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LN(International Lunar Network)은 국제 달 탐사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2008년 7월 24일, NASA의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9개 우주국 대표들이 모여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의향서를 채택하면서 시작되었다. 참여 기관으로는 캐나다 우주국, CNES(프랑스), 독일 항공우주센터, 인도 우주 연구 기구, 이탈리아 우주국,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영국 국립 우주 센터, 미국 등이 있다. ILN에는 지진계, 자력계, 레이저 반사기, 지하 열 탐침 등의 과학 탑재체가 계획되었으나, 발사 계획이 지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우주 개발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NASA, ESA, CSA의 협력으로 개발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계기로, 적외선 영역에서 초기 우주의 별, 은하, 외계 행성 등을 연구하며, 태양-지구 L2 라그랑주점을 중심으로 헤일로 궤도를 돌고 6.5m 금 코팅 베릴륨 주경과 대형 차양막을 갖추고 있다. - 캐나다의 우주 개발 - 알파 입자 X선 분광기
알파 입자 X선 분광기는 알파 입자를 이용하여 물질의 조성을 분석하는 기기로, 우주 탐사선에 탑재되어 행성 및 소행성 표면의 성분 분석에 활용된다. - 프랑스의 우주 개발 - 기아나 우주 센터
기아나 우주 센터는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 위치한 우주 발사장으로, 적도에 가까운 이점을 활용해 다양한 궤도 발사를 지원하며 유럽 우주국을 비롯한 국제 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프랑스의 우주 개발 - COROT
COROT는 외계 행성 탐사 및 별진동학 연구를 목적으로 2006년에 발사되어 2012년까지 운용된 우주 망원경이다. - 미국의 우주 개발 - 미국 우주군
미국 우주군은 미국의 이익 보호, 우주 공격 억제, 신속하고 지속적인 우주 작전 수행을 주 임무로 하는 미국군의 독립된 군종으로, 우주 우위 확보, 글로벌 임무 작전 수행, 보장된 우주 접근 제공을 핵심 기능으로 한다. - 미국의 우주 개발 - 미스 베이커
미스 베이커는 1959년 주피터 로켓에 탑승하여 우주 비행을 하고 생존했으며, 1984년 콩팥 부전으로 사망할 때까지 가장 오래 산 다람쥐원숭이로 기록된다.
ILN | |
---|---|
국제 달 네트워크 | |
유형 | 제안된 달 표면 기반 과학 임무 |
운영자 | 여러 국가의 우주 기관 |
임무 기간 | 장기 |
목표 | 달의 내부, 표면 및 환경에 대한 동시 측정 수행 |
상태 | 취소됨 |
역사 | |
제안 | 2006년 |
취소 | 2012년 |
기타 | |
관련 프로그램 | 국제 우주 스테이션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어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국제 협력 논의
2008년 7월 24일, 캐나다 우주국, CNES(프랑스), 독일 항공우주센터, 인도 우주 연구 기구, 이탈리아 우주국,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대한민국), 영국 국립 우주 센터, 그리고 NASA(미국)의 우주국 관계자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펫 필드에 위치한 NASA 에임스 연구 센터 내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회의를 가졌다. 이 회의에서 9개 우주국의 대표들은 국제 달 네트워크(ILN)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고, 계획의 첫 단계로서 의향서를 채택했다. 또한, NASA의 과학 임무 국(Science Mission Directorate, SMD)과 탐사 시스템 임무 국(Exploration Systems Mission Directorate, ESMD)은 이 네트워크를 위해 두 쌍의 노드(착륙 스테이션)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2. 2. 참여 기관
2008년 7월 24일, 9개국 우주 기관 대표들이 NASA의 에임스 연구 센터에 위치한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회의를 가졌다. 이 회의에는 다음과 같은 기관들이 참여했다.국가 | 참여 기관 |
---|---|
캐나다 | 캐나다 우주국 (Canadian Space Agency, CSA) |
프랑스 | CNES |
독일 | 독일 항공우주센터 (German Aerospace Center, DLR) |
인도 | 인도 우주 연구 기구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ISRO) |
이탈리아 | 이탈리아 우주국 (Italian Space Agency, ASI) |
일본 |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JAXA) |
대한민국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
영국 | 영국 국립 우주 센터 (UK Space Agency, UKSA) (당시 명칭은 영국 국립 우주 센터(British National Space Centre, BNSC)였으나, 2010년 영국 우주국(UKSA)으로 개편됨) |
미국 |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
회의에서 9개 우주국의 대표들은 ILN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계획의 첫 단계로 의향서를 채택했다. NASA의 과학 임무 국(Science Mission Directorate, SMD)과 탐사 시스템 임무 국(Exploration Systems Mission Directorate, ESMD)은 이 네트워크를 위해 두 쌍의 노드(착륙 스테이션)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3. 과학 탑재체
4. 계획 지연 및 현황
미국은 국제 달 네트워크(ILN)에 총 4기의 지상착륙시설(2쌍)을 제공할 예정이었다. 초기 계획에 따르면 1호기와 2호기는 각각 2013년과 2014년에, 3호기와 4호기는 2016년과 2017년에 발사될 예정이었다.[3] 그러나 이 계획은 5년 지연되어, 1호기는 2018년 3월 1일에 발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발사에는 미국의 LPRP 계획에서 개발된 달 착륙선이 이용될 예정이었다.
네트워크 자체는 개발되지 않았다.[3]
4. 1. 미국의 LPRP 계획
2013년 9월 7일 LADEE(Lunar Atmosphere and Dust Environment Explorer) 달 탐사선이 미국에서 미노타우르 5호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이 위성의 무게는 383 kg이며, 설계된 임무 수명은 100일이다. LADEE는 달 표면으로부터 20km 고도에서 비행하며 달의 희박한 대기와 먼지 환경을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했다.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Lunar Network
https://web.archive.[...]
2008-08-12
[2]
웹사이트
NASA.gov
https://web.archive.[...]
2018-03-15
[3]
웹사이트
NASA Hosts International Meeting for Lunar Science Discussions
https://web.archive.[...]
2008-08-12
[4]
뉴스
https://news.naver.c[...]
[5]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