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GC 45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457은 1780년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산개성단이다. 태양으로부터 약 7,900광년 이상 떨어져 있으며, 추정 나이는 2,100만 년이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쉽게 관측할 수 있으며, '올빼미 성단' 또는 'E.T. 성단'으로 불리기도 한다. 카시오페이아자리 파이와 HD 7902 등 밝은 별들을 포함하며, 약 150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7년 발견한 천체 - 오베론 (위성)
    1787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천왕성의 가장 바깥쪽 위성인 오베론은, 충돌구와 협곡으로 뒤덮인 표면을 가진 천왕성 위성 중 가장 오래된 표면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 자료가 유일하다.
  • 1787년 발견한 천체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카시오페이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는 겉보기 등급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분출 변광성이자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 변광성의 대표 별로, 빠른 회전 속도와 적도 팽창, 뜨거운 가스 원반을 특징으로 하며 X선 방출 메커니즘에 대한 논쟁이 있고, 분광 쌍성을 포함하는 다중성계이며 'Navi'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콜드웰 천체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콜드웰 천체 - NGC 2403
    NGC 24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M81 은하군 소속의 정면나선은하로, 8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국부 은하군 너머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이 처음 발견되었고, 활발한 별 형성 활동과 왜소 은하 동반, 그리고 밝은 청색 변광성들을 포함한다.
NGC 457
기본 정보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 성단 NGC 457
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 성단 NGC 457
별칭올빼미 성단 (Owl Cluster)
E.T. 성단 (E.T. Cluster)
Caldwell 13
Cr 12
Mel 7
OCL 321
Lund 43
H VII-42
h 97
GC 256
위치
별자리카시오페이아자리
적경 (J2000.0)01h 19m 32.6s
적위 (J2000.0)+58° 17′ 27″
거리7922 광년 (2429 파섹)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 (V)6.4
시직경 (V)13.0′

2. 발견

윌리엄 허셜에 의해 1780년 8월 18일, 6.2인치 반사 망원경으로 발견되었으며, VII 42로 분류되었다.[3]

3. 관측

(내용 없음)

3. 1. 관측 특징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대상이며, 빛 공해가 있는 하늘에서도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

4. 특징

NGC 457은 태양으로부터 7900ly 이상 떨어져 있으며, 추정 나이는 약 2,100만 년이다.[1] 이 성단은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 독특한 모습 때문에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4]

4. 1. 구성원

이 성단은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 때때로 '올빼미 성단'[4] 또는 영화 E.T. 캐릭터와 닮았다고 하여 'E.T. 성단'으로 불린다.

성단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두 별은 카시오페이아자리 파이(겉보기 등급 5, 분광형 F0)와 HD 7902(겉보기 등급 7)이다. 이 두 별은 마치 올빼미나 E.T.의 눈처럼 보인다. 하지만 카시오페이아자리 파이가 실제로 NGC 457 성단의 구성원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1] 만약 구성원이라면, 이 별은 리겔보다도 훨씬 밝은,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참고로, 만약 태양이 카시오페이아자리 파이와 같은 거리에 있다면 겉보기 등급은 17.3등급에 불과할 것이다.[1]

그 다음으로 밝은 별은 적색 초거성이자 변광성인 V466 Cassiopeiae이다.[1] 전체적으로 NGC 457은 겉보기 등급 9등급에서 13등급 사이의 별 약 15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에서 약 60개의 별이 실제 성단의 구성원으로 확인되었다.[1] 성단의 추정 나이는 약 2,100만 년이다.[1]

5. 갤러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위치한 NGC 457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NGC 457(중앙)와 산개성단 NGC 436(오른쪽 하단)의 모습.

참조

[1] 논문 Open Clusters as Galactic Disk Tracers. I. Project Motivation, Cluster Membership, and Bulk Three-Dimensional Kinematics
[2] 웹사이트 The Dragonfly Cluster (Open Cluster) https://in-the-sky.o[...] 2020-10-28
[3] 웹사이트 NGC 457, Owl Cluster, E.T. https://www.deepskyc[...] 2022-05-28
[4] 웹사이트 NGC 457 http://cs.astronomy.[...] Astronomy Magazine 2020-10-13
[5] 논문 Open Clusters as Galactic Disk Tracers. I. Project Motivation, Cluster Membership, and Bulk Three-Dimensional Kinematics
[6] 웹사이트 今月の「星にまつわる英語」 http://www.town.inag[...] 猪名川天文台
[7] 웹사이트 NGC 457 http://www.ngcicproj[...] The NGC/IC Project Database 2012-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