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083 도산안창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083 도산안창호는 대한민국 해군의 잠수함으로,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었다. 2014년에 건조가 시작되어 2018년 9월 14일에 진수되었으며, 2021년 8월 13일 취역식을 가졌다. 이 잠수함은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탑재 가능 함이며, 수직 발사관(VLS)을 탑재하여 국산 순항 미사일 및 현무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승무원 1인당 1개의 침대를 제공하며, 4번함부터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잠수함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잠수함 - 돌고래급 잠수정
돌고래급 잠수정은 대한민국 해군이 1980년대 초 연안 작전용으로 개발하여 1985년부터 1991년 사이에 총 3척이 취역했으나 2016년에 모두 퇴역한 소형 잠수정으로, 현재 SSM-051은 서울함 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 2018년 선박 - 에버 기븐
에버 기븐은 이마바리 조선에서 건조되어 20,124TEU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으로, 2021년 수에즈 운하에서 좌초되어 운하를 막는 사고를 일으킨 바 있다. - 2018년 선박 - 아카데믹 로모노소프
아카데믹 로모노소프는 2007년에 건조되어 2019년에 가동된 러시아의 부유식 원자력 발전소이며, KLT-40S 원자로 2기를 탑재하여 전력 생산, 열 공급, 해수 담수화 기능을 수행한다.
SS-083 도산안창호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명 | 도산안창호 |
함명 (한자) | 島山安昌浩 |
함명 (영문) | Dosan Ahn Changho |
함명 의미 | 도산 안창호 |
식별 번호 | SS-083 |
상태 | 장비 장착 중 |
제원 | |
함종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배수량 | 수상: 3,358 톤 수중: 3,750 톤 |
길이 | 83.5 m |
폭 | 9.6 m |
흘수 | 7.62 m |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저소음 스큐 백 프로펠러 |
연료 전지 | Bumhan Industry PH1 PEM 연료 전지 4기 (각 150 kW) |
속력 | 수상: 12 노트 수중: 20 노트 |
항속 거리 | 10,000 해리 |
내구 시간 | 50일 |
승조원 | 50명 |
무장 | |
어뢰 발사관 | 533 mm 어뢰 발사관 6문 (백상어 어뢰 및 하푼) |
수직 발사 시스템 | 수직 발사관 6셀 (순항 및 탄도 미사일) |
센서 | |
소나 | ISUS-90 측면 배열 소나 (FAS) 예인형 소나 (TAS) |
전자전 | 어뢰 기만기 |
건조 정보 | |
건조 | 대우조선해양, 거제 |
기공 | 2016년 5월 17일 |
진수 | 2018년 9월 14일 |
취역 예정 | 2022년 |
기타 | |
연속 운전 | 한국제 3000톤급 잠수함, 디젤 잠수함 세계 최장 연속 운전에 성공 |
2. 역사
대우조선해양이 2014년부터 건조에 착수해 2018년 9월 14일 진수하였다. 탄도미사일과 어뢰 등 무장을 제외한 잠수함 건조비용만 1조원에 달한다.[9] 시험운행을 거쳐 2022년 1월 실전배치될 계획이었다.[9]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포스코는 공동으로 자체 개발한 HY80강을 209급 잠수함 7번함인 이순신함 압력선체에 처음 사용했다. 크롬과 몰리브덴을 첨가하고 HY80강보다 니켈을 0.25% 더 함유한 합금강인 HY100강은 최대 잠항심도 610m로, 214급 잠수함의 압력선체 외관과 프레임 건조에도 사용됐고 도산안창호함 압력선체에 적용됐다.[10]
미국에서 18척의 버지니아급 잠수함 건조 예산 290억 달러(34조원)로 AIP 장착 디젤 잠수함 30척을 건조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1] 척당 1조원 정도의 AIP 디젤 잠수함은 안창호급을 말한다. 함명은 안창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7]
2021년 8월 13일, 대우조선해양에서 취역식이 거행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탑재(가능) 함이 되었다. 1년간의 평가 기간을 거쳐 정식 배치될 예정이다.[8]
2. 1. 개발 및 건조
대우조선해양이 2014년부터 건조에 착수해 2018년 9월 14일 진수하였다. 탄도미사일과 어뢰 등 무장을 제외한 잠수함 건조비용만 1조원에 달한다.[9] 시험운행을 거쳐 2022년 1월 실전배치될 계획이었다.[9]국방과학연구소(ADD)와 포스코는 공동으로 자체 개발한 HY80강을 209급 잠수함 7번함인 이순신함 압력선체에 처음 사용했다. HY100강은 최대 잠항심도 610m로, 214급 잠수함의 압력선체 외관과 프레임 건조에도 사용됐고 도산안창호함 압력선체에 적용됐다.[10]
미국에서 18척의 버지니아급 잠수함 건조 예산 290억 달러(34조원)로 AIP 장착 디젤 잠수함 30척을 건조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1] 척당 1조원 정도의 AIP 디젤 잠수함은 안창호급을 말한다.
''도산 안창호''는 2016년 5월 17일 거제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기공되었으며,[4] 2019년에 해상 시운전을 시작했다.[4] 2021년 8월 13일, 대우조선해양에서 취역식이 거행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탑재(가능) 함이 되었다.[8] 1년간의 평가 기간을 거쳐 정식 배치될 예정이다.[8]
2. 2. 시험 및 배치
2014년 대우조선해양이 건조에 착수하여 2018년 9월 14일 진수하였다.[9] 탄도미사일과 어뢰 등 무장을 제외한 잠수함 건조비용만 1조원에 달한다. 2016년 5월 17일 거제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기공되었으며, 2019년에 해상 시운전을 시작했다.[4]국방과학연구소(ADD)와 포스코는 공동으로 자체 개발한 HY80강을 209급 잠수함 7번함인 이순신함 압력선체에 처음 사용했다. 크롬과 몰리브덴을 첨가하고 HY80강보다 니켈을 0.25% 더 함유한 합금강인 HY100강은 최대 잠항심도 610m로, 214급 잠수함의 압력선체 외관과 프레임 건조에도 사용됐고 도산안창호함 압력선체에 적용됐다.[10]
2021년 8월 13일, 대우조선해양에서 취역식이 거행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탑재(가능) 함이 되었다.[8] 2021년 9월 15일, 잠수 상태에서 새로운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4] 1년간의 평가 기간을 거쳐 정식 배치될 예정이었다.[8]
미국에서 18척의 버지니아급 잠수함 건조 예산 290억 달러(34조원)로 AIP 장착 디젤 잠수함 30척을 건조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1] 척당 1조원 정도의 AIP 디젤 잠수함은 안창호급을 말한다. 함명은 안창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7]
3. 특징
3. 1. 선실
한국 해군 최초로, 잠수함 승무원 1인당 1개의 침대가 제공된다. 그동안 1200톤 장보고급 잠수함과 1800톤 손원일급 잠수함에서는 여러명이 1개의 침대를 사용했다. 잠수함에서는 식량 적재 공간이 매우 중요한데, 그만큼 식량을 많이 탑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3. 2. 어뢰 발사 시스템
안창호급은 영국의 아스튜트급 공격원자력 잠수함이나 스페인의 S-80 공격잠수함에도 채택된 바 있는 공기터빈펌프형 압축수 발사관을 채택했다.[12][13]함체 내의 공기를 터빈이 빨아들여서 압축한 뒤 고압의 물이 어뢰를 밀어내는 방식이라 연속적으로 어뢰를 발사할 수 있으며 소음이 가장 적은 방식이라는 장점이 있다.3. 3. 수직 발사관 (VLS)
안창호함은 2018년 현재 세계 유일의 수직 발사관(VLS) 탑재 디젤 잠수함이다. 러시아 아무르급 잠수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신포급 잠수함 등 VLS 탑재 디젤 잠수함이 제안되거나 비공개 모델이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공개적으로 진수된 것은 최초이다. 예전에 퇴역한 모델로는 러시아 골프급 잠수함이 있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 이외에 SLBM을 보유한 나라는 인도 뿐이다. 아리한트급 잠수함에 SLBM을 탑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아직 공식적으로 SLBM 보유국으로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14]안창호함의 VLS 직경, 길이 등의 제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발사관 크기를 알아야, 탑재하는 SLBM의 사거리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대한민국이 건조한 가장 큰 재래식 잠수함으로 해상 시운전 중 잠수 시 3800톤 이상의 배수량을 기록했다.[4] ''도산 안창호''급 잠수함은 한국형 수직 발사관을 탑재하여 국산 "천룡" 순항 미사일 및 "현무"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탑재할 수 있다.[1]
3. 4. 리튬 전지
안창호함은 납축전지를 사용하지만, 4번함부터는 삼성SDI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것이다. 2,000cc 승용차 100대분의 자동차 배터리가 탑재된다. 2017년 3월 23일 방위사업청은 삼성SDI에 시제품 제작을 할 것을 결정했다.[15]2018년 현재 세계적으로 운용되는 잠수함은 크게 재래식 잠수함과 핵 잠수함으로 나뉜다. 재래식 잠수함은 내연기관과 축전지를 사용하여 움직이는 잠수함을 의미한다. 재래식 잠수함은 잠항중에 축전지와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추진하고, 주기적으로 부상하여 스노클링으로 디젤엔진을 통해 발전기를 돌려 축전지를 충전한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이 더 클수록 더 오랜시간 스노클링 없이 잠항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축전지는 안정상 이유 등으로 납축전지를 탑재했는데 도산 안창호급 Batch-II부터는 리튬전지로 납축전지를 대체한다는 것이다. 납축전지에서의 리튬전지로의 전환은 축전지만을 이용한 잠항시 약 1.5배 정도로 잠항시간을 늘려줄 수 있다.
안창호함의 주된 경쟁자인 일본 소류급 잠수함 배치2는 납축전지를 리튬이온 배터리로 교체하면서, 스털링 기관을 이용한 AIP를 제거할 예정이다.
2018년 11월, 방위사업청은 삼성SDI를 포함한 6개 전문업체와 5개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잠수함용 리튬이온 배터리 체계가 기술성숙도평가에 합격했다고 밝혔다. 새 배터리체계가 실제 함정에 탑재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리튬이온 배터리가 잠수함에 사용되는 것은 삼성SDI가 최초 사례"라며 "해수, 충격, 화재 등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을 입증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4. 한계 및 비판 (국민의힘 관점)
5. 운용 현황
''도산 안창호''는 2016년 5월 17일 거제 대우조선해양(DSME)에서 기공되었으며, 2018년 9월 14일에 진수되었다.[4] 2019년에 해상 시운전을 시작했다.[4] 2021년 9월 15일, 잠수 상태에서 새로운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4]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s First-of-Class KSS-III Attack Sub Begins Sea Trials
https://thediplomat.[...]
2019-06-18
[2]
웹사이트
South Korea approves procurement of next batch of Aegis destroyers, subs
https://navaltoday.c[...]
2019-05-06
[3]
웹사이트
DSME Jangbogo-III Batch-II Pilot Design Has Come to an End
https://www.navyreco[...]
2018-12-28
[4]
웹사이트
South Korea's first KSS-3 submarine begins sea trials
https://www.janes.co[...]
2019-06-17
[5]
웹사이트
South Korea to build 3 more Aegis destroyers able to thwart ballistic missiles
https://www.defensen[...]
2019-05-02
[6]
뉴스
韓国製3000トン級潜水艦、ディーゼル潜水艦世界最長連続運転に成功
https://japanese.joi[...]
2021-01-10
[7]
뉴스
臆測呼ぶ、韓国が強力な最新潜水艦を開発する理由
https://globe.asahi.[...]
2021-01-10
[8]
웹사이트
韓国初、弾道ミサイル潜水艦が就役
https://www.afpbb.co[...]
AFP
2021-08-12
[9]
뉴스
'[권홍우 선임기자의 무기이야기] \'유례없는 쾌거\' 이뤘지만...세계 최대급 韓디젤잠수함 순항할까'
서울경제
2018-09-14
[10]
뉴스
'<10문10답 뉴스 깊이보기>3000t급 重잠수함 ‘도산안창호함’ 독자개발 막바지'
문화일보
2018-09-14
[11]
뉴스
'[천영우 칼럼]우리에게 원자력 잠수함이 필요한가'
동아일보
2016-09-08
[12]
웹사이트
https://milidom.net/[...]
[13]
웹사이트
https://www.navyreco[...]
[14]
웹사이트
3000톤급 도산안창호함 인도 앞두고…軍 'SLBM 기술' 사실상 완성
https://news.zum.com[...]
[15]
뉴스
국산 3000t급 잠수함 장보고Ⅲ…삼성SDI 배터리로 움직인다
한국경제
2017-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