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ll Cruisi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ill Cruisin'은 1989년 발매된 비치 보이스의 음반이다. 1988년 영화 《칵테일》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싱글 〈Kokomo〉가 성공을 거둔 후, 비치 보이스는 신곡과 기존 히트곡을 함께 수록한 앨범을 발매하기로 결정했다. 앨범에는 〈Still Cruisin'〉, 〈Somewhere Near Japan〉, 〈Island Girl〉 등의 신곡과 〈I Get Around〉, 〈Wouldn't It Be Nice〉, 〈California Girls〉 등 과거 영화에 사용된 히트곡들이 수록되었다. 이 앨범은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골드 인증을 받았고, 비치 보이스에게 1976년 이후 최고의 차트 성적을 안겨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치 보이스의 음반 - The Beach Boys
1985년에 발매된 비치 보이스의 동명 스튜디오 앨범 《The Beach Boys》는 링고 스타, 스티비 원더 등 여러 게스트 뮤지션이 참여했으며, 칼 윌슨의 〈Where I Belong〉은 높은 평가를 받았고, "Getcha Back", "It's Gettin' Late", "California Calling" 등의 곡이 수록되었으며, 2000년 CD 재발매 시에는 유진 랜디의 공동 작곡 크레딧 삭제와 함께 보너스 트랙 "Male Ego"가 추가되었다. - 비치 보이스의 음반 - Pet Sounds
1966년 비치 보이스가 발매한 《Pet Sounds》는 브라이언 윌슨이 주도하여 실험적인 사운드, 복잡한 화성, 자기 성찰적인 가사를 특징으로 하는,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명반이다. - 1989년 음반 - One (비지스의 음반)
비지스의 1989년 앨범 《One》은 유럽에서 성공한 《E.S.P.》 이후 제작되었고 앤디 깁 사망 후 그에게 헌정되었으며, 우울한 분위기 속에서 "Wish You Were Here"라는 곡으로 그를 기리고 있다. - 1989년 음반 - Oh Mercy
밥 딜런의 26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Oh Mercy는 다니엘 라노이스의 프로듀싱으로 딜런이 작곡하고 뉴올리언스에서 녹음하여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딜런의 컴백 앨범으로 여겨진 앨범이다. - 캐피틀 레코드 음반 - In the Wee Small Hours
1955년 프랭크 시나트라가 발표한 《In the Wee Small Hours》는 실연의 아픔과 새벽의 고독을 주제로 한 콘셉트 앨범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성숙한" 보컬 스타일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넬슨 리들의 편곡과 시나트라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애절한 감성 표현이 특징이다. - 캐피틀 레코드 음반 - L-O-V-E
냇 킹 콜의 1965년 스튜디오 앨범인 L-O-V-E는 타이틀곡 "L-O-V-E"를 포함한 11곡이 수록되었으며, 1964년에 할리우드와 샌프란시스코에서 녹음되어 랄프 카마이클이 편곡과 지휘를 맡았다.
Still Cruisi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앨범 정보 | |
이름 | Still Cruisin' |
종류 | 스튜디오 앨범 |
아티스트 | 더 비치 보이스 |
![]() | |
발매일 | 1989년 8월 28일 |
녹음 기간 | 1987년 2월 27일–1989년; "I Get Around": 1964년 4월, "Wouldn't It Be Nice": 1966년 1월–4월, "California Girls": 1965년 4월 & 6월 |
장르 | 록 음악, 뉴 웨이브, 레게 퓨전 |
길이 | 33분 44초 |
레이블 | 캐피틀 레코드 |
프로듀서 | 브라이언 윌슨, 테리 멜처, 알 자딘, Albert Calbrera, 토니 모란, 게리 어셔 |
이전 앨범 | Made in U.S.A. |
이전 앨범 발매일 | 1986년 |
다음 앨범 | Lost & Found (1961–62) |
다음 앨범 발매일 | 1991년 |
싱글 | |
싱글 1 | Kokomo |
싱글 1 발매일 | 1988년 7월 18일 |
싱글 2 | Still Cruisin' |
싱글 2 발매일 | 1989년 8월 7일 |
싱글 3 | Somewhere Near Japan |
싱글 3 발매일 | 1990년 1월 |
평가 |
2. 배경
1988년 영화 《칵테일》의 사운드트랙 싱글로 발매된 〈Kokomo〉가 비치 보이스에게 1966년 〈Good Vibrations〉 이후 처음으로 미국 차트 1위를 안겨주자, 밴드는 캐피톨 레코드로 복귀하여 최신곡과 기존 히트곡을 모은 앨범을 만들기로 결정했다.[8] 앨범에 수록된 기존 곡들은 주로 최근 영화에 삽입되었던 곡들이었다.
앨범은 Side One과 Side Two로 나뉜다. 각 사이드의 상세 곡 목록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앨범을 위한 신곡 〈Still Cruisin'〉, 〈Somewhere Near Japan〉, 〈Island Girl〉은 투어 중인 비치 보이스 멤버들과 스튜디오 뮤지션, 그리고 프로듀서 테리 멜처에 의해 녹음되었다. 당시 브라이언 윌슨은 유진 랜디 박사와의 관계로 인해 앨범 작업에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그가 유일하게 기여한 곡은 〈In My Car〉였는데, 이 곡은 랜디와 그의 여자친구 알렉산드라 모건이 공동 작곡한 것으로 표기되었다. 하지만 이후 법적 문제로 랜디의 이름이 다른 곡들에서 삭제된 사례가 있어, 이 작곡가 표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8]
앨범에는 최근 싱글이었던 〈Kokomo〉와 미국 랩 그룹 팻 보이즈와 함께 부른 〈Wipe Out〉이 포함되었다. 〈Wipe Out〉은 원래 런-DMC와 녹음할 예정이었으나, 마이크 러브가 팻 보이즈와 계약하면서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다.[8] 또한 영화 《트룹 베벌리 힐스》를 위해 녹음된 〈Make It Big〉과, 과거 영화에 사용되었던 그룹의 초기 히트곡 〈I Get Around〉, 〈Wouldn't It Be Nice〉, 〈California Girls〉도 수록되어 앨범의 길이를 채웠다.
마이크 러브는 앨범 제작 과정에 대해 "앨범의 테마는 영화에 나왔던 노래들을 담는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재포장이었다"고 설명하면서도, 브라이언 윌슨 측의 랜디가 작곡에 참여한 〈In My Car〉와 알 자딘의 〈Island Girl〉이 영화와 관련 없음에도 정치적인 이유로 앨범에 포함되면서 본래의 콘셉트가 희석되었다고 비판했다.[10]
3. 곡 목록
3. 1. Side One
# | 제목 | 작사/작곡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비고 |
---|---|---|---|---|---|
1 | Still Cruisin | 마이크 러브, 테리 멜처 | 마이크 러브, 칼 윌슨, 알 자딘, 브루스 존스턴 | 3:35 | 리썰 웨폰 2 수록곡 |
2 | Somewhere Near Japan | 존 필립스, 브루스 존스턴, 마이크 러브, 테리 멜처 | 마이크 러브, 칼 윌슨, 알 자딘, 브루스 존스턴 | 4:48 | |
3 | Island Girl (I'm Gonna Make Her Mine) | 알 자딘 | 칼 윌슨, 알 자딘, 마이크 러브 | 3:49 | |
4 | In My Car | 브라이언 윌슨 | 브라이언 윌슨, 칼 윌슨, 알 자딘 | 3:21 | |
5 | Kokomo | 존 필립스, 스콧 매켄지, 마이크 러브, 테리 멜처 | 마이크 러브, 칼 윌슨 | 3:35 | 칵테일 수록곡 |
3. 2. Side Two
Side Two는 최근 싱글과 영화 사운드트랙에 사용된 비치 보이스의 클래식 히트곡들로 구성되었다. 특히 "Wipe Out"은 당시 인기를 끌던 랩 그룹 팻 보이즈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원래 이 곡은 런-DMC와 녹음될 예정이었으나, 마이크 러브가 팻 보이즈와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8] "Make It Big"은 영화 Troop Beverly Hills를 위해 녹음되었다. 나머지 세 곡, "I Get Around", "Wouldn't It Be Nice", "California Girls"는 각각 영화 Good Morning, Vietnam, The Big Chill, 소울 맨 등에 삽입되면서 다시 주목받아 앨범에 포함되었고, 이를 통해 앨범의 전체 길이를 늘릴 수 있었다.곡 제목 | 작사/작곡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비고 |
---|---|---|---|---|
Wipe Out | 밥 베리힐, 팻 코놀리, 짐 풀러, 론 윌슨 | 팻 보이즈, 브라이언 윌슨 | 4:00 | 싱글 버전, 팻 보이즈 참여 |
Make It Big | 마이크 러브, 빌 하우스, 테리 멜처 | 칼 윌슨, 마이크 러브, 알 자딘, 브라이언 윌슨 | 3:08 | Troop Beverly Hills 수록곡 |
I Get Around | 브라이언 윌슨, 마이크 러브 | 브라이언 윌슨, 마이크 러브 | 2:09 | Good Morning, Vietnam 수록곡 |
Wouldn't It Be Nice | 브라이언 윌슨, 토니 애셔 | 브라이언 윌슨, 마이크 러브 | 2:22 | Made in U.S.A. 믹스, The Big Chill 수록곡 |
California Girls | 브라이언 윌슨, 마이크 러브 | 마이크 러브, 브라이언 윌슨, 브루스 존스턴 | 2:35 | 소울 맨 수록곡 |
4. 참여진
자료마다 참여진 정보가 조금씩 달라 정확한 기여를 명시하기 어려우며, 특히 1960년대에 녹음된 곡들의 참여진 정보는 이 앨범 크레딧에서 제외되었다.[12][13][14][15][16]
4. 1. 비치 보이스
부분 크레딧; 크레딧은 1960년대 곡에 대한 크레딧은 제외한다.[12][13][14][15][16]이름 | 역할 |
---|---|
마이크 러브 | 리드 보컬, 하모니 및 백 보컬 |
알 자딘 | 리드 보컬, 하모니 및 백 보컬, 기타 |
칼 윌슨 | 리드 보컬, 하모니 및 백 보컬, 기타, 키보드 |
브루스 존스턴 | 리드 보컬, 하모니 및 백 보컬, 키보드, 베이스 기타 |
브라이언 윌슨 | 리드 보컬, 하모니 및 백 보컬; "In My Car"의 키보드 및 신시사이저 |
4. 2. 추가 뮤지션
- 더 팻 보이즈 – "Wipe Out" 랩
- 아담 자딘 – "Island Girl" 백 보컬
- 맷 자딘 – "Island Girl" 백 보컬
- 제프리 포스켓 – "Island Girl" 백 보컬 및 "Kokomo" 어쿠스틱 기타
- 크레이그 트리판드 폴 - "Still Crusin''" 및 "Somewhere Near Japan" 리드 기타, 만돌린
- 조셉 브래슬러 – "In My Car" 리드 기타
- 로드 클라크 – "Kokomo" 베이스
- 키스 벡슬러 – "Still Cruisin''" 드럼 및 키보드
- 마이크 코왈스키 – "Island Girl" 드럼
- 비니 콜라이우타 – "In My Car" 드럼
- 짐 켈트너 – "Somewhere Near Japan" 및 "Kokomo" 드럼
- 반 다이크 파크스 – "Kokomo" 아코디언
- 조엘 페스킨 – "Kokomo" 색소폰
- 칠리 콘 찰스 – "Kokomo" 타악기
- "빈스", "밀턴" 및 "마이크"(성 미상) – "Kokomo" 스틸 드럼
- 제임스 그런크 – "Island Girl" 신스 프로그래밍
- 마이클 버나드 – "In My Car" 신스 프로그래밍
4. 3. 프로듀서
5. 차트 성적
"코코모"의 인기에 힘입어, ''Still Cruisin''은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골드를 기록했으며,[11] 비치 보이스에게 1976년 이후 최고의 차트 성적을 안겨주었다. 이 앨범은 22주 동안 차트에 머물며 미국 빌보드 200에서 46위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0위, 오스트리아에서는 12위, 스위스에서는 25위, 스웨덴에서는 43위를 기록했다.
차트 (1989년)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ARIA) | 10 |
오스트리아 (Ö3 오스트리아) | 12 |
네덜란드 (메하하르츠)[1] | 92 |
독일 (Offizielle Top 100)[1] | 26 |
스웨덴 (스베리예토프리스탄) | 43 |
스위스 (슈바이처 히트파라데) | 25 |
미국 빌보드 200[1] | 46 |
6. 인증
싱글 "코코모"의 큰 성공에 힘입어, ''Still Cruisin''' 앨범은 미국에서 플래티넘을,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골드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11] 이는 비치 보이스에게 1976년 이후 가장 높은 차트 성적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2000년과 2001년 캐피톨 레코드의 비치 보이스 재발매 캠페인에서 이 앨범은 제외되어 절판되었고, 이후로도 계속 절판 상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igs & Sessions 1987
http://bellagio10452[...]
2024-01-08
[2]
AllMusic
Allmusic review
[3]
웹사이트
The Beach Boys ''Still Cruisin''
http://blender.com:8[...]
2004-10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Rolling Stone Review
https://web.archive.[...]
[6]
AllMusic
Allmusic review
[7]
웹사이트
Gold & Platinum
https://www.riaa.com[...]
2022-11-30
[8]
문서
Brian Wilson and the Beach Boys - The Complete Guide to Their Music
Omnibus Press
[9]
웹사이트
Gigs & Sessions 1986
http://bellagio10452[...]
2024-01-09
[10]
웹사이트
Mike Love interview
http://troun.tripod.[...]
2015-08-08
[11]
웹사이트
IFPI Austria - Verband der Österreichischen Musikwirtschaft
http://www.ifpi.at/?[...]
2012-01-11
[12]
웹사이트
Can Mike Love play the sax
http://smileysmile.n[...]
[13]
웹사이트
Guitar playing on later albums...Still Cruisin, Summer in Paradise
http://smileysmile.n[...]
[14]
웹사이트
Album Credits at Allmusic
http://www.allmusic.[...]
[15]
웹사이트
The very last time certain instruments were played on BB tracks?
http://smileysmile.n[...]
[16]
AV media notes
Still Cruisin'
http://albumlinernot[...]
[17]
올뮤직
Allmusic review
[18]
웹인용
The Beach Boys ''Still Cruisin''
http://blender.com:8[...]
2004-10
[19]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인용
Rolling Stone Review
https://www.rollings[...]
2020-06-06
[21]
올뮤직
Allmusic revi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