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6 소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6 소총은 1964년 미국 공군이 채택한 아말라이트 AR-15를 제식 명칭으로 부르는 돌격 소총이다. 베트남 전쟁에서 M14 소총을 대체하며 미군의 주력 소총이 되었으며, 5.56 × 45 mm NATO탄을 사용한다. M16은 가볍고 반동이 적으며, 정확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지만, 가스 직동식 작동 방식의 특성상 신뢰성 문제와 잦은 청소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M16A1, M16A2, M16A4 등 다양한 파생형이 있으며, 현재는 M4 카빈과 같은 다른 소총으로 대체되거나, 특수 부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의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무기 - 바주카
바주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에서 개발된 어깨에 메고 쏘는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다양한 모델과 구경의 로켓탄을 사용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한계를 보인 후 M67 무반동총 등으로 대체되었지만 2020년까지도 사용되었다. - 베트남 전쟁의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무기 - 브렌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과 영연방 국가 군대에서 널리 사용된, 체코슬로바키아의 ZB vz. 26 경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브르노와 엔필드의 앞 글자를 딴 이름으로 명명된, 신뢰성과 전투 효과가 뛰어난 경기관총이다. - 아말라이트 소총 - SR-25
SR-25는 AR-10 설계를 기반으로 유진 스타이너가 설계한 7.62x51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반자동 저격소총으로,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파생형, 특수부대 운용으로 알려져 있지만, 볼트액션 저격총 대비 정확도 및 유지보수 문제가 있다. - 아말라이트 소총 - 콜트 AR-15
콜트 AR-15는 아말라이트 AR-15의 민간용 반자동 버전으로, 콜트사가 1964년부터 생산하는 소총이며, 여러 총기 난사 사건에 사용되어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고 미국 내 각 주의 법률에 따라 합법성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 미국의 소총 - 콜트 AR-15
콜트 AR-15는 아말라이트 AR-15의 민간용 반자동 버전으로, 콜트사가 1964년부터 생산하는 소총이며, 여러 총기 난사 사건에 사용되어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고 미국 내 각 주의 법률에 따라 합법성이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 미국의 소총 - 윈체스터 라이플
윈체스터 라이플은 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사에서 제조한 레버 액션 소총으로, 모델 1873은 서부 개척 시대를 상징하며, 브라우닝이 설계한 모델들은 기술 발전을 보여주지만, 볼트액션 소총 등장 후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며 수집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M16 소총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소총, 구경 5.56 mm, M16 |
종류 | 돌격소총 |
원산지 | 미국 |
사용 기간 | 1964년–현재 |
사용 국가 | 미국 영국 대한민국 프랑스 캐나다 |
전쟁 |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북아일랜드 분쟁 |
설계 및 제조 | |
설계자 | 유진 스토너 (AR-10) L. 제임스 설리번 (AR-15) |
설계 년도 | 1959년 |
제조사 | 콜트 제조 회사 대우정밀 엘리스코 FN 헤르스탈 제너럴 모터스 (하이드라매틱 사업부) 해링턴 & 리처드슨 레밍턴 미국 병기 |
생산 년도 | 1963년 11월–현재 |
생산 수량 | 약 800만 정 |
제원 | |
파생형 | 콜트 AR-15 및 M16 소총 파생형 목록 참고 |
무게 | 빈 총: 2.89 kg (M16A1) 3.4 kg (M16A2, 탄창 및 슬링 제외) 3.4 kg (M16A4) 4 kg (M16A4, 탄창 30발 및 슬링 포함) |
길이 | 986 mm (M16A1) 1,002 mm (M16A2) 999 mm (M16A3) 999 mm (M16A4) |
총열 길이 | 508 mm |
탄약 | 5.56×45mm NATO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폐쇄 회전 노리쇠 스토너 확장 가스 |
발사 속도 | 분당 700–800발 (M16A1) 분당 700–900발 (M16A2, M16A3) 분당 800발 (M16A4) |
탄속 | 975 m/s (M16A1) 875 m/s (M16A2) 945 m/s (M16A3) 960 m/s (M855A1탄) |
유효 사거리 | 460 m (M16A1) 550 m (점 목표) 800 m (영역 목표) |
최대 사거리 | 3,600 m |
급탄 방식 | STANAG 탄창 20발 탈착식 상자형 탄창 30발 탈착식 상자형 탄창 40발 탈착식 상자형 탄창 60발 탈착식 상자형 탄창 베타 C-Mag 100발 드럼 탄창 |
조준 장치 | 가늠쇠 후방: 조리개, L형 플립 전방: 날개 보호 포스트 다양한 조준 광학 장비 |
2. 역사
1964년 미국 공군은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M16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채택했고, 베트남 전쟁 중 미국 육군은 노리쇠 전진기를 추가하고 약간 개량한 XM16E1, M16A1을 채용했다. M16은 .223 레밍턴탄을 사용하여 7.62 × 51 mm NATO탄을 사용하는 M14 소총보다 반동이 적고,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적합하여 M14 소총을 대체하게 되었다. 그러나 초기 M16은 콜트 사의 과장 광고와 달리 잦은 작동 불량과 부식 문제에 직면했다. 이는 크롬 도금된 M16A1 보급 및 주기적인 총기 관리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1970년 3월, 미국은 모든 NATO군이 5.56 × 45 mm NATO탄을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 1980년 10월, 벨기에의 SS109탄이 NATO 표준(STANAG 4172)으로 채택되었다. SS109탄은 미국의 M193탄보다 관통력이 향상되었지만, 파편화될 가능성이 적어 더 인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NATO 부속 레일 STANAG 4694 또는 피카티니 레일 STANAG 2324는 M16 유형 소총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장착 플랫폼이다. 이 레일을 통해 조준경, 전술 조명, 레이저 조준 모듈 등 다양한 부속품을 장착할 수 있다. 현재 M16은 NATO 15개국과 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사용 중이다.
2. 1. 개발 배경
1964년 미국 공군은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M16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채택했고, 베트남 전쟁 중 미국 육군은 노리쇠 전진기를 추가하고 약간의 개량을 가한 XM16E1, M16A1을 채용했다.베트남 전쟁 초기, M14 소총이 주력 소총이었으나, 7.62 × 51 mm NATO탄을 사용하는 M14 소총은 긴 길이와 강한 반동으로 인해 베트남의 정글전에 적합하지 않았고, 헬리콥터 및 장갑차를 이용한 기계화보병용으로도 문제가 많았다. 반면, 위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223 레밍턴탄을 사용하는 M16 소총은 짧은 길이와 적은 반동으로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적합하여 M14 소총을 대체하게 되었다.
미국 육군에서는 개머리판 등 철 이외의 부품을 목재로 만든 M14 소총을 전통 소총으로 우대했지만, M16 소총은 철 이외의 부품이 플라스틱이라 어린이용 장난감 취급을 받으며 외면받았다. 미국 공군에서 기지 방어용으로 사용하다가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M14 소총이 도태되고 M16 소총이 미국 육군 제식 화기로 채택되었다.
M16 채용에는 실전 부대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당시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와 지지부진하던 특수 목적 개인 화기(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 SPIW) 계획의 영향도 컸다.[30] 맥나마라 장관은 SPIW 계획이 곧 성공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M14의 문제점을 해결할 대안으로 이미 공군이 채용한 M16의 채용을 지시했다.
맥나마라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M16이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될 주력 제식 소총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SPIW 계획이 성공할 때까지만 M14와 SPIW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 정도로만 생각했다.[30]
베트남 전쟁 기간 중 M16은 호평을 받았고 수요는 늘었지만, SPIW는 지지부진했고 결국 실패했다. 미군은 M16을 주력 제식 소총으로 삼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콜트 사는 M16 소총의 신뢰성을 부풀려 청소할 필요가 없다고 홍보했다. 병사들은 청소 도구를 지급받지 못했고, 총기 청소 교육도 받지 못했다. 초기에 보급된 탄약에 쓰인 화약은 AR-15 개발 당시 사용했던 Improved Military Rifle (IMR) 화약이 아닌 구형 화약(ball powder)이었고, 불순물이 많은 저급 화약이었다. 이로 인해 가스 직동식인 M16은 많은 작동 불량을 일으켰다. 또한 초기 M16 및 XM16E1은 총열과 약실에 크롬 도금이 안 되어 부식 문제가 있었다. 신뢰성 문제는 크롬 도금된 M16A1 보급 및 주기적이고 철저한 손질을 통해 해결되었다. 현재는 M4 카빈, M4A1 등으로 대체되고 M16은 후방부대, 미해병대 등에서만 쓰인다. 미해병대는 M16A4를 제식소총으로 사용한다.
2. 2. 채택 과정
1964년 미국 공군은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M16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채용하였다. 베트남 전쟁 중 미국 육군은 노리쇠 전진기를 추가하고 약간의 개량을 가한 XM16E1, M16A1을 채용하였다.[30]베트남 전쟁 초기 M14 소총이 주력 소총이었으나, 7.62 × 51 mm NATO탄을 사용하는 M14 소총은 긴 길이와 강한 반동으로 인해 베트남 정글전에 부적합했다. 또한 헬리콥터 및 장갑차를 이용한 기계화보병용으로도 문제가 많았다. 반면 위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223 레밍턴을 사용하는 M16 소총은 짧은 길이와 적은 반동으로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적합하여 M14 소총을 대체했다.
미국 육군은 개머리판 등 철 이외 부품을 목재로 만든 M14 소총을 전통 소총으로 우대했다. 반면 M16 소총은 철 이외 부품이 플라스틱이라 어린이용 장난감 취급을 받으며 외면받았다. 미국 공군에서 기지 방어용으로 사용하다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M14 소총이 도태되고 M16 소총을 미국 육군 제식 화기로 채택했다.
M16 채용에는 실전부대 문제점뿐만 아니라 당시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와 지지부진하던 특수 목적 개인 화기(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 SPIW) 계획의 영향도 있었다. 민간 기업가 출신 맥나마라 장관은 당시 진행 중이던 SPIW가 곧 성공할 것이라 생각했다.[30]
SPIW 계획은 OICW 계획에 비견될 만한 프로젝트로 1960년대 초 진행되던 차세대 개인화기 개발 프로젝트였다. M14는 구시대 무기로서 가격도 비쌌다. 맥나마라는 SPIW 계획 성공을 전제 하에 M14 문제점 대안으로 이미 공군이 채용한 M16 채용을 지시했다. 전군 장비 공통화 방침에도 위배되지 않았다.
맥나마라 등 많은 사람들은 M16이 오랜 기간 사용될 주력 제식 소총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SPIW 계획이 성공으로 마무리될 때까지만 현대전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은 M14와 SPIW 중간에서 징검다리 역할 정도로만 생각했다.[30]
베트남 전쟁 기간 중 M16은 호평을 받았고 수요는 늘었지만 SPIW는 지지부진했고 결국 실패했다. 미군은 M16을 주력 제식 소총으로 삼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 M16 보급 당시, 콜트 사는 M16 소총 신뢰성을 부풀려 청소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병사들은 청소 도구를 지급받지 못했고 M16 소총 총기청소도 교육받지 못했다. 초기 보급된 탄약에 쓰인 화약은 AR-15 개발 당시 사용했던 Improved Military Rifle (IMR) 화약이 아닌 구형 화약(ball powder)일 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많은 저급 화약이었다. 가스 직동식인 M16은 많은 작동 불량을 일으켰다. 초기 보급된 M16 및 XM16E1은 총열과 약실에 크롬 도금이 안 되어 부식 문제가 있었다. 신뢰성 문제는 크롬 도금된 M16A1 보급 및 주기적이고 철저한 손질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현재는 M4 카빈, M4A1등으로 대체되고 M16은 후방부대, 미해병대 등에서만 쓰인다. 미해병대는 M16A4를 제식소총으로 사용한다.
2. 3. 초기 문제점 및 개선
1964년 미국 공군이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M16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채용했고, 베트남 전쟁 중 미국 육군은 노리쇠 전진기를 추가하고 약간 개량한 XM16E1, M16A1을 채용했다.베트남 전쟁 초기에는 M14 소총이 주력 소총이었으나, 7.62 × 51 mm NATO 탄을 사용하는 M14 소총은 긴 길이와 강한 반동으로 베트남의 정글전에 적합하지 않았고, 헬리콥터 및 장갑차를 이용한 기계화보병용으로도 문제가 많았다. 반면, 위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223 레밍턴을 사용하는 M16은 짧은 길이와 적은 반동으로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적합하여 M14를 대체하게 되었다.
M16 채용에는 당시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와 지지부진하던 특수 목적 개인 화기(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 SPIW) 계획의 영향도 컸다. 맥나마라는 SPIW 계획이 곧 성공할 것이라는 전제 하에 M14의 문제점을 해결할 대안으로 M16 채용을 지시했다.[30] 많은 사람들은 M16이 오랜 기간 사용될 주력 소총이 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고, SPIW 계획이 성공할 때까지만 징검다리 역할 정도로만 생각했다.[30]
베트남 전쟁 기간 중 M16은 호평을 받았지만, SPIW는 실패로 끝났다. 결국 미군은 M16을 주력 제식 소총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M16은 초기 신뢰성 문제에 직면했다. 콜트 사는 M16 소총의 신뢰성을 과장하여 청소할 필요가 없다고 홍보했고, 병사들은 청소 도구를 지급받지 못하고 총기 청소 교육도 받지 못했다. 초기에 보급된 탄약에는 구형 화약(ball powder)이 사용되었고, 불순물이 많은 저급 화약이었다. 이로 인해 가스 직동식인 M16은 잦은 작동 불량을 일으켰다. 또한 초기 M16 및 XM16E1은 총열과 약실에 크롬 도금이 안 되어 부식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신뢰성 문제는 크롬 도금된 M16A1 보급 및 주기적이고 철저한 총기 관리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XM16E1, M16A1은 베트남 전쟁 중 보고된 M16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리쇠 전진기를 추가하고 몇몇 개량을 가했다.[33]
M16A2는 5.56 × 45 mm NATO (FN SS109, 미군 제식 명칭 M855)탄 사용을 위해 7인치에 1회전하는 강선을 채택하고, 총열도 두꺼워졌다. 새로운 탄약 채용으로 유효 사거리가 90m가량 향상되었다. 총열덮개는 원형으로 바뀌었고, 개머리판도 튼튼하게 바뀌었다. M16A2는 완전자동 모드 대신 3점사 모드가 있는데, 이는 탄약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지만, 근거리 화력 부족, 장거리 불필요, 불확실한 이론 등 비판이 많았다. 이 때문에 특수부대에서는 완전자동 모드가 있는 M4A1이나 M16A3를 사용한다.
미 육군 보고서 “M16A2 소총 특성 분석과 권고되는 개선사항들”[34]에는 M16A2의 여러 문제점들이 분석되어 있다. M16A2는 M16A1과 비교해 정확도, 총열 수명, 무게, 부품 수, 3점사 모드 등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3. 특징
M16 소총은 1964년 미국 공군이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채택하면서 등장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미국 육군도 노리쇠 전진기 등을 추가한 개량형(XM16E1, M16A1)을 도입했다.
초기에는 M14 소총이 주력이었으나, 7.62 × 51 mm NATO 탄을 사용하는 M14는 베트남 정글 환경과 기계화보병 운용에 부적합했다. 반면, .223 레밍턴 탄을 사용하는 M16은 짧은 길이와 적은 반동으로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유리하여 M14를 대체하게 되었다.
M16 채용 과정에는 미국 육군 내 전통적 M14 소총 선호,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거부감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의 (SPIW) 계획 추진과 맞물려 M16이 전군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 맥나마라 장관은 SPIW 계획이 성공할 때까지 M16을 임시 징검다리로 생각했으나, SPIW 계획은 실패했고 M16은 현재까지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콜트 사는 M16의 신뢰성을 과장하여 청소가 불필요하다고 홍보했으나, 실제로는 화약 문제, 총열 및 약실 부식 등으로 잦은 작동 불량을 일으켰다. 이후 크롬 도금, 주기적 총기 손질 등을 통해 신뢰성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M16A3는 FN사가 개발한 M16A2의 변형으로, 3점사 대신 완전 자동 모드를 지원한다. 미해병대는 외관상 큰 변화가 없다며 채택하지 않았지만, 네이비씰 등 일부 부대에서 소수 사용 중이다. M16A4는 M16A2를 바탕으로 개량된 모델로, 레일 시스템과 분리형 운반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미해병대 제식소총이며, 미육군에서도 일부 사용되다가 M4A1으로 대체되었다.
M16 소총은 가스 직동식 작동 방식과 개머리판 내 완충 스프링 덕분에 반동이 적고 정확도가 높다. 그러나 가스 직동식 특성상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며, 먼지에 민감하다는 단점도 있다.[35][36]
M16A4와 M4는 레일 시스템 도입으로 다양한 부가 장비 장착이 가능해졌다. M16A1은 K2 소총과 함께 한국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M16 소총은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여 경량화를 달성했지만, 내구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초기 모델은 강선 문제로 정확도에 영향을 받았으나, 이후 개선된 강선을 채택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1970년 미국은 모든 NATO군이 5.56×45mm탄을 채택할 것을 권고했다.[1] 1980년 10월에는 벨기에의 5.56×45mm SS109탄이 NATO 표준(STANAG 4172)으로 선택되었다.[2]
STANAG 4179는 NATO 회원국 간 소총 탄약과 탄창 공유를 위한 표준화 협정 초안이었으나, 최종 승인되지는 않았다.[3]
현재 M16은 NATO 15개국과 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사용 중이다.
콜트 모델 번호 | 군용 명칭 | 총열 (총검 수납부 포함) | 핸드가드 종류 | 개머리판 종류 | 피스톨 그립 종류 | 하부 수신기 종류 | 상부 수신기 종류 | 뒷 조준기 종류 | 앞 조준기 종류 | 소염기 | 전방 보조장치 | 방아쇠 작동 방식 |
---|---|---|---|---|---|---|---|---|---|---|---|---|
601 | AR-15 (1963년 12월 3일 M16으로 지정) | A1 프로필 (1:14 비틀림) | 녹색 또는 갈색 전장 삼각형 | 녹색 또는 갈색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덕빌 플래시 서프레서 | 아니오 | 세이프/세미/오토 |
602 | AR-15 (1963년 12월 3일 M16으로 지정 - XM16은 없었음) | A1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덕빌 또는 삼발이 플래시 서프레서 | 아니오 | 세이프/세미/오토 |
603 | XM16E1 (표준화와 함께 1967년 2월 M16A1로 명칭 변경) | A1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삼발이 또는 M16A1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
603 | M16A1 | A1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삼발이 또는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
604 | M16 | A1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삼발이 또는 M16A1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아니오 | 세이프/세미/오토 |
645 | M16A1E1/PIP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 고정식 A2 | A1 | A1 또는 A2 | A1 또는 A2 | A1 또는 A2 | A2 | M16A1 또는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또는 세이프/세미/버스트 |
645 | M16A2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 고정식 A2 | A2 | A2 | A2 | A2 | A2 |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버스트 또는 세이프/세미/버스트/오토 |
708 | M16A2 개량형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 고정식 A2 | A2 | A2 | A2 | A2 | A2 |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버스트/오토 |
645E | M16A2E1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 고정식 A2 | A2 | A2 | 콜트 레일이 장착된 플랫탑 | 플립업 | 접이식 |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버스트 또는 세이프/세미/버스트/오토 |
N/A | M16A2E2 | A2 프로필 (1:7 비틀림) | 반 비버테일 및 HEL 가이드가 장착된 전장 | 후퇴식 ACR | ACR | A2 | 콜트 레일이 장착된 플랫탑 | 없음 | A2 | ACR 머즐 브레이크 | 예 | 세이프/세미/버스트 또는 세이프/세미/버스트/오토 |
646 | M16A3 (M16A2E3)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 고정식 A2 | A2 | A2 | A2 | A2 | A2 |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
655 | M16A1 특수 고프로필 | HBAR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A1 | A1 | A1 | M16A1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
656 | M16A1 특수 로우 프로필 | HBAR 프로필 (1:12 비틀림) | 전장 삼각형 | 고정식 A1 | A1 | A1 | 수정된 위버 베이스가 장착된 A1 | 로우 프로필 A1 | 후드형 A1 | M16A1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
945 | M16A4 (M16A2E4) | A2 프로필 (1:7 비틀림) | 전장 리브드 또는 KAC M5 RAS | 고정식 A2/M4 접이식 개머리판 | A2 | A2 | MIL-STD-1913 레일이 장착된 플랫탑 | 없음 | A4 | M16A2 스타일 버드케이지 플래시 서프레서 | 예 | 세이프/세미/오토 (RO901) 또는 세이프/세미/버스트 (RO905) |
3. 1. 작동 방식
M16 소총은 가스압 작동 방식(흔히 다이렉트 임핀지먼트 방식이라고 불리지만, 스토너 고유의 가스압 직접 이용 방식)을 사용한다. 총열 상부에 부착된 가느다란 스테인리스 가스 튜브를 통해 발사 가스가 볼트 캐리어로 전달된다. 이 가스는 볼트 캐리어 내부의 가스 챔버에서 팽창하며, 이 압력으로 볼트 캐리어가 후퇴한다.[1] 볼트에는 8개의 로킹 래그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다.[2]초기 M16 소총은 4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14인치당 1회전) 총열을 사용했으나, 이후 모델들은 정확도 향상을 위해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12인치당 1회전) 총열을 채택했다. M16A2와 현재 모델은 더 무거운 NATO SS109 실탄과 L110 추적탄 사격에 최적화된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7인치당 1회전) 총열을 사용한다.[3]
M16은 "직선형" 반동 설계를 사용하여 반동을 줄이고 조준 안정성을 높였다. 반동 스프링은 개머리판에 위치하며, 작동 스프링과 반동 완충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4] 개머리판이 총열과 일직선상에 있어 자동 사격 시에도 총구 앙등이 적고, 반동이 조준점을 크게 벗어나지 않아 빠른 연사가 가능하다. 또한, 소염기는 반동을 더욱 줄여주는 보정기 역할도 한다.[5]
다음은 M16의 자유 반동에 대한 표이다.
자유 반동은 소총 무게, 탄환 무게, 총구 속도, 장약 무게를 사용하여 계산되며, 소총이 줄에 매달려 자유롭게 반동하도록 발사될 때 측정되는 값이다.[6]
M16은 AR-10 소총을 기반으로 소구경화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많은 특징을 계승한다.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초기에는 No.6061, 1968년부터 No.7075)을 사용하고, 표면에는 양극산화 처리와 파커라이징 가공을 했다. 총열, 볼트, 볼트 캐리어 등은 강철로 제작되었으며, 개머리판, 핸드가드, 손잡이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
개머리판 내부에는 작동 시 후퇴하는 볼트 캐리어 후부, 버퍼링 스프링을 수납하기 위한 리코일 스프링 가이드(리코일 버퍼)가 있다. 이 때문에 M16 소총은 접이식 개머리판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M16A1부터는 개머리판 내부에 청소 도구 수납 공간이 마련되었다.[2]
초기에는 총열에 크롬 도금을 하지 않아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으나, 1967년부터 약실과 격침에, 1971년부터는 총열에도 크롬 도금이 적용되었다. 반대로 볼트는 초기에는 크롬 도금 처리되었으나, 1967년 이후에는 파커라이징 처리되었다.[2]
thumb
왼쪽이 20발용, 오른쪽이 30발용(단 사진의 30발용은 HK416의 것)]]
M16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안전장치를 SAFE 위치에 놓고, 탄창을 삽입한다.
2. 충전 손잡이를 당겨 볼트 캐리어를 후퇴시키고 해머를 올린다.
3. 손을 놓으면 충전 손잡이와 볼트 캐리어가 전진하며 첫 탄이 장전된다.
4. 탄창이 비어 있을 때는 볼트 캐치가 작동하여 볼트 캐리어가 후퇴된 상태로 유지된다.
5. 탄창 교체 후 볼트 캐치를 누르면 볼트 캐리어가 전진하며 첫 탄이 장전된다.[2]
선택 레버를 통해 SAFE(안전), SEMI(반자동), AUTO(자동) 또는 BURST(3점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2]
배출구의 더스트 커버는 볼트 캐리어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열린다. 과도한 사용으로 볼트가 불완전하게 닫힐 경우, 볼트 전진기를 눌러 볼트를 앞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탄을 모두 발사하면 볼트가 후퇴 위치에서 유지되며, 탄창 멈치를 눌러 탄창을 제거한다.[2]
조준기는 앞(높이 조절)과 뒤(좌우 조절)에서 조정할 수 있다. M16의 L자형 구멍식 조준기는 근거리(0-300m)와 원거리(300-500m)를 선택할 수 있으며, M16A2는 근거리(0-200m)와 원거리(200-800m)를 선택할 수 있다. 미세 조정은 조준기 아래의 조정 다이얼로 가능하다.[2]
겨울철처럼 두꺼운 장갑을 착용할 때는 방아쇠 울 앞쪽의 잠금 버튼을 눌러 방아쇠 울을 아래로 열 수 있다.[2]
개머리판 안에는 청소 도구(청소 막대, 챔버 브러시)가 들어 있다. 일반적인 분해 청소는 챔버에서 탄약을 제거하고 해머를 올린 후, 테이크 다운 핀을 눌러 총을 열고 볼트를 빼낸 후 챔버와 볼트를 청소한다.[2]
3. 2. 경량화
XM16E1에서는 중량 경감과 부식 방지를 위해 수신기를 알루미늄 합금(초기에는 No.6061, 1968년부터 No.7075)으로 제작했고, 표면에는 양극산화 처리와 파커라이징 가공을 실시했다. 그러나 총열, 볼트, 볼트 캐리어 등의 내부 부품은 강철로 만들었다. 또한 개머리판, 핸드가드, 손잡이는 GFRP로 제작했고, 개머리판 내부에는 발포 플라스틱을 채웠다. 구성 부품 수는 약 100개였다.개머리판 내부에는 작동 시 후퇴하는 볼트 캐리어 후부, 버퍼링, 스프링을 수납하기 위한 리코일 스프링 가이드(리코일 버퍼)가 들어있다. 이 때문에 M16의 구조를 계승하는 대부분의 소총은 접이식 개머리판을 채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M16A1부터 개머리판 내부에 청소 도구 수납 공간이 마련되었다.
총열에 크롬 도금을 하면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제안이 있었지만, 초기에는 비용 문제로 채택되지 않았다. 이후 1967년 5월부터 약실과 격침에, 1971년부터는 총열에도 크롬 도금을 적용했다. 반대로 볼트는 초기에는 크롬 도금 처리했지만, 1967년 이후에는 파커라이징 처리를 했다.
3. 3. 반동
M16 소총은 가벼운 반동, 빠른 속도, 평평한 탄도 덕분에 사수가 300미터까지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다.[1] 최신 M16은 새로운 M855탄을 사용하여 유효 사거리를 600미터까지 늘렸다.[2] 또한, 이전 모델보다 더 정확하여 100야드에서 1~3인치의 탄착군을 형성한다.[3]개머리판 내부에는 작동 시 후퇴하는 볼트 캐리어 후부, 버퍼링, 스프링을 수납하기 위한 리코일 스프링 가이드(리코일 버퍼)가 있다. 이 때문에 M16 소총의 구조를 계승하는 대부분의 소총은 접이식 개머리판을 채용할 수 없다.[4]
3. 4. 명중률
초기 M16 소총의 총열은 4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강선(14인치당 1회전(1:355.6mm 또는 64구경))을 채택했는데, 이는 .222 레밍턴 탄약과 같은 강선이었다. 그러나 불리한 조건에서 장거리 사격 시 군용 탄환이 비행 중 요동치는 현상이 발견되어, 이후 M16 모델과 M16A1은 정확도 향상을 위해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12인치당 1회전(1:304.8mm 또는 54.8구경)) 개선된 강선을 채택하여 M193 실탄과 M196 추적탄을 안정적으로 발사하도록 최적화되었다. M16A2와 현재 모델은 더 무거운 NATO SS109 실탄과 긴 L110 추적탄 사격에 최적화되어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7인치당 1회전(1:177.8mm 또는 32구경)) 강선을 사용한다.[1]M193 실탄과 M196 추적탄은 7인치당 1회전(1:177.8mm 또는 32구경) 강선 총열에서도 발사될 수 있지만, NATO SS109 실탄과 L110 추적탄은 12인치당 1회전(1:304.8mm 또는 54.8구경) 강선에서 90m 미만의 거리에서 비상시에만 사용해야 한다. 이 강선은 해당 탄환들을 안정화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2]
민수용 복제품과 같이 M193 또는 SS109 탄환을 모두 안정적으로 발사하도록 설계된 총기는 일반적으로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9인치당 1회전(1:228.6mm 또는 41.1구경) 또는 8인치당 1회전(1:203.2mm 또는 36.5구경)) 총열을 사용하지만, 다른 강선 회전율(예: 1:7인치)도 사용 가능하다.
5.56×45mm탄은 M14 소총에 사용된 7.62×51mm NATO탄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했다. 각 병사가 더 많은 탄약을 휴대할 수 있었고, 자동 사격이나 점사 시 제어가 더 용이했다.[3] 5.56×45mm NATO탄은 또한 고속으로 충돌하여 조직 내에서 회전할 때 파편화되고 에너지가 빠르게 전달되어 심각한 상처를 입힐 수 있다.[4]
M16의 원래 탄약은 55그레인 M193탄이었다. 약 50.80cm 길이 총열에서 최대 100m 범위에서 발사될 때, 얇은 재킷의 납심 탄환은 충분히 빠른 속도(2900ft/s 이상)로 이동하여 인체에 충격을 가하는 힘으로 인해 회전하고 여러 크기의 약 12개의 조각으로 파편화되어, 구경에 비해 과도한 상처를 입혔다.[5] 이러한 상처는 매우 심각하여 많은 사람들이 M16을 비인도적인 무기로 여겼다.[8] 5.56mm탄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편의 수도 감소한다.[10] 5.56mm탄은 일반적으로 200m를 넘는 거리 또는 2500ft/s 이하의 속도에서는 파편화되지 않으며, 치사력은 주로 사격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11]
M16A2의 개발과 함께 1983년 새로운 62그레인 M855탄이 채택되었다. 더 무거운 탄환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었고, 소련의 방탄복을 관통하기 위해 강철 코어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로 인해 충격 시 파편화가 줄어들고 방탄복을 착용하지 않은 표적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여 운동 에너지 전달과 상처 입히는 능력이 모두 감소했다.[12] 일부 병사와 해병대원들은 표적을 확실히 사살하기 위해 치명적인 부위에 세 번 사격해야 하는 훈련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13]
그러나 M855가 단축 총열 M4 카빈(근거리에서도)에서 발사될 때 효과적으로 상처를 입히지 못한다는(즉, 파편화되지 않는다는) 반복적이고 일관된 보고가 있었다.[14] M4의 14.5인치 총열 길이는 총구 속도를 약 2900ft/s로 줄인다.[15] 이러한 상처 입히는 능력의 감소는 육군이 단축 총열 M4로 전환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병대가 20인치 총열을 가진 M16A4를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이며, 5.56×45mm M855는 효과적으로 상처를 입히기 위해 고속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이다.[14]
2003년 미 육군은 5.56×45mm의 치사력 부족이 사실보다 인식의 문제라고 주장했다.[16] 머리와 가슴에 정확하게 사격하면 문제 없이 표적을 제압할 수 있었다.[17] 대부분의 실패는 사지와 같은 비치명적인 부위를 맞혔기 때문이었다.[18] 그러나 소수의 실패는 가슴에 여러 발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19] 2006년 한 연구에 따르면 M4 카빈을 사용하는 병사의 20%가 더 높은 치사력이나 저지력을 원했다.[20] 2010년 6월 미 육군은 새로운 5.56mm 무연 M855A1 향상된 성능 탄을 활동적인 전투 지역에 배송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21] 이 업그레이드는 5.56×45mm 탄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사거리를 연장하며 정확도를 높이고 관통력을 높이며 표준 길이 M16뿐만 아니라 단축 총열 M4 카빈에서도 연조직에서 일관되게 파편화되도록 설계되었다.[21][22] 미 육군은 새로운 M855A1 EPR 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23] 7.62 NATO M80A1 EPR 변형도 개발되었다.[24][25]
3. 5. 조준기
M16 소총의 초기 모델은 4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14인치당 1회전) 강선을 채택했는데, 이는 .222 레밍턴 탄약용 강선과 같았다. 그러나 장거리 사격 시 탄환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M16A1 모델부터는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12인치당 1회전) 개선된 강선을 채택하여 M193 실탄과 M196 추적탄의 안정성을 높였다. M16A2와 현재 모델은 더 무거운 NATO SS109 실탄과 L110 추적탄에 최적화되어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7인치당 1회전) 강선을 사용한다.[1]M193 실탄과 M196 추적탄은 7인치당 1회전 강선 총열에서도 발사 가능하지만, NATO SS109 실탄과 L110 추적탄은 12인치당 1회전 강선에서 90m 미만의 거리에서만 비상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는 해당 강선이 발사체를 충분히 안정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2]
민수용 모델 등 M193과 SS109 발사체를 모두 안정적으로 발사하도록 설계된 무기는 일반적으로 6개의 강선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9인치당 1회전 또는 8인치당 1회전) 총열을 사용하지만, 다른 강선 회전율(예: 7인치당 1회전)도 사용 가능하다.
3. 6. 탄약
5.56 × 45 mm NATO (FN SS109, 미군 제식 명칭 M855, 한국군 제식 명칭 K-100)탄은 M16A2 소총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탄약은 기존 M193탄보다 무거워졌고, 강철제 탄심을 삽입하여 관통 성능을 향상시켰다.[34] 7인치에 1회전하는 강선을 통해 안정적으로 발사되며, 총열 또한 두꺼워져 유효 사거리가 90m가량 향상되었다.[34]그러나 미 육군 보고서에 따르면 M16A2는 탄환에 필요 이상의 회전력을 가하여 500m 이하 거리에서는 M16A1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34] 대부분의 교전이 500m 이하에서 일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과도한 회전력은 총열에 압력을 가하여 수명을 단축시키고, 근거리에서는 탄이 나선형으로 움직여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과안정 현상을 유발한다.[34]
소총 | 구경 | 탄약 | 관통력 | ||||||
---|---|---|---|---|---|---|---|---|---|
탄도젤라틴 @ 10미터 | 사주머니 @ 100미터 | 3/4인치 소나무 판자 @ 100미터 | 콘크리트 벽돌 (중앙 갈비뼈 하나) | 강철 헬멧 | 1.9mm 강철 (14게이지) @ 100미터 | 4mm 강철 (8게이지) + 층 케블라-29 | |||
M16 | 5.56×45mm | M193 | ≈ (탄환 파편 작은 조각으로) | (완전한 탄환 분해) | 8개의 판자 (탄환 회전) | 한쪽에서 200m | 양쪽에서 300m 한쪽에서 500m | 2겹 | 케블라 31겹 |
M16의 원래 탄약은 55그레인 M193탄이었다. 약 50.80cm 길이 총열에서 최대 범위에서 발사될 때, 얇은 재킷의 납심 탄환은 충분히 빠른 속도(2900ft/s 이상)로 이동하여 인체에 충격을 가하는 힘으로 인해 요(yaw, 회전)하고 여러 크기의 약 12개의 조각으로 파편화되어, 구경에 비해 과도한 상처를 입혔다. 5.56mm탄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편의 수도 감소한다. 5.56mm탄은 일반적으로 를 넘는 거리 또는 2500ft/s 이하의 속도에서는 파편화되지 않으며, 치사력은 주로 사격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1983년, M16A2가 개발되면서 새로운 62그레인 M855탄이 채택되었다. 더 무거운 탄환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었고, 소련의 방탄복을 관통하기 위해 강철 코어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로 인해 충격 시 파편화가 줄어들고 방탄복을 착용하지 않은 표적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여 운동 에너지 전달과 상처 입히는 능력이 모두 감소했다.
M855가 단축 총열 M4 카빈(근거리에서도)에서 발사될 때 효과적으로 상처를 입히지 못한다는(즉, 파편화되지 않는다는) 반복적이고 일관된 보고가 있었다. M4의 약 36.83cm 총열 길이는 총구 속도를 약 2900ft/s로 줄인다. 이러한 상처 입히는 능력의 감소는 육군이 단축 총열 M4로 전환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병대가 약 50.80cm 총열을 가진 M16A4를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이며, 5.56×45mm M855는 효과적으로 상처를 입히기 위해 고속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2010년 6월 미 육군은 새로운 5.56mm 무연 M855A1 향상된 성능 탄을 활동적인 전투 지역에 배송하기 시작했다. 이 업그레이드는 5.56×45mm 탄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사거리를 연장하며 정확도를 높이고 관통력을 높이며 표준 길이 M16뿐만 아니라 단축 총열 M4 카빈에서도 연조직에서 일관되게 파편화되도록 설계되었다.
3. 7. 탄창

M16 소총은 M203 및 M320과 같은 40mm 유탄 발사기를 하부에 장착할 수 있다. 두 유탄발사기 모두 이전의 독립형 M79 유탄발사기와 같은 40×46mm LV 유탄을 사용한다. M16에는 KAC 마스터키 또는 M26 모듈식 부속 산탄총 시스템과 같은 12게이지 산탄총도 하부에 장착할 수 있다.
3. 8. 총구 부착물
M16 소총의 총열에는 소염기나 소음기와 같은 소구경 장치를 부착할 수 있도록 1/2-28인치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다.[1] 초기 소염기는 세 개의 갈퀴가 있는 형태였으나, 파손 및 걸림 문제 때문에 M16A1에서 "새장형" 소염기로 변경되었다.[2] M16A2 소염기는 총구 상승을 줄이고 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하단 포트가 막힌 형태로, "A2" 소염기로도 불린다.[3]보텍스 플래시 하이더는 1984년에 개발된 초기 민간 설계 소구경 장치 중 하나로, 미군 M4 카빈과 M16 소총에 사용된다.[4] 콜트 캐나다 C8 CQB 소총에도 보텍스 플래시 하이더의 한 버전이 채택되었다.[5] 이 외에도 팬텀 플래시 서프레서, 노베스키 라이플웍스 KX-3 등 다양한 소염기가 개발되었다.[6]
나사산이 있는 총열을 이용하여 소음기를 직접 설치할 수 있지만, 연발 사격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기존 소염기에 설치하는 "직접 연결" 소음기도 개발되었다.[7]

M234 진압용 발사기는 M16 계열 소총에 부착되어 M755 공포탄을 사용해 진압탄을 발사하는 장치였으나, 현재는 M203 유탄 발사기와 비살상탄으로 대체되었다.[8]
Mk 4 Mod 0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 해군 특수부대(Navy SEALs)를 위해 소음기가 장착된 M16A1의 변형 모델이다.[9]
4. 파생형
미국 M16 소총과 M4 카빈은 특허권이 기간 만료되어 전 세계 모든 총기 회사가 카피 버전을 생산, 수출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상표권은 기간 만료가 되지 않고 유효해서 M16, M4라는 상표명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31]
M16 계열의 특허권 기간 만료로 시그 사우어 SIG516, 독일 H&K HK416, 미국 LWRC M6, 미국 루거 SR556, 중국 노린코 CQ-A, 러시아 칼라시니코프 VEPR-15가 출시되었다.[31]
한국은 M16을 라이선스 생산해서 사용했으나, 특허를 피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군대에 총기를 보급하기 위해 K1A 카빈, K-2 소총을 1970년대에 설계하여 1980년대 실전 배치해 사용 중이다. M16 특허권 기간 만료로 전 세계(일부 국가는 제외)가 M16 카피를 생산, 수출하는데 비해, 아직도 한국은 M16 계열을 생산하지는 않고 있다.[32]
M16, XM16E1, M16A1, M16A2, M16A3, M16A4 등 많은 버전이 있다. 단축형은 콜트 코만도(Colt Commando), M4 카빈 등이 있다.
1968년 등장한 CAR703은 롱 스트로크 가스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는 개량형이었지만, 채택되지 못했다.
미국의 총기 규제법은 소총과 권총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권총은 총기 규제법의 제한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총기 매니아들은 M16 소총을 최대한 개조해서 권총화하기에 이르렀다.
- 총열 길이를 대폭 줄였다.
- 개머리판을 제거했다.
- 원래 개머리판 속에 있던 버퍼 튜브를 총 위로 올렸다.
- 총기 규제법이 변경됨에 따라 탄창 일체형이 나오기도 했다.
이렇게 해서 '올림픽 암즈 OA-93', 속칭 '''M16 권총'''이라는 이상한 총이 만들어졌다.

;M16/XM16E1/M16A1


최초 채택된 M16은 삼각형 손잡이와 3개의 갈래를 가진 "오리주둥이" 소염기를 가졌고, 전방 보조장치가 없었다. M16은 안전/단발/자동 선택 사격 방아쇠 그룹을 가지고 있다. 볼트 캐리어는 원래 크롬 도금되어 매끄러운 표면이었고, 전방 보조장치 노치가 없었다. 나중에 크롬 도금 캐리어는 육군에서 발행한 노치가 있는 파커라이징된 캐리어로 대체되었지만, 볼트 캐리어의 내부는 여전히 크롬 도금 처리되어 있다.
미 육군의 XM16E1은 전방 보조 장치와 크롬 도금 볼트 캐리어의 해당 노치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M16 소총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무기였다. M16A1은 1967년부터 XM16E1의 3개의 갈래로 된 플래시 서프레서를 대신하여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 개방형 슬롯이 있는 폐쇄형 새장형 대칭형 플래시 서프레서가 장착되었다. 현장에서 발생한 수많은 문제 이후 청소 키트가 개발되어 배포되었고, 크롬 도금된 약실이 있는 배럴과 나중에는 완전히 라이닝된 배럴이 도입되었다. 개머리판 안쪽에 작은 수납 공간이 추가되었다.
;M16A2



1983년 미 국방부는 M16A2를 채택하였다. 해병대가 1980년대 초중반에 처음으로 채택했고, 미국 육군은 1986년에 이어 채택했다. M16A2는 전방 조준기 앞쪽의 총열 두께를 늘려 현장에서의 휘어짐에 대한 저항력을 높였다. 새로운 5.56×45mm NATO SS109/M855 실탄과 L110/M856 추적탄을 충분히 안정시키기 위해 총열 강선 회전율을 1:7(178mm)로 변경했다. 300~800미터의 특정 사거리 설정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조정식 후방 조준기를 추가했다. 플래시 서프레서는 하단이 닫힌 형태로 제작되어 엎드린 자세로 사격할 때 먼지나 눈을 튀기지 않도록 했고, 비대칭 반동 보상기 역할을 하여 강선 상승을 줄였다. 왼손잡이 사용자의 손에 뜨거운 탄피가 맞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 바로 뒤쪽 상부 수신기에 탄피 방향 전환기를 장착했다. 또한 작동 방식을 수정하여 전자동 설정을 3발 점사 설정으로 대체했다. 핸드가드는 원래 삼각형 모양에서 작은 손에도 잘 맞고 구형 M16 모델에도 장착할 수 있는 원형으로 변경되었다. 새로운 핸드가드는 대칭형이어서 병기고에서 좌우용 예비 부품을 따로 구분할 필요가 없었다. 1960년대 초 이후 고분자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개머리판은 기존보다 10배 더 강해졌다. 원래 M16 개머리판은 셀룰로오스 함침 페놀 수지로 만들어졌지만, 새로운 M16A2 개머리판은 듀폰 자이텔 유리 충전 열경화성 고분자로 제작되어 이전 M16A1의 교체 부품이 되었다. 손잡이에 중지 손가락을 위한 노치와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더 많은 질감이 추가되었다. 새로운 피스톨 그립은 자이텔 유리 충전 열경화성 고분자로 제작되었다. M16A2 피스톨 그립은 이전 M16A1의 교체 부품이 되었다. 표준형 645 모델 M16A2는 안전/단발/3발 점사 선택 사격 트리거 그룹을 가지고 있다. 미국 해병대와 육군의 표준 장비가 되었다.
;M16A3

M16A3는 미국 해군 네이비 실(SEALs), 시비(Seabees), 미국 보안 부대에서 소량 채택한 M16A2의 개량형이다.[10] "안전", "단발", "전자동" 모드를 제공하는 M16A1 선택 사격 방아쇠 조립품을 특징으로 한다. 그 외에는 M16A2와 외부적으로 유사하다.
;M16A4


1997년 채택된 M16A4는 M16 시리즈의 4세대 모델이다. 제거 가능한 캐링 핸들과 광학 장비 및 기타 보조 장치 장착을 위한 피카티니 레일이 장착되어 있다. 안전/단발/3점 발사 선택 사격 방식을 사용하는 FN M16A4는 미국 해병대의 표준 장비가 되었다.
;M4 카빈

M4 카빈 소총은 여러 가지 파생 디자인에서 개발되었는데, 여기에는 여러 개의 길이 총열을 가진 A1 스타일 카빈 소총이 포함된다. XM4(콜트 모델 720)는 1984년에 길이의 총열을 장착하고 시험을 시작했으며, 1991년에 M4로 채택되었다. 1994년에 공식 채택되어, M4 카빈 소총은 3점사 사격 모드를 가지고 있는 반면, M4A1 카빈 소총은 전자동 사격 모드를 가지고 있다. 두 모델 모두 상부 수신기에 피카티니 레일이 있어 캐리 핸들/후방 조준기 조립체를 다른 조준 장치로 교체할 수 있다.
;M5 카빈

M5 카빈 시스템은 콜트사에서 M4 카빈의 개량형으로 개발되었다. 완전히 양손잡이가 가능한 하부 수신기, 프리플로팅 배럴, 그리고 연장된 상부 레일을 통합하고 있다. M5 카빈은 10.3, 11.5, 14.5, 16.1인치의 네 가지 배럴 길이가 있다. 다른 M5 변형 및 구경으로는 M5 SCW(소형 무기)(5.56×45mm), M5 300(.300 AAC Blackout), M5 SMG(9×19mm), CMK(7.62×39mm), M7 전투소총(7.62×51mm) 그리고 지정 사수 및 반자동 저격수 시스템(둘 다 5.56×45mm)이 있다.
;콜트 캐나다 C7 및 C8
다이마코 C7 및 C8은 M16A2와 동시에 개발된 소총 시리즈이다. 다이마코(현재 콜트 캐나다)에서 제조되었으며, 캐나다군의 제식 소총이다. C7은 실험적인 M16A1E1에서 파생된 계열이다. 초기 M16과 마찬가지로, M16A2에서 선택된 버스트 기능 대신 반자동 또는 자동 모드로 발사할 수 있다. 미국의 M16A2와 달리 다이마코 C7은 A1 스타일의 후방 조준기를 사용한다. C7과 C8은 또한 네덜란드군에서 주력 보병 무기로 사용된다. 시험을 거쳐, 여러 변형이 영국 SAS의 선택 무기가 되었다.
;Mk 4 Mod 0
Mk 4 Mod 0는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 해군 특수부대(Navy SEALs)를 위해 생산되어 1970년 4월 채택된 M16A1의 변형 모델이다. 기본 M16A1과의 주된 차이점은 해상 작전에 최적화되었고 소음기가 장착되었다는 점이다.
;Mk 12 특수목적 소총

지정사수의 유효 사거리를 늘리기 위해 개발된 미 해군의 Mk 12 특수목적 소총(SPR)은 다양한 구성이 운용되지만, 핵심은 18인치 중장 배럴과 소염기, 프리 플로트 튜브이다.
;M231 사격구멍 장착 무기
M231 사격구멍 장착 무기(FPW)는 M2 브래들리의 사격구멍에서 사격할 수 있도록 개조된 M16 돌격소총의 변형이다. 보병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M16 소총은 차량이 밀폐된 상태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길기 때문에, 이러한 역할에 적합한 무기를 제공하기 위해 FPW가 개발되었다.
;기타 파생형
- '''KH-2002'''는 이란에서 자체 생산한 S-5.56 소총을 불펍 방식으로 개조한 것이다. 이란은 이 소총으로 자국군의 표준 제식 소총을 교체할 계획이다.
- '''테랍 소총'''은 수단의 군사산업공사에서 제조한 '''DIO S-5.56'''의 복제품이다.
- '''M16S1'''은 싱가포르의 ST Kinetics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제작한 M16A1 소총이다. 싱가포르군의 제식 소총이었으나 대부분의 부대에서 새로운 SAR 21로 교체되고 있으며, 현재는 예비군의 제식 소총으로 사용되고 있다.
- MSSR 소총은 필리핀 해병대 정찰 저격수가 개발한 저격 소총으로, 그들의 주력 저격 무기 체계이다.
- 특수 작전 돌격 소총 (SOAR) 돌격 카빈은 페르프란스가 M16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했으며, 필리핀 국가경찰의 특수 작전 부대에서 사용한다.
- 대만은 피스톤 구동 방식의 M16 기반 무기를 제식 소총으로 사용한다. 여기에는 T65, T86, 그리고 T91 돌격 소총이 포함된다.
- 뉴질랜드는 슈타이어 AUG를 대체하기 위해 루이스 머신 앤 툴 컴퍼니의 M16 시스템 업그레이드 버전을 채택했다. 이 CQB16 소총은 2017년에 배치될 예정이며, MARS-L(Modular Ambidextrous Rifle System-Light)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5. 평가
1964년 미국 공군이 아말라이트사의 AR-15를 M16이라는 제식명칭으로 채택한 이후, M16 소총은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미국 육군의 제식 소총으로 자리 잡았다. 초기에는 M14 소총이 주력 소총이었으나, 7.62 × 51 mm NATO 탄을 사용하는 M14는 베트남의 정글 환경과 기계화보병 운용에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223 레밍턴 탄을 사용하는 M16은 짧은 길이와 적은 반동으로 정글전과 기계화전에 더 적합하여 M14를 대체하게 되었다.
M16의 채용 과정에는 미국 육군의 전통적인 선호와 어린이 장난감 같다는 인식,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장관의 특수 목적 개인 화기(SPIW) 계획 추진 등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맥나마라 장관은 SPIW 계획이 성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M16을 M14와 SPIW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로만 생각했으나,[30] SPIW 계획은 실패로 끝났고, M16은 미군의 주력 제식 소총으로 남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중 M16은 호평을 받았지만, 콜트 사의 과장된 신뢰성 홍보와 초기 탄약의 문제, 총열과 약실의 크롬 도금 부재 등으로 인해 작동 불량과 부식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는 크롬 도금된 M16A1 보급과 철저한 관리를 통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현재는 M4 카빈, M4A1 등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M16은 후방부대나 미해병대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해병대는 M16A4를 제식소총으로 사용한다.
M16 소총은 가스 직동식 작동 방식과 완충 스프링 덕분에 연발 사격 시 반동이 적고, 단발 사격 시 조준선 유지가 용이하며, 정밀도도 2MOA~3MOA 급으로 정확도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영국 SAS 등 타국 특수부대에서도 M16이나 M4 카빈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스 직동식 작동 방식으로 인해 노리쇠와 약실에 그을음이 쌓여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며, 먼지에 민감하고 빈번한 청소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지적된다.[35][36] 이러한 문제로 인해 CAR-703과 같이 가스 피스톤 방식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최근에는 HK 416, FN SCAR 등 쇼트 스트로크 가스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는 소총들이 등장하고 있다.
K2 소총, 대만 65식 소총 등 M16을 사용했던 나라들도 자체 개발 소총에는 가스 피스톤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가스 직동식을 사용하는 현용 소총은 M16, M4, SR-25, K1 정도이다.
M16A4, M4는 레일 시스템 도입으로 융통성 있는 무기 체계로 인정받고 있으며, M16A1은 한국에서도 K2 소총과 함께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M16은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여 경량화를 이루었지만, 이 때문에 프라모델 취급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플라스틱 재질로 인해 내구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1980년 10월, NATO는 5.56×45mm NATO탄을 표준탄으로 채택하고, STANAG 4179를 통해 M16 탄창을 표준 탄창으로 제안했으나, 모든 회원국의 동의를 얻지는 못했다. M16은 22 mm 소총 수류탄을 발사할 수 있으며, NATO 부속 레일 STANAG 4694 또는 피카티니 레일 STANAG 2324를 통해 다양한 부가 장비를 장착할 수 있다.
현재 M16은 NATO 15개국과 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는 M16이 마텔사에서 제작되었다는 소문이 있지만, 이는 사실무근이다. 콜트사가 제너럴 모터스(GM) 등에 생산을 위탁했던 것이 소문의 발단으로 여겨진다.
AK-47 계열과의 비교에서 열악한 환경에서의 성능 문제와 유통 규제로 인해 민병 조직에서 M16이 주력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구 남베트남 육군이나 미군으로부터 접수된 M16이 칠레,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등지에 공급된 사례가 있으며,[29] 동남아시아나 중남미 일부 지역, 미국 내 불법 밀수 등을 통해 아일랜드 공화군, 카렌족 민족해방군, 몬-태족군, 레바논 군단, 신민당, 헤즈볼라, 하마스, 멕시코의 마약 조직, 콜롬비아 혁명군 등에서 M16 및 그 계열, 클론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대중 문화
미국에서는 마텔에서 M16을 제작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바비 인형과 모형총으로 유명한 마텔사가 베트남 전쟁 당시 콜트사의 위탁을 받아 M16을 생산했거나, 총열 등의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했다는 것이다. 이는 사실무근이지만, 당시로서는 드물었던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합금을 많이 사용하여 기존의 소총보다 작고 싸구려스러운 인상을 준 M16을 병사들이 "마텔의 장난감"이라고 조롱한 것과 콜트사가 자동차 회사인 제너럴 모터스 등에 생산을 위탁했던 것이 소문의 발단으로 여겨진다.[1] 실제로 마텔사는 M16 모형총을 판매했으며, 영화 「그린 베레」에서는 이것을 소품(소품총)으로 사용하여 나무에 내리쳐 부러뜨리는 장면이 있다.[1] 또한 「풀 메탈 자켓」의 원작에서는 해병대 병사가 M16을 "마텔"이라고 부르고 있다.[1]
6. 1. 영화 및 드라마
- 블랙 호크 다운: 레인저 대원들이 '''M16A2'''를 사용한다.
- 택시운전사 (영화): 계엄군들이 '''M16A1'''을 사용한다.
- 화려한 휴가: 계엄군과 시민군이 '''M16A1'''을 사용한다.
6. 2. 게임
-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배틀그라운드: 뉴 스테이트에서 5.56mm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 '''M16A4'''로 등장한다.
- 로블록스의 팬텀포스라는 게임에서 '''M16A3''', '''M16A4''', '''M4카빈'''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리 마스터드, 콜 오브 듀티 모바일, 캠페인 리마스터드에서 '''M16A4'''로 등장하며, 최신작인 리부트에서는 일부 무기 도안이나 개조를 거쳐 M16처럼 만들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orgotten M16A1 Rifle Manufacturers: GM/Hydra-Matic and Harrington & Richardson – Part I
https://smallarmsrev[...]
2022-12-15
[2]
웹사이트
Forgotten M16A1 Rifle Manufacturers – GM/Hydra-Matic and Harrington & Richardson – Part II
https://smallarmsrev[...]
2022-12-20
[3]
웹사이트
U.S. Army places order for 24,000 M4A1 carbines with Remington
https://www.military[...]
2012-04-21
[4]
웹사이트
Colt M16 (Series)
https://www.military[...]
2023-08-10
[5]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the Legendary M16 Rifle
https://nationalinte[...]
2021-09-21
[6]
웹사이트
M16: The Weapon That Changed The World
https://www.forcesne[...]
2019-10-21
[7]
웹사이트
M16: 4 Incredible Facts You Might Not Know
https://nationalinte[...]
2023-12-22
[8]
웹사이트
The Contender: Winchester's .224 Light Rifle
https://www.american[...]
2016-02-19
[9]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Government Profile Barrel
https://www.everyday[...]
2024-07-17
[1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IDF Colt Carbine
https://gunsmagazine[...]
2021
[12]
웹사이트
Cyprus Infantry Arms List (Current and Former Types)
https://www.military[...]
2024-12-12
[13]
웹사이트
Cutting-edge American rifles boost Cyprus' security forces
https://knews.kathim[...]
2024-12-12
[14]
웹사이트
Op-ed: American weapons for the National Guard
https://in-cyprus.ph[...]
2024-12-12
[1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https://newsinfo.inq[...]
[17]
웹사이트
A few days ago about 10 Maghawir Thowra fighters defected to the SyAA
https://twitter.com/[...]
2020-11-30
[18]
Twitter
SAA commando armed with an M16 rifle during training
https://twitter.com/[...]
[19]
Twitter
5th Div. M16
https://twitter.com/[...]
[20]
웹사이트
https://x.com/Julian[...]
[21]
웹사이트
Use of the M-16 Rifle by Mujahideen during the Soviet-Afghan War 1979-1989
https://www.safar-pu[...]
2023-03-05
[22]
웹사이트
なぜアメリカの銃乱射事件では、AR-15が使用されるのか —— 専門家が指摘する2つの理由
https://www.business[...]
ビジネスインサイダー
2018-11-23
[23]
웹사이트
なぜアメリカの銃乱射事件では、AR-15が使用されるのか —— 専門家が指摘する2つの理由
https://www.business[...]
ビジネスインサイダー
2018-02-28
[24]
웹사이트
米コルト、消費者向けAR15の製造を中止
https://www.cnn.co.j[...]
CNN
2019-09-20
[25]
웹사이트
米銃器大手、AR15型小銃だけで10年間に1300億円売り上げ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2-07-29
[26]
웹사이트
米サンディフック小学校銃乱射、遺族が銃器メーカーと84億円で和解
https://www.cnn.co.j[...]
CNN
2022
[27]
웹사이트
建物屋上に容疑者?会場の百数十m先トランプ氏銃撃で米報道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7-14
[28]
웹사이트
U.S. Army Selects SIG SAUER Next Generation Squad Weapons System
https://www.sigsauer[...]
2022-05-08
[29]
웹사이트
the M1 Garand in Vietnam
https://wwiiafterwwi[...]
[30]
간행물
플래툰
2005-10
[31]
뉴스
[이일우의 밀리터리 talk] M16·콜트...200년 역사 ‘총기 명가’의 몰락
서울신문
2015-06-17
[32]
뉴스
총기생산 독점구조 깨고, 경쟁체제 도입하라
뉴데일리
2015-02-23
[33]
문서
M16 사용 현황
[34]
웹인용
Analysis of M16A2 Rifle Characteristics and Recommended Improvements
http://stinet.dtic.m[...]
2006-02-18
[35]
웹인용
washingtonpost.com
http://discuss.washi[...]
2006-07-28
[36]
pdf
http://www.hkdefen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