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pVgg 운터하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pVgg 운터하힝은 1925년 창단된 독일의 축구 클럽으로, 1998-99 시즌 2. 분데스리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9-2000 시즌에는 분데스리가에 진출하여 10위를 기록했으며, 2000-01 시즌에는 강등되었다. 이후 3부 리그와 4부 리그를 오가며, 2016-17 시즌과 2022-23 시즌에는 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에서 우승하여 3. 리가로 승격했다. 바이에른컵 우승 3회, 오버바이에른컵 우승 3회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봅슬레이 부문도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주의 축구단 - TSV 1860 뮌헨
    TSV 1860 뮌헨은 1848년 뮌헨에서 창설된 독일의 스포츠 클럽으로, 1960년대 전성기를 거쳐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으나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 바이에른주의 축구단 - FC 바이에른 뮌헨
    FC 바이에른 뮌헨은 1900년 창단된 독일 뮌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분데스리가 33회 우승 등 수많은 국내외 타이틀을 획득하며 독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는 마누엘 노이어를 주장을, 뱅상 콤파니가 감독을 맡고 있다.
  • 3. 리가 구단 - TSV 1860 뮌헨
    TSV 1860 뮌헨은 1848년 뮌헨에서 창설된 독일의 스포츠 클럽으로, 1960년대 전성기를 거쳐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으나 재정난으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 3. 리가 구단 - 1. FC 자르브뤼켄
    1. FC 자르브뤼켄은 1903년에 창단되어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분데스리가와 2.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며 DFB-포칼 4강에 여러 번 진출한 독일의 축구 클럽이다.
  • 독일의 종합 스포츠 클럽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을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분데스리가 원년 멤버이자 DFB-포칼 우승 5회와 UEFA 유로파리그 우승 2회를 기록한 오랜 역사를 가진 클럽이다.
  • 독일의 종합 스포츠 클럽 - 함부르거 SV
    함부르거 SV는 독일 함부르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푸스볼-분데스리가 원년 멤버이자 한때 리그에서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였으며 1983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6회 독일 챔피언십 우승, 3회 DFB-포칼 우승을 기록했으나 2017-18 시즌 강등 이후 2. 분데스리가에 머물고 있다.
SpVgg 운터하힝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SpVgg 운터하힝 로고
SpVgg 운터하힝 로고
풀 네임Spielvereinigung Unterhaching e.V.
애칭Haching (하힝)
창단일1925년 1월 1일
홈 구장슈포르트파르크 운터하힝
수용 인원15,053명
회장만프레트 슈바블
감독스벤 벤더 (임시)
웹사이트SpVgg 운터하힝 공식 웹사이트
클럽 색상
메인빨강, 파랑
유니폼 정보
pattern_la1: _uhlsportgoal25r
pattern_b1: _uhlsportgoal25r
pattern_ra1: _uhlsportgoal25r
pattern_sh1:
pattern_so1: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ff0000
socks1: ff0000
원정pattern_la2: _uhlsportgoal25n
pattern_b2: _uhlsportgoal25n
pattern_ra2: _uhlsportgoal25n
pattern_sh2: _uhlsportgoal25n
pattern_so2: _uhlsportgoal25n
leftarm2: 000060
body2: 000060
rightarm2: 000060
shorts2: 000060
socks2: 000060
세 번째pattern_la3: _adidascondivo21wb
pattern_b3: _adidascondivo21wb
pattern_ra3: _adidascondivo21wb
pattern_sh3: _adidascondivo20wb
pattern_so3: _color_3_stripes_black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socks3: FFFFFF

2. 역사

SpVgg 운터하힝은 1925년 1월 1일에 창단되었다.[1] 1998-1999 시즌 분데스리가 2부 준우승으로 분데스리가 1부로 승격했으나,[1] 2000-2001 시즌 1부 리그에서 강등되었고, 2001-02 시즌에는 2부 리그에서 레기오날리가(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2006-07 시즌 최종전까지 골득실 차로 강등권이었으나, 최종전 패배와 다른 강등권 팀들의 승점으로 강등이 확정되었다.[1] 2008-09 시즌부터 신설된 3. 리가에 속했으며,[1] 2022-23 시즌 바이에른 지역리가 우승으로 3. 리가로 복귀했다.[2]

2. 1. 초기 역사 (1925년 ~ 1976년)

SpVgg 운터하힝은 1925년 1월 1일, 체조 및 스포츠 클럽 TSV 하칭거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축구 클럽으로 설립되었다. 1931년 처음으로 상위 리그에 진출했고, 1년 뒤에는 A-클라세로 승격했다. 그러나 1933년 나치 정권에 의해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해산되었다.[1]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에 아마추어 4부 리그인 B-클라세에서 다시 경기를 시작하면서 재건되었다.[1]

2. 2. 순위 상승 (1976년 ~ 1995년)

운터하힝 축구팀은 1976년 B-클라세에서 A-클라세로 승격하기 전까지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는 지역 아마추어 팀이었다. 그러나 1976년 승격을 시작으로, 1977년에는 베르크츠리가로 빠르게 승격하였다. 이후에도 꾸준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1979년에는 란데스리가 바이에른-쥐트(4부 리그)로 승격했고, 1981년에는 당시 최고 아마추어 리그였던 (III) 오버리가 바이에른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

1983년 운터하힝은 오버리가 바이에른에서 1위를 차지하며 2.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아쉽게도 승격에는 실패했다. 1988년에도 다시 한번 승격 플레이오프에 도전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1]

1989년, 운터하힝은 마침내 오버리가 바이에른에서 우승하며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20위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곧바로 강등되었다. 1992년, 두 번째로 2. 분데스리가 승격을 이루었지만, 18위라는 다소 나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다시 강등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운터하힝은 1995년, 새로 창설된 레기오날리가 쥐트 (III)에서 1위를 차지하며 다시 한번 2. 분데스리가 무대에 복귀했다.[1]

운터하힝의 리그 성적표

2. 3. 분데스리가 시절 (1995년 ~ 2001년)

1995-96 시즌 2. 분데스리가로 복귀한 운터하힝은 역사상 최고의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 시즌 4위를 차지했고, 이후 두 시즌 동안 6위와 11위를 기록한 후 1999년 시즌 2위를 차지하며 1부 리그인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1]

첫 분데스리가 시즌에서 10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그 해 우승팀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첫 분데스리가 승리는 시즌 두 번째 경기였던 MSV 뒤스부르크와의 홈경기에서 2-0 승리였다. 원정 경기에서 고전했지만, 운터하힝은 강력한 라이벌 바이에른 뮌헨에게 0-2로 패하기 전까지 9경기 동안 홈에서 무패를 기록했다. 이 패배 전까지 VfB 슈투트가르트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상대로 홈에서 각각 2-0과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VfB 슈투트가르트를 다시 한번 2-0으로 이기며 분데스리가 첫 원정 승리를 거두었다.[1]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바이어 레버쿠젠은 운터하힝에서 무승부만 거둬도 첫 번째 리그 우승을 확정 지을 수 있었지만, 홈팀에 패했다. 20분 미하엘 발락의 자책골로 홈팀이 앞서나가면서 레버쿠젠의 우승 희망은 어두워졌다. 72분 운터하힝의 미드필더 마르쿠스 오버라이트너가 2-0으로 점수를 벌리면서 레버쿠젠의 우승은 좌절되었다. 한편, 바이에른 뮌헨은 홈에서 베르더 브레멘을 3-1로 이기고 골득실 차로 레버쿠젠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10위를 기록한 운터하힝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샬케 04보다 앞섰다. 바이에른 뮌헨과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게만 패하며 17경기에서 10승 5무를 기록, 리그 5위의 홈 성적을 거두었다.[1]

골키퍼 게르하르트 트렘멜, 수비수 알렉산더 슈트레멜과 요헨 자이츠, 미드필더 마르쿠스 오버라이트너와 안드레 브라이트나이터, 스트라이커 알틴 라클리는 뛰어난 팀워크를 보여준 선수들이다. 브라이트나이터와 라클리는 그 시즌에 13골을 합작했다.[1]

2000-01 시즌의 시작은 운터하힝에게 좋지 않았다. 첫 8경기에서 1승 2무에 그쳤다. 다음 6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했지만, 그 기세를 이어가지 못했고, 시즌 중반 휴식기에는 골득실 차로 강등권을 겨우 벗어났다. 시즌 후반기도 마찬가지로 부진했고, 지역 라이벌 바이에른 뮌헨1860 뮌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지만, 16위를 기록하며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되었다.[1]

시즌이 끝날 무렵 운터하힝은 다시 한번 바이에른 뮌헨의 우승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마지막 경기에서 2위 샬케 04와 무승부만 거두면 바이에른 뮌헨의 우승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운터하힝은 2-0과 3-2로 앞서나가다 3-5로 패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함부르크 SV와의 경기에서 최소한 무승부를 거두어야 했고, 연장 후반 파트리크 안데르손의 동점골(1-1)로 간신히 무승부를 거두며 우승을 확정지었다.[1]

2. 4. 최근 역사 (2001년 ~ 현재)

2. 분데스리가로 강등된 후에도 클럽의 부진은 계속되었다. 카를스루어 SC에게 0-3으로 패하며 2001-02 시즌을 15위로 마감, 레기오날리가(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그러나 다음 시즌 레기오날리가 남부에서 우승하며 2. 분데스리가로 복귀했다. 이후 하힝은 2. 분데스리가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고, 2004년과 2006년 모두 간신히 강등을 면했지만, 2006-07 시즌에는 16위를 기록하며 결국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되었다.[1]

2007-08 시즌, 클럽은 2. 분데스리가 복귀 경쟁에서 밀렸지만 새로운 3. 리가 진출 자격을 얻었다. 2008-09 시즌, 새로운 전국 규모의 3. 리가 첫 시즌에서 클럽은 승격에 근접했지만, 37라운드에서 FC 칼 자이스 예나에게 3-4로 패하며 2위에서 4위로 떨어져 3부 리그에 장기간 머물게 되었다.[1]

2009-10 시즌, 클럽은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겨울 동안 순위가 하락했다. 2008-09 시즌 성공적인 지도를 맡았던 랄프 하젠휘틀은 1990년 월드컵 우승자인 클라우스 아우겐탈러로 교체되었고, 아우겐탈러 감독은 팀을 안전한 11위로 이끌었다.[1]

2013-14 시즌 3. 리가에서 17위를 기록했고, 2014-15 시즌 종료 후 4부 리그인 바이에른 지역리가로 강등되었다. 2015-16 DFB-포칼에 진출하여 FC 인골슈타트 04와 RB 라이프치히를 꺾었지만 3라운드에서 바이어 레버쿠젠에게 패했다.[1]

2022-23 시즌에 운터하힝은 바이에른 지역리가 우승팀으로 3. 리가로 복귀했다.[2]

3. 경기장

SpVgg 운터하힝의 홈구장은 시립 운터하힝 스포르트파르크 경기장(Stadion am Sportpark)이며, 현재 클럽의 스폰서십 계약에 따라 알펜바우어 스포르트파르크(Alpenbauer Sportpark)로 알려져 있다. 수용 인원은 15,053명이다.[1] 1960년까지 SpVgg 운터하힝은 야른슈트라세(Jahnstraße) 축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렀고, 그 후 약 4,000명의 관중석을 보유한 그뤼나우어 알레(Grünauer Allee) 경기장으로 이전하여 1992년 4월 현재의 스포르트파르크 경기장이 개장하기 전까지 경기를 진행했다.[1] 그뤼나우어 알레 경기장은 현재 바이에른 오버리가(Oberliga Bayern)에서 활동하는 SpVgg 운터하힝 II(클럽의 2군 팀)와 포르투나 운터하힝(Fortuna Unterhaching)의 홈구장이다.[1]

4. 선수

2018년 1월 31일 현재 SpVgg 운터하힝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선수들의 국적은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정에 따른다.[1]

번호포지션선수명국적
1GK콜비니안 뮐러(Korbinian Müller)
3DF토마스 하인(Thomas Hain)
4DF알렉산더 빈클러(Alexander Winkler)
5DF요제프 벨츠뮐러(Josef Welzmüller)--
6DF울리히 타페트셰퍼(Ulrich Tafettschöfer)
9FW슈테판 하인(Stefan Hein)
11FW슈테판 지머(Stefan Zimmer)
13MF짐-파트리크 뮐러(Jim-Patrick Müller)
17MF마르크 젭틀(Marc Zettel)
18FW토마스 슈타인하이어(Thomas Steinheir)
19FW알렉산더 필러(Alexander Piller)
20MF도미니크 슈탈(Dominik Stahl)
21FW사샤 비가르케(Sascha Bigalke)
22GK니코 만틀(Nico Mantel)
27FW비탈리 룩스(Vitali Lux)
30MF루카 마르제일러(Luca Marzeiler)
31MF오레스티스 키오무르초글루(Orestis Kyomourtzoglou)
32DF팀 셰어스(Tim Schiers)
34MF루카스 쾨니히스호퍼(Lukas Königsofer)
35MF핀 포라스(Finn Porath)
38DF마르코 로젠츠바이크(Marco Rosentzweig)


4. 1. 현역 선수

2024년 9월 5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4]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콘스탄틴 하이데Konstantin Heide|콘스탄틴 하이데de
2DF빅토르 젠트리히Viktor Zentrich|빅토르 젠트리히cs
3DF맥스 람비Max Lamby|맥스 람비de
4DF벤 슐리케Ben Schlicke|벤 슐리케de
7MF로빈 리티히Robin Littig|로빈 리티히de
8MF마누엘 슈티플러Manuel Stiefler|마누엘 슈티플러de
9FW줄리안 퀴겔Julian Kügel|줄리안 퀴겔de
10MF제바스티안 마이어Sebastian Maier|제바스티안 마이어de
11FW토마스 빈클바우어Thomas Winklbauer|토마스 빈클바우어de
14FW루크 이호르스트Luc Ihorst|루크 이호르스트de
15DF티몬 오버마이어Timon Obermeier|티몬 오버마이어de
16MF핀 자이델Fynn Seidel|핀 자이델de
18FW팀 하네만Tim Hannemann|팀 하네만de
20FW알렉산더 로이트하르트Alexander Leuthard|알렉산더 로이트하르트de
22GK파비안 셰르거Fabian Scherger|파비안 셰르거de
23DF마르쿠스 슈바블Markus Schwabl|마르쿠스 슈바블de
24GK카이 아이젤레Kai Eisele|카이 아이젤레de
25FW렌 야스트렘스키Lenn Jastremski|렌 야스트렘스키de
26MF앤디 브로이어Andy Breuer|앤디 브로이어de
27DF팀 홉스Tim Hoops|팀 홉스de
30MF시몬 스칼라티디스Simon Skarlatidis|시몬 스칼라티디스de
31FW플로리안 슈미트Florian Schmid|플로리안 슈미트de
32MF닉 카울퍼스Nick Kaulfers|닉 카울퍼스de
33DF막시밀리안 헤니히Maximilian Hennig|막시밀리안 헤니히de
34DF팀 크니핑Tim Knipping|팀 크니핑de
36DF엘리언 학소사즈Elion Hakshabanaj|엘리언 학소사즈한국어
37FW노아-가브리엘 시미치Noa-Gabriel Šimić|노아-가브리엘 시미치hr
38MF보이펠로 마시고Boipelo Mashigo|보이펠로 마시고영어
39DF데니스 바이드너Dennis Waidner|데니스 바이드너de
42FW깁슨 아두Gibson Adu|깁슨 아두de
43MF펠릭스 라우텐바허Felix Lautenbacher|펠릭스 라우텐바허de
47MF웨슬리 크라텐마허Wesley Krattenmacher|웨슬리 크라텐마허de
49DF닐스 오르텔Nils Ortel|닐스 오르텔de


4. 2. 임대 선수

2018년 1월 31일 현재, 다른 팀으로 임대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

포지션선수임대 구단
MFJosef Gottmeier|요제프 고트마이어deDJK Vilzing|DJK 빌칭de (2025년 6월 30일까지)
MFAaron Keller|아론 켈러deSSV Ulm 1846|SSV 울름 1846de (2025년 6월 30일까지)



주: 선수의 국적 표기는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정에 따른다.

4. 3. 역대 선수

SpVgg 운터하힝을 거쳐 간 주요 선수들의 목록이다.

2018년 1월 31일 현재
등번호포지션선수명비고
1GK콜비니안 뮐러(Korbinian Müller)
3DF토마스 하인(Thomas Hain)
4DF알렉산더 빈클러(Alexander Winkler)
5DF요제프 벨츠뮐러(Josef Welzmüller)--
6DF울리히 타페트셰퍼(Ulrich Tafettschöfer)
9FW슈테판 하인(Stefan Hein)
11FW슈테판 지머(Stefan Zimmer)
13MF짐-파트리크 뮐러(Jim-Patrick Müller)
17MF마르크 젭틀(Marc Zettel)
18FW토마스 슈타인하이어(Thomas Steinheir)
19FW알렉산더 필러(Alexander Piller)
20MF도미니크 슈탈(Dominik Stahl)
21FW사샤 비가르케(Sascha Bigalke)
22GK니코 만틀(Nico Mantel)
27FW비탈리 룩스(Vitali Lux)
30MF루카 마르제일러(Luca Marzeiler)
31MF오레스티스 키오무르초글루(Orestis Kyomourtzoglou)
32DF팀 셰어스(Tim Schiers)
34MF루카스 쾨니히스호퍼(Lukas Königsofer)
35MF핀 포라스(Finn Porath)
38DF마르코 로젠츠바이크(Marco Rosentzweig)



기타 선수
포지션선수명활동 기간
조니 노박(Joni Novak)2000-2002
막시밀리안 니크(Maximilian Nic)2002-2004
마누엘 콘라트(Manuel Konrad)2009-2010


5. 감독

SpVgg 운터하힝의 감독직은 여러 인물들이 거쳐갔다. 안드레아스 브레메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베르너 로란트는 2007년에 감독을 맡았다. 잔드로 바그너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5]

5. 1. 역대 감독

감독취임사임
볼프강 프랑크(Wolfgang Frank)2002년 7월 1일2004년 4월 1일
해리 도이팅거(Harry Deutinger)2004년 4월 2일2004년 6월 30일
안드레아스 브레메2004년 7월 1일2005년 4월 11일
해리 도이팅거(Harry Deutinger)2005년 4월 12일2007년 3월 19일
랄프 하젠휘틀2007년 3월 20일2007년 3월 31일
베르너 로란트2007년 3월 23일2007년 10월 3일
랄프 하젠휘틀2007년 10월 4일2010년 2월 22일
마티아스 루스트(Matthias Lust)2010년 2월 23일2010년 3월 22일
클라우스 아우겐탈러2010년 3월 23일2011년 6월 30일
하이코 헤를리히2011년 9월 1일2012년 5월 25일
클라우스 슈롬2012년 5월 25일2014년 1월 3일
마누엘 바움2012년 1월 3일2014년 3월 19일
크리스티안 지게2014년 3월 20일2015년 3월 25일
클라우스 슈롬2015년 3월 26일2020년 7월 29일
아리 판 렌트(Arie van Lent)2020년 8월 18일2021년 6월 30일
잔드로 바그너2021년 7월 1일2023년 6월 30일
마르크 운터베르거(Marc Unterberger)2023년 6월 30일2024년 12월 1일
스벤 벤더2023년 6월 30일2024년 12월 1일

[5]

6. 수상 경력

SpVgg 운터하힝은 리그, 컵, 유소년 부문에서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6. 1. 리그

리그시즌순위
2. 분데스리가 (II)1998–99준우승
레기오날리가 남부 (III)1994–95, 2002–03우승
바이에른리가 (III)1983, 1988, 1989, 1992우승
바이에른리가 (III)1991준우승
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IV)2016–17, 2022–23[3]우승
란데스리가 바이에른 남부 (IV)1981우승
란데스리가 바이에른 남부 (IV)2001준우승
베치르크스오버리가 오버바이에른 (VI)1999우승


6. 2. 컵


  • '''바이에른컵'''
  • * 우승: 2008년, 2012년, 2015년
  • * 준우승: 2016년
  • '''오버바이에른컵'''
  • * 우승: 2004년, 2008년, 2009년

6. 3. 유소년

대회우승준우승
바이에른 U-19 선수권 대회2004년, 2008년, 2011년2007년, 2015년, 2016년
바이에른 U-17 선수권 대회2002년, 2004년, 2011년, 2016년2007년, 2009년
바이에른 U-15 선수권 대회2011년1993년, 2004년, 2006년, 2013년, 2015년, 2016년


7. 봅슬레이

1975년, 지역 기업가이자 클럽 후원자인 안톤 슈로벤하우저(† 1982)가 봅슬레이 부서를 설립하여 1979년까지 이끌었다. 이후 클럽의 봅슬레이 선수들은 국내외 대회에서 수많은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크리스토프 랑엔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등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며 운터하힝을 대표하는 봅슬레이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7. 1. 크리스토프 랑엔의 주요 수상 경력

크리스토프 랑엔(Christoph Langen)의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대회종목연도결과
올림픽2인조2002년금메달
2인조1992년, 1998년동메달
4인조1998년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2인조1993년, 1995년, 1996년, 2000년, 2001년금메달
4인조1996년, 2001년금메달
월드컵2인조1996년, 1999년, 2004년금메달
4인조1996년, 1999년금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2인조1994년, 1995년, 1996년, 2001년, 2004년금메달
4인조1996년, 1999년금메달


참조

[1] 웹사이트 DFB-Pokal 2015/2016 » Spielplan http://www.weltfussb[...] 2015-12-16
[2] 뉴스 SpVgg Unterhaching: Haching ist Meister https://www.sueddeut[...] 2023-05-07
[3] 뉴스 SpVgg Unterhaching: Haching ist Meister https://www.sueddeut[...] 2023-05-07
[4] 웹사이트 Profis https://www.spvggunt[...] 2024-10-07
[5] 웹사이트 SpVgg Unterhaching .:. Trainer von A-Z http://www.weltfussb[...] 2011-04-30
[6] 웹사이트 Das deutsche Fußball-Archiv http://www.f-archiv.[...] 2014-09-20
[7] 웹사이트 Fussball.de – Ergebnisse http://www.fussball.[...] 2014-09-20
[8] 웹사이트 Aufstieg Regionalliga Süd http://www.weltfussb[...] 2008-06-13
[9] 웹사이트 Keine Lizenz für die SpVgg http://www.spvgg-bay[...] 2008-06-13
[10] 웹사이트 Unterhaching meldet U23 aus Bayernliga ab http://www.fupa.net/[...] 2015-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