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esktop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desktop은 리눅스 및 기타 운영 체제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에 연결하기 위한 오픈 소스 클라이언트이다. RDP 5.2 프로토콜의 대부분을 구현하며, 비트맵 캐싱, 파일 시스템, 오디오, 시리얼 포트, 프린터 포트 리디렉션, 다양한 키보드 매핑, 스트림 압축, 암호화, 자동 인증, 스마트 카드 지원, RemoteApp과 유사한 Seamless 모드, 네트워크 수준 인증 등을 지원한다. 다중 모니터 표시, 데스크톱 컴포지션, RemoteFX, USB 장치 리디렉션과 같은 일부 기능은 아직 지원되지 않는다. Rdesktop은 ReactOS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가 실행되는 윈도우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GUI 클라이언트와 씬 클라이언트 배포판에 통합되어 있다. 2001년 SourceForge.net으로 이전하며 커뮤니티가 성장했으나 개발이 정체되었고, 2011년 Cendio사가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개발이 재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 클라이언트 - 데스크톱 가상화
데스크톱 가상화는 시스템 환경 정보나 환경 자체를 원격 장치에 제공하여 중앙 서버에서 여러 사용자가 개별 데스크톱 환경을 이용하는 기술로, 하드웨어 비용 절감, 보안 강화, 관리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지만, 드라이버 설정, 네트워크 의존성 증가 등의 단점도 있다. - 자유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 제로넷
제로넷은 중앙 서버 없이 P2P 방식으로 운영되어 검열에 저항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웹사이트 개발이 가능하고 제로넷-컨서번시 포크를 통해 기능 추가 및 새로운 P2P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이 진행 중이다. - 자유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 TightVNC
TightVNC는 저대역폭 연결 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된 VNC 소프트웨어로, 자체 기술인 "타이트 인코딩"을 사용하여 JPEG 및 zlib 압축 방식을 결합하고 파일 전송, 화면 업데이트 감지, 그림 확대/축소, 유닉스 환경에서의 자동 SSH 터널링 등의 추가 기능을 제공하며, TightVNC Portable Edition, 터보VNC, 타이거VNC 등의 파생 소프트웨어가 있다. - 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PostgreSQL
PostgreSQL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분교의 Ingres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개발자들의 협력을 통해 발전해온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이다. - 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 김프
김프(GIMP)는 GNU 프로젝트에서 개발된 크로스 플랫폼 기반의 무료 오픈소스 래스터 그래픽 편집기로,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비판과 일부 기능의 부족함에 대한 평가도 존재한다.
Rdesktop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개발자 | rdesktop 팀 |
출시일 | 2001년 4월 4일 |
최신 버전 | 1.9.0 |
최신 버전 출시일 | 2019년 10월 11일 |
운영 체제 | 유닉스 계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비공식) |
장르 | 마이크로소프트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클라이언트 |
라이선스 | GPL-3.0-or-later |
웹사이트 | http://www.rdesktop.org/ |
2. 기능
rdesktop은 RDP 버전 5의 주요 기능을 대부분 지원하며, 스트림 압축 및 암호화, 자동 인증, 스마트카드 지원, 네트워크 수준 인증 등을 포함한다. 또한 RemoteApp와 유사한 심리스 모드도 지원한다.
하지만 RDP 5.1 및 RDP 6 이후 버전에서 추가된 일부 고급 기능(예: 다중 모니터 지원, 창 구성)과 특정 기능들(예: 연결 끊김 시 클라이언트 리디렉션, 원격 지원 요청, USB 장치 리디렉션)은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일부 미구현 기능에 대한 정보는 MSD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desktop은 주로 ReactOS나 리눅스 환경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에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tsclient, Gnome-RDP, KDE 원격 데스크톱 연결 (KRDC)과 같은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론트엔드가 존재하며, 여러 씬 클라이언트 리눅스 배포판이나 씬 클라이언트 기기에도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4]
2. 1. 지원 기능
2013년 8월 기준으로, rdesktop은 RDP 5.2 버전의 주요 기능을 대부분 구현하고 있다. 지원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비트맵 캐싱
- 파일 시스템, 오디오, 시리얼 포트, 프린터 포트 리디렉션
- 대부분의 국제 키보드 매핑 지원
- 스트림 압축 및 암호화
- 자동 인증
- 스마트카드 지원
- RemoteApp와 유사한 "심리스(seamless)" 모드 지원 (SeamlessRDP 기술 활용)
- 네트워크 수준 인증 (NLA, RDP 6.0 기능)
하지만 아직 구현되지 않은 기능들도 존재한다.
- 연결이 끊어진 세션에 재연결 시 클라이언트 리디렉션
- 원격 지원 요청 기능
- 일반적인 USB 장치 리디렉션
또한, RDP 5.1 및 RDP 6 버전 이후에 추가된 일부 고급 기능들에 대한 지원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기능 중 일부는 MSDN에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어 있다. 미구현된 주요 고급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다중 모니터 디스플레이 확장 (RDP 6.0)
- 창 구성(데스크톱 컴포지션) (RDP 7.0)
- 콘솔 연결 (RDP 5.1/6)
- RemoteFX (RDP 7.1)
- RemoteFX 환경에서의 USB 장치 리디렉션 (RDP 7.1)
2. 2. 미지원 기능
rdesktop에서 아직 구현되지 않은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재연결 시 클라이언트 리디렉션 (연결이 끊어진 세션)
- 원격 지원 요청
- USB 장치 리디렉션 (일반)
또한, 최신 RDP 버전에서 제공하는 일부 기능들도 지원되지 않는다.
- 다중 모니터 지원 (RDP 6.0)
- 데스크톱 컴포지션 (RDP 7.0)
- RemoteFX (RDP 7.1)
- RemoteFX를 이용한 USB 장치 리디렉션 (RDP 7.1)
- 콘솔 연결
일부 기능(예: 다중 모니터 확장, 창 구성)은 MSDN에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어 있지만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3. 활용
Rdesktop은 주로 ReactOS나 리눅스 환경에서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가 실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속 가능한 윈도우 버전은 윈도우 NT 4.0,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서버 2008, 윈도우 서버 2008 R2, 윈도우 7 등이다.
Rdesktop을 기반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클라이언트로는 tsclient, Gnome-RDP, KDE 원격 데스크톱 연결 (KRDC) 등이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Thinkstation, PC TSC 프로젝트와 같은 여러 씬 클라이언트 리눅스 배포판과 일부 씬 클라이언트 기기에도 통합되어 활용된다.[4]
4. 역사
rdesktop 프로젝트는 2001년 4월 SourceForge.net으로 이전하면서 짧은 기간 동안 커뮤니티가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이후 개발자 변동이 없어 개발이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다.
2011년 4월, 리눅스 터미널 서버와 씬 클라이언트 PC를 전문으로 하는 Cendio사의 Peter Åstrand가 프로젝트 재개를 선언하였고, Cendio사가 프로젝트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5] 같은 해 4월 18일에는 3년 만에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었다.
참조
[1]
포럼
User-generated source
http://forums.sun.co[...]
2022-08
[2]
웹사이트
buy rdp admin Rdesktop
https://planetrdp.co[...]
[3]
문서
http://msdn.microsof[...]
[4]
웹사이트
USA Admin RDP
https://bestbuyrdp.c[...]
[5]
메일링리스트
rdesktopのメーリングリスト(rdesktop-announce)
http://sourceforge.n[...]
[6]
웹사이트
windows build
http://40in.2g0.r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