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유베 스타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 유베 스타비아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1907년 스타비아 스포르팅 클럽으로 창단되었다. 여러 차례의 구단명 변경과 파산을 거쳐 1945년 S.S. 유벤투스 스타비아로 재창단되었고, 1996년 A.C. 유베 스타비아로 개명되었다. 2002년에는 구단명을 콤프렌소리오 스타비아로 변경했다가 2003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확정했다. 세리에 B에 여러 차례 참가했으며, 2018-19 시즌 세리에 C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2019-20 시즌 세리에 B에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S 유베 스타비아 - 스타디오 로메오 멘티 (카스텔람마레)
스타디오 로메오 멘티 (카스텔람마레)는 이탈리아 카스텔람마레 디 스타비아에 있는 경기장이며, 비첸차 출신 축구 선수 로메오 멘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1989년에는 친선 경기가 열렸으며 관람석 개조 및 외관 재도색 등 개보수가 진행되었다. - 캄파니아주의 축구단 - SSC 나폴리
SSC 나폴리는 1904년 창단된 이탈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디에고 마라도나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파산 위기를 극복하고 2022-23 시즌 세리에 A 우승을 통해 과거의 영광을 재현했고 현재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캄파니아주의 축구단 - US 살레르니타나 1919
US 살레르니타나 1919는 살레르노를 연고로 하는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B를 오가며 1997-98 시즌 세리에 B 우승으로 세리에 A에 승격하기도 했으나, 재정난과 재창단을 거쳐 2023-24 시즌 최하위로 강등되었다. - 세리에 C 구단 - 칼초 카타니아
칼초 카타니아는 1908년 창단되어 세리에 A, B, C 등에서 활동하며 1953-54 시즌 세리에 B 우승, 1960-61 시즌 세리에 A 8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파산 후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C로 승격한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카타니아 연고의 축구 클럽이다. - 세리에 C 구단 - 칼초 포자 1920
칼초 포자 1920은 1920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며,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19-20 시즌 세리에 D에서 우승하며 세리에 C로 복귀했다.
SS 유베 스타비아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명칭 | 유베 스타비아 |
원어 명칭 | Società Sportiva Juve Stabia |
별칭 | 말벌들 (Le Vespe), 황-청색 (I Gialloblù), 스타비아인 (Gli Stabiesi) |
![]() | |
창단 | 1907년 |
홈 구장 | 스타디오 로메오 멘티, 카스텔람마레 디 스타비아 |
수용 인원 | 12,800명 |
웹사이트 | http://ssjuvestabia.it/ |
클럽 색상 | 노랑색과 파랑색 |
구단 정보 | |
회장 | 안드레아 란젤라 |
감독 | 귀도 팔리우카 |
리그 정보 | |
리그 | 세리에 C |
디비전 | 3부 리그 |
2022-2023 시즌 순위 | 9위 |
유니폼 정보 | |
![]() | |
![]() | |
![]() |
2. 역사
SS 유베 스타비아는 1907년 ''스타비아 스포르팅 클럽(Stabia Sporting Club)''으로 창단되었다.[4] 1933년 ''F.C. 스타비에세''로 구단명을 변경했으나 재정 문제로 파산했다. 이후 ''A.C. 스타비아''로 재창단되어 1951-52 시즌 세리에 B로 승격했으나, 1953년 다시 파산했다.
1945년 창단된 소시에타 스포르티바 유벤투스 스타비아가 A.C. 스타비아의 역사를 계승했다.[4] 구단명 '유벤투스'는 토리노의 유벤투스 FC에서 따온 것이다. 1996년 A.C. 유베 스타비아로 구단명을 변경했으나, 2001년 경영난으로 파산했다.[4]
2002년 여름, 파올로 다르코가 세리에 D의 Comprensorio Nola 스포츠 권한을 인수해 ''Comprensorio Stabia''로 구단명을 변경했다. 2003년 여름부터 현재 구단명인 S.S. 유베 스타비아를 사용하고 있다.[4] 이후 세리에 C2, 세리에 C1으로 순차적으로 승격했다. 2008-09 시즌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다음 시즌 바로 승격했다.
2010-11 시즌, 유베 스타비아는 59년 만에 세리에 B로 승격했다. 이후 3시즌 동안 2부 리그에서 활약하다 2013-14 시즌 강등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07년 ~ 1953년)
1907년 ''스타비아 스포르팅 클럽(Stabia Sporting Club)''으로 창립[4]되었다. 1933년 ''F.C. 스타비에세''로 이름을 바꾼 후 파산했다. 이후 ''A.C. 스타비아''로 재창단하여 1951-52 시즌 세리에 B로 처음 승격했으나, 1953년에 다시 경영 파산했다.2. 2. 유베 스타비아의 역사 계승 (1953년 ~ 2001년)
1945년에 창립된 소시에타 스포르티바 유벤투스 스타비아가 AC 스타비아의 역사를 계승하게 되었다.[4] 팀 이름인 '유벤투스'는 토리노를 연고로 하는 이탈리아 명문 클럽 유벤투스 FC에서 따온 것이다. 1996년, 소시에타 스포르티바 유벤투스 스타비아는 AC 유베 스타비아로 구단명을 변경했다.2001년, AC 유베 스타비아는 경영 파산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
2. 3. 재창단과 세리에 B 승격 (2002년 ~ 현재)
2002년 여름, 사업가 파올로 다르코는 세리에 D의 Comprensorio Nola의 스포츠 권리를 인수하여 즉시 구단명을 '''Comprensorio Stabia'''로 변경했다. 2003년 여름부터 현재의 구단명(S.S. 유베 스타비아)을 사용하고 있다.[4] 이후 세리에 C2로 승격되었으며, 다음 해에는 세리에 C1으로 승격되었다. 2008-09 시즌에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로 강등되었지만, 다음 시즌에 즉시 승격했다.2010-11 시즌, 유베 스타비아는 59년 만에 세리에 B로 승격되었다. 이후 2013-14 시즌에 강등되기 전까지 3시즌 연속으로 이탈리아 2부 리그에서 활약했다.
3. 선수
SS 유베 스타비아는 Serie Cit에 소속된 축구 클럽으로, 다양한 선수들이 거쳐 갔다. 특히 임대 선수로 팀을 경험한 선수들이 많다. 선수들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각자 대표팀 국기를 표시하며,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진 선수도 있을 수 있다.[3]
3. 1. 선수 명단 (2019년, 2024년)
'''2019년 7월 31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티모시 노치 | 이탈리아 |
3 | MF | 안토니오 지토 | 이탈리아 |
4 | MF | 다니엘 코피 아게이 | 가나 |
5 | MF | 안드레아 도니넬리 | 이탈리아 |
6 | DF | 젠나로 스코냐미질로 | 이탈리아 |
7 | MF | 시모네 베르디 | 이탈리아 |
8 | MF | 아드리아누 사르토리오 | 브라질 |
9 | FW | 살바토레 브루노 | 이탈리아 |
10 | MF | 파비오 카세르타 | 이탈리아 |
11 | FW | 제리 음바코구 | 나이지리아 |
13 | DF | 쥐세페 스쿠르토 | 이탈리아 |
14 | DF | 마르코 고르제뇨 | 이탈리아 |
15 | FW | 루카 폼필리오 | 이탈리아 |
16 | MF | 리카루도 임프로타 | 이탈리아 |
17 | MF | 세르지우 수치우 | 루마니아 |
19 | DF | 스테파노 디쿠오뇨 | 이탈리아 |
20 | FW | 마르코 첼리니 | 이탈리아 |
21 | MF | 윌리엄 지다이 | 이탈리아 |
22 | GK | 안드레아 세추린 | 이탈리아 |
23 | DF | 쥐세페 피룔메니 | 이탈리아 |
24 | DF | 셈 오롱 | 프랑스 |
25 | DF | 아바노 발단체두 | 이탈리아 |
28 | DF | 미첼레 무롤로 | 이탈리아 |
33 | GK | 알레산드로 비티엘로 | 이탈리아 |
'''2024년 8월 30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크리스티안 마토셰비치 | 크로아티아 |
3 | DF | 유리 로케티 | 이탈리아 |
4 | DF | 마르코 루제로 | 이탈리아 |
5 | MF | 토마소 디 마르코 | 이탈리아 |
6 | DF | 마르코 벨리치 | 이탈리아 |
7 | MF | 페데리코 주콘 | 이탈리아 |
8 | MF | 다비데 부글리오 | 이탈리아 |
9 | FW | 안드레아 아도란테 | 이탈리아 |
10 | MF | 크리스티안 피에로본 | 이탈리아 |
11 | FW | 케빈 피스코포 | 이탈리아 |
13 | DF | 마테오 발디 | 이탈리아 |
14 | MF | 마르코 멜리 | 이탈리아 |
15 | DF | 로마노 플로리아니 무솔리니 | 이탈리아 |
16 | GK | 알레산드로 시뇨리니 | 이탈리아 |
17 | FW | 그레고리오 모라키올리 | 이탈리아 |
20 | GK | 뎀바 티암 | 세네갈 |
23 | DF | 프란체스코 폴리노 | 이탈리아 |
24 | DF | 마르코 바르니에르 | 이탈리아 |
25 | MF | 알베르토 제르보 | 이탈리아 |
27 | FW | 레오나르도 칸델로네 | 이탈리아 |
28 | DF | 크리스티안 안드레오니 | 이탈리아 |
29 | DF | 니콜로 포르티니 | 이탈리아 |
37 | MF | 파비오 마이스트로 | 이탈리아 |
55 | MF | 주세페 레오네 | 이탈리아 |
61 | MF | 제나로 루지에로 | 이탈리아 |
90 | FW | 가브리엘레 아르티스티코 | 이탈리아 |
98 | MF | 니콜라 모스티 | 이탈리아 |
99 | FW | 엔리코 피오바넬로 | 이탈리아 |
분류:SS 유베 스타비아의 선수
3. 2. 과거 유명 선수
- 안드레아 세클린 (2011-2013)
- 다니엘로 담브로시오 (2008-2010)
-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2011-2012)
- 다니엘 코피 아기예이 (2012-2013)
-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2010-2011)
- 마르코 사우 (2011-2012)
- 시모네 자자 (2011-2012)
- 토마스 다니레비치우스 (2011-2013)
4. 역대 감독
5. 코칭 스태프 (2024년 기준)
- - 치로 나스트로
-- 마리오 아우리노
-- 가에타노 나스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