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 아메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아메리카는 한국방송공사(KBS)의 해외 방송 채널로, 2005년 10월 6일 개국하여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KBS의 외국어 라디오 방송을 전신으로 하며, 2004년 9월부터 로스앤젤레스 등 한인 밀집 지역의 케이블 사업자를 통해 방송을 시작했다. KBS 아메리카는 수신료를 기반으로 운영되어 상업 광고를 송출하지 않으며, 미국 내 여러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1TV
    KBS 1TV는 196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공영 방송 KBS의 지상파 채널로, 시사, 뉴스,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업 광고 없이 운영되며, 대한민국 최초의 TV 방송국인 대한방송(DBC)의 역사를 잇고 24시간 방송과 UHD 방송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2TV
    KBS 2TV는 1980년 동양방송의 TV 방송을 이어받아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 채널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국에 동일한 편성을 방송하며 오락 및 예능 중심으로 편성을 전환하여 광고 방송 시간이 확대되는 등 한국 방송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 2005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2005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JTBC GOLF
    JTBC GOLF는 이원정, 김동연 등의 아나운서와 임경빈, 김미현 등의 해설위원들이 국내외 골프 투어 중계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골프 전문 채널이다.
  • 국제방송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국제방송 - 중국중앙텔레비전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1958년 베이징 텔레비전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이며, 중국 공산당의 지휘를 받고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정치 선전 도구로 활용되면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KBS 아메리카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채널 명칭KBS 아메리카
영문 명칭KBS America
KBS America 로스앤젤레스 로고
개국일2005년 10월 6일
국가미국
본사 위치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사용 언어한국어
방송 지역북미 및 남미
소유주한국방송공사
웹사이트KBS 아메리카
방송 정보
네트워크KBS 월드
방송 방식지상파
채널 번호아래 표 참조

2. 연혁

KBS의 외국어 라디오 방송은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어, 1968년 7월 KBS에 편입되었다.[1] 1973년 3월 '라디오 코리아', 1994년 8월 '라디오 코리아 인터내셔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04년 9월 6일, KBS 아메리카는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애틀, 애틀랜타, 워싱턴 등 한인 밀집 지역 케이블 사업자를 통해 방송을 시작했다. 2005년 3월 '자유 대한의 소리'는 KBS 아메리카로 이름을 바꾸었고, 같은 해 10월 6일 해외 한인 대상 국제 텔레비전 채널 "KBS 아메리카" 방송이 개시되었다.[1] 2012년 9월 3일, 고선명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1]

2. 1. 설립 초기

2004년 9월 6일,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애틀, 애틀랜타워싱턴 등 한인 인구가 많은 지역의 케이블 사업자를 통해 방송을 시작했다. 2005년까지 24시간 방송 서비스로 전환될 예정이었다.[1]

2. 2. 라디오 코리아 인터내셔널

KBS의 외국어 라디오 방송은 1953년 '자유 대한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1968년 7월, 이 방송은 KBS에 편입되었다.[1] 이후 1973년 3월 '라디오 코리아', 1994년 8월 '라디오 코리아 인터내셔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2. 3. KBS 아메리카로 개편

2005년 3월 '자유 대한의 소리'는 KBS 아메리카로 이름이 바뀌었고, 2005년 10월 6일 국제 텔레비전 채널 "KBS 아메리카"가 방송을 시작하면서, 재미 한인들을 위한 본격적인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1]

2. 4. 고화질 방송 시작

2012년 9월 3일, KBS 아메리카는 고선명(HD)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다.[1]

3. 특징

KBS 아메리카는 수신료를 주 재원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업 광고를 송출하지 않는다. 이는 KBS 1TV, KBS 월드 TV, KBS NEWS D 채널과 동일한 특징이다.

3. 1. 수신료 기반 운영

KBS 아메리카는 수신료를 주 재원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업 광고를 송출하지 않는다. 이는 KBS 1TV, KBS 월드 TV, KBS NEWS D 채널과 동일한 특징이다.

3. 2. 무광고 방송

상업광고를 내보내지 않는다. 수신료로 운영되기 때문에 광고가 없는 채널이다. KBS 1TV, KBS 월드 TV, KBS NEWS D는 상업광고 없이 방송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종료하며, 상업광고를 일체 송출하지 않는다.[1]

4. 방송 송출 현황

KBS 아메리카는 디지털 방송과 케이블 TV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1. 디지털 방송

도시[2][3]방송국가상 채널
애틀랜타WANN-CD32.7
시카고WOCK-CD13.2
호놀룰루KBFD-DT32.2
로스앤젤레스KXLA44.1
샌프란시스코KICU-TV36.2
댈러스KLEG-CD44.2


참조

[1] 뉴스 “KBS 프로 24시간 방영” http://www.koreatime[...] 2004-09-01
[2] 웹사이트 Schedule / Channel http://kbs-america.c[...] 2015-10-16
[3] 웹사이트 RabbitEars.Info http://www.rabbitear[...] 2015-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