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VAK 기관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hVAK 기관포는 소련에서 개발된 자동 기관포로, 12.7mm 및 20mm 구경으로 제작되었다. 초기 12.7mm ShVAK는 ShKAS 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급탄 장치의 문제와 독자 규격의 탄약 사용으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져 1936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후 20mm ShVAK가 개발되어 Yak-1, La-5 등 다양한 군용기에 장착되었으며, T-38, T-60 전차의 주포로도 사용되었다. 20mm ShVAK는 가스압 작동 방식에 분해식 탄띠 급탄 방식을 사용했으며, 다양한 종류의 탄약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대량 생산되었으며, 종전 후에는 베레진 B-20 기관포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포 - ZPU
ZPU는 소련에서 개발된 14.5mm 대공 기관포 시리즈로, 다양한 모델과 1~4연장 구성으로 전 세계 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저렴하고 운용이 간편하여 현재도 여러 국가와 비정규군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 기관포 - ACSW
ACSW는 Mk 19 유탄 발사기와 M2 중기관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무기 체계로, 반동 제어 시스템, 소형 무인 차량이나 항공기 장착, XM312 .50 구경 기관총으로의 구경 교체, 공중 폭발탄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지며, 대한민국 육군의 마크 47 스트라이커 도입 고려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소련의 화기 - AKS-74U
AKS-74U는 1970년대 후반 소련에서 개발된 AK-74 소총의 단축 버전으로, 좁은 공간에서의 기동성 향상을 특징으로 하며 특수부대, 공수부대, 후방 지원 부대 등에 지급되었고, 현재까지도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축형 돌격 소총이다. - 소련의 화기 - AO-63
AO-63은 AK-74를 대체하기 위해 소련에서 개발된 실험용 쌍열 돌격 소총으로, 아바칸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분당 6,000발의 2발 점사 기능으로 매우 높은 연사 속도를 낼 수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채택되지는 못했다.
ShVAK 기관포 | |
---|---|
명칭 | |
종류 | 자동 기관포 |
원어 | ШВАК: Шпитальный-Владимиров Авиационный Крупнокалиберный, Shpitalnyi-Vladimirov Aviatsionnyi Krupnokalibernyi (러시아어) |
약칭 | ТНШ: Tankovyi Nudel’man-Shpitalnyi (러시아어) |
개발 및 생산 | |
원산지 | 소련 |
설계자 | 보리스 슈피탈니와 세묜 블라디미로프 |
설계 시기 | 1935년–1936년 |
생산 기간 | 1936년–1946년 |
파생형 | 항공기 장착용 20mm 세 가지 파생형, 전차 파생형 (TNSh), 12.7mm 원형 |
제원 | |
![]() | |
구경 | 20mm |
탄약 | 20×99mmR |
탄약 무게 | (OZ) 96.0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
발사 속도 | 700–800발/분 (550-750 동기화 장치 SP) |
급탄 방식 | 벨트 급탄식 |
무게 | |
길이 | |
총열 길이 | |
탄두 정보 | |
충전재 | (OZ) 2.8 g HE + 3.3 g 소이탄 |
기폭 방식 | (OZ) 코 기폭 장치 |
사용 | |
사용 시기 | 1936년부터 |
사용 국가 | 소련군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부터 |
2. 개발과 생산
ShVAK는 1931년부터 12.7x108mm 탄약을 사용하는 항공기용 기관총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32년 시제총이 완성되어 시험을 거쳤고, 1934년 정식 채택, 1935년부터 생산되었다.[17] 그러나 ShKAS의 급탄 장치를 그대로 사용해 구조가 복잡하고 탄 걸림이 잦아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독자 규격 탄약(12.7x108R)을 사용해야 해서 개발 목적과도 맞지 않았다.[1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35년 급탄 장치를 개량하고 20x99mm 탄약을 사용하는 개량형이 설계되어 1936년부터 생산되었다. 12.7mm형은 20mm형 생산과 함께 1936년 생산이 중단되었다.[17]
ShVAK-20은 Yak-1, I-153, I-16, La-5, La-7, LaGG-3, Il-2 초기형, 허리케인 독자 개조형 등 여러 군용기에 장착되었고, 장갑차량 탑재형 TNSh는 전차포로 T-38, T-60에 사용되었다.
ShVAK는 제조 및 운용상 큰 문제는 없었으나, 구경에 비해 위력이 부족하다고 평가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B-20, VYa-23, NS-37 등 다른 기관포로 대체되었다.
2. 1. 12.7mm ShVAK
12.7mm ShVAK 기관포는 1931년 2월 9일 소련 정부의 칙령에 따라 개발이 시작되었다. DK 기관총에 사용되는 12.7×108mm 탄약을 사용하는 항공기용 기관총을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목표였다. 설계자 S.V. 블라디미로프는 ShKAS 기관총을 기반으로 구경을 확대하여 총열 길이 1246mm, 전체 길이 1726mm의 시제품을 제작했고, 1932년 5월 28일에 시험 준비를 마쳤다.[20] 1934년에 형식적으로 채택되었으나,[20] 여러 문제로 인해 생산 및 신뢰성에 어려움을 겪었다.1935년 코브로프의 INZ-2 공장에서 양산이 시작되었지만,[3]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생산에 차질이 생겼다. 소련 기록에 따르면 1935년에 항공기용 12.7mm ShVAK는 계획된 410정 중 86정, 전차용은 40정 중 6정만이 완성되었다.[21]
ShVAK 기관포는 ShKAS 기관총의 급탄 방식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탄 걸림 등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독자 규격 탄약(12.7x108R)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원래 개발 목적인 DShK 기관총과의 탄약 호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22][23] 결국 12.7mm 림드 탄약 생산은 1939년에 중단되었고, DShK와 탄약을 공유할 수 있는 UBS가 선호되었다.[23]
1936년 20mm ShVAK 생산과 함께 12.7mm ShVAK 생산은 중단되었다.[24]
2. 2. 20mm ShVAK
20mm ShVAK 기관포는 12.7mm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큰 구경을 갖도록 1935년에 설계되어 1936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다.[5] ShKAS 기관총의 급탄 방식을 개량하여 신뢰성을 높였다.[17] 이 기관포는 가스 작동식이며, 벨트 급탄식으로 탄약을 공급받았다.[25] 가스 조절 밸브에는 4개의 구멍(3.5, 4, 4.5, 6mm)이 있어 발사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7]장착 방식에 따라 ShVAK는 다음과 같이 구분되었다.[6]
형식 | 설명 | 총 길이 | 무게 |
---|---|---|---|
MP | 전차용 | 2122mm | 44.5kg |
KP | 주익 장착용 | 1679mm | 40kg |
SP | 동조 장착형 | - | - |
TP | 유연 장착형 | 1726mm | 42kg |
ShVAK의 포신 끝에는 블래스트 감소 튜브가 장착되어 반동 및 폭발 영향을 줄였다.[9]
1952년 서방 정보 보고서는 ShVAK의 경량성과 작은 크기를 높이 평가했지만,[30] 생산의 어려움과 짧은 수명을 단점으로 지적했다.[31]
ShVAK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대량 생산되었다.[32]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생산량 |
---|---|
1942년 | 34,601정 |
1943년 | 26,499정 |
1944년 | 25,633정 |
1945년 | 13,433정 |
1946년 | 754정 |
ShVAK 기관포는 1931년부터 개발되어 다양한 소련 군용기에 탑재되었다. 12.7mm ShVAK은 ShKAS 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급탄 장치 문제로 신뢰성이 낮아 1935년에 20mm ShVAK이 개발되었다.
종전 후, ShVAK는 B-20 기관포로 대체되었다.
3. 사용된 예
3. 1. 항공기
ShVAK 기관포는 다양한 소련 항공기에 장착되었다. 1939년 1월, 프로펠러 동기식 12.7mm ShVAK을 장착한 폴리카르포프 I-16 3기가 제작되어 시험을 통과했다.[33]
20mm ShVAK 기관포는 다음 항공기들에 주익 또는 동기식으로 장착되었다.
항공기 |
---|
폴리카르포프 I-153P |
폴리카르포프 I-16 |
야코블레프 Yak-1 |
야코블레프 Yak-3 |
야코블레프 Yak-7B |
LaGG-3 |
라보츠킨 La-5 |
라보츠킨 La-7 |
페틀리야코프 Pe-3 야간 전투기 |
소련이 개조한 호커 허리케인 |
투폴레프 Tu-2 폭격기의 주익과 페틀리야코프 Pe-2 폭격기(지상 공격용)에도 장착되었다.[35] 일류신 Il-2 지상 공격기의 초기형에도 장착되었으나, 이후 23mm 볼코프-야르트세프 VYa-23 기관포로 대체되었다. 페틀리야코프 Pe-8과 예르몰라예프 Yer-2 폭격기에는 방어용 기총으로 ShVAK이 유연하게 설치되어 사용되었다.[36]
3. 2. 전차
ShVAK 기관포의 전차 모델형은 T-38과 T-60 경전차에 달렸다.[37]4. 탄약
ShVAK 기관포의 탄약은 주로 파편소이탄과 철갑소이탄으로 구성되어 있다.[16] 파편소이탄은 적 항공기나 차량 근처에서 폭발하여 파편과 불꽃으로 피해를 주는 방식이고, 철갑소이탄은 장갑이 두꺼운 전차 등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철갑소이탄이 장갑을 관통하면 내부 폭발을 일으켜 전차 내부 장비와 인원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었다.
탄약 개발 과정에서 포신 내 조기 점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 문제는 1936년에 퓨즈를 MG-3 모델에서 MG-201 모델로 변경하면서 처음 개선되었고, 1938년에 K-6 퓨즈가 도입되면서 완전히 해결되었다. K-6 퓨즈는 탄약이 포신을 벗어나 30~50cm 정도 날아간 후에 격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했다.[16]
ShVAK 기관포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탄약이 사용되었다.
소련 명칭 | 미국 명칭 | 탄두 무게 (g) | 포구 속도 (m/s) | 설명 |
---|---|---|---|---|
OZ | HEI | 96.0 | 770 | 2.8g 고폭탄(HE) + 3.3g 소이탄, 신관 |
OZT | HEI-T | 96.5 | 770 | 2.8g 고폭탄(HE) + 3.3g 소이탄, 신관, 예광탄 |
OF | HE-Frag. | 91.0 | 790 | 6.7g 고폭탄(HE), 탄체에 파편 홈, 신관 |
OFZ | HEI-Frag. | 91.0 | 790 | 0.8g 고폭탄(HE) + 3.8g 소이탄, 탄체에 파편 홈, 신관 |
BZ | API-HC | 96.0 | 750 | 연강 탄피 안에 강철 탄심, 2.5g 소이탄, 알루미늄 또는 베이클라이트 탄도 캡 |
BZ | API-HC | 99.0 | 750 | 위와 같으나 강철 노즈 캡 사용 |
BZ | API | 96.0 | 750 | 강철 탄심, 소이탄, 강철 캡 |
BZT | API-T | 96.0 | 750 | 위와 같으나 예광탄 추가 |
PU | TP | 96.0 | 770 | 비활성 고폭소이탄, 모의 신관 |
PUT | TP-T | 96.5 | 770 | 빈 탄두, 예광탄 |
참조
[1]
간행물
Shirokorad, pp. 74-75
[2]
간행물
Chinn, p. 93
[3]
간행물
Борцов А.Ю. "Пятилинейный", Мастер-ружье
http://master-gun.co[...]
2006-05
[4]
간행물
Chinn, vol. 2, pp 178-180
[5]
간행물
Shirokorad, p. 75
[6]
간행물
Chinn, p. 72 for designations; weights and lengths for three of the four variants is given in Shirokorad, pp. 75-76
[7]
간행물
Chinn, p. 85-86
[8]
간행물
Chinn, p. 85
[9]
간행물
Chinn, p. 82
[10]
간행물
Chinn, p. 82-84
[11]
간행물
Shirokorad, p. 77
[12]
서적
Истребитель И-16. Норовистый «ишак» сталинских соколов
Яуза / Коллекция / ЭКСМО
[13]
웹사이트
Яценко И-28
http://www.airwar.ru[...]
[14]
간행물
Shirokorad, p. 77 mentions all the above except for the Yak 3
[15]
간행물
Shirokorad, p. 77; although omits the Il-2
[16]
간행물
Shirokorad, pp. 76-77
[17]
서적
История авиацион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Харвест
Харвест
[18]
서적
The Machine Gun, Vol II, Part VII
US Department of the Navy
[19]
문서
本砲はShKASと共に「[[リヴォルヴァーカノン]]の一種である」と解説されていることがあるが、回転する部位は給弾装置とそれによって運ばれる弾帯/弾薬のみであり、薬室そのものが作動に伴って回転するわけではないため、リヴォルヴァーカノンには分類されない。
[20]
간행물
Shirokorad, pp. 74-75
[21]
간행물
Shirokorad, pp. 74-75
[22]
간행물
Chinn, vol. 2, pp 178-180
[23]
간행물
Борцов А.Ю. "Пятилинейный", Мастер-ружье
http://master-gun.co[...]
2006-05
[24]
간행물
Shirokorad, p. 75
[25]
간행물
Shirokorad, p. 75
[26]
간행물
Chinn, p. 72 for designations; weights and lengths for three of the four variants is given in Shirokorad, pp. 75-76
[27]
간행물
Chinn, p. 85-86
[28]
간행물
Chinn, p. 85
[29]
간행물
Chinn, p. 82
[30]
간행물
Chinn, p. 82
[31]
간행물
Chinn, p. 82-84
[32]
간행물
Shirokorad, p. 77
[33]
서적
Истребитель И-16. Норовистый «ишак» сталинских соколов
https://archive.org/[...]
Яуза / Коллекция / ЭКСМО
[34]
웹사이트
http://www.airwar.ru[...]
[35]
간행물
Shirokorad, p. 77 mentions all the above except for the Yak 3
[36]
서적
Shirokorad
[37]
서적
Shirokor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