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GLE-2005-BLG-390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GLE-2005-BLG-390L은 지구에서 약 2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별로, 미시중력렌즈 기술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이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OGLE-2005-BLG-390Lb가 발견되었으며,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5.5배로 추정된다. OGLE-2005-BLG-390Lb는 모항성으로부터 약 2.6 천문 단위 떨어진 궤도를 돌고 있으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어 얼음으로 덮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발견 당시 OGLE-2005-BLG-390Lb는 주계열성을 도는 외계 행성 중 가장 작은 질량을 가진 행성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이러한 저온 행성의 발견은 행성 형성 이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력렌즈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MB)은 빅뱅 이후 남은 잔광으로 여겨지는 2.725 K의 극저온 흑체 복사이며, 미세한 온도 비등방성을 통해 초기 우주 구조 형성, 우주 팽창, 우주론 모델 검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하고, 특히 편광 측정은 우주 급팽창 이론과 원시 중력파 존재 확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력렌즈 - 아인슈타인 십자가
아인슈타인 십자가는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퀘이사가 렌즈 은하의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4개의 상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적색왜성 - 카노푸스
카노푸스는 용골자리에 있는 밤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로, 태양보다 1만 배 이상 밝은 F형 초거성이며, 고대부터 항해와 우주 탐사에 활용되어 온 중요한 천체이다. - 적색왜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OGLE-2005-BLG-390L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전갈자리 |
겉보기 등급 | 15.7 |
고유 명칭 | EWS 2005-BUL-390, EWS 2005-BLG-390 |
위치 정보 | |
거리 | 21,500 ± 3,300 광년 (6,600 ± 1,000 파섹) |
물리적 특성 | |
분광형 | M4 |
질량 | 0.22 태양질량 |
2. 행성계
미시중력렌즈 관찰기법을 통해 OGLE-2005-BLG-390L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OGLE-2005-BLG-390Lb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2006년 1월 25일에 공식 발표되었다.[4]
2. 1.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에는 외계 행성 OGLE-2005-BLG-390Lb가 존재한다. 이 행성은 미시중력렌즈 관찰기법으로 발견되었으며, 2006년 1월 25일에 발견 사실이 공식 발표되었다.[4]
2. 1. 1. 물리적 특징
이 별을 도는 행성 OGLE-2005-BLG-390Lb는 질량을 고려할 때 슈퍼지구일 확률이 크다. 그러나 질량만 가지고는 이 행성이 실제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질량 및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할 때, 이 행성의 표면 온도는 50 켈빈 수준일 것이며 따라서 만약 암석 행성일 경우 표면은 대부분 얼음으로 덮여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스 행성일 경우 겉모습은 덩치 작은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비슷해 보일 것이다.[4]OGLE-2005-BLG-390Lb는 한때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가장 작은 외계 행성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암석형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 낮은 질량과 약 50 K로 추정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이 행성은 명왕성이나 천왕성처럼 주로 얼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2. 1. 2. 궤도
OGLE-2005-BLG-390L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OGLE-2005-BLG-390Lb는 미시중력렌즈 관찰기법을 응용하여 발견되었다.[4]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약 5배이며, 항성을 2.6천문단위 떨어져서 돌고 있다. 궤도 요소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공전 주기는 약 3500일로 추정된다.
2. 1. 3. 의의
OGLE-2005-BLG-390Lb는 발견 당시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중 가장 작은 질량을 가진 행성 중 하나로 여겨졌다. 질량은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며, 암석형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 낮은 질량과 약 50 K로 추정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명왕성이나 천왕성처럼 목성과 같은 가스 행성이 아니라 주로 얼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저온 행성의 발견 사례는 행성 형성 이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참조
[1]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NAME OGLE 2005-BLG-390 -- (Micro)Lensing Event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4-30
[2]
웹사이트
SIMBAD query result: NAME OGLE 2005-BLG-390 -- (Micro)Lensing Event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4-30
[3]
웹인용
SIMBAD query result: NAME OGLE 2005-BLG-390 -- (Micro)Lensing Event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06-10
[4]
저널
Discovery of a cool planet of 5.5 Earth masses through gravitational microlens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