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 창작동요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창작동요대회는 KBS에서 주최하는 동요 경연 대회로, 1989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1993년까지 5회, 이후 KBS 부산방송총국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 10회, 2004년부터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회의 진행 방식은 노랫말 공모, 작곡 예선을 거쳐 본선 경연을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어른도 참가할 수 있다. 역대 대상 수상곡으로는 《가을 들길》, 《잔디밭에는》, 《노래는 빛이야》, 《세계에 산다》, 《빗방울》, 《숲 속 친구 반달곰》, 《흥부처럼 살아요》, 《나무가족》, 《푸른 바다 돌고래》, 《수수꽃다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누가누가 잘하나
    《누가누가 잘하나》는 KBS에서 동요 공연, 뮤직톡톡 코너, 시상식으로 구성되어 캠벨 에이시아를 비롯한 진행자들이 이끄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결방과 편성 변경을 거치며 방송되고 있으며, 으뜸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동요 대회와 연관되어 어린이 음악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방송공사의 어린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매직키드 마수리
    2002년부터 2004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매직키드 마수리》는 마법사 가족과 인간 세계 친구들, 마녀회 등의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마법과 인간 세상의 이야기를 다룬 어린이 드라마이자 애니메이션이다.
  • 한국의 동요 - 새야새야 파랑새야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로, 파랑새, 녹두꽃 등의 상징적 표현을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과 억압, 희망과 절망을 은유적으로 보여주는 어린이 동요이며, 녹두밭에 앉지 말라는 경고와 파랑새의 비행을 촉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의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동요 - 서덕출 창작동요제
    서덕출 창작동요제는 울산광역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창작 동요 경연대회로, 대상 수상곡을 포함한 역대 수상곡 정보가 기록되며, 심사를 통해 다양한 수상작을 선정한다.
KBS 창작동요대회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역사

KBS가 주최하는 《KBS 창작동요대회》는 MBC 창작동요제와는 다르게 먼저 노랫말 심사를 한 후 곡을 붙여 예선을 치르고 본선 진출자를 가려낸다. 최종 결선은 원래 1924년 반달이 탄생한 시기와 비슷한 날에 녹화, 방영되었으나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새 학기 에, 2016년부터는 어린이날에 맞춰 방영되고 있다.

초창기에는 나이와 직업에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부산에서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여 명맥을 이어갔으며, 2004년부터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다. 2013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고,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다.[1] 2021년 대회는 무관객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중창팀 인원은 4명 이하로 제한되었다.[1]

KBS 창작동요대회를 통해 《팽이치기》, 《그림 그리고 싶은 날》, 《노래는 빛이야》, 《푸른바다 돌고래》, 《수수꽃다리》, 《꿈이 크는 책가방》, 《'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해님사랑》, 《어린왕자에게》, 《달팽이의 하루》 등 많은 곡들이 교과서에 실리거나 널리 알려졌다.

2. 1. 서울 개최 시기 (1989~1993)

이현정(부산 동성국민학교 6학년)


2. 2. 부산 개최 시기 (1994~2003)

KBS 부산방송총국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 KBS 창작동요대회의 명맥을 이어 10년 동안 대회를 개최했다. 이는 현재 KBS 창작동요대회(서울 2기)가 부활하는 데 가교 역할을 했다. 주요 수상곡으로는 대상곡인 《가을 들길》, 《잔디밭에는》, 《노래는 빛이야》, 《세계에 산다》, 《빗방울》, 《숲 속 친구 반달곰》, 《흥부처럼 살아요》, 《푸른바다 돌고래》, 《수수꽃다리》와, 《아빠 약속해줘요》, 《초가삼간》, 《독도 잠자리》, 《우리 그렇게 살자》, 《자전거를 타고》, 《연》 등이 있다.

KBS 부산창작동요대회 역대 대상 수상곡
연도곡명작사작곡비고
1994년가을 들길심상윤박영주제6회
1995년잔디밭에는선용백현주제7회
1996년노래는 빛이야윤일광김정철제8회
1997년세계에 산다문인귀서지혜제9회
1998년빗방울김종영신상춘제10회
1999년숲속 친구 반달곰김원겸조원경제11회
2000년흥부처럼 살아요김혜자이지영제12회
2001년나무가족박수진김애경제13회
2002년푸른바다 돌고래김원겸신진수제14회
2003년수수꽃다리김원겸최영순제15회


2. 3. 서울 재개최 시기 (2004~현재)

1989년부터 1993년까지는 서울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부산에서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열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다.[1] 2013년에는 KBS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지 않았다.[1]

2004년 KBS 창작동요대회는 '창작동요 80년 KBS 창작동요대회'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다.[2] 이 대회부터는 먼저 노랫말 공모 방식으로 심사를 거친 뒤, 작곡 예선을 거쳐 본선을 경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또한,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성인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시상 내역도 금·은·동상에서 “작곡 최우수상”, “노랫말 최우수상” 등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KBS 창작동요대회 서울 재개최 연도별 주요 변경 사항
연도주요 변경 사항
2004년노랫말 공모 후 작곡, 초등학생 및 성인 참가 가능, 시상 부문 변경 (작곡/노랫말 최우수상 등)
2006년작사 최우수상, 인기상 추가
2014년2월에 녹화하여 3월에 방영
2015년3월 3일에 방영, 자랑스러운 동요인상 시상 시작
2016년어린이날에 맞춰 방영, 자랑스러운 동요인상 시상
2020년코로나19로 인해 취소
2021년언택트(무관객) 방식, 중창팀 인원 4명 이하로 제한



2006년 제18회 대회에서는 '틀려도 괜찮아'라는 곡이 노랫말 수상을 취소당하고 가사가 직권 수정되는 일이 있었다.[2]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다.[1] 2021년 대회는 언택트(무관객) 방식으로 개최되었으며, 중창팀 인원도 4명 이하로 제한하였다.[1]

KBS 창작동요대회 역대 대상 수상곡 (2004년 ~ 현재)
연도곡명작사작곡가창자
2004년꿈이 크는 책가방김종영손정우신재은(서울 대곡초 4)
2005년"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 주세요곽진영강수현예동 중창단
2006년해님사랑안혜자류정식꿈을 따는 아이들
2007년어린왕자에게박경진조경찬성민호(서울 창일초 6)
2008년달팽이의 하루조원경김진성장주희(울산 삼신초 6)
2009년아낌없이 주는 나무이수영김미은주세은(경북 경주 동천초 6)
2010년내 손은 바람을 그려요박윤희정보형최여완(경기 안산 시곡초 6)
2011년된장 한 숟가락최재혁최재혁태양의 아이들(키즈 솔라레)
2012년기지개이수영김세은음악 친구들
2014년가을이 오는 소리이근호이근호김우주(경기 수원 소화초 5), 박소연(경기 수원 신성초 4)
2015년꼭 안아줄래요한경아윤학준장유나(경기 남양주 도농초 4), 이은우(서울 자곡초 3)
2016년내 마음의 수채화김과형서옥선박명인(서울 태강삼육초 6)
2017년서로의 별이 되어오서영오희섭이채은, 이승리
2018년나의 정원황지효김영경김다은
2019년마라톤배은영김정녀현음 중창단
2021년노래하는 친구들박진영박진영꿈이 크는 아이들
2022년하쿠나 마타타최형심박수연러브 엔젤스(경남 양산)
2023년뻥뻥 뻥튀기황지안[8]김영경위드 엔젤스
2024년내 시간 어디 갔어도희주이호석소리별아이들


2. 4. 지역별 창작동요대회 (1994~2000년대 초)

KBS가 1993년에 예산 및 제작비 문제로 노래는 내친구를 폐지하면서 초창기 KBS 창작동요대회(서울 1기)도 같은 해 제5회 대회를 끝으로 가족동요 창작경연대회, KBS 대학가요축제와 함께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다. 이후 KBS의 각 지역 총국(부산, 대구, 대전)에서 지역별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였다.

대회명주최개최 기간비고
KBS 부산 창작동요대회KBS 부산1994년(제1회) ~ 2003년(제10회)1998년(제5회)부터 전국 방송, 2004년부터 서울에서 KBS 창작동요대회 명맥 유지
KBS 대구 국악창작동요대회KBS 대구1994년(제1회) ~ 2002년(제9회)2003년 폐지
대전일보 창작동요제대전일보, KBS 대전 공동1994년(제1회) ~ 2000년(제7회)[1]2001년 폐지, 2004년 대전일보는 TJB와 공동으로 제8회~제10회 대회 개최, 2007년부터 KBS 대전방송총국이 금산 창작동요제 개최[2]


3. 진행 방식

KBS가 주최하는 《KBS 창작동요대회》는 MBC 창작동요제와 다르게, 먼저 노랫말 심사를 한 후 곡을 붙여 예선을 치르고 본선 진출자를 가린다. 최종 결선은 원래 1924년 반달이 탄생한 시기와 비슷한 날에 녹화 및 방영되었으나,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새 학기 에, 2016년부터는 어린이날에 맞춰 방영되고 있다.[1] 1989년부터 1993년까지는 서울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부산에서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열었으며, 2004년부터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다.[2] 2013년에는 KBS 창작동요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1]

초창기 《KBS 창작동요대회》는 《MBC 창작동요제》와 달리 나이와 직업에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1] 1994년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거쳐 2004년 서울에서 다시 개최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지역별로 대회를 개최하는 동안 좋은 곡들이 많이 발굴되었다.[1]

2004년 대회부터는 새로운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노랫말 공모 심사를 거친 뒤, 작곡 예선을 거쳐 본선 경연을 한다. 또한 초등학생과 어른 모두 참가할 수 있으며, 시상 내역도 금·은·동상에서 “작곡 최우수상”, “노랫말 최우수상” 등으로 변경되었다.[2]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다. 2021년 대회는 비대면(무관객) 방식으로 개최되었으며, 중창팀 인원은 4명 이하로 제한하였다.[1]

4. 역대 대상 수상곡

양유나, 전희주, 조호인, 이다운, 홍진영, 송다원, 성민호, 조하윤, 장은비노랫말 최우수상, 대상2006해님사랑안혜자류정식꿈을 따는 아이들
김정현, 이보현, 전화영, 서수민대상2007어린왕자에게박경진조경찬성민호(서울 창일초 6)대상2008달팽이의 하루조원경김진성장주희(울산 삼신초 6)대상2009아낌없이 주는 나무이수영김미은주세은(경북 경주 동천초 6)대상2010내 손은 바람을 그려요박윤희정보형최여완(경기 안산 시곡초 6)대상2011된장 한 숟가락최재혁최재혁태양의 아이들(키즈 솔라레)
최유정, 권수현, 황경아, 황경윤, 진수빈, 김현진, 이수진, 이민서, 홍지윤대상2012기지개이수영김세은음악 친구들
안정호, 박준희, 이자민, 원나경, 김성주, 이태경, 이태규, 이대효, 안소은대상, 노랫말 최우수상2014가을이 오는 소리이근호이근호김우주(경기 수원 소화초 5)
박소연(경기 수원 신성초 4)대상2015꼭 안아줄래요한경아윤학준장유나(경기 남양주 도농초 4)
이은우(서울 자곡초 3)대상2016내 마음의 수채화김과형서옥선박명인(서울 태강삼육초 6)대상, 노랫말 최우수상2017서로의 별이 되어오서영오희섭이채은, 이승리대상2018나의 정원황지효김영경김다은대상2019마라톤배은영김정녀현음 중창단대상2021노래하는 친구들박진영박진영꿈이 크는 아이들
김이레(경기 용인 대청초 2)
이지민
김예호(경기 용인 대청초 5)
황수빈(경기 용인 대현초 2)대상2022하쿠나 마타타최형심박수연러브 엔젤스(경남 양산)
이서빈(성산초 6) · 정가온, 조준희(증산초 6) · 김민정(신주초 5) ·
박규림(상북초 5) · 배규민(증산초 5) · 윤다은(황산초 5) · 임연주(북정초 5)대상2023뻥뻥 뻥튀기황지안[8]김영경위드 엔젤스
강단아 · 김주안 · 김태이 · 김하은 · 박시우 · 윤세아 · 이도헌 · 이서현 · 전수현대상2024내 시간 어디 갔어도희주이호석소리별아이들
김소희·김지우·반서현·변예론·손연서·이은아대상


5. 특징 및 의의

KBS 창작동요대회는 어린이들의 마음속에 꿈과 아름다움을 심어주고, 순수하고 참신한 창작 동요를 발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초창기에는 MBC 창작동요제와 달리 나이와 직업에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1]

1989년부터 1993년까지는 서울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부산에서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개최했다. 2004년부터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대회를 개최하면서 좋은 곡들이 많이 발굴되었다.[1]

2004년 대회부터는 노랫말 공모 후 작곡 예선을 거쳐 본선을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어른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고, 시상 내역도 금, 은, 동상에서 작곡 최우수상, 노랫말 최우수상 등으로 바뀌었다.[2]

KBS 창작동요대회를 통해 《팽이치기》, 《그림 그리고 싶은 날》, 《노래는 빛이야》, 《푸른 바다 돌고래》, 《수수꽃다리》, 《꿈이 크는 책가방》, 《'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해님사랑》, 《어린왕자에게》, 《달팽이의 하루》 등 많은 곡이 교과서에 실리거나 널리 알려졌다.[1]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고, 2021년에는 무관객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중창팀 인원도 4명 이하로 제한되었다.[1]

6. 기타

KBS가 주최하는 《KBS 창작동요대회》는 MBC 창작동요제와는 다르게 먼저 노랫말 심사를 한 후 곡을 붙여 예선을 치르고 본선 진출자를 가려낸다. 최종 결선은 원래 1924년에 반달이 탄생한 시기와 비슷한 날에 녹화, 방영되었으나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새 학기 에, 2016년부터 현재까지 어린이날에 맞춰 방영되고 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는 서울에서,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부산에서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열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서울에서 개최되고 있다. 2013년에는 KBS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지 않았다.[1] 원래 가을에 녹화하여 방영된 KBS 창작동요대회는 이후 2014년부터 학년 말인 2월에 녹화한 후 3월 새 학기 에 방영되고 있다.[1]

어린이들의 마음 속에 꿈과 아름다움을 심어 주고, 순수하고 참신한 창작 동요를 발굴한다는 취지에 맞게 동요 대회를 통해 순수함을 잃지 않는 아름다운 노랫말과 참신한 선율의 창작 동요들을 많이 길러 내었다.[1] 초창기 《KBS 창작동요대회》는 《MBC 창작동요제》와는 달리 나이와 직업을 불문하고 출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1994년 KBS 부산창작동요대회를 거친 후 2004년 서울에서 다시 개최하여 지금까지 명맥을 이어받았다.[1] 지역별로 연례로 개최하는 동안 좋은 곡이 많이 발굴되었다.[1] 대표적인 곡으로는 제1회에서 부른 《팽이치기》를 비롯, 《그림 그리고 싶은날》, 《노래는 빛이야》, 《푸른바다 돌고래》, 《수수꽃다리》, 《꿈이크는 책가방》, 《'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해님사랑》, 《어린왕자에게》, 《달팽이의 하루》 등이 교과서에 실리거나 널리 알려졌다.[1]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되었다.[1] 2021년 대회는 언텍트(무관객) 방식으로 개최되었으며, 중창팀 인원은 4명 이하로 제한하였다.[1]

7. 유명 참가자

참조

[1] 일반
[2] 일반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일반
[10] 일반
[1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