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ive MCMXCII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ve MCMXCIII는 1993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재결합 공연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이다. 1992년 말 재결합한 루 리드, 존 케일, 스털링 모리슨, 모린 터커는 프랑스 파리 올림피아 공연장에서 3일간의 공연을 녹음하여 앨범을 제작했다. 앨범에는 밴드의 대표곡과 함께 신곡 "Velvet Nursery Rhyme"과 "Coyote"가 수록되었다. 앨범 발매 후 멤버 간의 불화로 밴드는 해체되었으며, 앨범은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라이브 음반 - Live at Donington
    Live at Donington은 1993년에 발매된 아이언 메이든의 라이브 앨범으로, 밴드의 대표곡들을 담고 있으며 아르헨티나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1993년 라이브 음반 -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
    《Images and Words: Live in Tokyo》는 드림 시어터가 1992년 앨범 발매 후 월드 투어 중 일본 도쿄 공연 실황을 담아 1993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팬들의 열렬한 환대에 감동받아 발매를 결정했으며 대표곡 라이브 버전과 투어 에피소드를 담아 평론가와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Live MCMXCIII - [음악]에 관한 문서
앨범 정보
Live MCMXCIII 앨범 커버
Live MCMXCIII 앨범 커버
앨범 종류라이브
아티스트벨벳 언더그라운드
발매일1993년 10월 26일
녹음일1993년 6월 15일–17일
녹음 장소L'Olympia Theater, 파리, 프랑스
길이128분 39초
레이블Sire
프로듀서Mike Rathke
이전 앨범Another View
이전 앨범 발매년도1986년
다음 앨범Peel Slowly and See
다음 앨범 발매년도1995년
싱글 CD 에디션
싱글 CD 에디션 앨범 커버
싱글 CD 에디션 앨범 커버
평가

2. 배경

1992년 말, 루 리드, 존 케일, 스털링 모리슨, 모린 터커로 구성된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1965–1968년 핵심 멤버들이 갑작스럽게 재결합을 결정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리드와 케일의 관계는 좋지 않았으나, 1980년대 중반 음반 로열티 재협상 이후 개선되었다. 하지만 1990년의 협업 앨범 ''Songs for Drella'' 이후 다시 악화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은 예상 밖의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해 늦은 시기 프랑스 주이앙조자에서 열린 앤디 워홀 전시회를 위해 즉흥적으로 한 곡의 재결합 공연이 이루어졌고, 1993년에는 밴드가 월드 투어를 위한 리허설을 시작했다. 당시 루 리드의 음반 회사인 사이렌 레코드는 유럽 투어에서 라이브 앨범을 발매하기로 동의했고, MTV 언플러그드 출연과 관련 앨범, 그리고 후속 스튜디오 앨범에 대한 계획도 세워졌다.

이 앨범은 파리 올림피아 공연장에서 3일 동안의 공연을 녹음하여 제작되었다. 밴드는 또한 두 곡의 새로운 노래를 연주했는데, 하나는 리드가 밴드 멤버들을 소개하는 짧은 재치 있는 재결합 테마곡인 "Velvet Nursery Rhyme"이고, 다른 하나는 리드와 케일의 협업 곡인 "Coyote"이다. 밴드의 첫 세 앨범과 "잃어버린 네 번째 앨범"(''VU'' 및 ''Another View'' 참조)에 중점을 두었으며, ''Loaded'' 앨범에서는 단 두 곡만 연주되었다. 6주간의 유럽 투어 동안 관계는 빠르게 악화되었고, 투어 말에는 다른 모든 계획이 무산되어 다시 실현되지 못했다. 밴드의 마지막 해체는 스털링 모리슨이 1995년 여름에 사망하면서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3]

3. 녹음 및 발매

이 앨범은 파리 올림피아 공연장에서 3일 동안의 공연을 녹음하여 제작되었다. 존 케일은 "둘째 날에 홈런을 쳤다"라고 말했다.[3] ''Live MCMXCIII''는 밴드의 백 카탈로그에 있는 대부분의 클래식 곡들을 담고 있으며, 밴드의 가장 구조적인 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밴드는 또한 두 곡의 새로운 노래를 연주했는데, 하나는 리드가 밴드 멤버들을 소개하는 짧은 재치 있는 재결합 테마곡인 "Velvet Nursery Rhyme"이고, 다른 하나는 리드와 케일의 협업 곡인 "Coyote"이다. 밴드의 첫 세 앨범과 "잃어버린 네 번째 앨범"(''VU'' 및 ''Another View'' 참조)에 중점을 두었으며, ''Loaded'' 앨범에서는 단 두 곡만 연주되었다. 앨범 발매 후, 케일은 앨범의 믹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실망감을 나타냈다. "문제는 우리가 이 라이브 앨범으로 밴드의 실제 사운드를 보여줄 기회를 가졌지만, 그것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투어에서 나온 부트렉 중 일부는 잘 녹음된 앨범보다 밴드의 사운드에 대한 진실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왜냐하면 잘 녹음된 앨범은 음악 믹싱에서 공연장의 분위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항상 밀어붙였던 것입니다. 우리는 이 소리로 방을 가득 채우고 싶었습니다. 불행히도 믹싱에서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만큼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습니다."[3]

4. 곡 목록

《Live MCMXCIII》는 더블 CD 에디션과 싱글 CD 에디션으로 발매되었다. 더블 CD 에디션은 23곡, 싱글 CD 에디션은 10곡을 수록하고 있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든 곡은 루 리드가 작사했다.

4. 1. 더블 CD 에디션

《Live MCMXCIII》는 더블 CD 에디션으로도 발매되었으며, 두 장의 디스크에 총 23곡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곡은 대부분 루 리드가 작사했다.

4. 1. 1. 디스크 1

번호제목작사·작곡길이
1"We're Gonna Have a Real Good Time Together"루 리드3:14
2"비너스 인 퍼스"루 리드5:19
3"Guess I'm Falling in Love"루 리드, 존 케일, 스털링 모리슨, 모 터커3:08
4"애프터 아워스"루 리드2:41
5"올 투모로우즈 파티스"루 리드6:36
6"Some Kinda Love"루 리드9:06
7"아윌 비 유어 미러"루 리드3:06
8"Beginning to See the Light"루 리드4:59
9"더 기프트"루 리드, 존 케일, 스털링 모리슨, 모 터커10:33
10"아이 허드 허 콜 마이 네임"루 리드4:37
11"팜므 파탈"루 리드3:23


4. 1. 2. 디스크 2

제목작사/작곡길이
"Hey Mr. Rain"루 리드, 존 케일, 모 터커, 스털링 모리슨15:42
스위트 제인루 리드5:21
"Velvet Nursery Rhyme"루 리드, 존 케일, 모 터커, 스털링 모리슨1:31
화이트 라이트/화이트 히트루 리드4:21
"I'm Sticking with You"루 리드3:23
더 블랙 엔젤스 데스 송루 리드, 존 케일4:12
록 앤 롤루 리드6:13
"I Can't Stand It"루 리드4:21
아임 웨이팅 포 더 맨루 리드5:15
헤로인루 리드9:59
페일 블루 아이즈루 리드6:14
"Coyote"루 리드, 존 케일5:25


4. 2. 싱글 CD 에디션

트랙제목길이작곡가
1"Venus in Furs"5:30루 리드
2"Sweet Jane"5:23루 리드
3"Afterhours"2:44루 리드
4"All Tomorrow's Parties"6:37루 리드
5"Some Kinda Love"9:08루 리드
6"The Gift"10:34루 리드, 존 케일, 모린 터커, 스터링 모리슨
7"Rock n Roll"6:12루 리드
8"I'm Waiting for the Man"5:16루 리드
9"Heroin"9:50루 리드
10"Pale Blue Eyes"6:18루 리드


5. 참여

참여역할
루 리드기타, 보컬
존 케일베이스 기타, 키보드, 비올라, 보컬
모린 터커드럼, 보컬
스터링 모리슨기타, 베이스 기타



기술역할
마이크 라트케프로듀서, 믹싱
로저 무테노엔지니어, 믹싱
찰리 도스 산토스보조 엔지니어
실비아 리드아트 디렉션, 디자인
스펜서 드레이트아트 디렉션, 디자인
데니스 아시엔조추가 디자인
쥐크타 살라베츠추가 디자인
테드 친사진
밥 루드비히마스터링
브라이언 K. 리편집
빌 페르티그하우스 믹서
닉 데이비스유로사운드 모바일 4 엔지니어
피터 브란트유로사운드 모바일 4 보조 엔지니어
헹크 판 헬보르트피터 브란트 보조
브람 드 그로트피터 브란트 보조


6. 평가

《Live MCMXCIII》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주류 록 언론은 이 앨범을 비평적으로 칭찬했으며, 이는 밴드 홍보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4] Allmusic은 더블 CD 버전에 5점 만점에 2점을, 싱글 CD 버전에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다.[4]

참조

[1] AllMusic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hn Cale http://www.rocknroll[...] 1995-04
[4] 올뮤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