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SSF 월드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SF 월드컵은 국제 사격 연맹(ISSF)이 주관하는 사격 대회로, 198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소총, 권총, 산탄총(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며,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로 개최되기도 한다. 대회는 여러 차례의 월드컵 대회와 월드컵 파이널로 구성되며, 월드컵 파이널은 각 월드컵 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상위 랭커들이 참가하는 최종 대회이다. 소총과 권총 종목의 월드컵 파이널은 뮌헨에서, 산탄총 종목은 개최 시기와 장소가 유동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격 대회 - 올림픽 사격
    올림픽 사격은 하계 올림픽에서 진행되는 사격 종목으로,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시작하여 종목 수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10m 공기 권총, 10m 공기 소총 등 12개 세부 종목으로 운영되며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사격 대회 - 패럴림픽 사격
    패럴림픽 사격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사격 스포츠로, 하계 패럴림픽에서 소총과 권총 종목으로 남자, 여자, 혼합 경기가 진행되며, 일부 종목은 추가되거나 폐지되기도 했고, 스웨덴과 대한민국이 메달 순위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 월드컵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월드컵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ISSF 월드컵
ISSF 월드컵
대회 정보
스포츠사격
주최국제 사격 연맹 (ISSF)
유형월드컵
빈도매년
기록
최다 우승 국가중국

2. 역사

ISSF 월드컵은 1986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일부 연도 제외) 올림픽이 개최되는 해에는 올림픽 테스트 이벤트를 겸하여 올림픽 개최지에서 월드컵이 열린다.

개최지는 국제 사격 연맹(ISSF)에서 수시로 결정한다. 소총 및 권총 종목의 월드컵 2개 대회는 거의 항상 뮌헨밀라노에서 개최된다. 나머지 2개 대회는 대개 유럽 외 지역, 예를 들어 포트 베닝, 부에노스아이레스, 서울, 창원 또는 시드니에서 개최된다. 산탄총 경기의 일반적인 개최 장소로는 니코시아, 로나토, 뉴델리아메리카나, 상파울루가 있다. 텍사스주 힐 컨트리에 위치한 커빌, 텍사스는 산탄총 경기의 새로운 개최지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3. 경기 종목

ISSF 월드컵은 올림픽 정식 종목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소총, 권총, 산탄총(클레이) 종목이 있다. 과거에는 러닝타겟 종목도 있었으나 현재는 중단되었다.

유럽 사격 연맹은 ISSF 월드컵에서 다루지 않는 비올림픽 종목을 위해 유로파 컵(Europa Cup) 대회를 개최한다. 유로파 컵은 창설 당시 300m 소총과 300m 스탠더드 소총 종목으로만 치러졌지만, 2005년부터 25m 센터파이어 권총과 25m 스탠더드권총 종목이 추가되었다.

2016년부터는 주니어 선수들을 위한 ISSF 주니어 월드컵이 별도로 개최된다.

4. 대회 구성

ISSF 월드컵은 여러 차례의 월드컵 대회와 월드컵 파이널로 구성된다. 각 월드컵 대회는 특정 도시에서 개최되며, 소총, 권총, 산탄총 종목별로 경기가 진행된다. 월드컵 파이널은 각 월드컵 대회의 성적을 바탕으로 상위 랭커들이 참가하는 최종 대회이다.

소총과 권총 종목의 월드컵 파이널은 보통 매년 8월 말에 뮌헨에서 개최되며, 클레이 종목의 월드컵 파이널은 개최 시기나 장소 등이 유동적이다. ISSF 사격 시즌의 마지막 대회로 뮌헨에서 열리는 경우가 많다. 파이널 대회에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우수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다.


  • 올림픽, 세계, ISSF 월드컵 파이널의 전년도 챔피언.
  • 가장 최근에 열린 올림픽 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및 동메달 수상자.
  • 그 해 월드컵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8명의 사수. 성적 평가를 위해 대회에서 달성한 순위와 점수를 모두 고려하는 특별 점수 시스템이 사용된다.
  • 개최국에서 자국 출신 선수가 출전 자격을 얻지 못한 경우, 최대 2명의 사수를 월드컵 파이널 두 종목에 출전하도록 지명할 수 있다.

4. 1. 월드컵 파이널

소총과 권총 종목의 월드컵 파이널은 보통 매년 8월 말에 뮌헨에서 개최되며, 클레이 종목의 월드컵 파이널은 개최 시기나 장소 등이 유동적이다. ISSF 사격 시즌의 마지막 대회로 뮌헨에서 열리는 경우가 많다. 파이널 대회에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우수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다.

  • 올림픽, 세계, ISSF 월드컵 파이널의 전년도 챔피언.
  • 가장 최근에 열린 올림픽 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및 동메달 수상자.
  • 그 해 월드컵 대회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8명의 사수. 성적 평가를 위해 대회에서 달성한 순위와 점수를 모두 고려하는 특별 점수 시스템이 사용된다.
  • 개최국에서 자국 출신 선수가 출전 자격을 얻지 못한 경우, 최대 2명의 사수를 월드컵 파이널 두 종목에 출전하도록 지명할 수 있다.

5. 개최지

ISSF 월드컵 개최지는 국제사격연맹에 의해 정해진다. 소총 및 권총 종목의 월드컵은 뮌헨밀라노에서 자주 개최되며, 이외에 서울, 창원등이 유럽 외 지역으로서 자주 개최되는 곳이다. 산탄총 종목은 니코시아, 로나토, 뉴델리, 아메리카나가 일반적인 개최지이다.

6. 대한민국과 ISSF 월드컵

7. 주요 메달리스트

#이름국가활동 연도총계세부 종목
1랄프 슈만(Ralf Schumann)1986–20123971056권총
2라이몬드 데베베츠(Rajmond Debevec)1986–201327211967소총
3크리스티안 라이츠(Christian Reitz)2008–20231913941권총
4로베르토 디 돈나(Roberto Di Donna)1991–2001197733권총
5빈센트 핸콕(Vincent Hancock)2005–2023195226산탄총
6세르게이 마르티노프(Sergei Martynov (sport shooter)) 1988–2012178732소총
7요제프 곤치(Jozef Gonci)1995–20111691136소총
8진종오(Jongoh Jin)2003–2017166527권총
9주 첸(Qinan Zhu)2004–2016156627소총
10왕이푸(Yifu Wang)1986–20031313733권총
11하랄드 스텐바그(Harald Stenvaag)1986–200412131338소총
12다미르 미케츠(Damir Mikec)2009–20241111325권총
13프랑크 뒤물랭(Franck Dumoulin)1996–2010117523권총
14탄 종량(Zongliang Tan)1993–2012117422권총
15이고르 바신스키(Igor Basinski) 1986–2002114621권총
16에니오 팔코(Ennio Falco)1988–2009107623산탄총
17아틸라 솔티(Attila Solti)1987–2000107522러닝
18미하엘 야코시츠(Michael Jakosits) 1989–2003104519러닝
19다니엘레 디 스피뇨(Daniele Di Spigno)1997–2017103316산탄총
20조반니 펠리에로(Giovanni Pellielo)1992–2022102820산탄총
21만프레드 쿠르처(Manfred Kurzer)1991–2004102517러닝
22아르템 하지베코프(Artem Khadjibekov)1993–2010918734소총
23매튜 에몬스(Matthew Emmons)2001–20169121132소총
24보리스 코코레프(Boris Kokorev) 22px 연합팀 1987–2008911626권총
25페테르 시디(Péter Sidi)1999–2017910726소총
26알렉세이 알리포프(Alexey Alipov)1998–2021991028산탄총
27알베르토 페르난데스(Alberto Fernandez)2007–202495418산탄총
28장피에르 아마(Jean-Pierre Amat)1986–200095317소총
29사우라브 차우드리(Saurabh Chaudhary)2019–202292213권총
30타뉴 키리아코프(Tanyu Kiriakov)align=left |1986–20088131132권총
31마이클 다이아몬드(Michael Diamond (sport shooter))1991–2015812424산탄총
32올레흐 오멜추크(Oleh Omelchuk)2007–202387318권총
33니콜로 캄프리아니(Niccolò Campriani)2009–201484315소총
34미하일 네스트루예프(Mikhail Nestruev)1996–200983617권총
34이리 프리브라츠키(Jiri Privratsky)2021–202483617소총
36알바노 페라(Albano Pera)1986–199783415산탄총
37세르게이 피지야노프(Sergei Pyzhianov) 22px 연합팀 1986–1997712827권총
38세르게이 카멘스키(Sergey Kamenskiy)2014–202176114소총
39마쓰다 토모유키(Tomoyuki Matsuda)2008–201774415권총
40워렌 포텐트(Warren Potent)2007–201673212소총



다음 표는 ISSF 월드컵에서 금메달 7개 이상을 획득한 사격 선수들을 나타낸다.[2]

8.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ISSF Calendar https://www.issf-spo[...] 2024-05-05
[2] 웹사이트 Multi-Medalists World Cups MEN individual / team https://www.issf-spo[...] issf-sports.org 2020-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