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KKY 상호작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KKY 상호작용은 전도 전자를 매개로 하여 국소 스핀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이다. s-d 상호작용 해밀토니안을 통해 유도되며, 국소 스핀 사이에는 전도 전자의 스핀 분극이 거리의 3제곱으로 감쇠하며 진동하면서 작용한다. RKKY 상호작용은 희토류 화합물의 자성, 전이 금속 화합물의 스핀 유리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거대 자기 저항(GMR) 현상, 희토류 및 전이 금속 화합물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RKKY 상호작용 | |
---|---|
개요 | |
이름 | RKKY 상호작용 (RKKY相互作用) |
로마자 표기 | RKKY sanghojakyong |
설명 | 전도 전자를 통해 핵 스핀 사이에 간접 결합을 매개하는 상호작용 |
유형 | 간접 교환 상호작용 |
역사 및 배경 | |
명명 유래 | 마사오 요시다, 코지 카수야, 마틴 A. 루더만, 찰스 키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발견 시기 | 1950년대 |
연구 배경 | 희토류 금속의 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 연구 중 초미세 구조 상수 설명 필요성 대두 |
요시다의 기여 | 금속 구리-망간 합금의 자기적 성질 연구 (1957년) |
이론적 설명 | |
상호작용 메커니즘 | 핵 스핀이 전도 전자를 분극시킴 분극된 전자가 다른 핵 스핀과 상호작용하여 간접적인 결합 형성 |
해밀토니안 (H) | H = - Σ[i |
J(Rij) | 핵 스핀 i와 j 사이의 상호작용 강도, 거리 (Rij)에 따라 진동하며 감소하는 함수 |
스핀 유리 | RKKY 상호작용은 스핀 유리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 |
상호작용 범위 | 장거리 상호작용 금속 내에서 비교적 먼 거리까지 영향 미침 |
응용 분야 | |
스핀트로닉스 | 자기 저항 효과, 스핀 밸브 등 스핀 기반 소자 개발에 응용 |
다층 박막 | 강자성 다층 박막의 자기적 특성 제어에 활용 |
자기 기록 매체 | 고밀도 자기 기록 매체 개발에 기여 |
양자 컴퓨팅 | 스핀 기반 양자 비트 제어에 응용 가능성 제시 |
특징 | |
진동적 특성 | 거리(R)에 따라 강자성 또는 반강자성으로 상호작용 |
감쇠 | 거리 증가에 따라 상호작용 강도가 감소 |
재료 의존성 | 재료의 전자 구조에 따라 상호작용 특성이 달라짐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간접 교환 상호작용 스핀 유리 스핀트로닉스 |
2. 역사
RKKY 상호작용은 1950년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마빈 루더만과 찰스 키텔이 처음 제안했으며,[6] 이후 나고야 대학의 카스야 타다오,[7]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요시다 케이[8]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2. 1. 초기 모델
1950년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마빈 루더만과 찰스 키텔은 천연 금속 은에서 관찰되는 넓은 핵 스핀 공명선을 설명하기 위해 RKKY 상호작용 모델을 처음 제안했다.[6] 이들은 전도 전자가 한 원자핵의 스핀과 상호작용하고, 이 전도 전자가 다시 다른 원자핵 스핀과 상호작용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했다.2. 2. 모델의 발전
나고야 대학의 카스야 타다오는 RKKY 상호작용이 핵 스핀뿐만 아니라 희토류 금속의 f 전자 또는 전이 금속의 d 전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7]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요시다 케이는 국소 스핀을 전도 전자로 대체하는 일반화된 모델을 제시하고, (d 전자 스핀) - (d 전자 스핀), (핵 스핀) - (핵 스핀), (d 전자 스핀) - (핵 스핀)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해밀토니안을 제시했다.[8] J.H. 반 블렉은 1차 및 2차 섭동적 기여 간의 관계를 밝혀내는 등 이론의 미묘한 점을 명확히 했다.3. 이론적 설명
RKKY 상호작용은 s-d 상호작용을 통해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s-d 상호작용은 전도 전자의 스핀 분극을 통해 국소 스핀 사이에 작용하며, 거리에 따라 진동하면서 감쇠하는 특성을 보인다.
3. 1. s-d 상호작용 해밀토니안
s-d 상호작용은 다음 해밀토니안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 는 각각 전도 전자의 스핀, (d전자 또는 f전자의) 국소 스핀을 나타낸다. ()는 파수 k'(k), 스핀 ()의 전도 전자의 생성(소멸) 연산자를 나타낸다.
3. 2. RKKY 상호작용 유도
s-d 상호작용은 다음 해밀토니안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 는 각각 전도 전자의 스핀, (d전자 또는 f전자의) 국소 스핀을 나타낸다. ()는 파수 k'(k), 스핀 ()의 전도 전자의 생성(소멸) 연산자를 나타낸다. s-d 상호작용에 의해 국소 스핀 사이에는 전도 전자의 스핀 분극이 거리의 3제곱으로 감쇠하며 진동하면서 작용한다(RKKY 상호작용).
거리 만큼 떨어진 국소 스핀 과 사이에 작용하는 RKKY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쓰인다.
:
여기서 , 는 페르미 에너지, 는 전도 전자의 수, 는 페르미 파수이다.
4. 응용
RKKY 상호작용은 거대 자기 저항(GMR) 이론과 희토류 화합물의 자성, 전이 금속 화합물의 스핀 유리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
4. 1. 거대 자기 저항 (GMR)
RKKY 이론의 중요한 응용 분야로는 거대 자기 저항(GMR) 이론이 있다. 얇은 비자성 재료로 격리된 자성 재료를 만들었을 때 자성 재료 층 간의 상호 작용이 층 간 거리를 늘려감에 따라 강자성과 반강자성 사이에서 진동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강자성/반강자성 진동은 RKKY 이론의 한 가지 예측이다.[8]4. 2. 희토류 및 전이 금속 화합물
RKKY 상호작용은 희토류 화합물의 자성이나 전이 금속 화합물의 스핀 유리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참조
[1]
논문
Spin Glasses
http://dx.doi.org/10[...]
1989-07
[2]
서적
Spin glasses and complex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3]
논문
Magnetic Properties of Cu-Mn Alloys
[4]
논문
Spin engineering: Direct determination of the Ruderman-Kittel-Kasuya-Yosida far-field range function in ruthenium
[5]
논문
Ruderman-Kittel-Kasuya-Yosida range function of a one-dimensional free-electron gas
[6]
간행물
Phys. Rev. 96, 99
1954
[7]
간행물
Prog. Theor. Phys. 16, 45
1956
[8]
간행물
Phys. Rev. 106, 893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