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 199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GC 1999는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반사 성운으로, 내부 별의 빛을 받아 주변 가스 구름이 밝게 빛난다.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당시에는 짙은 먼지로 가려진 암흑 성운으로 추정되었으나, 헤르셸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관측 결과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임이 밝혀졌다. 이 공동은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되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NGC 1999는 윌리엄 허셜과 캐롤라인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9세기 NGC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사성운 - 플레이아데스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M45)은 황소자리에 위치한 밝은 산개성단으로, 10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억 년 정도의 나이를 가지고 있고, 주변에는 반사성운이 존재하며, 약 44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명칭과 신화를 가지고 있다. - 반사성운 - IC 5146
IC 5146은 활발한 별 형성 영역으로, 방출 성운과 꼬리 모양의 적외선 암흑 분자 구름을 동시에 나타내며, 스피처와 찬드라 관측으로 어린 별들과 B1 분광형 별 BD +46 3474, 허빅 Ae/Be 별 BD +46 3471 등이 확인되었다. -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 - 메이사
오리온자리의 거성 메이사는 '빛나는 존재'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람다 오리온 성단의 주요 구성원으로 거대한 성운 고리를 형성하고 이중성으로 존재하며 초신성 폭발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오리온자리 - 오리온자리 V380
오리온자리 V380은 B9~A1형 허빅 Ae/Be형 항성인 주성을 중심으로, 원시행성계 원반, 차가운 동반성, 세 번째 별, 그리고 중력적으로 결합된 네 번째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며, 강력한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한 항성풍 충격파를 형성한다. - 오리온자리 - 오리온자리 팔
오리온자리 팔은 태양계가 위치한 우리 은하의 국부 나선팔로, 밝은 별들과 유명한 천체들을 포함하며 궁수자리 팔과 페르세우스 팔 사이에 위치하고, 최근 연구에 따라 주요 나선팔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NGC 1999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반사 성운 |
별자리 | 오리온자리 |
거리 | 약 1,500 광년 |
반지름 | ~0.3 광년 |
크기 | 1.5 아크분 |
다른 이름 | NGC 1999 |
좌표 (J2000) |
2. 특징
NGC 1999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않고, 내부에 있는 오리온자리 V380의 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인다. 마치 안개 속 가로등처럼 빛이 뿌옇게 퍼져 보이는 특징이 있다. 주변에는 짙은 구름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보크 구상체의 일종으로 추정되었었다. 보크 구상체 내부에서는 중력 붕괴로 인해 새로운 항성이 태어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근처에서 허빅-아로 천체(갓 태어난 항성에서 분출되는 가스 제트)가 관측되기도 했다.
2. 1.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이 성운은 1999년 허블 우주 망원경에 의해 관측되었고, 지름 0.2ly의 어두운 영역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짙은 먼지가 뒤의 빛을 가리고 있는 일반적인 암흑 성운의 모습으로 생각되었다.[5]2. 2. 헤르셸 우주 망원경 관측
헤르셸 우주 망원경이 2010년에 이 성운을 적외선으로 관측했으나, 어두운 영역에서 천체가 발견되지 않았다.[6] 이는 기존의 암흑 성운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였다. 헤르셸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지상 관측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먼지 덩어리로 여겨졌던 검은 그림자는 사실상 먼지가 거의 없는 공동(空洞)임이 밝혀졌다. 이 공동은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제트가 주변 물질을 밀어내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6][7]2. 3. 공동(Cavity)의 발견
헤르셸 우주 망원경이 2010년에 이 성운을 관측했고, 먼지에 가리기 어려운 적외선으로 성운 내부를 관측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어두운 영역에서 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6] 헤르셸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지상 관측이 이루어졌고, 먼지 덩어리로 생각되었던 검은 그림자는 실제로는 먼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공동임이 확인되었다. 이 구조는 형성 중인 오리온자리 V380 별에서 분출하는 제트가 주변의 물질을 밀어내면서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6][7]3. 발견
윌리엄 허셜과 그의 여동생 캐롤라인이 200년 전에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19세기 NGC에 1999번 천체로 등록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ubble Peers at Mysterious Cosmic ‘Keyhole’ - NASA Science
https://science.nasa[...]
2023-12-20
[2]
웹사이트
Cosmic Keyhole
https://www.spacetel[...]
2023-12-20
[3]
논문
Hubble Space Telescope Observations of Proper Motions in Herbig-Haro Objects 1 and 2
2002-05-01
[4]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https://simbad.u-str[...]
SIMBAD, CDS
2010-05-14
[5]
웹사이트
Hubble Takes a Close-up View of a Reflection Nebula in Orion
https://web.archive.[...]
HubbleSite
2010-05-14
[6]
뉴스
ハーシェル望遠鏡が発見した宇宙の穴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ニュース
2016-05-22
[7]
뉴스
星雲に開いた巨大な穴
https://www.astroart[...]
アストロアーツ
2010-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