역 | 인증 | 인증 연월 |
---|---|---|
영국 | BPI: 실버 | 2013년 7월 |
7. 참여
참조
[1]
AllMusic
Hits + - Kylie Minogue
http://www.allmusic.[...]
[2]
Discogs release
424421
[3]
서적
Ryan
[4]
웹사이트
Kylie Minogue|full Official Chart History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2023-01-18
[5]
웹인용
"Kylie Minogue – ''Hits+''"
https://www.albumoft[...]
Album of the Year
2020-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