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of the Monkee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ore of the Monkees''는 1967년에 발매된 미국의 팝 록 밴드 몽키즈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 발매 당시 몽키즈의 인기가 최고조에 달해, 앨범은 서둘러 발매되었다. 앨범에는 싱글 "I'm a Believer"가 수록되어 있으며, 밴드는 앨범의 제작 방식과 수록곡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5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여러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1967년 음반 - After Bathing at Baxter's
《After Bathing at Baxter's》는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실험적인 사운드, 사이키델릭 록, 애시드 록,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혼합된 복잡한 음악적 구성과 론 코브가 디자인한 독특한 커버 아트를 특징으로 한다. - 아리스타 레코드 음반 - Life After Death
노토리어스 B.I.G.의 사후 앨범인 Life After Death는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힙합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고 갱스터 랩의 주류 음악 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리스타 레코드 음반 - Mr. Moonlight (음반)
포리너가 1994년에 발매한 스튜디오 앨범 Mr. Moonlight는 루 그램이 복귀하여 믹 존스와 함께 프로듀싱했으며, 여러 지역에서 발매되었고 영국 앨범 차트 59위, 빌보드 200에서 136위를 기록, AllMusic과 롤링 스톤으로부터 각각 5점 만점에 2점과 2.5점의 평가를 받았다.
More of the Monkee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More of the Monkees |
종류 | 음반 |
아티스트 | 몽키스 |
![]() | |
발매일 | 1967년 1월 9일 |
녹음 기간 | 1966년 6월 25일 – 1966년 11월 23일 |
스튜디오 | RCA Victor A, B (할리우드) RCA Victor A, B (뉴욕) 웨스턴 레코더스, No. 2 (할리우드) American Recording Co. (스튜디오 시티) RCA Victor (할리우드) |
장르 | 팝 록 |
길이 | 28분 34초 |
레이블 | 콜젬스 (미국) RCA 빅터 (미국 외) |
프로듀서 | 토미 보이스 바비 하트 캐럴 베이어 세이거 닐 세다카 마이클 네스미스 제프 배리 잭 켈러 게리 고핀 캐럴 킹 |
이전 음반 | 더 몽키스 |
이전 음반 발매일 | 1966년 |
다음 음반 | 본부 |
다음 음반 발매일 | 1967년 |
싱글 | |
싱글 1 | 나는 믿는 사람이야" / "(나는 너의) 디딤돌이 아니야 |
싱글 1 발매일 | 1966년 11월 21일 |
싱글 2 | 메리, 메리 |
싱글 2 발매일 | 1968년 |
평가 | |
올뮤직 | 4/5 |
뮤직하운드 | 3/5 |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 2/5 |
2. 역사
I'm a Believer가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고 콘서트 투어가 예정되는 등 몽키즈의 인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More of the Monkees''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밴드의 의사와 상관없이 서둘러 발매되었으며, 멤버들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투어 중에 앨범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4]
멤버들은 앨범 커버와 수록곡 선정에 불만을 표했다. 특히 마이클 네스미스는 ''Melody Maker''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이 앨범을 "최악의 앨범"이라고 비판했다.[4]
이 앨범을 계기로 몽키즈는 자신들의 음악적 결과물에 대한 통제권을 요구하게 되었다. 마이클 네스미스는 돈 키르슈너에게 항의하는 과정에서 비벌리 힐스 호텔 스위트룸 벽에 구멍을 내는 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결국 몽키즈는 자신들의 음악에 대한 통제권을 얻었고, 키르슈너는 프로젝트에서 제외되었다.[4]
2. 1. 앨범 커버
초판 앨범 커버는 COM/COS 102 카탈로그 번호로 발매되었다. 1968년 재발매 시 뒷면 커버의 "Colgems" 문구가 콜젬스 심볼로 대체되었고, 카탈로그 번호는 COS 102 RE로 변경되었다. RCA는 레코드 슬리브의 한 면이라도 수정 사항이 있으면 "RE"를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5]3. 곡 목록
''More of the Monkees''는 두 개의 사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이드에는 6곡씩 총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각 곡의 작곡가, 리드 보컬, 연주 시간 등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Side | 곡명 | 작곡가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Side one | "She" | 토미 보이스, 바비 하트 | 미키 돌렌즈 | 2:40 |
"When Love Comes Knockin' (At Your Door)" | 캐롤 베이어 세이거, 닐 세다카 | 데이비 존스 | 1:49 | |
Mary, Mary | 마이클 네스미스 | 미키 돌렌즈 | 2:16 | |
"Hold on Girl" | 빌리 카, 잭 켈러, 벤 랠리 | 데이비 존스 | 2:29 | |
Your Auntie Grizelda | 다이앤 힐데브란트, 잭 켈러 | 피터 토크 | 2:30 | |
"(Im Not Your) Steppin Stone" | 토미 보이스, 바비 하트 | 미키 돌렌즈 | 2:25 | |
Side two | "Look Out (Here Comes Tomorrow)" | 닐 다이아몬드 | 데이비 존스 | 2:16 |
"The Kind of Girl I Could Love" | 마이클 네스미스, 로저 앳킨스 | 마이클 네스미스 | 1:53 | |
"The Day We Fall in Love" | 샌디 린저, 데니 랜델 | 데이비 존스 | 2:26 | |
"Sometime in the Morning" | 제리 고핀, 캐롤 킹 | 미키 돌렌즈 | 2:30 | |
"Laugh" | 필 마고, 미치 마고, 행크 메드레스, 제이 시걸 | 데이비 존스 | 2:30 | |
I'm a Believer | 닐 다이아몬드 | 미키 돌렌즈 | 2:50 |
앨범 발매 당시 몽키즈의 인기는 절정에 달했으며, 이 앨범에 수록된 싱글 "I'm a Believer"는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했다. 몽키즈는 곧 성공적인 콘서트 투어에 나설 예정이었다.[4]
하지만 ''More of the Monkees''는 밴드의 인기를 이용하기 위해 서둘러 발매되었고, 멤버들조차 앨범 발매 사실을 알지 못했다. 밴드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투어 중에 앨범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자신들이 모르게 발매된 것에 대해 놀라움과 불만을 표했다. 특히 마이클 네스미스는 ''Melody Maker''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More of the Monkees''를 "세계 역사상 최악의 앨범"이라고 칭하기도 했다.[4]
이 앨범과 데뷔 앨범인 ''The Monkees''는 몽키즈의 보컬에만 한정되고 악기 연주는 거의 포함되지 않아, 그룹은 자신들의 음악적 결과물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했다. 프로듀서 돈 키르슈너는 몽키즈가 보컬만 제공하도록 엄격한 규칙을 적용했지만, 마이클 네스미스가 직접 프로듀싱한 세션에서는 피터 토크가 기타를 연주하기도 했다. ''More of the Monkees''에서는 네스미스가 리드 보컬로 한 곡만 참여했다.
''More of the Monkees'' 발매 몇 주 후, 네스미스는 제작자들을 설득하여 몽키즈가 앞으로의 레코드에서 자신들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허용받았다. 이 과정에서 네스미스는 키르슈너와의 회의 중 비벌리 힐스 호텔 스위트룸 벽에 구멍을 내는 격렬한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키르슈너는 프로젝트에서 제외되었다.[4]
3. 1. Side one
제목 | 작곡가 | 리드 보컬 | 길이 |
---|---|---|---|
"She" | 토미 보이스, 바비 하트 | 미키 돌렌즈 | 2:40 |
"When Love Comes Knockin' (At Your Door)" | 캐롤 베이어 세이거, 닐 세다카 | 데이비 존스 | 1:49 |
Mary, Mary | 마이클 네스미스 | 미키 돌렌즈 | 2:16 |
"Hold on Girl" | 빌리 카, 잭 켈러, 벤 랠리 | 데이비 존스 | 2:29 |
Your Auntie Grizelda | 다이앤 힐데브란트, 잭 켈러 | 피터 토크 | 2:30 |
"(Im Not Your) Steppin Stone" | 토미 보이스, 바비 하트 | 미키 돌렌즈 | 2:25 |
3. 1. 1. She
"She"는 토미 보이스와 바비 하트가 작곡하고 미키 돌렌즈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으로, 길이는 2분 40초이다.3. 1. 2. When Love Comes Knockin' (At Your Door)
"When Love Comes Knockin' (At Your Door)"는 캐롤 베이어 세이거와 닐 세다카가 작곡한 곡으로, 데이비 존스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곡의 길이는 1분 49초이다.3. 1. 3. Mary, Mary
마이클 네스미스가 작곡하고 미키 돌렌즈가 부른 노래이다. Mary, Mary영어의 길이는 2분 16초이다.3. 1. 4. Hold on Girl
"Hold on Girl"은 빌리 카, 잭 켈러, 벤 랠리가 작곡했으며, 데이비 존스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곡의 길이는 2분 29초이다.3. 1. 5. Your Auntie Grizelda
Your Auntie Grizelda는 다이앤 힐데브란트와 잭 켈러가 작곡하고 피터 토크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이다. 곡의 길이는 2분 30초이다.3. 1. 6. (I'm Not Your) Steppin' Stone
토미 보이스와 바비 하트가 작곡한 "(I'm Not Your) Steppin' Stone"은 미키 돌렌즈가 리드 보컬을 맡았으며, 곡 길이는 2분 25초이다.3. 2. Side two
제목 | 작곡가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Look Out (Here Comes Tomorrow)" | 닐 다이아몬드 | 데이비 존스 | 2:16 |
"The Kind of Girl I Could Love" | 마이클 네스미스, 로저 앳킨스 | 마이클 네스미스 | 1:53 |
"The Day We Fall in Love" | 샌디 린저, 데니 랜델 | 데이비 존스 | 2:26 |
"Sometime in the Morning" | 제리 고핀, 캐롤 킹 | 미키 돌렌즈 | 2:30 |
"Laugh" | 필 마고, 미치 마고, 행크 메드레스, 제이 시걸 | 데이비 존스 | 2:30 |
I'm a Believer | 닐 다이아몬드 | 미키 돌렌즈 | 2:50 |
3. 2. 1. Look Out (Here Comes Tomorrow)
"Look Out (Here Comes Tomorrow)"는 닐 다이아몬드가 작곡하고 데이비 존스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으로, 2분 16초 길이이다.[1]3. 2. 2. The Kind of Girl I Could Love
〈The Kind of Girl I Could Love〉는 마이클 네스미스와 로저 앳킨스가 작곡한 곡으로, 마이클 네스미스가 리드 보컬을 맡았으며 1분 53초 길이이다.3. 2. 3. The Day We Fall in Love
"The Day We Fall in Love"는 샌디 린저와 데니 랜델이 작곡했으며, 데이비 존스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이다. 이 곡의 길이는 2분 26초이다.3. 2. 4. Sometime in the Morning
〈Sometime in the Morning〉은 제리 고핀과 캐롤 킹이 작곡하고 미키 돌렌즈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이다. 2분 30초 길이의 곡으로, 앨범 《More of the Monkees》의 사이드 2에서 네 번째 트랙이다.[4]3. 2. 5. Laugh
"Laugh"는 필 마고, 미치 마고, 행크 메드레스, 제이 시걸이 쓴 곡으로, 데이비 존스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곡의 길이는 2분 30초이다.3. 2. 6. I'm a Believer
닐 다이아몬드가 작곡하고 미키 돌렌즈가 리드 보컬을 맡은 곡으로, 길이는 2분 50초이다.[6]4. 참여진
2017년 Rhino "슈퍼 디럭스 에디션" 박스 세트에 따르면, ''More of the Monkees'' 앨범 제작에는 몽키즈 멤버들과 여러 세션 음악가들이 참여했다.[6]
확인되지 않은 인원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6]
- 퍼커션 (2, 6)
- 음악가 (4–5, 10)
- 추가 백 보컬 (11)
- 기타 음악가 (12)
4. 1. 몽키즈
미키 돌렌즈 - 리드 보컬 (1, 3, 6, 10, 12), 백 보컬 (1–4, 7–8, 10, 12)[6]데이비 존스 - 리드 보컬 (2, 4, 7, 9, 11), 백 보컬 (1, 4, 7–8, 10–12)[6]
피터 토크 - 백 보컬 (1, 7–8, 10, 12), 기타 (3), 리드 보컬 (5)[6]
마이클 네스미스 - 리드 보컬 (8), 백 보컬 (8), 스틸 기타 (8)[6]
4. 2. 추가 음악가
순번 | 곡 번호 | 역할 | 음악가 |
---|---|---|---|
1 | 1, 6 | 기타, 백 보컬 | 웨인 어윈[6] |
2 | 1, 6 | 기타 | 게리 맥기[6] |
3 | 1, 6 | 기타 | 루이 셸턴[6] |
4 | 1, 6 | 오르간, 백 보컬 | 바비 하트[6] |
5 | 1, 6 | 베이스 기타 | 래리 테일러[6] |
6 | 1, 6 | 드럼 | 빌리 루이스[6] |
7 | 1 | 탬버린 | 놈 제프리스[6] |
8 | 1, 6 | 백 보컬 | 토미 보이스[6] |
9 | 1 | 백 보컬 | 론 힉린[6] |
10 | 2 | 기타 | 알 가파[6] |
11 | 2 | 기타 | 윌라드 수이커[6] |
12 | 2 | 기타 | 돈 토마스[6] |
13 | 2 | 키보드 | 닐 세다카[6] |
14 | 2, 7, 12 | 베이스 기타 | 러스 사바쿠스[6] |
15 | 2 | 드럼 | 허비 러벨[6] |
16 | 3, 8 | 기타 | 제임스 버튼[6] |
17 | 3, 8 | 기타 | 글렌 캠벨[6] |
18 | 3, 8–9, 11 | 기타 | 알 케이시[6] |
19 | 3 | 기타 | 마이크 디시[6] |
20 | 3 | 키보드 | 마이클 코헨[6] |
21 | 3, 8 | 키보드 | 래리 넥텔[6] |
22 | 3, 8 | 베이스 기타 | 밥 웨스트[6] |
23 | 3, 8–9, 11 | 드럼 | 할 블레인[6] |
24 | 3, 8 | 퍼커션 | 게리 콜먼[6] |
25 | 3, 8 | 퍼커션 | 짐 고든[6] |
26 | 7, 12 | 기타 | 닐 다이아몬드[6] |
27 | 7, 12 | 기타 | 샐 디트로이아[6] |
28 | 7, 12 | 기타 | 알 고고니[6] |
29 | 7, 12 | 키보드 | 조지 버처[6] |
30 | 7, 12 | 키보드 | 스탠 프리[6] |
31 | 7, 12 | 드럼 | 버디 솔츠먼[6] |
32 | 7, 12 | 퍼커션 | 조지 데번스[6] |
33 | 8, 11 | 기타 | 캐럴 케이[6] |
34 | 8, 11 | 키보드 | 돈 랜디[6] |
35 | 8, 11 | 키보드 | 미셸 루비니[6] |
36 | 8, 11 | 베이스 기타 | 레이 폴먼[6] |
37 | 9, 11 | 퍼커션 | 프랭크 캡[6] |
38 | 9, 11 | 퍼커션 | 줄리어스 웨치터[6] |
39 | 9 | 바이올린 | 루이스 하버[6] |
40 | 9 | 바이올린 | 어빙 스파이스[6] |
41 | 9 | 바이올린 | 루이스 스톤[6] |
42 | 9 | 비올라 | 데이비드 색슨[6] |
43 | 9 | 비올라 | 머레이 샌드리[6] |
44 | 9 | 첼로 | 시모어 바라브[6] |
45 | 11 | 백 보컬 | 제프 배리[6] |
4. 3. 기술진
5. 차트
''More of the Monkees''는 여러 국가에서 차트 상위권을 차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수록곡 "I'm a Believer"는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기록했다.[13] 앨범 발매 당시 몽키즈는 큰 인기를 얻어 성공적인 콘서트 투어를 앞두고 있었다.
하지만 앨범은 멤버들도 모르게 서둘러 발매되었고, 멤버들은 앨범 커버와 돈 키르슈너의 라이너 노트에 불만을 가졌다. 마이클 네스미스는 이 앨범을 "세계 역사상 최악의 앨범"이라고 혹평했다.[4]
이후 네스미스는 제작자들을 설득해 몽키즈가 앨범에서 자신들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게 하여, 몽키즈에게 예술적 통제권을 부여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5. 1. 주간 차트
차트 (1967) | 최고 순위 |
---|---|
켄트 뮤직 리포트 (오스트레일리아)[7] | 4 |
RPM (캐나다)[8] | 1 |
수오멘 비릴리넨 리스타 (핀란드)[9] | 1 |
SNEP (프랑스)[10] | 25 |
독일 앨범 | 16 |
노르웨이 앨범 | 1 |
OCC (영국)[11] | 1 |
빌보드 200 (미국)[12]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