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Q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QS(Mastering Quality Sound)는 스튜디오 마스터링 퀄리티 음원을 의미하며, 2012년 아이리버가 '아스텔앤컨'을 출시하면서 처음 사용했다. 2013년 네이버 뮤직, 지니, 엠넷, 소니, 벅스, 삼성전자 등 여러 기업들이 고음질 음원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MQS 음원은 FLAC, wav, alac 등 다양한 파일 형식을 가지며, DAC, 앰프, 사운드 카드, 휴대용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재생 가능하다. MQS 음질은 비트 심도와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 결정되며, 높은 비트레이트와 샘플링 레이트가 항상 더 좋은 음질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MQS | |
---|---|
음향 기술 | |
종류 | 디지털 음향 기술 |
용어 | 디지털 음원 파일 포맷을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음향 기술의 한 종류 |
기술 수준 | CD 음질을 넘어서는 수준의 음질을 제공 |
특징 | 무손실 압축을 사용 높은 비트 심도와 샘플링 속도를 지원 |
기술 정보 | |
지원 포맷 | FLAC WAV ALAC DSD |
비트 심도 | 24bit 이상 |
샘플링 속도 | 96kHz 이상 |
활용 | |
활용 분야 | 음악 감상 음향 제작 음향 연구 |
기기 |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DAP) 스마트폰 PC |
2. 대한민국의 MQS
2012년 10월 10일 아이리버는 대한민국 최초로 MQS(Mastering Quality Sound)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하이파이 오디오 ‘아스텔앤컨'을 출시했다.[2] 아이리버는 '아스텔앤컨' 출시와 함께 MQS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3] 2012년 12월 기준으로 일본, 홍콩, 미국, 중국 등에서 고음질 음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2013년에는 네이버 뮤직, 지니, 엠넷, 벅스 등 여러 기업들이 고음질 음원 서비스를 시작하며 경쟁이 심화되었다.[8] 소니는 HRA(High Resolution Audio),[7] 삼성전자는 UHQ(Ultra High Quality) 음원[12] 등 각 기업들이 마케팅 목적으로 서로 다른 이름을 붙였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9]
2. 1. 2012년: MQS의 등장
아이리버는 대한민국 최초로 스튜디오 마스터링 퀄리티 음원(MQS)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하이파이 오디오 ‘아스텔앤컨'을 2012년 10월 10일 출시했다.[2] 아이리버는 '아스텔앤컨' 출시와 함께 MQS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3] 2012년 12월 기준으로 일본, 홍콩, 미국, 중국 등에서 고음질 음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2. 2. 2013년: MQS 시장 경쟁 심화
2013년 6월 3일 네이버 뮤직은 마스터링 HD음원 서비스를 시작했다.[4] 8월 28일 지니는 HQS음원 서비스를,[5] 8월 29일 엠넷은 HD뮤직 2.0 서비스를 시작했다.[6] 10월 31일 소니는 제품을 새로 발표하면서 HRA(High Resolution Audio)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7]2013년 말, 여러 기업들이 고음질 음원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8] 그러나 고품질 음원의 정식 명칭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각 기업들이 마케팅 목적으로 서로 다른 이름을 붙였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9]
2009년 11월 음악포털 벅스는 국내 음악사이트 최초로 16bit 원음서비스를 시작했고,[10] 2013년 11월 고음질 24bit FLAC 서비스를 시작하였다.[11] 11월 25일 삼성전자의 삼성 허브 뮤직은 특정 '갤럭시' 종류의 스마트폰에서 고음질로 감상하는 음악 서비스인 UHQ(Ultra High Quality) 음원으로 구성된 스토어를 열었다.[12]
3. MQS 재생
MQS 음원은 FLAC, WAV, ALAC, AIFF, DFF, DSF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된다.[1] DAC, 앰프, 사운드 카드, 휴대용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재생할 수 있으며, LG와 삼성전자의 일부 스마트폰이 MQS 재생을 지원한다.[1] 사용자 용도와 다양한 기호에 맞게 재생할 수 있으며 기기마다 품질과 성능에 차이를 보인다.[1]
3. 1. 주요 제조 회사
종류 | 제조 회사 | 국가 |
---|---|---|
DAC+앰프 | 소니 | 일본 |
스마트폰 | LG | 대한민국 |
스마트폰 | 삼성 | 대한민국 |
스마트폰 | 팬택 | 대한민국 |
스마트폰 | 소니 | 일본 |
휴대용 플레이어(DAP) | 아이리버 | 대한민국 |
휴대용 플레이어(DAP) | 코원 | 대한민국 |
휴대용 플레이어(DAP) | FiiO | 중국 |
휴대용 플레이어(DAP) | 소니 | 일본 |
휴대용 플레이어(DAP) | 디지털앤아날로그 | 대한민국 |
사운드 카드 | Creative | 싱가포르 |
사운드 카드 | 온쿄 | 일본 |
4. MQS 음질의 의미
MQS는 높은 비트 심도와 샘플링 레이트를 가진 음원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비트 심도와 샘플링 레이트가 높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샘플링 레이트는 오히려 음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13]
4. 1. 비트 심도와 샘플링 레이트
24비트(bit)는 비트 심도를 의미하며, 1bit당 6dB의 진폭을 가진다. 이를 '비트레이트'라고 한다. 192kHz는 샘플링 레이트를 의미하며, 나이퀴스트 이론에 따라 96kHz까지 샘플링이 가능하다.일반적으로 비트레이트와 샘플링 레이트가 높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재생하게 되지만, 192kHz 같은 높은 샘플링 레이트는 상호 변조 왜곡으로 인한 초음파 아티팩트, 너무 빠른 속도로 인한 부정확한 샘플링을 일으키기 쉽다.[13] 미국음향기술자협회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 48kHz의 샘플링 레이트를 권장하지만, CD와 다른 소비자 용도에 44.1kHz, 전송 관련 소프트웨어에 32kHz, 높은 대역폭 또는 완화된 안티 앨리어싱 필터링에 96kHz를 인정하고 있다.[14]
4. 2. 권장 샘플링 레이트
미국음향기술자협회는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 48kHz 샘플링 레이트를 권장하지만, CD 및 다른 소비자 용도로는 44.1kHz, 전송 관련 소프트웨어에는 32kHz, 높은 대역폭 또는 완화된 안티 앨리어싱 필터링에는 96kHz를 사용하기도 한다.[14]참조
[1]
뉴스
“아이리버 `초고해상도 휴대형 오디오`로 부활 날갯짓”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2-10-10
[2]
뉴스
“새 동력으로 순항하는 아이리버호”
http://www.yonhapmid[...]
마이더스
2012-12
[3]
뉴스
“아이리버, MQS재생 오디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10-10
[4]
뉴스
“네이버 뮤직, 마스터링 HD 음원 서비스 시작”
http://www.newstown.[...]
뉴스타운
2013-06-03
[5]
뉴스
“KT, 음악사이트 지니에 명품음질 서비스 신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28
[6]
뉴스
“엠넷닷컴 ‘HD뮤직 2.0’ 서비스 시작”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3-08-27
[7]
뉴스
소니가 새롭게 내세운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는 무엇일까?
http://www.betanews.[...]
베타뉴스
2013-10-31
[8]
뉴스
아이리버 '고음질 强敵'이 우르르 달려오네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13-10-28
[9]
뉴스
소니가 새롭게 내세운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는 무엇일까?
http://www.betanews.[...]
베타뉴스
2013-10-31
[10]
뉴스
“음악포털 벅스, 국내최초 ‘원음서비스’ 실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9-11-20
[11]
뉴스
고음질 FLAC 서비스 오픈
http://www.bugs.co.k[...]
벅스
2013-11-13
[12]
뉴스
삼성전자, '삼성 허브 뮤직' 국내 정식 서비스 개시
http://samsungtomorr[...]
SAMSUNG TOMORROW
2013-11-26
[13]
저널
The Science of Sample Rates (When Higher Is Better—And When It Isn’t)
http://trustmeimasci[...]
2013-02-06
[14]
웹인용
AES5-2008: AES recommended practice for professional digital audio - Preferred sampling frequencies for applications employing pulse-code modulation
http://www.aes.org/p[...]
Audio Engineering Society
2010-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