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E 플랫폼 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DE 플랫폼 4는 KDE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및 기술 모음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통신,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KDE 플라스마 워크스페이스, KHTML, KIO, Phonon, Solid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KParts 프레임워크는 KDE 플라스마 데스크톱 환경을 위한 컴포넌트 프레임워크이며, KDELibs는 KDE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핵심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DE 플랫폼 - KDE 네온
KDE 네온은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KDE Plasma 데스크탑 환경과 KDE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개발 버전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 KDE 플랫폼 - KIO
- KDE 소프트웨어 - KDE 네온
KDE 네온은 우분투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KDE Plasma 데스크탑 환경과 KDE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개발 버전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 KDE 소프트웨어 - KDE 플라스마 4
KDE 플라스마 4는 KDE에서 개발한 데스크톱 환경으로, 다양한 장치 지원, 데이터 엔진과 시각화 분리를 통한 개발 효율성 증대, 위젯 사용자 정의 기능 강화, 다목적 도구인 KRunner 통합, 그리고 다양한 작업 공간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 컴퓨팅 플랫폼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컴퓨팅 플랫폼 - 자바 플랫폼, 마이크로 에디션
자바 ME는 임베디드 및 모바일 장치에서 자바 앱을 실행하는 플랫폼으로, 피처폰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프로파일과 에뮬레이터, 개발 도구를 제공하고 JSR을 통해 기능이 확장된다.
KDE 플랫폼 4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KDE 플랫폼 4 | |
개발 | KDE |
배포일 | 2008년 1월 11일 |
중단 | 예 |
프로그래밍 언어 | C++ |
장르 | 시스템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
라이선스 | GNU LGPL |
2. 기술
KDE는 사용자에게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핵심 기술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서비스
- NEPOMUK
- KNewStuff
- Policykit-KDE
- 통신
- 아코나디
- 게임
- 글루온
- KGGZ
- 기타
- 스레드위버 –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10]
- 키오스크 – KDE의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더 통제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함
- 크로스
- KConfig XT
- ownCloud[10]
- WebDAV
2. 1. 사용자 인터페이스
- 플라스마 - 데스크톱 및 패널 위젯 엔진
- KHTML – HTML 렌더링 엔진
- KIO – 확장 가능한 네트워크 투명 파일 접근
- KParts – 가벼운 인 프로세스 그래픽 컴포넌트 프레임워크
- 소네트 – 맞춤법 검사기
- XMLGUI – XML 파일을 통해 메뉴 및 툴바와 같은 UI 요소 정의 허용
- 고야
2. 2. 하드웨어 및 멀티미디어
2. 3. 서비스
- NEPOMUK
- KNewStuff
- Policykit-KDE
2. 4. 통신
아코나디[10]2. 5. 게임
KDE는 게임 개발 및 실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2. 6. 기타
- 스레드위버 –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다.[10]
- 키오스크 – KDE의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더 통제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한다.
- 크로스
- KConfig XT
- ownCloud[10]
- WebDAV
2. 7. KDE 플랫폼 4로 대체된 기술
KDE 플랫폼 4에서는 이전 버전에 비해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새롭게 대체되었다.
KParts는 KDE 플라스마 데스크톱 환경을 위한 컴포넌트 프레임워크이다. 개개의 컴포넌트는 KPart라고 한다. KParts는 GNOME의 Bonobo 컴포넌트 및 Microsoft의 Component Object Model의 ActiveX 컨트롤과 유사하다. Konsole은 KPart로 사용할 수 있으며, Konqueror 및 Kate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3. KParts
KParts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4. Solid
Solid는 KDE 플랫폼 4 및 후속 제품인 KDE Frameworks를 위한 장치 통합 프레임워크이다.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하는 대신, 단일 API를 통해 기존 솔루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솔루션은 udev, NetworkManager, BlueZ를 사용한다. Solid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매우 유연하고 이식성이 뛰어나다.[4][5]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를 기반으로 하는 KDE의 윈도우 포트를 위한 Solid 백엔드를 구축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6]
5. 라이브러리
KDELibs 패키지는 KDE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핵심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며, 다음 라이브러리들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 | 설명 |
---|---|
libkdecore | KDE 코어 및 네트워크 클래스 |
libkdeui | KDE 사용자 인터페이스 클래스 |
libkabc | KDE 주소록 클래스 |
libknewstuff | KDE 새 기능 클래스 |
libkspell2 | KDE 맞춤법 검사 클래스 |
libkutils | KDE 유틸리티 클래스 |
6. 프레임워크
KDELibs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주요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다.
- DCOP: 데스크톱 통신 프로토콜
- KIO: KDE 입출력 서브시스템
- KParts: KDE 파트 임베딩 프레임워크
- KHTML: KDE HTML 엔진
- kimgio: KDE 확장 가능한 이미지 로딩 프레임워크
- KJS: KDE JavaScript 엔진
- KDEPrint: KDE 인쇄 서브시스템
- Kross: 인터프리터에 독립적인 방법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스크립트를 추가할 수 있다.
- KWallet: KDE 지갑 메커니즘
- Phonon: KDE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 Solid: KDE 하드웨어 감지 및 관리 클래스
- ThreadWeaver: 작업 기반 멀티스레드 라이브러리
7. Hello World 예제
cpp-qt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 (int argc, char *argv[])
{
KAboutData aboutData(
"tutorial1", //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 이름
0, // 메시지 카탈로그 이름, null이면 프로그램 이름이 대신 사용됨
ki18n("Tutorial 1"), //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 이름 문자열
"1.0", // 프로그램 버전 문자열
ki18n("Displays a KMessageBox popup"), // 앱이 하는 일에 대한 간략한 설명
KAboutData::License_GPL, // 이 코드가 배포되는 라이선스
ki18n("Copyright (c) 2007"), // 저작권 문구
ki18n("Some text..."), // 정보 상자에 표시되는 선택적 텍스트 (원하는 정보 포함 가능)
"http://example.com/", // 프로그램 홈페이지 문자열
"submit@bugs.kde.org"); // 버그 보고 이메일 주소
KCmdLineArgs::init(argc, argv, &aboutData);
KApplication app;
KGuiItem yesButton(i18n("Hello"), QString(),
i18n("This is a tooltip"),
i18n("This is a WhatsThis help text."));
KMessageBox::questionYesNo(0, i18n("Hello World"),
i18n("Hello"), yesButton);
return 0;
}
참조
[1]
웹사이트
KDE 4.0 Release Announcement
http://kde.org/annou[...]
2008-01-11
[2]
웹사이트
The KDE development platform
http://www.kde.org/d[...]
2010-11-26
[3]
웹사이트
Development/Languages
http://techbase.kde.[...]
2010-12-04
[4]
문서
K Desktop Environment - KDE 4.0 Released
http://www.kde.org/a[...]
[5]
웹사이트
UPower, UDev and UDisks Support, Metadata Backup
http://kde.org/annou[...]
2011-07-28
[6]
웹사이트
KDE Commit Digest issue 107
http://commit-digest[...]
2010-10-16
[7]
웹인용
KDE 4.0 Release Announcement
http://kde.org/annou[...]
[8]
웹인용
The KDE development platform
http://www.kde.org/d[...]
2010-11-26
[9]
웹인용
Development/Languages
http://techbase.kde.[...]
2010-12-04
[10]
문서
http://owncloud.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