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NC는 생의학 연구를 위해 설계된 초기 개인용 컴퓨터 중 하나이다. LINC는 마이크로 LINC, LINC-8, PDP-12 등의 파생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PDP-8을 기반으로 상용화된 LINC-8은 LINC 기능을 에뮬레이션했다. PDP-12는 LINC 아키텍처를 계승한 마지막 기종이다.
LINC는 2048개의 12비트 워드 메모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12비트 누산기, 1비트 링크 레지스터를 사용했다. 명령어 집합은 과학 기기 또는 맞춤형 실험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쉽도록 설계되었으며, 전용 키보드, 점 주소 지정 CRT 디스플레이, 텔레프린터를 갖추고 있었다. LINC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LINCtape로, 고정 크기 블록으로 포맷된 자기 테이프를 사용한 파일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DEC에서 개발한 PDP-11 기반의 실험실용 컴퓨터인 MINC-11은 LINC를 의식하여 명명되었지만, 구조적으로 유사하거나 호환되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비트 컴퓨터 - PDP-8
PDP-8은 1965년 DEC에서 출시된 12비트 미니컴퓨터로, 30만 대 이상 판매되었으며, 단순한 설계와 저렴한 가격으로 컴퓨터 대중화에 기여했다. - 트랜지스터 컴퓨터 - PDP-1
PDP-1은 DEC에서 개발한 초기 미니컴퓨터로, TX-0 컴퓨터 설계를 기반으로 해커 문화 형성에 기여하고 스페이스워! 같은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역할을 했으며, 현재 일부가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시연되고 있다. - 트랜지스터 컴퓨터 - PDP-8
PDP-8은 1965년 DEC에서 출시된 12비트 미니컴퓨터로, 30만 대 이상 판매되었으며, 단순한 설계와 저렴한 가격으로 컴퓨터 대중화에 기여했다. - DEC의 하드웨어 - PDP-11
PDP-11은 DEC에서 1970년에 발표한 16비트 미니컴퓨터 제품군으로, 혁신적인 아키텍처, 직교 명령어 집합, 메모리 맵 I/O, 인터럽트 처리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 미니컴퓨터이다. - DEC의 하드웨어 - 프로그램 데이터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 프로세서(PDP)는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에서 개발한 다양한 모델의 컴퓨터 시리즈로, 각 모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미니컴퓨터 혁명을 이끌고 컴퓨터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LINC | |
---|---|
개요 | |
![]() | |
종류 | 미니컴퓨터 |
개발 | MIT 링컨 연구소 |
제조사 | DEC, Spear Inc. |
출시일 | 1962년 3월 |
가격 | 43,600 미국 달러 (1962년) |
기술 사양 | |
플랫폼 | DEC 12비트 |
디스플레이 | 2개의 오실로스코프 디스플레이 |
입력 장치 | 놉스, 키보드 |
후속 기종 | |
후속 기종 | PDP-5, LINC-8, PDP-12 |
2. 역사
고든 벨은 저서에서[7] LINC 설계를 통해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의 PDP-4와 PDP-5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한다. DEC는 PDP-8을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0] 이후 DEC는 LINC와의 호환성을 더한 LINC-8을 개발하고,[28] TTL화된 PDP-8/I를 기반으로 LINC를 재설계하여 결합한 '''PDP-12'''를 개발했다.[29] DEC의 마지막 12비트 랩 머신인 LAB-8/E는 LINC 명령어 세트를 통합하지 않았다.
2. 1. LINC-8과 PDP-12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은 LINC를 상용화하고, PDP-8과 결합한 LINC-8을 출시했다. LINC-8은 PDP-8의 프로그램(PROGOFOP)을 통해 LINC 기능을 에뮬레이션했다.[20] PDP-12는 LINC와 PDP-8/I를 통합한 모델로, LINC의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고 안정성을 높였다.[20] PDP-12는 LINC 아키텍처를 계승한 마지막 기종으로, LINC 명령어 세트를 통합했다.[29]LINC-8은 PDP-8과 LINC를 결합한 것이다. PDP-8 쪽의 PROGOFOP(PROGram OF OPeration)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느리게) 작동되었다. '''PDP-12'''는 LINC의 후계 기종이자 가장 널리 사용된 마지막 기종이다. 여러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기본적으로 LINC와 PDP-8을 억지로 결합한 아키텍처였다. 예를 들어, LINC에는 오버플로우 비트가 있으며, 이는 아키텍처상 중요하지만, PDP-12에서는 PDP-8 쪽의 인터럽트 시에 이 오버플로우 비트를 저장/복원하는 기능이 없었다.[28]

3. 아키텍처
LINC는 초기 컴퓨터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이 현대 컴퓨터와는 상당히 다르다. 산술 연산에는 1의 보수를 사용했고, "플러스 0"과 "마이너스 0"에 대한 표현이 있었다. 초기 LINC는 각 명령어에 8 마이크로초가 필요했으며, 8진법 표기법을 사용했다.[9]
3. 1. 메모리
LINC는 2048개의 12비트 워드 메모리를 가지며, 두 부분으로 나뉜다.[1] 프로그램 실행에는 처음 1024 워드만 사용할 수 있었고, 메모리의 두 번째 부분은 데이터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3. 2. 레지스터
LINC는 12비트 누산기와 1비트 링크 레지스터, 6비트 릴레이 레지스터를 가졌다.[1] 프로그램 메모리의 처음 16개 위치는 특별한 기능을 가졌다. 위치 0은 단일 레벨의 서브루틴 호출을 지원하며, 모든 점프 명령에서 반환 주소로 자동 업데이트되었다. 다음 15개 위치는 어드레싱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인덱스 레지스터로 사용될 수 있었다. 6비트 릴레이 레지스터는 외부 기기를 위해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8]이후 확장 정밀도 산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2비트 Z 레지스터가 추가되었으며, 인터럽트는 위치 21(8진수)에서 실행을 강제하도록 제공되었다.
3. 3. 명령어 집합
LINC의 명령어 집합은 과학 기기 및 실험 장비와의 쉬운 연동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8진법 표기법을 사용한다.[9]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기타 클래스: 주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정지, 누산기 지우기, 릴레이 레지스터와의 데이터 교환, 누산기 보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시프트 클래스: 주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누산기와 링크 비트에 대해 왼쪽/오른쪽 회전, 오른쪽 스케일(부호 비트 복제) 등의 연산을 수행한다.
- 전체 주소 클래스: 2단어 명령어로, 두 번째 단어에 12비트 즉시 주소를 제공한다. 더하기, 저장 및 누산기 지우기, 점프 등의 명령어가 있으며, 메모리의 처음 1024 단어만 접근 가능하다.
- 건너뛰기 클래스: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다음 명령어를 건너뛴다. 외부 로직 라인, 키 입력, 감지 스위치, 누산기 상태, 링크 비트, 인터블록 영역, Z 레지스터 비트, 오버플로, 인터럽트 일시 중지 등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인덱스 클래스: 두 번째 단어를 즉시 피연산자, 피연산자 주소, 또는 피연산자 주소를 가진 레지스터(01~15) 중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주소는 증가한다. 누산기에 로드/더하기, 메모리에 누산기 더하기, 곱하기(22비트 부호 있는 곱 생성), 같으면/다르면 건너뛰기, 비트 조작(지우기, 설정, 보수) 등의 명령어가 있다. 또한, 내장 CRT 디스플레이에 비트맵을 표시하는 명령어들도 포함된다.
- 하프 워드 클래스: 단어의 상위 또는 하위 6비트에 대해 작동한다. 하프 로드, 하프 저장, 하프가 다르면 건너뛰기 등의 명령어가 있다.
- 설정: 임의의 메모리 위치에서 위치 1~15 중 하나로 데이터를 이동한다.
- 샘플: 16개의 8비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중 하나를 읽고 부호 있는 값을 누산기에 배치한다. 처음 8개 채널은 제어판 노브에 할당되어 사용자와 프로그램 간의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 디스플레이: 지정된 위치에 CRT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픽셀을 그린다. 선택적으로 레지스터를 인덱싱할 수 있다.
- 인덱스 및 건너뛰기: 메모리 위치 1~15 중 하나에 1을 더하고 10비트 오버플로가 발생하면 건너뛴다.
- 작동 클래스: 입/출력 작업에 사용된다. 14개의 출력 라인 중 하나에 비트 설정, 키보드 읽기, 왼쪽/오른쪽 스위치 뱅크 읽기 등의 명령어가 있다.
- 테이프 클래스: 테이프 위치 지정, 읽기/쓰기, 메모리와 비교 등의 연산을 수행한다.
3. 4. 입출력 장치
LINC는 전용 키보드를 갖추고 있었으며, 연결된 점 주소 지정 CRT에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었다. 인쇄 출력을 위해 텔레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었다.[1] 소로반 엔지니어링(Soroban Engineering)에서 제조한 LINC 키보드는 독특한 잠금 솔레노이드를 가지고 있었다. 각 키 내부에는 문자를 인코딩하는 일련의 막대와 작동 슬롯, 그리고 잠금 막대를 잡는 슬롯이 있어, 잠금 솔레노이드의 한 번의 기계적 움직임으로 모든 키를 잠글 수 있었다. 사용자가 키를 누르면 눌린 키는 아래쪽 위치에서 잠기고, 다른 모든 키는 위쪽 위치에서 잠겼다.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키보드를 읽으면 잠금이 해제되고, 눌린 키가 다시 위로 튀어 올랐다. 이는 타이핑 속도를 늦추고 2키 롤오버를 방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었다. 이 독특한 키보드는 LINC-8 및 PDP-12 후속 컴퓨터에서 모델 35 KSR 및 모델 37 KSR과 같은 텔레타이프 키보드로 대체되었다.
LINC 하드웨어는 12비트 워드를 4열 6행 픽셀 매트릭스로 화면에 빠르고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최소한의 전용 하드웨어로 깜박임 없는 텍스트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었다. 표준 디스플레이 루틴은 4x6 문자 셀을 생성하여 LINC에 지금까지 설계된 문자 집합 중 가장 조잡한 문자 집합 중 하나를 제공했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약 5인치 정사각형의 CRT로, 특수 플러그인 증폭기가 장착된 표준 Tektronix 오실로스코프였다. CRT는 매우 긴 지속성을 가진 흰색 또는 노란색 형광체를 사용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점별로 그려진 선과 곡선이 프로그래밍된 그리기 루프 전체에서 표시될 수 있었다. 화면의 한 위치에 점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타이트한 루프는 1분 이내에 섬세한 형광체에 영구적인 어두운 구멍을 낼 수 있었다.[1]
전신타자기 모델 33 ASR의 인쇄 출력은 단극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었다. 서브루틴은 LINC 문자 코드를 ASCII로 변환하고 타이밍 루프를 사용하여 릴레이를 켜고 끄면서 전신타자기 프린터를 제어하기 위한 올바른 8비트 출력을 생성했다.[1]
LINC 커넥터 모듈에는 실험 설비에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플러그인 섀시 2개를 위한 베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컴퓨터에 내장되었으며 각 변환기는 단일 기계 명령어로 접근할 수 있었다. 또한 6개의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었다.[8]
3. 5. 제어판
LINC 제어판은 프로그램을 한 단계씩 실행하고 디버깅하는 데 사용되었다. 프로그램 카운터가 스위치 세트와 일치하면 실행을 중단할 수 있었다. 또 다른 기능은 특정 주소에 접근했을 때 실행을 중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한 단계씩 실행 및 재개 기능은 자동으로 반복될 수 있었다. 반복 속도는 아날로그 노브와 4단계 십진 스위치를 사용하여 초당 약 한 단계에서 최대 속도의 절반까지 4자릿수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었다. 초당 한 단계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점차적으로 최대 속도로 가속화하면 컴퓨터의 속도를 경험하고 이해하는 데 매우 극적인 방법이었다.
LINC는 8개의 3회전 가변 저항기(0-7번)를 포함했으며, 각 저항기는 컴퓨터 명령어로 읽을 수 있었다. 다이얼 박스는 마우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전 시대에 편리한 사용자 입력 장치였다. 예를 들어, 한 손잡이는 표시된 그래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고, 다른 손잡이는 특정 지점의 실제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커서로 사용될 수 있었다.
아날로그 노브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의 그래프 표시 확대/축소, 디스플레이에서의 커서 이동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졌다.
4. LINCtape
LINC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LINCtape였다. LINCtape는 선택적인 주변 장치가 아닌 기계 설계의 근본적인 부분이었으며, 기계의 운영 체제가 LINCtape에 의존했다. LINCtape는 느린 탐색 시간을 가진 선형 플로피 디스크와 비교할 수 있다. LINCtape는 약 400K를 저장하는 작고 민첩한 장치로, 고정된 형식 트랙을 통해 데이터를 동일한 위치에 반복적으로 읽고 다시 쓸 수 있었으며,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스풀하는 데 1분 미만이 걸렸다. 테이프는 고정 크기 블록으로 포맷되었으며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단일 하드웨어 명령으로 한 번의 작업으로 여러 테이프 블록을 검색한 다음 읽거나 쓸 수 있었다.
파일 이름은 6자였다. 파일 시스템은 동일한 이름으로 소스 파일과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파일의 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로는 확장자가 "S" 또는 "B"로 제한된 6.1 파일 이름이었다. 기본 LINC에는 코어 메모리(RAM) 1024개의 12비트 워드만 있었고, 확장된 LINC에도 2048개만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작업은 LINCtape 간의 스와핑에 크게 의존했다.
LINCtape는 이를 대체한 플로피 디스크보다 신뢰성이 높았던 것으로도 기억된다. LINCtape는 매우 간단한 형태의 중복성을 통합했는데, 모든 데이터가 테이프의 두 위치에 복제되었다. LINC 사용자는 일반 사무용 종이 펀치로 테이프에 구멍을 뚫어 이를 시연했다. 이런 식으로 손상된 테이프도 완벽하게 읽을 수 있었다. 형식 트랙은 테이프 속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했고, 실제 테이프 속도는 상당히 가변적이었다. 캡스턴은 없었다. 읽기 및 쓰기 중 테이프의 움직임은 릴 모터에 의해 직접 제어되었다. 빨리 감기나 되감기는 없었고, 읽기 및 쓰기는 빨리 감기 및 되감기 속도로 수행되었다. 일부 작동 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은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었고, 매우 특징적인 일련의 거친 새소리와 다양한 피치를 만들어냈다.
5. MINC-11
DEC에서 제작한 PDP-11의 한 버전인 MINC-11은 휴대용 카트에 담겨 아날로그 입출력 등 여러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설계 실험실 I/O 모듈을 장착할 수 있었다. MINC BASIC은 실험실 I/O 모듈에 대한 통합 지원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30] MINC는 "Modular Instrument Computer" 또는 "Multi-Instrument Computer"의 약자로, LINC를 의식하여 명명되었지만, 16비트 기기인 MINC-11은 LINC와 구조적으로 유사하거나 호환되지 않으며, 아키텍처상으로도 전혀 관계가 없다.[30]
6. 한국에서의 활용
LINC와 그 후속 모델(LINC-8, PDP-12)은 한국의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LINC와 같은 과학 기술 도구의 도입과 활용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LINC는 과학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LINC의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는 과학자들이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문 지식 없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aboratory Instrument Computer (LINC)
https://history.nih.[...]
[2]
간행물
The Missing LINC
BYTE magazine
1982-04
[3]
간행물
The LINC was early and small
https://www.digibarn[...]
ACM
[4]
문서
presentations at The Computer Museum, Marlborough, in the hands of its successor, The Computer History Museum
[5]
서적
Biomedical Computing: Digitizing Life in the United Stat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논문
Computer-Controlled Instrument System for Sequential Clinical Chemical Testing. I. Instrumentation and System Features
[7]
서적
Computer Engineering a DEC View of Hardware Systems Designs
https://bitsavers.or[...]
Digital Press
[8]
서적
Programming the LINC Second Edition
https://bitsavers.or[...]
Computer Systems Laboratory, Washington University
[9]
웹사이트
The LINC: An Early "Personal Computer"
https://www.drdobbs.[...]
[10]
특허
Bidirectional Retrieval of Magnetically Recorded Data
1968-06-04
[11]
뉴스
Fraud Ruled in 1968 DEC Tape Patent
https://books.google[...]
Computerworld
1978-05-01
[12]
판결문
Memorandum of Decision
http://www.ecases.us[...]
1980-04-02
[13]
판결문
Court ruling
https://law.justia.c[...]
1981-06-12
[14]
서적
washingtonUniversity :: linc :: Programming the LINC Second Edition Jan69
https://archive.org/[...]
1969-01
[15]
서적
Datamation
https://books.google[...]
Cahners Publishing Company
1968
[16]
서적
Medical Instrumentation
https://books.google[...]
1974
[17]
웹사이트
Laboratory INstrument Computer from FOLDOC
https://foldoc.org/L[...]
2019-03-03
[18]
웹사이트
Digibarn Stories: LINC-1986 Conf. Proc on History of the Personal Workstation - "The LINC was Early and Small"
https://www.digibarn[...]
1986
[19]
논문
across the editor's desk: COMPUTING AND DATA PROCESSING NEWSLETTER - INTEGRATED CIRCUIT VERSION OF LINC COMPUTER
https://archive.org/[...]
1965-09
[20]
웹사이트
PDP-12
https://gordonbell.a[...]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1997-08-18
[21]
간행물
The Missing LINC
BYTE magazine
1982-04
[22]
간행물
The Charles Babbage Institute Newsletter
The Institute
[23]
웹사이트
Digital Computer Museum Catalog
http://ed-thelen.org[...]
2010-05-06
[24]
간행물
The LINC was early and small
ACM
[25]
문서
presentations at The Computer Museum, Marlborough, in the hands of its successor, The Computer History Museum
[26]
논문
Computer-Controlled Instrument System for Sequential Clinical Chemical Testing. I. Instrumentation and System Features
1973-10
[27]
서적
Computer Engineering a DEC View of Hardware Systems Designs
Digital Press
[28]
웹사이트
LINC-8
http://research.micr[...]
[29]
웹사이트
PDP-12
http://research.micr[...]
[30]
웹사이트
Digital MINC-11
http://www.binarydin[...]
[31]
웹인용
Laboratory Instrument Computer (LINC)
https://web.archive.[...]
2020-03-22
[32]
간행물
The Missing LINC
BYTE magazine
1982-04
[33]
콘퍼런스인용
The LINC was early and small
http://www.digibarn.[...]
AC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