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09 S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2009 S 1은 2009년 7월 26일,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사진에서 발견된 토성의 위성이다. 캐롤린 포르코가 이끄는 카시니 촬영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토성의 B 고리에 약 36km 길이의 그림자를 드리우는 모습으로 확인되었다. S/2009 S 1은 토성 중심으로부터 약 116,914km 떨어진 곳에서 B 고리 안쪽을 공전하며, 지름은 약 300m로 추정된다. B 고리 평면 위로 약 150m 돌출되어 있으며, B 고리 내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위성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발견한 천체 - UDFy-38135539
UDFy-38135539는 허블 울트라 딥 필드에서 발견된 은하로, 재이온화 시대에 존재했으며, 약 131억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재이온화 시대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2009년 발견한 천체 - GRB 090423
GRB 090423은 2009년 4월 23일에 스위프트 감마선 폭발 탐사선에 의해 발견된 감마선 폭발로, 적색편이 z=8.2로 분광학적으로 확인된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였으며,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거대한 별의 탄생과 죽음을 확인시켜주는 분수령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 토성의 위성 - 에피메테우스 (위성)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비슷한 궤도를 공유하며 4년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토성의 위성으로, 불규칙한 모양에 낮은 밀도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토성의 A 고리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 토성의 위성 - 이아페투스 (위성)
1671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는 뚜렷한 명암 대비 표면, 적도 산맥, 특이한 궤도 경사각이 특징이며,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이름에서 유래했고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S/2009 S 1 | |
---|---|
기본 정보 | |
![]() | |
발견 | 2009년 |
발견자 | 카시니 영상 팀 |
궤도 모체 | 토성 |
고리 내 위치 | 바깥쪽 B 고리 문릿 |
궤도 특성 | |
궤도 장반경 | 116,914 km |
공전 주기 | 0.4715일 (11시간 17분) |
궤도 이심률 | 약 0.000 |
궤도 경사 | 약 0.0도 |
물리적 특성 | |
평균 직경 | 약 300 m |
자전 | 동기 자전으로 추정 |
2. 발견
은 카시니 촬영팀[3]이 2009년 7월 26일 11시 30분 UTC에 토성으로부터 약 296000km 떨어진 곳에서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단일 이미지에서 처음 확인되었다.[5][6] 이 위성은 2009년 토성 춘분 동안 토성의 B 고리에 약 36km 길이의 그림자를 드리울 때 발견되었다.
공전 반지름은 약 11만 7000km로, 카시니 간극 안쪽 가장자리에서 500km 안쪽에 위치하며, 지금까지 발견된 토성의 위성 중 가장 안쪽을 공전한다. 공전 주기는 거의 반나절이다. 토성의 고리 중 하나인 B고리 안에 있으며, B고리에서 약 150m 높이의 "돌출부"로 촬영되었다. 이는 S/2009 S 1이 B고리에 드리운 길이 36km의 그림자 길이와 태양광 및 토성의 각도에서 추정된 것이다.
공전 궤도가 B고리와 같은 각도라고 가정하면, 지름은 300m이다. 이는 어느 정도 정확한 값으로 알려진 것들 중 태양계 위성에서 가장 작다. 고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 무게는 1억 톤 이하로 추정된다.
2. 1. 발견 경위
카시니 촬영팀[3]은 캐롤린 포르코(Carolyn Porco)가 이끌었으며, 2009년 7월 26일 11시 30분 UTC에 토성으로부터 약 296000km 떨어진 곳에서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단일 이미지에서 S/2009 S 1을 처음 확인했다.[5][6] 이 위성은 2009년 토성 춘분 동안 토성의 B 고리에 약 36km 길이의 그림자를 드리울 때 발견되었다.S/2009 S 1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2009년에 촬영한 영상에서 같은 해 7월 26일에 발견되어 11월 2일에 공표된 위성이다.
2. 2. 발견의 의의
S/2009 S 1영어은 카시니 촬영팀[3]을 이끌던 캐롤린 포르코가 2009년 7월 26일 11시 30분 UTC에 토성으로부터 약 296000km 떨어진 곳에서 카시니 우주선이 촬영한 단일 이미지에서 처음 확인한 위성이다.[5][6] 이 위성은 2009년 토성 춘분 동안 토성의 B 고리에 약 36km 길이의 그림자를 드리울 때 발견되었다.3. 특징
S/2009 S 1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2009년에 촬영한 영상에서 발견된 위성이다. 이 위성은 B 고리에 드리운 그림자의 폭을 통해 그 크기와 특징이 추정되었으며,[4] B 고리 형성 이후부터 존재해 온 충분히 큰 고체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7]
S/2009 S 1은 B 고리에 묻혀 있지만, A 고리의 프로펠러 위성들과 달리 넓은 프로펠러 모양의 교란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5][7][8] 이는 B 고리가 매우 조밀하여 위성 주변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3. 1. 크기 및 궤도
카시니 영상팀은 그림자의 폭을 기반으로 S/2009 S 1의 지름을 약 300m로 추정했다.[4] 그림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S/2009 S 1이 B 고리 형성 이후부터 존재해 온 충분히 큰 고체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7] 이 위성은 직접 촬영된 토성의 위성 중 가장 작은 위성 중 하나이다.[5]S/2009 S 1은 B 고리 가장자리 안쪽 약 650km에 위치하며, 토성 중심으로부터의 반지름 거리는 116,914 ± 17 km이다. 이 위성은 B 고리 평면 위로 약 150m 돌출되어 있으며, 참고로 B 고리의 수직 두께는 5m이다.[7]
S/2009 S 1은 B 고리에 묻혀 있지만, 토성 A 고리의 프로펠러 위성들과 달리 넓은 프로펠러 모양의 교란 특징을 보이지는 않는다.[5][7][8] 이는 이 위성의 위치에서 B 고리가 매우 조밀하여 위성 주변에 보이는 프로펠러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일 수 있다.
S/2009 S 1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2009년에 촬영한 영상에서 같은 해 7월 26일에 발견되어 11월 2일에 공표된 위성이다. 공전 반지름은 약 11만 7000km이다.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토성의 위성 중 가장 안쪽을 공전하는 것으로, 카시니 간극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500km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공전 주기는 거의 반나절이다. 토성의 고리 중 하나인 B고리 안에 있으며, B고리에서 약 150m 높이의 "돌출부"로 촬영되었다. 이는 S/2009 S 1이 B고리에 드리운 길이 36km의 그림자 길이와 태양광 및 토성의 각도에서 추정된 것이다.
공전 궤도가 B고리와 같은 각도라고 가정하면, 지름은 300m이다. 이는 어느 정도 정확한 값으로 알려진 것들 중 태양계 위성에서 가장 작다. 고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 무게는 1억 톤 이하로 추정된다.
3. 2. B 고리와의 관계
카시니 영상팀은 그림자의 폭을 기반으로 S/2009 S 1의 지름을 약 300m로 추정했다.[4] 그림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S/2009 S 1이 B 고리 형성 이후부터 존재해 온 충분히 큰 고체 천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7] 이 위성은 직접 촬영된 토성의 위성 중 가장 작은 위성 중 하나이다.[5]S/2009 S 1은 B 고리 가장자리 안쪽 약 650km에 위치하며, 토성 중심으로부터의 반지름 거리는 116,914 ± 17km이다. 이 위성은 B 고리 평면 위로 약 150m 돌출되어 있으며, 참고로 B 고리의 수직 두께는 5m이다.[7]
S/2009 S 1은 B 고리에 묻혀 있지만, 토성 A 고리의 프로펠러 위성들과 달리 넓은 프로펠러 모양의 교란 특징을 보이지는 않는다.[5][7][8] 이는 이 위성의 위치에서 B 고리가 매우 조밀하여 위성 주변에 보이는 프로펠러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일 수 있다.
S/2009 S 1은 B고리에서 약 150m 높이의 "돌출부"로 촬영되었다. 이는 S/2009 S 1이 B고리에 드리운 길이 36km의 그림자 길이와 태양광 및 토성의 각도에서 추정된 것이다.
공전 궤도가 B고리와 같은 각도라고 가정하면, 지름은 300m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lanetary Satellite Discovery Circumstance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2-03-28
[2]
웹사이트
Saturnian Satellite Fact Sheet
https://nssdc.gsfc.n[...]
NASA
2019-10-15
[3]
웹사이트
Cassini Imaging Science Team
http://ciclops.org/t[...]
2012-01-02
[4]
논문
S/2009 S1
http://ciclops.org/v[...]
2009-11-02
[5]
웹사이트
A Small Find Near Equinox
https://web.archive.[...]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9-08-07
[6]
웹사이트
Image of Saturn-rings
https://solarsystem.[...]
NASA
2009-07-26
[7]
논문
Detection of Free Unstable Modes and Massive Bodies in Saturn's Outer B Ring
https://iopscience.i[...]
2010-12
[8]
논문
Formation of a Propeller Structure by a Moonlet in a Dense Planetary Ring
https://iopscience.i[...]
2011-05
[9]
웹인용
A Small Find Near Equinox
https://web.archive.[...]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9-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