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울산방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울산방송국은 1971년 무룡산 중계소 개소를 시작으로, 1984년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으로 개국하였다. 이후 TV와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며, 2017년에는 KBS울산 1TV와 KBS울산 2TV에서 UHD 방송을 시작했다.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뉴스, 교양, 시사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국 - KBS광주방송총국
KBS광주방송총국은 1939년 라디오 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광주 지역 방송 역사를 시작하여, 현재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뉴스,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KBS울산방송국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국 명칭 | KBS 울산 방송국 |
한자 표기 | KBS蔚山放送局 |
영어 표기 | KBS Ulsan Broadcasting Station |
약칭 | KBS울산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설립일 | 1971년 1월 13일 |
개국일 | 1984년 2월 10일 |
소재지 | 울산광역시 남구 번영로 212 (달동 416-7) |
방송국장 | 이민호 |
모기업 | 한국방송공사 |
공식 웹사이트 | KBS울산방송국 |
로고 | |
본사 | |
![]() |
2. 연혁
1971년 1월 13일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가 개소(K-9ch)하면서 KBS울산방송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72년 12월 20일 중앙방송국 업무부 부산 징수사무소 울산출장소가 개소하였고,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부산방송국) 울산출장소로 개칭되었다.
1975년 8월 15일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는 출력을 증강하고 채널을 K-5ch로 변경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18일 울산 라디오 중계소(HLQB, 1450kHz)가 개소하였다. 1978년 1월 10일에는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에서 표준FM방송(FM 90.7MHz)을 시작하였고, 같은 해 11월 23일 울산 라디오 중계소 주파수가 1449kHz로 변경되었다.
1980년 12월 31일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에서 제3텔레비전 방송 중계(K-21ch)가 시작되었고, 1982년 5월 10일에는 울산 라디오 중계소에서 자체 프로그램 방송(1일 1시간)을 시작하였다. 1982년 12월 31일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 청사가 증축되었다. 1983년에는 5월 13일 제2텔레비전 방송 중계(K-27ch)가 시작되었고, 9월 17일에는 제1FM 방송 중계(FM 101.9MHz) 및 교육FM방송 중계가 시작되었다.
1984년 7월 16일 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본부 울산출장소로 개칭되었으며, 12월 16일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으로 승격, 개국하였다. 1985년 10월 26일 울산방송국은 제1텔레비전 자체 방송(K-5ch)을 시작하였고, 12월 28일에는 제2텔레비전 자체 방송(K-27ch)을 시작하고 신축 사옥 기공식을 가졌다.
1987년 1월 1일 울산방송국 무룡산 텔레비전 중계소는 울산 송신소 KTA로 이관되었고, 8월 1일 울산방송국 남부출장소가 개소하였다. 1988년 4월 1일 신축 사옥이 준공되었으며, 6월 1일 방어진 송신소, 무룡산 송신소, 미포 텔레비전 중계소가 KTA에서 울산방송국으로 이관되었다. 1989년 10월 30일에는 울산송신소 기공식이 있었다.
1990년 2월 1일 울산방송국 남부출장소가 폐소되었고, 11월 16일 제1FM 방송이 개시되었으며, 12월 10일 울산송신소가 준공되었다. 1991년 6월 26일 미포TVR에 제2TV(CH46)가 설치되었고, 1992년 12월 24일에는 은월TVR(제1TV CH10, 제2TV CH12)과 언양TVR(제1TV CH35, 제2TV CH37)이 설치되었다. 1993년 12월 31일에는 덕신TVR(제1TV CH47, 제2TV CH49)이 설치되었다.
1994년 6월 20일 표준FM방송(90.7MHz) 로컬방송이 실시되었고, 1996년 3월 4일 부가방송(장애인방송), RDS, SCA 및 GCR 신호(제1TV)가 실시되었다. 1996년 11월 1일 웅상TVR(제1TV CH57, 제2TV CH53, EBSTV CH55), 은월TVR EBSTV(CH25), 언양TVR EBSTV(CH39)가 신설 또는 증설되었다. 1997년 8월 15일 제2TV 광고방송이 실시되었고, 12월 1일 무룡산(송) 시설이 자동화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울산송출센터 공사가 완료되어 1998년 5월부터 운용되었다. 1999년 5월 31일 표준FM방송(90.7MHz) STL 장비가 신설되었고, 9월 20일 울산송신소 이전공사가 착공되었으며, 12월 2일 음악FM(101.9MHz) STL 장비가 교체되었다.
2000년 9월 30일 울산송신소가 준공 및 방송을 승계하였고, 12월 11일 울산방송국 홈페이지가 개설되었다. 2001년 9월 10일 1TV 예비송신기가 교체되었고, 2002년 4월 11일 TV 중계차가 교체되었으며, 11월 13일 표준FM방송 예비 안테나가 신설되었다. 11월 24일에는 1, 2TV 디지털 M/W가 교체 설치되었다. 2003년 11월 20일 1, 2채널 DTV 송신기가 설치되었고, 11월 28일 송출센터 이설 및 TV 주조 확장 공사가 준공되었다.
2004년 7월 12일 1DTV(CH28), 2DTV(CH40) 방송이 실시(본 방송 8월 9일)되었고, 2005년 2월 1일 교육 DTV 방송이 실시되었으며, 3월 15일 TV 중계차가 교체되고 CAM 4대가 도입되었다. 2006년 9월 26일 은월TVR 2TV 채널이 변경(CH54)되고 출력이 증강되었으며, 12월 15일 표준FM방송 송신기 교체 작업이 이루어졌다. 2007년 11월 5일 KBS 무룡산 지상파 DMB 방송이 개시되었다.
2012년 8월 16일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고, 10월 4일 경상남도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3년 7월 17일 울산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으며, 2017년 12월 29일 KBS울산 1TV와 KBS울산 2TV UHD 방송이 개국되었다.
2. 1. 1970년대
- 1971년 1월 13일: 무룡산 중계소 개소(CH9)
- 1972년 12월 20일: 중앙방송국 업무부 부산징수사무소 울산출장소 개소
-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국 울산출장소로 개칭
- 1975년 8월 15일: 무룡산 TV중계소 출력증강 및 채널 변경(CH5)
- 1975년 11월 18일: 울산중계소 개소 (콜사인 HLQB, 주파수 1450kHz)
- 1978년 1월 10일: 무룡산 TV중계소 표준FM방송 실시(FM 90.7MHz)
- 1978년 11월 23일: 울산중계소 주파수 변경 (1449kHz)
2. 2. 1980년대
- 1980년 12월 31일: 무룡산 TV중계소에서 제3TV 방송 중계를 실시하였다. (UHF CH21)
- 1982년 5월 10일: 울산중계소에서 자체 방송을 실시하였다. (1일 1시간)
- 1982년 12월 31일: 무룡산 TV중계소 청사를 증축하였다. (55평 → 146평)
- 1983년 5월 13일: 무룡산 TV중계소에서 제2TV 방송 중계를 실시하였다. (UHF CH27)
- 1983년 8월 16일: 울산중계소 방송시간을 연장하였다. (1일 20시간 → 24시간)
- 1983년 9월 17일: 무룡산 TV중계소에서 제1FM 방송 중계(101.9MHz) 및 교육FM 방송 중계를 실시하였다.
- 1984년 2월 10일: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이 개국하였다. (중파 1449kHz, 출력 10㎾, 호출부호 HLQB)
- 1984년 7월 16일: 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본부 울산출장소로 개칭하였다.
- 1984년 12월 16일: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이 개국하였다. (부산방송본부 울산중계소, 무룡산송신소, 울산출장소 인수)
- 1985년 10월 26일: 울산방송국에서 제1TV 로컬방송을 실시하였다. (VHF5)
- 1985년 12월 28일: 울산방송국에서 제2TV 로컬방송을 실시하고(UHF27), 신축사옥을 기공하였다. (울산시 남구 달동 519-17)
- 1987년 1월 1일: 울산방송국 무룡산중계소, 울산송신소를 KTA로 이관하였다.
- 1987년 8월 1일: 울산방송국 남부출장소를 개소하였다.
- 1988년 4월 1일: 신축사옥을 준공하였다.
- 1988년 6월 1일: 방어진송신소, 무룡산송신소, 미포 간이TVR을 KTA에서 환원받았다.
- 1989년 10월 30일: 울산송신소를 기공하였다. (울산시 남구 삼산동 373-1)
2. 3. 1990년대
- 1990년 2월 1일: 울산방송국 남부출장소 폐소
- 1990년 11월 16일: 제1FM 방송 개시
- 1990년 12월 10일: 울산송신소 준공
- 1991년 6월 26일: 미포TVR 제2TV(CH46) 설치
- 1992년 12월 24일: 은월TVR 제1TV(CH10), 제2TV(CH12) 설치/ 언양TVR 제1TV(CH35), 제2TV(CH37) 설치
- 1993년 12월 31일: 덕신TVR 제1TV(CH47), 제2TV(CH49) 설치
- 1994년 6월 20일: 표준FM(90.7MHz) 로컬방송 실시
- 1996년 3월 4일: 부가방송 실시 (장애인방송), RDS, SCA 및 GCR 신호 (제1TV)
- 1996년 11월 1일: 웅상TVR 제1TV(CH57), 제2TV(CH53), EBSTV(CH55), 은월TVR EBSTV(CH25), 언양TVR EBSTV(CH39) 신,증설
- 1997년 8월 15일: 제2TV 광고방송 실시
- 1997년 12월 1일: 무룡산(송) 시설 자동화
- 1997년 12월: 울산송출센터 공사 완료
- 1998년 5월: 송출센터 운용
- 1999년 5월 31일: 표준FM(90.7MHz) STL 장비 신설
- 1999년 9월 20일: 울산송신소 이전공사 착공(울산시 남구 여천동 1221-4번지)
- 1999년 12월 2일: 음악FM(101.9MHz) STL 장비 교체
2. 4. 2000년대
- 2000년 9월 30일: 울산송신소 준공 및 방송 승계
- 2000년 12월 11일: 울산방송국 홈페이지 개설
- 2001년 9월 10일: 1TV 예비송신기 교체(HARRIS)
- 2002년 4월 11일: TV 중계차 교체
- 2002년 11월 13일: 표준FM 예비 안테나 신설
- 2002년 11월 24일: 1, 2TV 디지털 M/W 교체 설치
- 2003년 11월 20일: 1, 2채널 DTV 송신기 설치
- 2003년 11월 28일: 송출센터 이설 및 TV 주조 확장 공사 준공
- 2004년 7월 12일: 1DTV(CH28), 2DTV(CH40) 방송 실시(본 방송 8월 9일)
- 2005년 2월 1일: 교육 DTV 방송 실시
- 2005년 3월 15일: TV 중계차 교체, CAM 4대
- 2006년 9월 26일: 은월TVR 2TV 채널 변경(CH54) 및 출력 증강
- 2006년 12월 15일: 표준FM 송신기 교체 작업
- 2007년 11월 5일: KBS 무룡산 지상파 DMB 방송 개시
2. 5. 2010년대 ~ 현재
- 2012년 8월 16일 :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었다.
- 2012년 10월 4일 : 경상남도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 2013년 7월 17일 : 울산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다.
- 2017년 12월 29일 : KBS울산 1TV와 KBS울산 2TV UHD 방송이 개국되었다.
3. 방송 송출 시설망
KBS울산방송국은 TV와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 다양한 송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송신소 | 채널 | 주파수 | 출력 |
---|---|---|---|
무룡산 | K-12Bch | 207.008MHz | 2kW |
문수산 | K-12Bch | 207.008MHz | 90W |
연화산 | K-12Bch | 207.008MHz | 90W |
3. 1. TV
KBS울산방송국은 1TV, 2TV, EBS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 8월 16일 오후 2시를 기해 아날로그 TV 방송은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TV 방송만 송출하고 있다.디지털 TV 방송의 경우 1TV는 가상채널 9-1번을 사용하며, 식별 신호(호출 부호)는 HLQB-DTV이다. 송신소 정보와 채널 정보는 하단의 디지털 TV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8월 1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으며, 1TV 식별 신호(호출 부호)는 HLQB-TV였다.
3. 1. 1. 디지털 TV
송신소 | UHD | HD | 송신소 위치 | 비고 | ||||
---|---|---|---|---|---|---|---|---|
물리채널 | 출력 | 물리채널 | 출력 | |||||
1TV | 2TV | 1TV | 2TV | |||||
무룡산 송신소 | CH 49 | CH 56 | 5kW | CH 28 | CH 40 | 2.5kW | 울산 북구 화봉동 산1-3 | |
미포 중계소 | colspan=3 rowspan=10| | CH 42 | CH 44 | 20W | 울산 동구 동부동 산190 봉대산 | |||
문수산 중계소 | CH 26 | CH 25 | 90W | 울산 울주군 범서읍 천상리 산153 | ||||
덕신 중계소 | CH 35 | CH 36 | 10W | 울산 울주군 온양읍 동상리 산69 | ||||
연화산 중계소 | CH 20 | CH 37 | 90W | 울산 울주군 두동면 은편리 산51-3 | ||||
언양 중계소 | CH 19 | CH 38 | 20W | 울산 울주군 삼남읍 교동리 산90 | ||||
웅상 중계소 | CH 36 | CH 46 | 20W | 경남 양산시 소주동 산171 |
- 1TV의 식별 신호(호출 부호)는 HLQB-DTV이다.
- 가상채널은 9-1이다.
송신소 | 물리 채널 | 공중선 전력 | ||
---|---|---|---|---|
제1 텔레비전 | 제2 텔레비전 | EBS 텔레비전 | ||
무룡산 | K-28ch | K-40ch | K-48ch | 2.5kW |
오포 | K-42ch | K-44ch | K-46ch | 20W |
문수산 | K-26ch | K-25ch | K-51ch | 90W |
덕신 | K-35ch | K-36ch | K-38ch | 10W |
연화산 | K-20ch | K-37ch | K-50ch | 90W |
언양 | K-19ch | K-38ch | K-43ch | 20W |
웅상 | K-36ch | K-46ch | K-50ch | 20W |
3. 1. 2. 아날로그 TV
- 1TV
- * 호출부호: HLQB-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
1TV | 2TV | |||
무룡산 송신소 | CH 5 | CH 27 | 2kW / 10kW | 울산 북구 화봉동 산1-3 |
미포 중계소 | CH 13 | CH 46 | 10W / 100W | 울산 동구 동부동 산190 봉대산 |
은월 중계소 | CH 10 | CH 54 | 100W | 울산 남구 신정1동 산107-2 은월봉 |
덕신 중계소 | CH 47 | CH 49 | 10W | 울산 울주군 온양읍 동상리 산69 |
언양 중계소 | CH 35 | CH 37 | 100W | 울산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산90 |
웅상 중계소 | CH 57 | CH 53 | 100W | 경남 양산시 소주동 산171 |
3. 2. 라디오
KBS울산방송국은 KBS 제1라디오와 KBS울산FM(KBS울산음악FM) 등 2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제1라디오는 AM 채널(1449kHz)과 표준FM 채널(90.7MHz)로, KBS울산FM은 FM 채널(101.9MHz)로 송출된다.구분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 부호 |
---|---|---|---|---|
제1라디오 | 울산 송신소 | AM 1449 kHz | 10 kW | HLQB |
제1라디오 | 무룡산 송신소 | FM 90.7 MHz | 1 kW | HLQB-SFM |
KBS울산FM | 무룡산 송신소 | FM 101.9 MHz | 3 kW | HLQB-FM |
3. 2. 1. 제1라디오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 부호 | 송신소 위치 | 방송 구역 |
---|---|---|---|---|---|
울산 송신소 | AM 1449 kHz | 10kW | HLQB | 울산광역시 남구 여천동 1224 | 울산광역시 일원 |
무룡산 송신소 | FM 90.7 MHz | 1kW | HLQB-SFM | 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동 산1-3 | 울산광역시 일원, 부산광역시 일부,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 경상북도 경주시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