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I은 일본이 개발한 3단 로켓으로,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총 7번 발사되었다. N-I 로켓은 1단 액체 연료, 2단과 3단 고체 연료를 사용하며, 델타 M 로켓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본의 로켓 기술 습득에 기여했으나, 발사 능력의 한계로 인해 N-II 로켓 개발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우주발사체 - H-IIB
H-IIB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한 우주 발사체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화물을 수송하는 H-II 전송 차량(HTV) 발사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총 9번의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H3 로켓이 후계기로 운용을 종료했다. - 일본의 우주발사체 - H-IIA
H-IIA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제작하는 액체 추진 로켓으로, H-II 로켓 설계를 기반으로 신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수소와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고 고체 로켓 부스터를 장착하여 인공위성 및 탐사선 발사에 사용되어 왔으나 2025년을 마지막으로 퇴역할 예정이다.
N-I | |
---|---|
개요 | |
이름 | N-I |
종류 | 운반 로켓 |
제작사 | 맥도넬 더글러스(설계) 미쓰비시 중공업(제작) |
원산지 | 미국 (설계) 일본 (제작) |
상태 | 퇴역 |
제원 | |
높이 | 34 m |
지름 | 2.44 m |
질량 | 131,330 kg |
단 | 2단 또는 3단 |
성능 | |
저궤도 | 1,200 kg |
정지 천이 궤도 | 360 kg |
발사 기록 | |
발사 장소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오사키 발사 단지 |
발사 횟수 | 7회 |
성공 횟수 | 6회 |
부분적 성공 | 1회 |
최초 발사 | 1975년 9월 9일 |
최종 발사 | 1982년 9월 3일 |
단별 정보 | |
부스터 종류 | 캐스터 2 |
부스터 개수 | 3기 |
부스터 엔진 | 1기 TX-354-3 |
부스터 추력 | 258.9 kN |
부스터 비추력 | 262초 |
부스터 연소 시간 | 37초 |
부스터 연료 | 고체 |
1단 종류 | 1단 |
1단 이름 | 토르-ELT |
1단 엔진 | 1기 MB-3-3 |
1단 추력 | 866.7 kN |
1단 비추력 | 290초 |
1단 연소 시간 | 270초 |
1단 연료 | RP-1/액체 산소 |
2단 종류 | 2단 |
2단 엔진 | 1기 LE-3 |
2단 추력 | 52.9 kN |
2단 비추력 | 290초 |
2단 연소 시간 | 246초 |
2단 연료 | 사산화 이질소/에어로진 50 |
3단 종류 | 3단 (선택 사항) |
3단 이름 | 스타-37N |
3단 엔진 | 1기 고체 |
3단 추력 | 45 kN |
3단 비추력 | 290초 |
3단 연소 시간 | 42초 |
3단 연료 | 고체 |
기타 | |
개발 비용 | 990억 엔 |
공식 웹페이지 | JAXA - N-I 로켓 |
2. 역사
1970년 10월, N 로켓 개발이 시작되었고[17], 1975년 9월 9일 기술 시험 위성 기쿠 1호를 탑재한 N-I 로켓 1호기 발사에 성공하였다. 1982년까지 총 7기의 로켓을 발사하여 기술 습득 목표를 달성했지만, 발사 능력의 한계로 인해 N-II 로켓 개발로 이행하게 되었다.
순번 | 날짜 (GMT) | 비행 번호 | 탑재체 | 결과 |
---|---|---|---|---|
1 | 1975년 9월 9일 | F1 | 기쿠 1호 | 성공 |
2 | 1976년 2월 29일 | F2 | 우메 1호 | 성공 |
3 | 1977년 2월 23일 | F3 | 기쿠 2호 | 성공 |
4 | 1978년 2월 15일 | F4 | 우메 2호 | 성공 |
5 | 1979년 2월 6일 | F5 | 아야메 1호 | 일부 실패 |
6 | 1980년 2월 22일 | F6 | 아야메 2호 | 성공 |
7 | 1982년 9월 3일 | F7 | 기쿠 3호 | 성공 |
2. 1. 개발 배경
도쿄 대학 우주항공연구소(후의 우주과학연구소)가 과학 위성과 위성 발사용 고체 연료 로켓을 자체 개발하여 발사 실적을 쌓아가는 동안, 실용 상업 위성 발사를 목표로 설립된 우주 개발 사업단(NASDA)은 액체 연료 로켓의 실용화를 서두르기 위해 자체 개발을 포기하고 일부 블랙 박스 조건으로 미국의 델타 로켓 기술을 단계적으로 습득해나가는 개발 방식을 채택했다. 로켓 기술은 탄도 미사일 기술과 연결되기 때문에 미국으로서도 일본의 로켓 기술을 관리하에 두는 것을 바람직하게 생각했다.[17]2. 2. 명칭
N 로켓의 "N"은 일본(Nippon)의 머리글자이며, M 로켓의 다음이라는 의미도 담고 있다.[1] 초기에는 N (로켓)으로 불렸으나, 개량형의 명칭이 구체화되면서 N-I (로켓)으로 불리게 되었다.[1] 과학기술백서에서는 [http://www.mext.go.jp/b_menu/hakusho/html/hpaa197801/hpaa197801_2_078.html 쇼와 53년판]부터 N-I, N-II, H-I의 각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1]3. 구성
N-I 로켓은 3단 로켓으로, 1단은 액체 연료, 2단과 3단은 고체 연료를 사용한다.
- 제1단: MB-3-3 엔진을 사용하며, 긴 탱크형 소어 로켓과 거의 동일하다. 초기에는 녹다운 생산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이후 맥도넬 더글러스사로부터 로열티를 지불하고 미쓰비시 중공업이 라이선스 생산하였다. 액체 산소와 케로신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MB-3-3 엔진 또한 초기에는 녹다운 생산, 이후에는 TRW사의 라이선스를 받아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제조하였다. 엔진 부품 일부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IHI에 위탁하여 생산하였다. 라이선스 생산 과정에서 일본은 독자적인 개량을 진행하여, 탱크 소재를 용접이 용이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변경하고, 탱크 벽면 구조를 와플 구조에서 아이소 그리드 구조로 변경하였다.
- 제1단 보조 부스터 (SOB): 캐스터 II 3기를 사용하며, 사이오콜사의 라이선스를 받아 닛산 자동차 (현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제조하였다. 초기에는 지상 시험용과 실기용으로 총 15기를 수입했다.
- 제2단: LE-3 엔진을 사용하며, NASDA가 독자적으로 Q 로켓의 3단용으로 개발하였다. 미쓰비시 중공업이 제조하였으며, 추진제로는 사산화이질소와 에어로진 50을 사용한다. N-I 로켓에 적용하면서 맥도넬 더글러스 및 로켓다인사로부터 기술 지도를 받았다. LE-3 엔진은 미일 우주 협정에 따라 기술 이전을 허가받은 AJ-10-118E 엔진보다 추력과 비추력이 우수했지만, 델타 로켓에 사용되던 개량형 AJ-10-118F 엔진보다는 연소 시간과 비추력이 낮았다.
- 제3단: 사이오콜사의 스타 37N 구형 고체 로켓 모터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다.[19][20]
- 페이로드 페어링: 맥도넬 더글러스사의 델타 로켓용 페어링을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 유도 장치: 당시 일본은 관성 유도 장치 기술이 부족하여 지상에서 유도 계산을 하는 전파 유도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NEC가 라이선스 생산하였다.
3. 1. 제원
제원\각 단 | 제1단 | 보조 로켓 | 제2단 | 제3단 | 페어링 | |
---|---|---|---|---|---|---|
치 수 | 길이 (m) | 21.44 | 7.25 | 5.44 (제2단 어댑터 포함영어) | 1.37 | 5.69 |
전장 (m) | 32.57 | |||||
외경 (m) | 2.44 | 0.79 | 1.62 | 0.94 | 1.65 | |
중 량 | 각 단 전체 중량 (t) | 70.09 | 13.40 (3개영어) | 5.86 (제2단 어댑터 포함영어) | 0.67 | 0.26 |
전체 중량 (t) | 90.28 (위성 제외영어) | |||||
에 너 지 | 명칭 | MB-3-3 | 캐스터 II | LE-3 | 스타 37N | N/A |
형식 | 액체 로켓 | 고체 로켓 | 액체 로켓 | 고체 로켓 | ||
추진제 종류 (산화제/연료영어) | LOX/RJ-1 | HTPB | NTO/A-50 | HTPB | ||
추진제 중량 (t) | 66.53 | 11.24 (3개영어) | 4.74 | 0.56 | ||
비추력 (s) | 249 (해수면영어) | 238 (해수면영어) | 290 (진공 중영어) | 291 (진공 중영어) | ||
평균 추력 (tf) | 77 (해수면영어) | 71 (해수면, 3개 분영어) | 5.4 (진공 중영어) | 4.0 (진공 중영어) | ||
연소 시간 (s) | 224 | 39 | 246 | 41 | ||
추진제 공급 방식 | 터보 펌프 | N/A | 헬륨 가스 압출 | N/A | ||
제 어 시 스 템 | 피치 요 | 짐벌 | N/A | 짐벌(추력 비행 중영어) 가스 제트(관성 비행 중영어) | 스핀 안정 | N/A |
롤 | 버니어 엔진 | 가스 제트 |
두 번째 단락을 제외하면 주요 부분은 델타 M 로켓과 거의 동일하다.
3. 2. 상세
- 제1단: MB-3-3
- 긴 탱크형 소어 로켓과 거의 동일하다. 처음에는 녹다운 생산이었으나, 나중에 맥도넬 더글러스사에 로열티를 지불하고 미쓰비시중공업이 라이선스 생산했다. 엔진은 액체 산소와 케로신을 추진제로 하는 MB-3-3 엔진으로, 이 역시 처음에는 녹다운 생산이었으며, 후에 TRW사의 라이선스로 미쓰비시중공업이 제조했다. 그중 연소기나 가스 발생기 등 엔진의 일부 부품은 미쓰비시중공업에서 이시카와지마 하리마 중공업(현 IHI)에 위탁되었다. 라이선스 생산화에 따라 일본 독자적인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탱크의 소재인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이 용이한 것으로 변경했고, 탱크 벽면은 와플 구조에서 아이소 그리드 구조로 변경되었다.
- 제1단 보조 부스터 (SOB): 캐스터 II
- 사이오콜사의 라이선스로 닛산 자동차 (현 IHI 에어로스페이스)가 제조한 것을 3기 사용했다. 처음에는 지상 시험용과 실기용으로 총 15기를 수입했다.
- 제2단: LE-3
- NASDA가 독자적으로 Q 로켓의 제3단용으로 개발하여 미쓰비시중공업이 제조한 LE-3 엔진 (추진제는 사산화이질소와 에어로진 50)을 사용하고 있다. N-I에 적용함에 따라, 맥도넬 더글러스 및 로켓다인사에 의해 체크 앤 리뷰에 의한 기술 지도가 이루어졌다. LE-3는 미일 우주 협정에 관한 미 의회의 결정에 의해 기술 이전을 허가받은 AJ-10-118E 엔진보다 추력 및 비추력에서 우세했지만, N-I와 같은 시기에 델타 로켓에서 사용되던 동 엔진의 개량형인 AJ-10-118F 엔진과 비교하면 연소 시간과 비추력에서는 열세였다.
- 제3단: 스타 37N
- 사이오콜제의 스타 37N 구형 고체 로켓 모터를 수입[19][20]。
- 페이로드 페어링
- 맥도넬 더글러스 제 델타 로켓용 페어링을 수입
- 유도 장치
- 당시에는 관성 유도 장치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유도 계산기를 지상에서 갖는 전파 유도 방식으로, NEC가 라이선스 생산.
4. 발사 기록
N-I 로켓은 총 7회 발사되었으며, 5회 성공, 1회 부분 실패, 1회 실패하였다.
기체 | 발사일 | 성패 | 탑재물 | 목적 | 궤도 | 비고 |
---|---|---|---|---|---|---|
1호기 (N1F) | 1975년 9월 9일 | 성공 | 기쿠 1호 | 기술시험 위성 I형 | LEO | 일본 최초의 대형 액체 로켓 발사.[21] 발사 당일, 액체 산소(LOX) 저장 탱크 가압 작업 불량으로 LOX를 채울 수 없게 되었으나, 결사대가 수동 밸브로 LOX 저장 탱크를 가압하여 발사함. |
2호기 (N2F) | 1976년 2월 29일 | 성공 | 우메 | 전리층 관측 위성 | LEO | |
3호기 (N3F) | 1977년 2월 23일 | 성공 | 기쿠 2호 | 기술시험 위성 II형 | GEO | 일본 최초의 정지 위성 |
4호기 (N4F) | 1978년 2월 16일 | 성공 | 우메 2호 | 전리층 관측 위성 | LEO | |
5호기 (N5F) | 1979년 2월 6일 | 일부 실패 | 아야메 | 실험용 정지 통신 위성 | GTO | 위성 분리 직후 3단 로켓과 위성 충돌, 정지 궤도 진입 실패 |
6호기 (N6F) | 1980년 2월 22일 | 성공 | 아야메 2호 | 실험용 정지 통신 위성 | GTO | GTO 진입(발사) 성공, 위성의 아포지 모터 분사 시 통신 두절 |
7호기 (N9F) | 1982년 9월 3일 | 성공 | 기쿠 4호 | 기술시험 위성 III형 | LEO |
4. 1. 발사체 목록
번호 | 발사일 (GMT) | 비행 | 탑재체 | 결과 |
---|---|---|---|---|
1 | 1975년 9월 9일 | F1 | ETS-1 (Kiku1) | 성공 |
2 | 1976년 2월 29일 | F2 | ISS-1 (Ume1) | 성공 |
3 | 1977년 2월 23일 | F3 | ETS-2 (Kiku2) | 성공 |
4 | 1978년 2월 16일 | F4 | ISS-2 (Ume2) | 성공 |
5 | 1979년 2월 6일 | F5 | ECS-A (Ayame1) | 일부실패 |
6 | 1980년 2월 22일 | F6 | ECS-B (Ayame2) | 성공 |
7 | 1982년 9월 3일 | F7 | ETS-3 (Kiku3) | 성공 |
발사 번호 | 날짜 / 시각 (UTC) | 발사 기지 | 탑재체[8] | 탑재체 질량 | 궤도 | 발사 결과 |
---|---|---|---|---|---|---|
1(F) | 1975년 9월 9일 05:30[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기술 시험 위성 1호 "KIKU-1"(ETS-I) | 82.5kg[10] | LEO | 성공 |
2(F) | 1976년 2월 29일 03:30[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전리층 관측 위성 "UME"(ISS) | 139kg[11] | LEO | 성공 |
3(F) | 1977년 2월 23일 08:50[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기술 시험 위성 2호 "KIKU-2"(ETS-II) | 130kg[12] | GTO | 성공 |
4(F) | 1978년 2월 16일 04:00[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전리층 관측 위성 "UME-2"(ISS-b) | 141kg[11] | LEO | 성공 |
5(F) | 1979년 2월 6일 08:46[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실험 통신 위성 "Ayame"(ECS) | 130kg[13] | GTO | 부분 실패 |
6(F) | 1980년 2월 22일 08:35[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실험 통신 위성 "Ayame-2"(ECS-b) | 130kg[13] | GTO | 성공 |
9(F) | 1982년 9월 3일 05:00[9] |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 | 기술 시험 위성 3호 "KIKU-4"(ETS-III) | 385kg[14] | LEO | 성공 |
ETS-1은 NASDA가 발사한 최초의 위성이었다. 이 위성은 N-시리즈 발사체, 궤도 진입, 추적 및 제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0] 1982년 4월 28일에 운용이 종료되었다.
UME는 일본 최초의 [전리층 탐사 위성]이었다.[11] 이 위성은 전리층의 전파를 감시하고 단파 통신 상태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다. 전원 공급 문제로 인해 UME는 발사 후 한 달 만에 작동을 멈췄다.[15]
KIKU-2는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NASDA)가 정지 궤도에 발사한 최초의 위성이었다.[12] 이 위성은 정지 궤도 위성 발사, 추적, 제어, 궤도 유지 및 자세 제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 장비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KIKU-2는 1990년 12월 10일에 운영을 중단하고 정지 궤도를 벗어났다.
UME-2는 최초의 UME 위성과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목표 수행에 있어서 훨씬 더 성공적이었다. UME-2는 원래 1년 반 동안만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었으나, 1983년 2월 23일에 운용이 중단되었다.
ECS 위성은 두 대 모두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다. 첫 번째 ECS 발사 과정에서 3단 로켓이 위성 분리 직후 위성과 충돌했다. ECS-2 발사 과정에서는 위성이 분리된 직후 전송을 중단했다. 이 위성은 밀리미터파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웹사이트는 "우리는 이 경험을 통해 위성 분리 기술과 원지점 엔진에 대한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고 밝히고 있다.[13]
KIKU-4는 고출력 요구 사항을 가진 지구 관측 위성 설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4] KIKU-4는 3축 자세 제어, 전개형 태양 전지판, 가동형 열 제어 및 이온 엔진 작동 테스트를 완료했다. 1985년 4월 8일, 위성은 연료가 소진되어 작동을 중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elta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09-03
[2]
웹사이트
N-Iロケット開発の歩み
https://www.jstage.j[...]
Yukihiko Takenaka, NASDA
2011-02-10
[3]
웹사이트
三菱重工 名古屋誘導推進システム製作所 事業所紹介 沿革
http://202.228.55.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2011-02-10
[4]
웹사이트
第1部 創造性豊かな科学技術を求めて 第2章 自主技術開発への展開 第3節 先導的・基盤的科学技術分野における自主技術開発の展開 2.宇宙開発
http://www.mext.go.j[...]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1-02-10
[5]
웹사이트
JAXA Digital Archives
http://jda.jaxa.jp/j[...]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2009-10-01
[6]
웹사이트
N-1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8-08-31
[7]
웹사이트
Space Station Command Change Is One Giant Leap (Day) for Space History
https://www.space.co[...]
Space.com
2017-11-02
[8]
웹사이트
JAXA {{!}} N-I Launch Vehicle
https://global.jaxa.[...]
2024-02-18
[9]
웹사이트
Thor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Report
2008-08-31
[10]
웹사이트
JAXA {{!}} Engineering Test Satellite I "KIKU-1" (ETS-I)
https://global.jaxa.[...]
2024-02-18
[11]
웹사이트
JAXA {{!}} Ionosphere Sounding Satellite "UME" (ISS)
https://global.jaxa.[...]
2024-02-18
[12]
웹사이트
JAXA {{!}} Engineering Test Satellite II "KIKU-2" (ETS-II)
https://global.jaxa.[...]
2024-02-18
[13]
웹사이트
JAXA {{!}} Experimental Communications Satellites "Ayame" (ECS)
https://global.jaxa.[...]
2024-02-18
[14]
웹사이트
JAXA {{!}} Engineering Test Satellite III "KIKU-4" (ETS-III)
https://global.jaxa.[...]
2024-02-18
[15]
웹사이트
ISS a, b (Ume 1, 2)
https://space.skyroc[...]
2024-02-18
[16]
서적
日本の人工衛星
ダイヤモンド社
1971-08-12
[17]
웹사이트
宇宙開発事業団(NASDA)沿革
https://www.jaxa.jp/[...]
JAXA公式サイト
2023-09-03
[18]
논문
N-Iロケット開発の歩み
https://www.jstage.j[...]
日本航空宇宙学会
2023-09-03
[19]
서적
図説 宇宙開発新時代
1989-07-25
[20]
서적
新版 日本ロケット物語
2003-09-29
[21]
웹사이트
宇宙こぼれ話 代表取締役社長 虎野吉彦 第10回 ある勇者達の話(第10回)
http://www.cosmotec-[...]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2018-10-11
[22]
뉴스
非군사에서 군사로, 전범국가의 놀라운 집념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12-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