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PS-14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PS-14는 1971년 개발된 일본의 2차원 L밴드 레이더이다. OPS-1/2 계열의 기술을 발전시켜 전자전 회피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1973년부터는 이동 표적 탐지 기술을 도입하여 클러터 억제 성능을 강화했다. 치쿠고급, 하츠유키급, 아사기리급, 아부쿠마급 호위함을 비롯하여 기뢰 부설함, 소해 모함, 수송함, 훈련 지원함, 연습함 등 다양한 함정에 탑재되었다. 해상보안청의 순시선 시키시마에도 탑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상자위대의 레이더 장비 - OPS-12
    OPS-12는 해상자위대의 3차원 대공 레이더로, S 밴드를 사용하며 120km의 탐지거리를 가지며, 하타카제급, 시라네급 등에 탑재되었으나 OPS-24로 대체되었다.
  • 해상자위대의 레이더 장비 - OPS-24
    OPS-24는 미쓰비시 전기에서 개발한 해상자위대 함재 AESA 레이더로, J/FPS-3 레이더를 기반으로 호위함 탑재를 위해 소형화되었으며, 초기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한 B형 모델과 액티브 소자를 증가시킨 OPS-24C 모델이 있다.
  • 해상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 해상 레이더 - AN/SPY-3
    AN/SPY-3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X 대역 다기능 위상 배열 레이더 시스템으로, 8~12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며 줌왈트급 구축함과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에 탑재되어 표적 식별 및 미사일 표적 조명에 사용된다.
OPS-14
레이더 정보
이름OPS-14
세토유키 탑재 OPS-14B
국가일본
도입 년도1971년
역할장거리 탐색
종류2차원 레이더
주파수L밴드
안테나코시컨트 제곱 특성 안테나
빔 폭수평 5도, 수직 30도
탐지 거리200 km (110 해리) 이상
첨두 전력400 kW
제조사미쓰비시 전기

2. 개발 배경 및 제원

1950년대 초, 일본은 미국의 군사 원조 계획(MAP)에 따라 AN/SPS-6 레이다를 도입하여 하루카제급 구축함에 탑재했다. 이를 기반으로 국산 OPS-1 레이다를 개발하여 아키즈키급 구축함에 탑재하였다.

OPS-14는 52DD(하츠유키급 구축함)에 탑재된 시 스패로우 IBPDMS에 맞는 성능을 갖추고 있었고, 헬리콥터 탑재 호위함(DDH) 및 미사일 탑재 호위함(DDG)과의 레이더 수색 범위 명확화를 위해 도입되었다. 성능과 신뢰성은 만족스러웠으나, 기존 구축함에 탑재된 OPS-11에 비해 최대 탐지 거리가 절반에 불과해 단독 작전 시 대공 경계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2] 이러한 이유로 1985년 이후 구축함은 OPS-24로 갱신되었다.[3] 그러나 이후에도 호위함 및 기타 보조함에 OPS-14가 탑재되었다.

일본 해상보안청1990년 예산으로 2대의 헬기를 탑재한 순찰선 시키시마를 건조하여 플루토늄 운반선을 호위했는데, 이 함선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테러 공격에 대한 경계에도 사용되었다.[1]

2. 1. 기술적 발전

1950년대 초,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군사 원조 계획(MAP)에 따라 AN/SPS-6를 입수하여 ''하루카제''급 구축함에 탑재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산 OPS-1을 개발했다. OPS-1은 최초의 ''아키즈키''급 구축함에 탑재되었다. ''아야나미''급 구축함에는 AN/SPS-6의 개량형인 AN/SPS-12가 탑재되었으며, 이 기술은 OPS-1에도 적용되었다. 이후, ''이즈즈''급 호위함에 탑재하기 위해 송신기와 수신기는 동일하지만 안테나가 더 작은 OPS-2가 개발되었다. OPS-2의 PV-2 표적 탐지 최대 거리는 50nmi였다. OPS-14는 이 OPS-1/2 계열을 발전시켜 개발되었다.

OPS-14는 완전 트랜지스터 안테나를 채택했으며, 안테나로는 전형적인 코시컨트 제곱 특성의 성형 빔 안테나를 사용했다. ECCM(전자전 회피) 성능 향상을 위해 주파수 어질리티 방식도 도입되었다. 1967년부터 탑재가 시작되었으며, 최초 적용 사례는 ''치쿠고''급 호위함이었다. 1973년부터는 이동 목표 탐지(MTI) 기술을 도입하여 클러터 억제 성능을 강화한 OPS-14B로 전환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마그네트론이 발진기로 사용되었지만, OPS-14C에서는 펄스 압축 기술 도입과 함께 클라이스트론으로 변경되어 ECCM 능력이 강화되었다.[2]

''하츠유키''급 구축함에 이어 OPS-14B가 도입되었고, 이의 개량형인 ''아사기리''급 구축함에는 OPS-14C가 탑재되었다.

OPS-14B 후면 사진.

2. 2. 개량형

1973년부터 이동 표적 탐지(MTI) 기술을 도입하여 클러터 억제 성능을 강화한 OPS-14B로 전환되었다.[2] OPS-14C에서는 펄스 압축 기술 도입과 함께 발진기를 마그네트론에서 클라이스트론으로 변경하여 ECCM(전자전 회피) 능력이 더욱 강화되었다.[2]

2. 3. 제원


  • '''종별:''' 2차원 레이다
  • '''취역 년도:''' 1971년
  • '''주파수:''' L밴드
  • '''빔 폭:''' 수평 5도, 수직 30도
  • '''전력:''' 최대 400 kW
  • '''탐지거리:''' 200km[8]

3. 운용 및 한계

OPS-14는 1967년 치쿠고급 호위함에 처음 탑재된 이후, 하츠유키급 구축함, 아사기리급 구축함, 아부쿠마급 호위 구축함 등 다양한 함정에 탑재되었다. 초기형은 완전 트랜지스터 안테나를 사용했고, 주파수 도약 방식을 도입하여 전자전 회피(ECCM) 성능을 향상시켰다. 1973년부터는 이동 표적 탐지(MTI) 기술을 도입한 OPS-14B, 이후에는 펄스 압축 기술과 클라이스트론 발진기를 사용한 OPS-14C로 개량되었다.[2]

3. 1. 성능 평가

초기에는 성능과 신뢰도가 모두 만족스러웠다. 그러나 기존 구축함에 탑재된 OPS-11에 비해 최대 탐지 거리가 약 절반에 불과하여, 단독 작전 시 대공 경계 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2] 이러한 이유로 1985년 이후의 구축함은 새로운 3차원 레이더 OPS-24로 갱신되었다.[3]

3. 2. 대체

이러한 한계 때문에 1985년 이후 건조된 주력함에는 새로운 3차원 레이더인 OPS-24로 대체되었다.[3] 하지만 OPS-14는 이후에도 호위함 및 보조함에 계속 탑재되었다. 또한 일본 해상보안청은 1990년 예산으로 2대의 헬기를 탑재한 순시선 시키시마를 건조하여 플루토늄 운반선을 호위했는데, 이 함선은 헬리콥터를 이용한 테러 공격에 대한 경계에도 사용되었다.[1]

4. 탑재 함정

OPS-14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정과 해상보안청 순시선에 탑재된 레이더이다. 구체적인 탑재 함정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해상자위대

(해상보안청)시키시마


4. 2. 해상보안청

해상보안청 순시선 시키시마에 탑재되었다.[1]

참조

[1] 서적 Self-Defense Force Equipment Yearbook 2006-2007 Chaoyun News Agency 2006-07-15
[2] 서적 History of domestic escort ship construction (14th) Third Defense (Part 2) Escort ship construction record, district corps reorganization, Chikugo type 4 escort corps group system, Tachikaze type (part 1), World Ships Gaijinsha
[3] 서적 History of Domestic Escort Ship Construction (25th), Ships of the World Gaijinsha 2015-01
[4] 서적 自衛隊装備年鑑 2006-2007 朝雲新聞社
[5] 간행물 国産護衛艦建造の歩み(第14回)3次防(その2)護衛艦建造実績,地方隊改編,「ちくご」型 4個護衛隊群体制,「たちかぜ」型(その1) 海人社
[6] 간행물 国産護衛艦建造の歩み(第25回) 海人社
[7] 문서
[8] 서적 海上自衛隊の現有艦載レーダー」、『世界の艦船』第607号、海人社、2003年2月、 42-44頁、 https://ci.nii.ac.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